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018B1 -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018B1
KR101565018B1 KR1020140003303A KR20140003303A KR101565018B1 KR 101565018 B1 KR101565018 B1 KR 101565018B1 KR 1020140003303 A KR1020140003303 A KR 1020140003303A KR 20140003303 A KR20140003303 A KR 20140003303A KR 101565018 B1 KR101565018 B1 KR 10156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rotrusions
storage
hous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587A (ko
Inventor
전용석
Original Assignee
전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석 filed Critical 전용석
Priority to KR102014000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0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션피겨 혹은 기타 개인 소장물을 내부에 보관하며 감상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이라도 상하로 적층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층 구조물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Omitted}
본 발명은 액션피겨 혹은 기타 개인 소장물을 내부에 보관하며 감상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이라도 상하로 적층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층 구조물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최근에는 액션피겨(action figure) 혹은 기타 물건들을 개인 취미 차원에서 다량으로 수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소장물들을 보관하는데에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먼저 소장물들은 대부분 외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 먼지 기타 오물이 점착되고 이를 청소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된다.
그리고 다량의 보관물을 모으다 보면 보관할 장소가 마땅치 않고 점점 보관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보관물들은 불이 꺼진 상태에서는 더이상 감상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장물들에 대한 보관공간을 줄이고, 암실 공간에서도 감상이 가능하며, 상하로 연속해서 적층할 수 있는 적층 구조물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17092(휴대폰 액세서리의 내부 결합체)
본 발명에서는 야간에도 소장물을 감상할 수 있으며,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하로 적층하여 다량의 소장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적층구조물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조도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자동적으로 램프가 점등되어 감상이 가능한 적층 구조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관물(500)을 안착하기 위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원부(300)의 하측에는 LED램프(450)가 형성되고, 광원부의 일측에는 조도센서(400)가 장착되며 광원부 내에는 LED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PCB 기판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200) 상부에는 다수의 돌기(260)가 형성되며, 그 돌기(260)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광원부의 저면부(325)에도 돌기(322)가 형성되어 광원부와 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며,
하우징의 상부에는 광원부의 LED램프 점등에 의한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광원통과구멍(2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야간에도 소장물을 감상할 수 있으며,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하로 적층하여 다량의 소장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하우징 내부에 소장물을 보관하여 먼지 기타 오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적층구조물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도 램프가 자동 점등되므로 야간에도 소장물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1개 단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아랫방향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의 구성요소 중 베이스에 보관물(닭 모양 인형물)을 장착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4의 광원부(300)에 램프와 조도센서 및 PCB기판을 설치한 실제 제품을 암실 조건에서, LED 램프가 자동 점등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1개 단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아랫방향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의 구성요소 중 베이스에 보관물(닭 모양 인형물)을 장착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4의 광원부(300)에 램프와 조도센서 및 PCB기판을 설치한 실제 제품을 암실 조건에서, LED 램프가 자동 점등된 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및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내에는 여러가지 보관물, 가령 인형이나 액션피겨 혹은 기타 보관물(500)을 넣어두고 감상할 수 있다.
하우징은 재료는 제한이 없지만 투명한 재질일 것이 필요하다.
우선 본 발명은 암실에서도 보관물을 하우징에 넣은 채로 감상할 수 있도록 광원부(300)에는 LED램프(450)와 조도센서(400)가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원부 내에는 LED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PCB 기판이 장착됨은 물론이다.
상기 조도센서 및 PCB기판 회로는 주위가 밝을 때에는 켜지지 않으며, 어두운 암실 조건에서만 LED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에서는 램프 점등 상태를 촬영한 것으로서 도 1에서의 광원부(300)를 뒤집어서 촬영한 사진이다. (LED램프 점등 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도 6에 도시함) 즉 도 1에서는 광원부의 LED램프가 하우징(200) 내부를 위로부터 아래로 빛이 비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의 화살표가 LED램프로부터 빛이 비치는 방향이다.
도 5에서 베이스(100) 상부와 보관물(500) 바닥면(미도시)는 상호 요철 형태로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다수의 돌기(152)가 상면부(155)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돌기(152) 사이에 보관물(500)의 바닥에도 요철 형태가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끼이는 구조를 갖도록 하면, 보관 혹은 이동시에 보관물이 넘어질 우려가 없다.
하우징(200)은 보관물을 덮도록 그 크기와 형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부에는 광원부(30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상부에는 다수의 돌기(26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기에 대응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광원부의 저면부(325)에도 돌기(322)가 형성되어 도 1과 같이 광원부와 하우징이 상호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의 상부에는 광원부의 LED램프 점등에 의한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광원통과구멍(25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광원부, 하우징, 베이스가 상호 연결된된 유니트(UNIT)가 두개 이상 서로 이어져 여러개의 유니트(혹은 결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하로 도 1의 결합체가 여러개 적층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이렇게 결합을 할 경우에 많은 수의 보관물(500)들을 협소한 공간내에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결합은 도 1의 상측에 형성된 광원부의 돌기(320) 구조와 베이스 하부에 형성된 돌기(150, 도 3 참조)가 돌기사이의 빈공간으로 돌기들이 끼워져서 결합된다. 돌기 요철 구조의 끼움결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미설명된 스위치(330)는 조도센서의 온오프 시키는 것이며, 스위치 온 인 상태에서 암실조건에서 LED램프가 점등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야간에도 소장물을 감상할 수 있으며,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하로 적층하여 다량의 소장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하우징 내부에 소장물을 보관하여 먼지 기타 오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적층구조물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도 램프가 자동 점등되므로 야간에도 소장물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베이스 150:돌기 152: 돌기 155:상면부
200:하우징 220:단부
250:광원통과구멍
260:돌기
300:광원부
320:돌기
322:돌기 325:저면부
330:스위치
400:조도센서
450:LED램프
500:보관물

Claims (4)

  1. 하부에 다수의 돌기가 다수 형성된 보관물(500);
    상기 보관물(500)을 안착하기 위하여 보관물 하부에 형성된 돌기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우징의 상부에는 다수의 돌기(260)가 형성되고, 상기하우징 상부의 돌기(260)에 대응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광원부의 저면부(325)에도 돌기(322)가 형성되어 광원부와 하우징이 결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광원부(300)의 하측에는 상기 하우징 상부의 돌기에 대응된 돌기가 형성되고, LED램프(450)가 형성되고, 광원부의 일측에는 조도센서(400)가 장착되며 광원부 내에는 LED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PCB 기판이 장착되며,
    상기 광원부의 상측에는 베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150)에 대응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상부에는 광원부의 LED램프 점등에 의한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광원통과구멍(2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100) 상면의 형태는,
    보관물의 바닥에 형성된 돌기에 대응한 돌기(1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상면부의 돌기(150)에 대응하여,
    상기 보관물(500)의 바닥에도 요철 형태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100) 하면의 형태는, 상기 광원부의 상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돌기(1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03303A 2014-01-10 2014-01-10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KR10156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03A KR101565018B1 (ko) 2014-01-10 2014-01-10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03A KR101565018B1 (ko) 2014-01-10 2014-01-10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87A KR20150083587A (ko) 2015-07-20
KR101565018B1 true KR101565018B1 (ko) 2015-11-06

Family

ID=5387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03A KR101565018B1 (ko) 2014-01-10 2014-01-10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0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927B1 (ko) 2000-10-10 2004-06-30 주식회사 로피아 교통 신호등용 엘이디 전구
KR101045022B1 (ko) * 2011-02-07 2011-06-30 주식회사유담 Led 조명등
KR101141249B1 (ko) 2010-08-24 2012-05-04 (주)삼정전기 엘이디 센서등 겸용 비상 조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927B1 (ko) 2000-10-10 2004-06-30 주식회사 로피아 교통 신호등용 엘이디 전구
KR101141249B1 (ko) 2010-08-24 2012-05-04 (주)삼정전기 엘이디 센서등 겸용 비상 조명
KR101045022B1 (ko) * 2011-02-07 2011-06-30 주식회사유담 Led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87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1133B2 (en) Curcubit lantern device
USRE44349E1 (en) Combined illuminated table and canopy and associated method
US20140049941A1 (en) Aroma lamp
JP2011028890A (ja) 屋外照明装置
USD579097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7461942B1 (en) Lighting system
US9410693B2 (en) Solar-powered, illuminated decorator balls
KR101565018B1 (ko)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소장물 감상 및 보관용 적층 구조물
WO2012056268A1 (en) A common light module for decorative external lighting structures
USD599003S1 (en) Ceiling fan housing
US20080197783A1 (en) Composite illumination module
CN201845158U (zh) 集成红外光源半球摄像机
US10323836B2 (en) Light emitting bowl assembly
JP3218820U (ja) 内照式交通コーン警告構造
USD736424S1 (en) Undulating flexible illumination sheet with opposing surfaces having light-emitting surface regions
JP3179912U (ja) 照明装置
US20080062690A1 (en) Lighting device with protective cover
CN205331897U (zh) 带照明和手电筒功能的照明器
KR20120002071U (ko) 분위기등과 플래시 기능을 함께 갖는 물병
USD736423S1 (en) Undulating flexible illumination sheet with opposing light-emitting surfaces
USD736421S1 (en) Undulating flexible illumination sheet with light emitting surface
CN104973175B (zh) 发光水壶架
TWM562078U (zh) 發光地墊
JP3177731U (ja) 多機能花器
KR20190059417A (ko) 캠핑용 led 랜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