KR101566007B1 - Material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Material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007B1
KR101566007B1 KR1020130129747A KR20130129747A KR101566007B1 KR 101566007 B1 KR101566007 B1 KR 101566007B1 KR 1020130129747 A KR1020130129747 A KR 1020130129747A KR 20130129747 A KR20130129747 A KR 20130129747A KR 101566007 B1 KR101566007 B1 KR 10156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carrier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9332A (en
Inventor
하민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3012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007B1/en
Publication of KR2015004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3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자재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자재 관리 시스템은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 및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는 설계 정보로부터 필요 자재의 정보를 획득하고,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는 자재 생산자의 통신 단말로 필요 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며,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는 필요 자재 정보에 따라 생산된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 위치를 추적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반되는 자재 정보가 입력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운반중인 자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 material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a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outputting unit, and a material transporting position tracking unit. The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s information of necessary materials from the design information, and the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utputting unit outputs the information of necessary materials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producer. The material transporting position tracking unit detects the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And tracks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into which the information is input.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into which the material information to be transported is inputted is track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in real time without attaching the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Description

자재 관리 시스템{MATERIAL MANAGEMENT SYSTEM} Material Management System {MATERIAL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이나 건축 공사 현장에서 소요되는 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anaging materials required in a civil engineering work or construction work site.

건축이나 토목 공사에서는 원가 절감이나 공사 기간의 단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사 기간이나 원가 절감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자재의 관리가 필수적이다.Cost reduction and shortening construction period are very important in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s. However, efficient management of materials is essential for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reduction.

자재의 제작, 운송, 입출고, 야적 및 설치에 이르는 전체 과정 중 어느 한 부분에 있어서의 비효율적인 관리가 전체 공사 기간이나 공사 비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엄청나며, 이러한 영향은 건축이나 토목 공사가 복합 공종으로 구성됨에 따라 더욱 심각해진다.The ineffective management of any part of the entire process from material production, transportation, warehousing, warehousing and installation to the entire construction period or construction cost is enormous, As shown in FIG.

효율적인 자재의 관리를 위해서는 공사 진행 정도에 따라 자재의 제작, 입출고 야적 및 설치의 각 과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관리자는 공사 진행의 정도, 및 공사 진행 정도에 따른 자재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to manage the efficient material, each process of material production, entry and exit field and installation should be performed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and the manager should hav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construction progress and the state of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It should be able to grasp in real tim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재 관리자가 공사 진행의 정도, 및 공사 진행 정도에 따른 자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that enables a material manager to grasp information on the state of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onstruction progress and degree of construction progress in real time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은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 및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ateri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a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output unit, and a material transporting position tracking unit.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는 설계 정보로부터 필요 자재의 정보를 획득하고,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는 자재 생산자의 통신 단말로 필요 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며,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는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 위치를 추적한다.The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s information of necessary materials from the design information, and the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utputting unit outputs the information of necessary materials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producer. The material transporting position tracking unit detects the material transporting position of the material carrier And tracks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반되는 자재 정보가 입력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운반중인 자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into which the material information to be transported is inputted is track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in real time without attaching the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생산 자재 정보는 영상 정보의 형태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때의 영상 정보는 바코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 운반자는 별도의 고가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자신이 운반할 자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production material information may be inpu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in the form of image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at this time may be barcod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material carrier can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material to be carried by the material carrier even without having a separate expensive equipment.

또한, 자재 관리 시스템은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자재 생산자로부터 자재를 공급받는 경우에도 용이하고 통일적으로 자재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barco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barcod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a material is supplied from a plurality of material producers, the material can be managed easily and uniformly.

또한,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될 때의 자재 보관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자재 보관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보관중인 자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storage position acquiring unit that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repository when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pu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eing stored can be effectively grasped without attaching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또한,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된 자재 설치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자재 설치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설치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installation position obtaining section that obtains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installer into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put.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installed material can be grasped efficiently without attaching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또한, 자재 보관자의 통신 단말 또는 자재 설치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통신 단말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규모 영역에 대해 더욱 정밀한 위치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자재의 보관 또는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measuring section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repository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install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asp the storag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terial by using more precise position measuring means for the small-sized region.

또한, 생산 자재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그램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 운반자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범용 통신 단말에 전송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생산 자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ogram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mputer program for inputting production material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material carrier can input production material information by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transmitted to the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having any additional equipment.

또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 위치 추적 정보를 설계 정보에 추가하는 설계 정보 추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의 위치와 같이 새로이 갱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설계 정보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sign information adding unit that adds th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of the material carrier to the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information of the newly updated material such as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in the design information.

또한, 설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로 출력하는 설계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 관리자 등은 설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전체 자재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sign information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desig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terial manager or the like can easily confirm various state information on the entire material by checking the design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운반되는 자재 정보가 입력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운반중인 자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into which the material information is transferr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in real time without attaching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또한, 자재 운반자는 별도의 고가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자신이 운반할 자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lso, the material carrier can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material to be transported without having to have separate expensive equipment.

또한, 다수의 자재 생산자로부터 자재를 공급받는 경우에도 용이하고 통일적으로 자재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even when materials are supplied from a plurality of material producers, the materials can be managed easily and uniformly.

또한,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보관중인 자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eing stored can be effectively ascertained without attaching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또한,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설치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installed material can be effectively ascertained without attaching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또한, 소규모 영역에 대해 더욱 정밀한 위치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자재의 보관 또는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asp the storag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terial by using the more precise position measuring means for the small area.

또한, 자재 운반자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범용 통신 단말에 전송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생산 자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aterial carrier can input production material information by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transmitted to a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having any additional equipment.

또한, 자재의 위치와 같은 갱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설계 정보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information on the updated material such as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in the design information.

또한, 자재 관리자 등은 설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전체 자재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aterial manager can easily confirm various state information on the entire material by checking the desig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자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ateri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of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ateri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gh usage state of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of FIG.

도 1에서, 자재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통신망(400)은 사용자 단말(300)이 자재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어떠한 형태의 통신망으로도 구현 가능하지만 인터넷망인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In FIG. 1,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40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may be any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that allows the user terminal 300 to access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 but it is generally an Internet network.

도 1에 사용자 단말(300)로, 자재 생산자 단말(310), 자재 운반자 단말(320), 자재 보관자 단말(330), 자재 설치자 단말(340), 및 자재 관리자 단말(350)이 예시되어 있으나, 통신망(400)을 통해 자재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통신 단말로도 구현 가능하며, 스마트폰과 같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이 유용할 것이다.1 illustrates a user terminal 300, a material producer terminal 310, a material carrier terminal 320, a material repository terminal 330, a material installer terminal 340, and a material manager terminal 350, It can be implemented as any type of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wireless Internet like a smart phone would be useful.

관리 시스템(100)은 다시 내부에,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110),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120),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130), 바코드 정보 생성부(140), 자재 보관 위치 획득부(150), 자재 설치 위치 획득부(160), 통신 단말 위치 측정부(170), 프로그램 전송부(180), 설계 정보 추가부(190), 및 설계 정보 출력부(200)를 포함한다.The management system 100 further includes a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a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output unit 120, a material transport position tracking unit 130, a barcod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0, And a design information output unit 200. The design information output unit 200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0, a material installation location acquisition unit 160, a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measurement unit 170, a program transmission unit 180, a design information addition unit 190,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110)는 설계 정보로부터 필요 자재의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의 설계 정보는 예를 들어, Tekla 3D 모델링 프로그램으로부터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정보에서 획득할 수 있다.The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obtains information of necessary materials from the design information. The design information at this tim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from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from the Tekla 3D modeling program.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120)는 자재 생산자의 통신 단말(310)로 필요 자재의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자재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의 발주 단계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자재 생산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관리될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e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utput unit 120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necessary materi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310 of the material producer. In this way, if the function of managing the ordering stage of the raw material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material is provided, the production schedule can be managed without any disruption in the production schedule,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130)는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320) 위치를 추적한다. 이때, 생산 자재의 정보로는 송장에 표시되는 포장 부재의 정보와 개별 부재의 정보가 혼합 가능하다. The material handling position tracking unit 130 tracks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320 of the material carrier into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put. At this time, as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the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member displayed on the invoi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member can be mixed.

자재 운반자 단말(320)의 위치 추적은 GPS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송장 GPS 차량 트래킹의 구성은 공장 출하 후 공사 현장까지의 차량 이동을 추적 가능하게 해준다.The location tracking of the material carrier terminal 320 can utilize a GPS system, and the configuration of such an invoice GPS vehicle tracking allows tracking of vehicle movement to the construction site after the factory shipment.

또한, WIFI를 이용하여 PDA 등에 수동으로 입력하여 자재의 위치를 동기화하는 것이 아니라, 3G나 LTE와 같은 자재 운반자 단말(320)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재의 위치를 추적하기 때문에, 차량 이동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is tracked by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aterial carrier terminal 320 such as 3G or LTE, instead of synchronizing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y manually inputting it to the PDA or the like using WIFI, .

자재 운반자 단말(320)로 입력되는 생산 자재 정보는 영상 정보의 형태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320)로 입력될 수 있는데, 이때의 영상 정보는 바코드 정보는 물론 QR 코드 정보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roduction material information input to the material carrier terminal 320 may be inpu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320 of the material carrier in the form of image information. The image information at this time may be implemented as QR code information as well as bar code informa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 운반자는 별도의 고가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자신이 운반할 자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RFID 카드를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바코드 프린터로 출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번호로만 인식되어 제한적인 RFID에 비해 QR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훨씬 많은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material carrier can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material to be carried by the material carrier even without having a separate expensive equipment. For example, compared to the case of attaching an RFID card, the system can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by outputting to a barcode printer. In addition, when a QR code is used in comparison with a limited RFID, It is possible.

바코드 정보 생성부(140)는 자재에 부착되는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자재 생산자로부터 자재를 공급받는 경우에도 용이하고 통일적으로 자재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The barco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material.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a material is supplied from a plurality of material producers, the material can be managed easily and uniformly.

자재 보관 위치 획득부(150)는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될 때의 자재 보관자의 통신 단말(330)의 위치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보관중인 자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material storage location acquisition unit 150 acquires the location of the material repository's communication terminal 330 when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pu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being stored can be effectively grasped without attaching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자재 설치 위치 획득부(160)는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된 자재 설치자의 통신(340) 단말의 위치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재 자체에 고가의 통신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설치된 자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material installation position acquiring unit 160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installer 340 terminal of the material installer that inputs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installed material can be grasped efficiently without attaching expensiv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material itself.

통신 단말 위치 측정부(170)는 자재 보관자의 통신 단말(330) 또는 자재 설치자의 통신 단말(340)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규모 영역에 대해 더욱 정밀한 위치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자재의 보관 또는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공사 현장의 GPS 좌표를 DB화하여 자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170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330 of the material custodian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340 of the material install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asp the storag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terial by using more precise position measuring means for the small-sized region.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can be confirmed by converting the GPS coordinates of the construction site into a DB.

프로그램 전송부(180)는 생산 자재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320)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 운반자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범용 통신 단말에 전송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생산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 program transmission unit 180 transmits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input of production material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320 of the material carrie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material carrier can easily inpu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ion material by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transmitted to the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having any additional equipment.

즉, 고가의 전용 PDA 장비 등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고서도, 대부분의 사용자가 보유중인 스마트폰과 같은 장비에 앱을 설치함으로써 본 시스템(10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ithout purchasing an expensive dedicated PDA device or the like, the system 100 can be used by installing an app on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hich is held by most users.

설계 정보 추가부(190)는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320) 위치 추적 정보와 같은 자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설계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의 위치와 같은 생산 후 갱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설계 정보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The design information adding unit 190 may add th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material such as the material carrier's communication terminal 320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to the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flect information on the material to be updated after production such as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in the design information.

또한, 생산된 부재의 문제에 의해 반품 등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이력을 관리 기록할 수 있어, 향후 발주자와 시공자 간의 이견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cause such as returns due to a problem of the produced member occurs, the history of the return can be managed and recor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r and the constructor in advance.

설계 정보 출력부(200)는 설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350)로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재 관리자 등은 설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전체 자재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design information output unit 200 outputs the design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350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terial manager or the like can easily confirm various state information on the entire material by checking the design information.

예를 들어, Tekla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Add-on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재 관리 시스템(100)과 연계하여 자재의 상태 정보를 3D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고, Tekla 프로그램의 3D 모델링 정보를 시스템(100) 상으로 전송하여 웹상에서도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add-on program may be applied to the Tekla 3D modeling program to enabl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aterial to be displayed in real time in the 3D state in connection with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 and 3D modeling information of the Tekla program And transmitted to the system 100 so as to be viewed on the web.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om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should be limited to the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100: 자재 관리 시스템
110: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
120: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
130: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
140: 바코드 정보 생성부
150: 자재 보관 위치 획득부
160: 자재 설치 위치 획득부
170: 통신 단말 위치 측정부
180: 프로그램 전송부
190: 설계 정보 추가부
200: 설계 정보 출력부
300: 사용자 단말
310: 자재 생산자 단말
320: 자재 운반자 단말
330: 자재 보관자 단말
340: 자재 설치자 단말
350: 자재 관리자 단말
400: 통신망
100: Material Management System
110: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0: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output section
130: Material carrying position tracking unit
140: Barcod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 Material storage position acquiring unit
160: Material installation position acquiring unit
170: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180: Program transfer unit
190: Design information addition section
200: design information output section
300: user terminal
310: Material producer terminal
320: Material carrier terminal
330: Material Storage Terminal
340: Material installer terminal
350: a material manager terminal
40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0)

설계 정보로부터 필요 자재의 정보를 획득하는 필요 자재 정보 획득부;
자재 생산자의 통신 단말로 상기 필요 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는 필요 자재 정보 출력부; 및
상기 필요 자재 정보에 따라 생산된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된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 위치를 추적하는 자재 운반 위치 추적부;
상기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될 때의 자재 보관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자재 보관 위치 획득부;
상기 생산 자재의 정보가 입력될 때의 자재 설치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자재 설치 위치 획득부;
상기 자재 보관자의 통신 단말 및 상기 자재 설치자의 통신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통신 단말 위치 측정부; 및
상기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설계 정보에 추가하는 설계 정보 추가부를 더 포함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생산 자재의 정보는 송장에 표시되는 정보이고, 영상 정보의 형태로 상기 자재 운반자의 통신 단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A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a required material from design information;
A necessary material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the required material to a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producer; And
A material transporting position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to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putted when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ed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the required material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A material storage posi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posi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material repository when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put;
A material installation position obtaining unit that obtains a position of a communication installer'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put;
A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ustodia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installer; And
Further comprising a design information adding unit for ad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of the material carrier to the design information,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material i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voice and is inpu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aterial carrier in the form of image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바코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mage information is barcode informa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barcod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barcode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자재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상기 운반자의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그램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gram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mputer program for inputting the production material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rri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로 출력하는 설계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sign information output unit outputting the desig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130129747A 2013-10-30 2013-10-30 Material management system KR101566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47A KR101566007B1 (en) 2013-10-30 2013-10-30 Material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47A KR101566007B1 (en) 2013-10-30 2013-10-30 Material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32A KR20150049332A (en) 2015-05-08
KR101566007B1 true KR101566007B1 (en) 2015-11-04

Family

ID=5338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747A KR101566007B1 (en) 2013-10-30 2013-10-30 Material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0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304A (en) 2017-05-08 2018-11-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Object Location Track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1529A (en) * 2005-02-14 2006-08-24 Chiyoda Corp Material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1529A (en) * 2005-02-14 2006-08-24 Chiyoda Corp Material manag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304A (en) 2017-05-08 2018-11-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Object Location T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32A (en)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tamedi et al. Lifecycle management of facilities component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
US20200034766A1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productivity
CN105225040A (en) Based on the prepar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overall process method for tracing of Internet of Things
Motamedi et al. Role-based access to facilities lifecycle information on RFID tags
Nasir et al. An implementation model for automated construction materials tracking and locating
Fantoni et al. Automating the process of method-time-measurement
Kumar et al. A review of IoT applications in supply chain optimiz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Dardouri et al. RFID platform for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Moon et al. Effective monitoring of the concrete pouring operation in an RFID-based environment
Sattineni et al. Techniques for tracking RFID tags in a BIM model
KR101566007B1 (en) Material management system
EP3651092A1 (en) Tracking devices using blockchain or othe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Wu et al. Blockchain-Based On-Site Activity Management for Smart Construction Process Quality Traceability
Hou et al. An integration framework of advanced technologi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for LNG mega-projects
Atkins et al. Application of RFID and Mobile technology in Tracking of Equipment for Maintenance in the Mining Industry
Spisakova et al. Application of RFID technology on construction site–case study
Gaba et al. An approach to monitor construction site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Internet of Things
Lin et al. Application of Mobile RFID-Based Safety Inspection Management at Construction Jobsite
Mohtat Construction material tracking inventory control system using smart Bluetooth/NFC tracking devices
Ding et al. Research on Food Safety Traceability Technology Based on RFID Security Authentication and 2-Dimensional Code
Tiwari et al. Visual planning for supply chain management of prefabricated components in construction
Huang et al. Development of an RFID system for tracking construction residual soil in Taiwan
Park et al.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Smart PMIS System
US20220405672A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facilit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Yu et al. RFID integration for material management considering engineering changes in ETO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