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843B1 - Receptacle - Google Patents
Recepta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4843B1 KR101564843B1 KR1020140056394A KR20140056394A KR101564843B1 KR 101564843 B1 KR101564843 B1 KR 101564843B1 KR 1020140056394 A KR1020140056394 A KR 1020140056394A KR 20140056394 A KR20140056394 A KR 20140056394A KR 101564843 B1 KR101564843 B1 KR 101564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erminal portion
- case
- lifting
- connection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연결을 위한 플러그의 결합이 방향에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으며,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ptacle in which a coupling of a plug for power connection can be coupled regardless of a direction, and a plug can be easily separated.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기구의 전선이 콘센트의 설치 위치까지 충분히 연장되지 못하는 경우나, 복수개의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기도 한다.Typically, the home is provided with a flush-type receptacle capable of inserting the plug of the appliance into the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supply power to the appliance. Further, when the electric wire of the electric appliance can not sufficiently exten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lectric outlet, or a multi-outlet is used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종래 콘센트는 플러그의 단자부가 전원단자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홀이 단방향으로 형성되어 야간에나 콘센트의 위치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접속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socket-outlet, whe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is unidirectionally form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ower terminal portion, the socket is difficult to connect at night or when the socket is not visible.
또한, 단자홀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일자형 단자홀에 젓가락 등과 같은 것을 삽입함에 따른 감전사고는 물론 상기 단자홀이 메워지거나 그 내부의 콘센트 단자가 파손되어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holes are always opened,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to insert chopsticks or the like into the flat-type terminal holes, as well as electric shock accidents such as filling of the terminal holes or breakage of the socket- And the like.
뿐만 아니라, 개방된 단자홀을 통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쇼트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introduced through open terminal holes, and are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short circuit.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3-0029295호(공개일:2013.03.22)에는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utle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29295 (published on March 23,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연결을 위한 플러그의 결합이 방향에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어, 전기기구의 전원연결이 용이하고,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하며, 전원연결이 차단되는 범위 내에서 플러그가 일부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apparatus and a power supply apparatus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ion for power supply connection so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apparatus is easily connected,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risk by the structure that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부와, 상기 전원단자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접지단자부 및 상기 플러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접속구 내에서의 상기 플러그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power terminal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ower terminal portio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And a position varying portion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plug in the connection port by a pressing force of the plug and the terminal portion.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도록 접속구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이 삽입되도록 단자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단자부와 상기 접지단자부가 고정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may include an upper case having a connection port for coupling the plug, a terminal hole for inserting the plug of the plug, and a low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wherein the power terminal portion and the ground terminal portion are fixed And a lower case.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전원단자부와 상기 접지단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here is provided an escape prevention piece for preventing the power terminal portion and the ground terminal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전원단자부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핀이 끼움삽입되고, 이동되지 않도록 요철형상의 통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ductive portion having a concavo-convex shape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pin is inserted and not moved.
또한, 상기 접지단자부는 상기 통전부와 대응되도록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며, 상부로 기립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und terminal part extends radially to correspond to the conductive part, and is erected upward and is grounded to the plug.
또한,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케이스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캡 및 상기 승강캡이 상기 중공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몰되게 하는 출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varying portion includes a lifting cap slid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ase, and a protruding and retracting portion for selectively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cap from the hollow portion.
또한, 상기 출몰작동부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승강캡은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어 전후, 좌우 유동 가능한 스톱퍼 및 상기 스톱퍼와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캡에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승강캡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ting / lowering operation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ifting cap from the hollow portion, and a stopper formed on the hollow portion and capable of flowing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a stopper formed on the lifting cap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And a restricting portion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cap.
또한,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접속핀과 상기 전원단자부의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lug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part for confirm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pin and the power source terminal part.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전원연결을 위한 플러그의 결합이 방향에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어, 전기기구의 전원연결이 용이하다.The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with a plug for power connec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so that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로부터 위치가변부에 의해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lug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se by the position vary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가변부에 의해 전원연결이 차단되는 범위 내에서 플러그가 케이스로부터 일부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단자홀에 젓가락 등과 같은 것을 삽입함에 따른 감전사고 또는 접속구가 메워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자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쇼트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is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cas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ower supply connection is blocked by the position variable portion, thereby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or a connection port being buried and broken by inserting a chopstick or the like into the terminal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short-circuiting of foreign matter into the terminal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위치가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위치가변부의 요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위치가변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variable portion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recess of a position variable portion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variable portion of a socket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of use of the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recep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위치가변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위치가변부의 요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위치가변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variable portion of a socket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recess portion of a position variable portion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0)는 케이스(110), 전원단자부(120), 접지단자부(130) 및 위치가변부(150)를 포함한다.1 to 7, a
케이스(110)는 플러그(10)가 결합되도록 접속구(113)가 구비되고, 플러그(10)의 접속핀(12)이 삽입되도록 단자홀(114)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12)와, 상부케이스(112)의 하부에 결합도며, 전원단자부(120)와 접지단자부(130)가 고정되는 하부케이스(115)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전원단자부(120)는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속핀(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단자부(120)는 하부케이스(115)에 구비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5)에는 함몰홈(116)이 형성되고, 함몰홈(116)에는 전원단자부(120)가 구비된다.The power
이러한 전원단자부(12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핀(12)이 끼움 삽입되고, 이동되지 않도록 요철형상의 통전부(122)가 형성된다. 즉,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통전부(122)가 연이어 형성되며, 통전부(122) 사이사이는 좁게 형성되어 통전부(122)에 끼움삽입되는 접속핀(12)은 이동되지 않고 구속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112)의 단자홀(114)은 전원단자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통전부(122)와 대응되게 요철형상을 지니므로 접속핀(12)은 2중으로 유동이 방지된다.The power
접지단자부(130)는 전원단자부(120)와 이격 배치되며, 플러그(10)와 연결된다. 접지단자부(130)는 통전부(122)와 대응되도록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며 상부로 기립되어 플러그(10)와 접지된다. 그리고, 접지단자부(130)의 상단부는 곡률지게 형성되어 플러그(10)의 둘레면을 다소 가압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부케이스(112)와 하부케이스(115) 사이에는 전원단자부(120)와 접지단자부(1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접촉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140)이 구비된다. 이탈방지편(140)은 전원단자부(120)와 접지단자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편(142) 및 접지단자부(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원단자부(120)와 접지단자부(130)를 하부케이스(115)에 고정하는 고정편(144)을 포함한다.Between the
각각의 절연편(142)과 고정편(144)에는 단자홀(114)과 통전부(122)와 대응되는 개구홀(142a,144a)이 형성되어 접속핀(12)의 삽입이 가능하다.The
위치가변부(150)는 플러그(10)의 가압력에 의해 접속구(113) 내에서의 플러그(10)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케이스(110)의 중공부(1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캡(154) 및 승강캡(154)이 중공부(152)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몰되게 하는 출몰작동부(160)를 포함한다.The
중공부(152)는 상부케이스(112)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고정편(144)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캡(154)은 중공부(15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출몰작동부(160)는 중공부(152)로부터 승강캡(15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61)와, 중공부(152)에 형성되어 전후, 좌우 유동 가능한 스톱퍼(162) 및 스톱퍼(162)와 접촉되도록 승강캡(154)에 형성되어 스톱퍼(162)의 접촉에 의해 승강캡(154)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165)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61)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중공부(152)내에 구비되어 승강캡(154)은 전측으로 탄동지지한다.The protruding and detaching
스톱퍼(162)는 단부에 걸림돌기(164)가 형성되어 걸림돌기(164)가 전후, 좌우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지닌 탄성편(163)으로 이루어진다. 즉, 탄성편(163)에 의해 중공부(152)에 연결되는 걸림돌기(164)는 구속부(165)와 접촉되어 전후, 좌우로 유동되며 자체탄성력에 의해 외력 해제 시에는 최초위치로 복원된다.The
그리고, 구속부(165)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64)가 삽입되어 승강캡(154)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부(166)와, 승강캡(154)의 누름동작에 의해 걸림돌기(164)를 고정부(166)로 안내하는 고정안내부(167)와, 고정부(166)에 삽입된 걸림돌기(164)를 승강캡(154)의 누름동작에 의해 고정부(166)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이탈안내부(168) 및 이탈안내부(168)에 의해 고정부(166)로부터 이탈된 걸림돌기(164)가 고정부(166)로 재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입방지부(169)를 포함한다. 즉, 승강캡(154)은 탄성부재(161)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되는 반발력이 작용되고 스톱퍼(162)와 구속부(165)의 결속에 의해 승강캡(154)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이다.5, the restricting
고정부(166)는 걸림돌기(164)가 수용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고정안내부(167)는 승강캡(154)의 누름작동 시 걸림돌기(164)와 접촉되어 걸림돌기(164)가 고정부(166)로 안내되도록 하는 돌출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이탈안내부(168)는 승강캡(154)의 누름작동 시 고정부(166)에 수용되는 걸림돌기(164)와 접촉되어 걸림돌기(164)를 고정부(166)의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진입방지부(169)는 고정부(166)로부터 이탈된 걸림돌기(164)가 고정부(166)로 재진입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걸림돌기(164)는 승강캡(154)의 반복적인 누름작동에 의해 진자운동을 하면서 승강캡(154)의 이동을 단속하며, 이러한 걸림돌기(164)의 진자운동은 탄성편(163)에 의해 가능하다.The
출몰작동부(160)는 중공부(152)로부터 승강캡(154)의 탄동 시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직선안내부(170)를 포함한다. 직선안내부(170)는 승강캡(154)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72)와, 가이드돌기(172)와 대응되도록 중공부(152)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174)을 포함한다.The guiding and
상기와 같은 승강캡(154)의 승하강에 의해 플러그(10)를 접속구(113)로부터 밀어낼 수 있고, 플러그(10)의 상승에 의해 접속핀(12)과 전원단자부(120)의 접속은 차단될 수 있다.The
플러그(10)에는 접속핀(12)과 전원단자부(120)의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20)가 구비된다. 식별부(20)는 플러그(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식별띠로 이루어지고, 식별띠의 노출여부에 따라 접속핀(12)과 전원단자부(120)의 접촉상태를 알 수 있다.The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하부케이스(115)의 함몰홈(116)에 전원단자부(120)를 결합하고, 그 상부에 접지단자부(130)를 결합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부(120) 상부에 절연편(142)이 구비되고, 절연편(142) 상부에 접지단자부(130)가 구비되며, 접지단자부(130) 상부에 고정편(144)이 구비되어 고정편(144)이 하부케이스(115)에 나사 결합되므로써, 전원단자부(120)와 접지단자부(130)는 고정된다. 이때, 절연편(142)에 의해 전원단자부(120)와 접지단자부(130)의 접촉은 방지된다.Referring to the assembly of the
이후, 하부케이스(115)와 상부케이스(112)를 나사 결합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접지단자부(130)는 상부로 기립형성됨에 따라 접속구(113) 내측면으로 상단부가 돌출 형성된다.Then, when the
상기한 상태에서 플러그(10)의 접속핀(12)을 단자홀(114)를 통해 삽입하여 접속핀(12)의 단부가 전원단자부(120)의 통전부(122)와 접촉되므로써,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이때, 전원단자부(12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통전부(122)가 구비되며, 단자홀(114) 또한 전원단자부(120)와 같이 요철을 갖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플러그(10)의 접속 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향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이처럼 플러그(10)의 방향에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어 후미진 곳이나 육안으로 확인이 안되는 위치에 콘센트(100)가 구비되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플러그(10)를 꼿을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plug the
그리고, 위치가변부(150)에 의해 콘센트(100)로부터 플러그(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n, the
이를 살펴보면,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콘센트(100)에 플러그(10)를 결합시키면, 접속핀(12)과 전원단자부(120)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10)가 접속구(113)에 삽입됨에 따라 승강캡(154)은 눌려지게 되고, 승강캡(154)의 하강에 의해 스톱퍼(162)의 걸림돌기(164)는 구속부(165)의 고정안내부(167)를 따라 고정부(166)로 진입되어 승강캡(154)의 이동을 구속하며. 탄성부재(161)는 수축된 상태이다.6 and 7, when the
전기기구의 사용이 끝나면, 전원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플러그(10)를 다시 눌러주게되면, 플러그(10)가 승강캡(154)을 가압하고, 승강캡(154)의 이동에 의해 걸림돌기(164)는 이탈안내부(168)를 따라 고정부(166)로부터 이탈되고, 진입방지부(169)를 따라 구속부(165)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처럼 구석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61)의 팽창에 의해 승강캡(154)은 상승하게 되고, 승강캡(154)은 플러그(10)를 접속구(113)로부터 플러그(10)를 밀어낸다. 이로 인해 콘센트(100)와 플러그(10)의 분리가 용이하다.The
그리고, 플러그(10)의 분리 높이는 접속핀(12)의 단부가 전원단자부(120)로부터 이탈되는 높이면 충분하다. 이는 전원단자부(120)와 접속핀(12)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함과 동시에 콘센트(100)의 단자홀(114)을 플러그(10)로 커버할 수 있어 콘센트(1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쇼트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어린 아이들이 단자홀(114)에 젓가락 등과 같은 것을 삽입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paration height of the
이때, 플러그(10)의 둘레면에는 식별띠로 이루어진 식별부(20)가 구비되어 식별부(20)의 노출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전원연결상태인지 전원차단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별도의 하우징에 의해 복수개 마련하여 멀티탭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out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by separate housings to be used as a multi-tap.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의하면, 전원연결을 위한 플러그의 결합이 방향에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어, 전기기구의 전원연결이 용이하고, 케이스로부터 위치가변부에 의해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하며,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플러그가 콘센트의 단자홀을 커버하고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cep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of the plug for power connection can be combin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the power source connec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easy, And the plug covers the terminal hole of the receptacle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shut off, so tha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콘센트 110 : 케이스
112 : 상부케이스 113 : 접속구
114 : 단자홀 115 : 하부케이스
116 : 함몰홈 120 : 전원단자부
122 : 통전부 130 : 접지단자부
140 : 이탈방지편 142 : 절연편
142a, 144a : 개구홀 114 : 고정편
150 : 위치가변부 152 : 중공부
154 : 승강캡 160 : 출몰작동부
161 : 탄성부재 162 : 스톱퍼
163 : 탄성편 164 : 걸림돌기
165 : 구속부 166 : 고정부
167 : 고정안내부 168 : 이탈안내부
169 : 진입방지부 170 : 직선안내부
172 : 가이드돌기 174 : 가이드홀100: Outlet 110: Case
112: upper case 113:
114: terminal hole 115: lower case
116: depression groove 120: power terminal portion
122: conductive part 130: ground terminal part
140: Departure prevention piece 142: Insulation piece
142a, 144a: aperture hole 114:
150: position variable portion 152: hollow portion
154: lifting cap 160:
161: elastic member 162: stopper
163: Elastic piece 164:
165: restricting portion 166:
167: Fixed guide part 168: Departure guide part
169: Entry preventing portion 170: Straight guide portion
172: Guide protrusion 174: Guide hole
Claims (8)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러그의 접속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부;
상기 전원단자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접지단자부; 및
상기 플러그의 가압력에 의해 접속구 내에서의 상기 플러그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도록 상기 접속구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이 삽입되도록 단자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단자부와 상기 접지단자부가 고정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단자부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핀이 끼움삽입되고, 이동되지 않도록 요철형상의 통전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접속 방향에 상관없이 접속 가능하며;
상기 단자홀은 상기 통전부와 대응되게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속핀의 유동을 이중으로 방지하고;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접속핀과 상기 전원단자부의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플러그의 인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띠 형상의 식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case;
A power terminal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ower terminal portio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pin of the plug;
A grounding terminal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ource termina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plug; And
And a position varying portion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plug in the connection port by a pressing force of the plug;
Wherein the case comprises: an upper case having the connection port for the plug to be coupled therewith, and having a terminal hole for inserting a connection pin of the plug; And
And a lower c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and having the power terminal portion and the ground terminal portion fixed thereto;
Wherein the power terminal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Wherein the connection pin is fitted and inserted so that the connection pin is not moved;
Wherein the terminal hole has a concavo-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part to double the flow of the connection pin;
Wherein the plug is provided with a strip-shaped identification portion capable of confirming a pull-out state of the plug from the connection port so as to confirm the contact state of the connection pin and the power terminal portion.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전원단자부와 상기 접지단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scape prevention pie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ower terminal portion and the ground terminal portion.
상기 접지단자부는 상기 통전부와 대응되도록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며, 상부로 기립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und terminal portion extends radially to correspond to the conductive portion and is upwardly grounded and grounded to the plug.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케이스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캡; 및
상기 승강캡이 상기 중공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몰되게 하는 출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varying portion includes a lift cap slid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ase; And
And a protrusion / withdrawal portion for allowing the lifting cap to selectively protrude / retract from the hollow portion.
상기 출몰작동부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승강캡은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어 전후, 좌우 유동 가능한 스톱퍼; 및
상기 스톱퍼와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캡에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승강캡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ing and demounting operation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cap from the hollow portion;
A stopper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and capable of moving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And a restricting portion formed on the lifting cap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and selectively restricting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cap by contact of the stopp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6394A KR101564843B1 (en) | 2014-05-12 | 2014-05-12 | Recepta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6394A KR101564843B1 (en) | 2014-05-12 | 2014-05-12 | Recepta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4843B1 true KR101564843B1 (en) | 2015-11-06 |
Family
ID=5460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6394A KR101564843B1 (en) | 2014-05-12 | 2014-05-12 | Recepta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48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9319B1 (en) * | 2016-02-23 | 2018-01-16 | 김재훈 | Receptacle |
-
2014
- 2014-05-12 KR KR1020140056394A patent/KR10156484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9319B1 (en) * | 2016-02-23 | 2018-01-16 | 김재훈 | Recepta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871B1 (en) | Safety outlet and multi-tab comprising the same | |
US9196996B2 (en) | Safe outlet | |
US20180366871A1 (en) | Socket structure | |
KR101301250B1 (en) | Insulation socket of apartment house for prevents accident by a electric shock | |
CN104064916A (en) | Safety socket | |
KR20150015032A (en) | Plug socket | |
KR20160024739A (en) | Safety receptacle | |
KR101690219B1 (en) | Safety receptacle | |
KR101626354B1 (en) | Safety receptacle | |
KR101564843B1 (en) | Receptacle | |
KR101346088B1 (en) | Plug socket with safety device | |
KR101819319B1 (en) | Receptacle | |
KR100950600B1 (en) | Consent | |
KR101525049B1 (en) | safety concentric plug | |
KR102530388B1 (en) | Safety cover also using as power outlet | |
KR200477258Y1 (en) | Multi-tab | |
KR101783942B1 (en) | Relay socket with one touch combining type shield cover | |
KR200328988Y1 (en) | Concent Safety Plate | |
KR101366844B1 (en) | Concent unit for easily separating plug from concent unit having one body ground member | |
WO2016039631A1 (en) | Socket outlet | |
US9525253B2 (en) | Socket, a plug, an assembly, a method of setting a socket and a method of resetting a socket | |
KR101210584B1 (en) | Safety device for multi-tap | |
KR101457115B1 (en) | Adapter assembly for plug | |
KR100511505B1 (en) | connector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ng | |
KR20180126682A (en) |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al outl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