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137B1 -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137B1
KR101565137B1 KR1020140036896A KR20140036896A KR101565137B1 KR 101565137 B1 KR101565137 B1 KR 101565137B1 KR 1020140036896 A KR1020140036896 A KR 1020140036896A KR 20140036896 A KR20140036896 A KR 20140036896A KR 101565137 B1 KR101565137 B1 KR 10156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wireless
streaming service
wireless communic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525A (ko
Inventor
한용수
Original Assignee
앤하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하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앤하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1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단계,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무선 스트리밍 장치에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집된 환경에서 집단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집된 지역에서 집단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영화,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스트리밍(streaming) 형태의 콘텐츠 제공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대규모 사용자가 밀집된 지역에서 동시에 동영상을 사용하고자 할 때 전체 사용자가 안정된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처음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부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나, 점차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동영상 지연 현상이 발생하고, 일부 사용자는 동영상 서비스를 전혀 제공받지 못한다. 물리적인 통신선로는 일정 수준의 동영상만 전달할 수 있고, 지정된 한계를 넘는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되는 동영상 전송 병목 현상이다.
이와 같은, 동영상 전송 병목 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동영상 전송 데이터를 줄이는 방법(동영상 압축 기술)으로 동영상의 해상도를 낮추어 전송 부하의 대부분을 줄이는 방법, 동영상의 초당 전송 프레임 수를 줄이는 방법, 동영상 전송 영상의 컬러 선명도를 줄이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최근에는 동영상의 변경된 부분만 재전송함으로써 동영상의 전송량을 줄이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고해상도 동영상을 위해 동영상의 해상도와 변경 부분을 더욱 세밀하게 통제하는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동영상 압축 기술은 근본적으로 동영상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고, 일정 수준 이상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동영상 품질의 손실 없이 상영하는 극장용 동영상의 경우 수백 기가바이트(GB)에 이르는 대용량이지만, 이를 동영상 압축 기술을 적용하여 수 기가바이트로 줄이는 단계까지 이르러 동영상 압축 기술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네트워크 전송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통신선로를 광통신 선로로 개선하는 방법, 하나의 회선에서 복수의 회선으로 이용하는 방법, 다운로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회선을 집중 배치하는 방법 등 다양한 형태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활용을 극대화가 진행되었다. 네트워크는 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제한된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광통신 이후 새로운 전송방식에 대한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아직까지 획기적으로 전송속도를 개선을 단기간에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쉬운 복제와 저장할 수 있는 특성을 반영하여 데이터 전송경로 중간에 복제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다수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정보를 통신선로 중간에서 보관하여 새로운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이용할 때 원본 대신 전달하는 방법으로 문자 중심의 정보에 주로 사용되었다. 이미지와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분산 배치하여 글로벌 서비스에서 원거리 통신으로 인한 지연을 막기 위한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기술도 개발되었다. 이후,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배치하기 동영상 전용 캐시 서버가 YouTube 나 Netflix 등 전문 기관을 중심으로 적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서버는 전력문제, 보안문제, 냉각문제 및 기타 관리를 위해서 대부분 데이터 센터 내 설치 운영하고 있어서 가입자 측에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데이터 센터(data center)를 벗어나 콘텐츠를 분산배치하는 방법으로 P2P서비스가 있다. 사용자 소유 정보기기에 동영상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인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으로, 근거리 전송으로 인한 지연시간 감소, 다수 사용자가 함께 필요한 동영상을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장점, 그리고 여러 사람들이 협력함으로써 별도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도 동영상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일부 포털은 대규모 동영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늘어남으로써 사용자간의 전송이 서로 얽힘으로써 도리어 통신망에 과부하를 발생하여 통신사업자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문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동영상 이용에서 병목현상이 자주 나타나는 곳은 학교 수업에서, 대규모 이벤트 행사장에서와 같이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모이는 장소다. 스마트기기의 확산으로 통신 수요가 이용자를 따라 이동하고 통신 병목 발생 장소도 계속 이동한다. 특히 대용량 동영상을 소비하는 경우에는 더욱 빈번하게 통신장애로까지 발전한다. 이동통신에서 대용량 동영상 전송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 가격이 비싸고 통신사업자 입장에선 가끔 발생하는 동영상 병목 현상으로 동반된 통신 품질 저하로 매우 촉각을 세우고 있다. 그래서 통신사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무선통신(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국내 통신사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 무료 사용 가능한 AP(Access Point)를 설치하고 있다.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 속도, 저장 용량, 사용비용, 보안 등의 이유로 인터넷 동영상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는 사용자들의 많은 수가 직접 동영상을 저장하고자 시스템을 자가 망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단순 콘텐츠 저장에서 한발 더 나아가 스트리밍 서비로 사용하는 경우, 콘텐츠 백업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용도로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선 IP를 사용하여 접속하거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접속해야 함으로 IT기술에 익숙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발전되는 상황에서 콘텐츠의 용량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D3 동영상은 두배, 다시점 동영상은 수십배에서 수백배에 이르는 양적인 증가가 나타나고 있어, 지속적으로 동영상의 크기 증가와 네트워크 전송효율 향상이 따라가지 못함으로써, 일부 사용자가 밀집한 장소에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원활하게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집된 지역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하는 집단 사용자에게 안정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 사용자를 위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집된 지역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하는 집단 사용자에게 안정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 사용자를 위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무선 스트리밍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장치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장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공급자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공급자 서버에 저장된 상기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제1 스트리밍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제1 스트리밍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트리밍 콘텐츠는 상기 원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세기를 조절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무선 스트리밍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고,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장치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정보 및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장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공급자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공급자 서버에 저장된 상기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제1 스트리밍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스트리밍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트리밍 콘텐츠는 상기 원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세기를 조절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무선 스트리밍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기기를 휴대하고 있는 경우, 집단 사용자가 밀집된 공간에서 동시에 동영상 서비스를 요청하더라도, 사용자가 요청한 동영상을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공급자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한다(S110).
여기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무선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끊김 없이 재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는 영상, 음향 및 애니메이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 환경,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활성화된 무선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접속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무선 스트리밍 장치의 접속 페이지를 제공한다(S120).
여기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접속 페이지는 랜딩 페이지(landing page)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랜딩 페이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신청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랜딩 페이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을 신청 받은 경우, 공급자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를 복제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계처리기능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이후,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130).
여기서, 단말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활성화된 무선통신을 통해 인터넷(internet)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있을 경우, 선택하여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요청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 한다(S140).
도 2를 참조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 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요청한 스트리밍 콘텐츠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41).
여기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자신에게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요청하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한다(S144).
반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자신에게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요청하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스트리밍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공급자 서버에 접속한다(S142).
이후,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공급자 서버에 저장된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제공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생성한다(S143).
여기서,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생성된 스트리밍 콘텐츠는 원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생성된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한다(S144).
여기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무선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은 스트리밍 콘텐츠의 크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서 제공되고 있는 스트리밍 콘텐츠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가 증가할 경우, 기존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보다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방식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할 경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가 활성화한 무선통신 환경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계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활성화한 무선통신 환경에 접속하는 단말의 수가 증가할 경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통신 환경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2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2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공유할 수 있고, 공유된 정보를 통해서, 제2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로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복수의 단말에 대하여 일부 단말에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2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계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 중 일 실시예일뿐,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다(S310).
여기서, 단말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의미할 수 이다. 또한, 단말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전송된 무선통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통신 신호를 통해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접속 페이지를 수신하고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을 신청한다(S320).
여기서, 단말이 수신한 접속 페이지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랜딩 페이지(landing page)를 의미할 수 있으며, 수신한 랜딩 페이지를 통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신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랜딩 페이지를 통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을 신청할 경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공급자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를 복제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제공 받고자 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선택한다(S330).
단말은 활성화된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중에 제공 받기 원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선택한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신한다(S340).
이후, 단말은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을 종료할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S350).
여기서, 단말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을 종료할 경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가 활성화한 무선통신의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은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을 종료하지 않을 경우, 단계 S330으로 이동하여, 단계 S330 내지 단계 S350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은 공급자 서버(410),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420) 및 단말(430)을 포함한다.
공급자 서버(410)는 복수의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원본 콘텐츠(411)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 콘텐츠는 끊김 없는 재생이 요구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 음향 및 애니메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급자 서버(4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공급자 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급자 서버(410)는 개념적으로 인터넷 페이지(412) 및 스트리밍 콘텐츠(413)로 구분할 수 있다.
인터넷 페이지(412)는 공급자 서버(410)가 단말(430)에 실시간으로 직접 인터넷 페이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스트리밍 콘텐츠(413)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420)에서 단말(43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스트리밍 콘텐츠의 복제가 허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420)는 저장부(421), 무선접속부(422), 스트리밍 관리부(423), 접속 관리부(424) 및 무선 관리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21)는 단말(430)에게 즉각적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421)는 제한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관리체계에 기초하여 저장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콘텐츠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기간 또는 시간 동안 저장되도록 설정되어 저장부(421)에 저장될 수 있고, 또는 각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 빈도에 기초하여 저장되는 기간 또는 시간이 다르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무선접속부(422)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430)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하는 무선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430)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430)은 무선접속부(421)를 통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420)에 접속할 수 있고, 접속하여 인터넷 브라우저(431)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430)의 사용자는 인터넷 브라우저(431)를 통해 제공 받고자 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선택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420)에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스트리밍 관리부(423)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430)로부터 제공을 요청 받은 스트리밍 콘텐츠가 저장부(421)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스트리밍 관리부(423)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저장부(421)에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단말(430)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관리부(423)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저장부(421)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하는 스트리밍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공급자 서버(410)로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스트리밍 관리부(423)는 콘텐츠 복제부(424)를 통하여, 공급자 서버(410)에 저장된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스트리밍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스트리밍 관리부(423)는 생성된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하여 단말(430)에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관리부(425)는 스트리밍 관리부(423)로부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수 및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은 스트리밍 콘텐츠의 크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서 제공되고 있는 스트리밍 콘텐츠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관리부(425)는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할 경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420)가 활성화한 무선통신 환경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계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처리부(610) 및 저장부(620)를 포함하고, 처리부(610)는 무선접속부(422), 스트리밍 관리부(423), 콘텐츠 복제부(424) 및 무선 관리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610)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의 단계 S1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610)는 접속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무선 스트리밍 서버의 접속 페이지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처리부(610)에서 수행되는 접속 페이지를 제공하고,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의 단계 S120 내지 단계 S13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61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요청하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저장부(620)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하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 한다.
반면, 처리부(61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요청하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저장부(62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트리밍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공급자 서버로 접속한다.
이후, 처리부(610)는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제1 스트리밍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하여 무선 스트리밍한다.
처리부(610)에서 수행되는 스트리밍 콘텐츠가 저장부(620)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해당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급자 서버에 접속하여 원본 콘텐츠를 복제하여 생성된 제1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의 단계 S150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610)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등) 또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가 저장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독출할 수 있고, 독출된 프로그램 코드를 기반으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6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420)의 저장부(421)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처리부(610)에서 처리된 정보 및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6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콘텐츠,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사용량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10 : 공급자 서버
411 : 원본 콘텐츠
412 : 인터넷 페이지
413 : 스트리밍 콘텐츠
420, 600 :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421, 600 : 저장부
422 : 무선 접속부
423 : 스트리밍 관리부
424 : 콘텐츠 복제부
425 : 무선 관리부
430 : 단말
431 : 인터넷 브라우저
610 : 처리부
620 : 저장부

Claims (12)

  1. 무선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공급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급 서버에 저장된 상기 원본 콘텐츠를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복제하며, 상기 복제된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제된 콘텐츠는,
    상기 원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세기를 조절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7.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고,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정보 및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무선으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가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공급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급 서버에 저장된 상기 원본 콘텐츠를 상기 제1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복제하며, 상기 복제된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활성화 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접속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제된 콘텐츠는,
    상기 원본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세기를 조절하여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환경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40036896A 2014-03-28 2014-03-28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6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96A KR101565137B1 (ko) 2014-03-28 2014-03-28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96A KR101565137B1 (ko) 2014-03-28 2014-03-28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25A KR20150112525A (ko) 2015-10-07
KR101565137B1 true KR101565137B1 (ko) 2015-11-04

Family

ID=5434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896A KR101565137B1 (ko) 2014-03-28 2014-03-28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1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25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052B1 (ko) 적응형 컨텐츠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컨텐츠 캐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로컬 캐싱 장치
US10986387B1 (en) Content management for a distributed cache of a wireless mesh network
KR101436049B1 (ko) 컨텐츠 캐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로컬 캐싱 장치
US20150012658A1 (en) Virtual Network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9800638B2 (en) Downstream bandwidth aware adaptive bit rate selection
CN102694831B (zh) 移动终端流媒体数据补偿方法与系统、内容分发网络
US95139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with virtual machine
KR20160102683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프락시 서버,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및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7526B1 (ko) 미디어 스트림 송신 방법, 장치, 시스템, 및 디바이스
JP5856795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9992300B2 (en) Method of adaptively deploying cache positioned at subscriber network, and system therefor
KR102024642B1 (ko) 라이브 스트리밍 서버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80024841A (ko)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31442A (ko) 컨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 그의 장치 및 컨텐츠 전송 서비스 지원 방법
KR101565137B1 (ko)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u et al. Adaptive cache deploying architecture using big-data framework for CDN
KR101888982B1 (ko) 적응형 컨텐츠 제공을 위한 컨텐츠 캐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로컬 캐싱 장치
KR20150011087A (ko)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한 분산 캐싱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중앙 관리 장치
KR101402923B1 (ko) 캐시 장치에 사전 배포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캐시 장치
US9229944B2 (en) Scalable networked digital video recordings via shard-based architecture
KR20100059117A (ko) 컨텐츠 분산형 스트리밍 시스템, 캐시서버 및 컨텐츠 스트리밍 방법
KR101664188B1 (ko) P2p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관리 방법
WO2017071524A1 (zh) 多媒体资源的发布方法及装置
KR101971595B1 (ko) 적응형 컨텐츠 제공을 위한 컨텐츠 캐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로컬 캐싱 장치
US11722707B2 (en) Dynamic content steering based on server and client device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