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710B1 - 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710B1
KR101564710B1 KR1020140063619A KR20140063619A KR101564710B1 KR 101564710 B1 KR101564710 B1 KR 101564710B1 KR 1020140063619 A KR1020140063619 A KR 1020140063619A KR 20140063619 A KR20140063619 A KR 20140063619A KR 101564710 B1 KR101564710 B1 KR 10156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probe
form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호근
이근우
최재원
이병오
윤홍민
이희관
이용수
임웅선
박미림
박범두
강호관
Original Assignee
(재)한국나노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나노기술원 filed Critical (재)한국나노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6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7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8Microscale sensors, e.g. electromechanical sensors [M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2005/0612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using probes penetrating tissue; interstitial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3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integrated with light-emitting diod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capable of controlling a wavelength and a probe manufactured thereby, which compris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a second step of forming an alignment key for forming a light-emitting diode on some areas of the substrate to form a first electrode layer; a third step of forming multiple light-emitting diod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the substrate based on the alignment key; a fourth step of forming a metal interconnect electrode on the substrate,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emitting diode; a fifth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film to cover the light-emitting diode, the whole area o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interconnect electrode; a sixth step of forming a pattern on the substrate to form a probe; a seventh step of polishing or etching the substrat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and an eighth step of separating a probe-shaped pattern from the substrate. Accordingly, multiple light-emitting diod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are formed on a single probe (substrate) to allow a single probe to emit lights of various wavelength bands and selectively control either activation or suppressing of nerves, thereby providing very high clinical utility, reducing a unit product cost, and simplifying the process to improve the yield.

Description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탐침{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한 개의 탐침으로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신경의 활성과 억제의 제어가 가능하여 의학적 효용성이 매우 높으며,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공정의 간단화로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탐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a substrate, thereby enabling light emission of various wavelength ranges by a single probe,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ctivity and suppression of neuron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for lowering a product cost of a product and improving a product yield by simplifying a process, and a pro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최근 광유전학(Optogenetics)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이는 빛(Opto)과 채널로돕신(빛에 반응하는 녹조류 단백질) 유전자(gene)를 결합한 학문으로서, 유전자가 이식된 신경회로에 빛을 쬐어 정신질환 및 질병 치료에 대한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on optogenetics is emerging. It is a combination of Opto and channel rhodopsin (a green algae protein that reacts to light) gene, and the idea of treating mental illness and disease by suggesting a light on a gene-implanted neural circuit is proposed.

이러한 광유전학 분야에서는 신경회로 등에 빛을 쬐기 위해서 광자극 방식의 탐침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피실험체의 신경(뇌신경)에 광자극을 준 뒤 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으로서, 뇌질환을 치료하고 뇌의 동작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ield of optical genetics, a light-stimulated probe is used to illuminate neural circuits. It collect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after giving the light stimulus to the nerve (brain nerve) of the subject, and it is for treating the brain disease and identifying the motion of the brain.

종래의 광자극 방식의 탐침의 경우, 단색 파장의 광섬유 또는 마이크로 LED를 외부에 실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LED의 제조비용, 실장 시 제조비용, 실장 후 절연막 형성 제조 비용 등 복수의 제조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probe of the conventional optical stimulus type, since the optical fiber or the micro LED having a monochromatic wavelength is externally mount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icro LED, the manufacturing cost at the time of mount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ostly.

또한, 실장형 마이크로 LED의 경우 따로 기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판 두께, 접합 두께로 인하여 탐침 두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외부 실장형이기 때문에, 접합 방식의 문제 또는 실장시 마이크로 LED가 손상되는 불량 등으로, 제품 수율이 떨어지므로 단가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type micro LED has a separate substra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be increases due to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and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and because of the external mounting type, there is a problem of the bonding method, The product yield is lowered, so that the unit price also increases.

특히, 뇌에 주입하는 신경 탐침의 경우, 수십 마이크로 이하의 직경을 가져야 하므로, 집적화하기 이전에 마이크로 LED칩이 가지고 있는 고유 기판 두께에도 제한을 가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neuro probe injected into the brain must have a diameter of several tens of micros or less, which limits the inherent substrate thickness of micro LED chips before integration.

또한, 종래의 광자극 방식의 탐침의 경우, 접합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품이 완료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probe of the conventional optical stimulation method, it takes a long time to complete the product because it takes time in the process of bonding.

이와 같이 종래의 탐침 제조 방법은 집적도, 탐침의 크기, 제품의 수율 저하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뇌 신경 정신의학적 연구 및 치료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robe manufacturing method has many problems such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the size of the probe, and the yield of the product. Thus, there is a limit to be applied to brain neuropsychiatric research and treatment.

또한, 대상 신경세포에 주사되는 광 파장 영역대에 따라, 신경의 활성과 억제가 조절되는데, 기존의 단일 파장의 빛을 내는 탐침 시스템으로는 선택적으로 광 감응 단백질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activity and inhibition of neurons are regulated by the light wavelength region scanned on the target neuron. 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ight-sensitive protein in the conventional single-wavelength light probe system.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206462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646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 상에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한 개의 탐침으로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신경의 활성과 억제의 제어가 가능하여 의학적 효용성이 매우 높으며,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공정의 간단화로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탐침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a substr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to improve the product yield by lowering the unit cost of the product and simplify the process and to provide a probe manufactured thereb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기판 상의 일부 영역에 발광소자 형성을 위한 정렬키를 형성하고,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정렬키를 기준으로 하여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배선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 상의 전 영역 및 상기 금속배선전극을 감싸도록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기판에 탐침 형성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제6단계와, 상기 기판의 두께를 낮추기 위해 폴리싱 또는 에칭하는 제7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서 탐침 모양의 패턴을 분리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탐침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a second step of forming an alignment key for forming a light emitting element in a partial area on the substrate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A third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the substrate on the basi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A fifth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film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area o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a sixth step of forming a pattern for forming a probe on the substrate, a sixth step of polishing the substrate, Or etching, and an eighth step of separating a probe-like pattern on the substra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be manufactured thereby.

또한, 상기 기판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strate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glass or polyimide is preferably used.

또한, 상기 제3단계는, 트랜스퍼 프린팅법(transfer printing method)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hird step, it is preferable to use a transfer printing method.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LED(OLED)이거나 또는 발광층을 QD(Quantum-Dot)를 사용하는 발광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ic LED (OLED) or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light emitting layer using a quantum dot (QD).

또한, 상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거나,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동시에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formed by transfer printing sequentially on different regions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or transfer printing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on different regions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또한, 상기 제5단계의 절연막은, 상기 제2전극층과 금속배선전극이 접하는 영역은 오픈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6단계는, 상기 기판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탐침 형성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ng layer in the fifth step is formed by opening an area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ixth step is to form a pattern for forming a single probe or a plurality of probes on the substrate .

또한, 상기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파장을 갖도록 각각 단수 개로 형성하거나, 각각 복수 개로 형성하며, 복수 개로 형성한 경우에 일렬, 병렬, 지그재그 및 십자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된 배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formed in a single number, or a plural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may hav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ssion wavelengths, or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series, parallel, zigzag, .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발광 소자를 집적화하여 탐침을 기판화하여 발광 소자 고유의 기판 두께나 발광 소자를 접착시키기 위한 본딩 물질의 두께가 배제되어, 탐침의 두께가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be is drastically reduced by integra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substrate to form the substrate of the probe, thereby eliminating the substrate thickness inherent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material for bond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특히, 본 발명은, 단일의 탐침(기판) 상에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한 개의 탐침으로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신경의 활성과 억제의 제어가 가능하여 의학적 효용성이 매우 높으며,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공정의 간단화로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a single prob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in various wavelength ranges with a single probe, It is possible to have a very high medical efficacy, lower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and improve the product yield by simplifying the process.

또한, 기존의 기판과 탐침 간의 접합이 따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접착 물질, 접착 공정 등이 필요없으므로 제품 완성 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트랜스퍼 프린팅 공정에 의해 복수 개의 발광 소자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기존 방식의 탐침보다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의학적 효용성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between the conventional substrate and the probe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horten the product completion period since the adhesive material, the bonding step, and the like are not required. Further, sinc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can be formed by the transfer prin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rob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medical utility.

도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
도 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에 있어서, 탐침이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a)앞면, (b)뒷면).
도 3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에 있어서, 기판 상에 적색, 녹색, 청색 발광 소자를 구현한 모식도.
도 4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도 5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대한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ssential parts of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a front view and a back surface) of a probe in which a plurality of probes are formed in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evices are implemented on a substrat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판 자체를 탐침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기판 상에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집적화하여, 한 개의 탐침으로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신경의 활성과 억제의 제어가 가능하여 의학적 효용성이 매우 높으며,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공정의 간단화로 제품 수율을 향상시킨 탐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ubstrate itself as a probe but also to integrat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a substrate so that light emission in various wavelength ranges can be performed by one probe, Which has a very high medical efficacy, lowers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and improves the product yield by simplifying the proces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에 있어서, 탐침이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a)앞면, (b)뒷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에 있어서, 기판 상에 적색, 녹색, 청색 발광 소자를 구현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대한 모식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be having a plurality of probes in a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evices are mounted on a substrate, FIG. 4 is a cross-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100)은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 상의 일부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된 발광 소자(120)와, 상기 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 형성된 금속배선전극(130)과, 상기 발광 소자(120)와, 상기 기판(110) 상의 전 영역 및 상기 금속배선전극(130)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막(140)으로 크게 구성된다.1 and 2, a probe 100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10,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120 formed on a part of the substrate 110, A metal wiring electrode 130 formed on the substrate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2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20 and the entire area on the substrate 110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130 And an insulating layer 140 formed to surround the insulating layer 140.

이러한 발광 소자가 집적된 탐침의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기판 상의 일부 영역에 발광소자 형성을 위한 정렬키를 형성하고,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정렬키를 기준으로 하여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배선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 상의 전 영역 및 상기 금속배선전극을 감싸도록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기판에 탐침 형성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제6단계와, 상기 기판의 두께를 낮추기 위해 폴리싱 또는 에칭하는 제7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서 탐침 모양의 패턴을 분리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크게 이루어진다.
A method of fabricating a probe having such a light emitting device integrated therein includ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as shown in FIG. 4, a second step of forming an alignment key for forming a light emitting element in a part of the substrate, A third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the substrate on the basis of the alignment key, a third step of forming a metal wiring electrode A fifth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film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area o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s, a sixth step of forming a pattern for forming a probe on the substrate, A seventh step of polishing or etching to lower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and an eighth step of separating the probe-like pattern on the substrate.

먼저, 기판을 준비한다.(도 4(a))First, a substrate is prepared (Fig. 4 (a)).

상기 기판은 투명소재로 형성되어, 완제품에서 기판의 후면부로도 발광이 가능하도록 투명 기판을 모재로 사용하며, 가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strate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transparent substrate is used as a base material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from the finished produ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Preferably, glass or polyimide is used in consideration of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상기 기판 상에 발광 소자를 모놀리식(monolithically)으로 집적화하여 그 자체로 가공하여 탐침으로 사용되게 된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onolithically integrated on the substrate and processed by itself to be used as a probe.

그리고, 상기 기판 상의 일부 영역에 발광 소자 형성을 위한 정렬키(align-key)를 형성하고, 제1전극층을 형성하게 된다.(도 4(a))An align-key for forming a light-emitting element is formed on a part of the substrate to form a first electrode layer (FIG. 4 (a)).

상기 정렬키는 기판 상에 십자 표시, 일자 표시 등으로 형성되며, 레이저 등으로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으로 형성한다. 상기 정렬키를 기판에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설계 상의 위치에 발광 소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alignment key is formed on the substrate by a cross mark, a date mark, or the like, and is formed as a scribe line with a laser or the like. By displaying the alignment key on the substrate,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formed in a precise design position.

상기 제1전극층은 발광 소자의 발광을 위해 투명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ITO, ZnO, SnO2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전극층은 발광 소자의 애노드(anode) 전극의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for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may be formed of ITO, ZnO, SnO 2 or the like. The first electrode layer functions as an an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그리고, 상기 정렬키를 기준으로 하여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하게 된다.(도 4(b), (c), (d))The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are formed on the substrate with reference to the alignment key (FIGS. 4 (b), (c), and (d)).

본 발명에서의 발광 소자 형성은 상기 기판 상에 발광 소자의 일부 구성요소가 형성된 몰드를 이용한 트랜스퍼 프린팅법(transfer printing method)에 의해 형성된다.The light-emitting element 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transfer printing method using a mold in which some element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are formed on the substrate.

여기에서,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LED(OLED)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패턴화된 PDMS 몰드 상에 유기LED의 일부 구성요소가 형성되며, 이의 트랜스퍼 프린팅에 의해 기판 상에 유기LED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preferably formed of an organic LED (OLED). That is, some elements of the organic LED are formed on the patterned PDMS mold and the organic LED is formed on the substrate by its transfer printing.

이 경우, 상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거나,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동시에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formed by transfer printing sequentially on different regions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or by transfer printing on different regions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예컨대, 상기 패턴화된 PDMS 몰드 상에 하나의 발광 파장을 갖는 유기LED의 구성요소가 소정의 패턴에 따라 형성하고, 이를 먼저 기판 상에 트랜스퍼 한 후, 설계된 위치에 다른 발광 파장을 갖는 유기LED를 파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트랜스퍼 프린팅하는 것이다.For example,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organic LED having one light emitting wavelength on the patterned PDMS mold is 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organic LED is first transferred onto the substrate, and then an organic LED having a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 And transfer printing is sequential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wavelengths.

또한, 상기 패턴화된 PDMS 몰드 상에 각각 다른 발광 파장을 갖는 유기LED의 구성요소를 동시에 형성한 후, 이를 트랜스퍼 프린팅하면 동시에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발광 파장이 다른 유기LED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organic LED element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patterned PDMS mold, transfer printing is performed to form organic LED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in different regions on the substrate.

여기에서, 상기 PDMS 몰드 상에 형성되는 유기LED의 구성요소는 애노드(anode) 전극(제1전극층)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가 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기LED의 구성요소의 역순으로 형성되어, 기판 상에 트랜스퍼 프린팅되게 된다.Here, the components of the organic LED formed on the PDMS mold are 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mponents of the organic LED except for the anode electrode (first electrode layer), the remaining components being formed on the substrate, Transferred onto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트랜스퍼 프린팅법은 패턴화된 PDMS 몰드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고, 그 상층에 순차적으로 전자수송층, 발광층,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전극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상기 정렬키를 기준으로 하여 트랜스퍼 프린팅하여 발광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printing method includes forming a second electrode layer on a patterned PDMS mold, sequentially forming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PDMS mold,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formed by transfer printing on the formed substrate with reference to the alignment key.

여기에서, 상기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은 공지된 재료를 사용하며,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은 QD(Quantum-Dot, 양자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the hole transporting layer use a known material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ade of QD (Quantum-Dot, quantum dot).

상기 QD(Quantum-Dot, 양자점)은 발광물질로 유기물질이 이용되는 상기 유기LED와는 달리, 반도체를 나노 크기로 잘라서 전압을 가하면 유기LED처럼 자체 발광을 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생산 비용이 적게 들고, 색 재현율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QD는 입자가 작을수록 파장이 짧은 빛을 내고, 입자가 클수록 파장이 긴 빛을 내는 특징이 있는 나노소재로, 입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시 광선 영역에서 나타낼 수 있는 원하는 파장을 빛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Unlike the organic LED in which an organic material is used as a light emitting material, the QD (Quantum-Dot, quantum dot) uses a property of self-emitting like an organic LED when a semiconductor is cut into nanoscale and voltage is applied. , And color recall ratio are excellent. These QDs are nanomaterials that emit light with a shorter wavelength as the particle size becomes smaller and emit longer wavelengths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s. By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the QD emits a desired wavelength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visible light region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상기 제2전극층은 QD를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발광 소자의 캐소드(cathode) 전극의 역할을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패턴화된 PDMS 몰드 상에 역순으로 구성요소가 형성된 발광 소자를 트랜스퍼 프린팅함으로써, 기판 상에 QD를 발광층으로 하는 발광 소자가 형성되게 된다.The second electrode layer serves as a cathode electrode of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QD as a light emitting layer. By transfer prin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constituent elements formed on the patterned PDMS mold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A light emitting element using QD as a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상에 제1전극층(애노드 전극)(121)이 형성되고, 그 상층에 정공수송층(122), QD 발광층(123), 전자수송층(124) 그리고 최상층에 제2전극층(캐소드 전극)(125)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5, a first electrode layer (anode electrode) 121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a hole transport layer 122, a QD emission layer 123, an electron transport layer 124, and an uppermost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cathode electrode) 125 is formed.

상기 QD를 발광층으로 갖는 발광 소자 또한 상기 유기LED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양한 발광 파장을 갖도록 기판 상에 트랜스퍼 프린팅되게 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QD as the light emitting layer is also transferred and printed on the substrate to have various light emitting wavelengths in the same manner as the organic LE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거나,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동시에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y are formed by transfer printing sequentially in different regions on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or transferred and printed simultaneously to different regions on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그리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 주입을 위한 금속배선전극을 형성한다.(도 4(e))Then, a metal wiring electrode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inject current in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FIG. 4 (e)).

상기 금속배선전극은 발광 소자의 제2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발광 소자의 배열에 따라 형성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 발광 소자의 배열 패턴, 패턴 간의 이격 거리, 패턴과 계면 사이의 높이 등에 따라 컨택 새도우 마스크(contact shadow mask)를 통한 포토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전자 빔 증착(e-beam evaporator), 스퍼터링(sputtering), 프린팅(printing) 또는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metal wiring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The metal wiring electrod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such as an arrangement pattern of light emitting devices, a distance between patterns, A contact shadow mask, and may be formed by an e-beam evaporator, a sputtering, a printing, or a plating process.

그리고, 상기 금속배선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 상의 전 영역 및 상기 금속배선전극을 감싸도록 절연막을 형성한다.After the metal wiring electrode is formed, an insulating film is formed to surrou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entire region o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상기 절연막은 SOG, TEOS, LTO, 산화막, 폴리머, 폴리이미드, 또는 질화막 등을 사용하며, 상기 절연이 기판의 전면을 감싸도록 증착하며, 화학기상증착법(CVD), 전자빔증착(e-beam evaporator), 스퍼터링(sputtering), 프린팅(printing) 공정 등에 의해 증착된다.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OG, TEOS, LTO, an oxide layer, a polymer, a polyimide, or a nitride layer.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by CVD, e-beam evaporation, , Sputtering, printing, or the like.

여기에서, 상기 절연막은 기판의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2전극층과 금속배선전극이 접하는 영역은 오픈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영역은 마스크를 통한 포토 공정 및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또는, 마스크를 통한 포토 공정에 의해 선택적인 형성이 가능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reg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opened, and this region is remov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Or can be selectively form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hrough a mask.

즉, 완제품에서 제2전극층과 금속배선전극이 접하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산화막, 질화막 또는 폴리이미드 계열에 의한 절연막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except for the reg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nished product, it can be protected by an insulating film formed of an oxide film, a nitride film or a polyimide system.

그 다음, 상기 기판에 탐침 형성을 위한 패턴을 형성한다.(도 4(f))Then, a pattern for forming a probe is formed on the substrate (Fig. 4 (f)).

컨택 마스크(contact mask)를 통해 상기 기판 상에 탐침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상기 기판 상에 단일 또는 복수 개의 탐침 형성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탐침 모양의 패턴 형성은 건식 또는 습식 식각으로 진행되며, 건식 식각 시,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유도결합 플라즈마(induced coupling plasm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Forming a probe-like pattern on the substrate through a contact mask, or forming a pattern for forming a probe or a plurality of probes on the substrate, if necessary, wherein the probe- And may be formed by dry etching, reactive ion etching, or induced coupling plasma.

그리고, 최종 탐침 형성을 위해 기판의 두께를 낮추는 폴리싱 또는 에칭을 수행하고, 상기 기판 상에서 탐침 모양의 패턴을 분리하게 된다.(도 4(g), 도 4(h))Then, polishing or etching is performed to lower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to form a final probe, and the probe-like pattern is separated on the substrate (FIGS. 4 (g) and 4 (h)).

상기 기판의 두께를 낮추기 위한 공정은 연마(Grind), 래핑(Lapping), 폴리싱(Polishing) 또는 에칭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탐침 패턴을 분리하는 과정은 레이저 절삭 또는 기판의 두께를 낮추는 공정 등에 의하여 형성이 된다.
The process of lowering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performed by grinding, lapping, polishing or etch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robe pattern is performed by laser cutting or a process of lowering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do.

한편, 이러한 발광 소자(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파장을 갖도록 각각 단수 개로 형성되어 전류 주입을 위한 금속배선전극(130)을 형성하거나, 각각 복수 개로 형성하며, 복수 개로 형성한 경우에 일렬, 병렬, 지그재그 및 십자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된 배열 형태를 갖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the light emitting devices 120 may be formed in a single number so as to have emission wavelengths of red, green, and blue to form metal wiring electrodes 130 for current injection, , And when they are formed in a plurality, they may have any one of a row, a parallel, a zigzag, and a cross, or a mixed arrangement.

또한, 적색과 녹색 빛을 내도록 일정한 크기로 QD를 자른 후 이를 혼합하여 형성하고, 그 뒤쪽에서 청색 유기LED 또는 청색QD를 비추어 백색광의 구현도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QD is cut to have a certain size so as to emit red and green light, and then mixed to form a blue organic LED or a blue QD at the back thereof to realize a white light.

이는 적절하게 패턴화된 PDMS 몰드 상에 발광 소자의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이를 트랜스퍼 프린팅함으로써, 기판 상에 발광 소자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form the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substrate by forming the component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appropriately patterned PDMS mold and transfer printing the sam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탐침은 기존의 방식인 광섬유를 사용하거나 발광 소자의 실장 방식과는 달리 기판 상에 바로 발광 소자를 모놀리식 집적화하여 탐침을 기판화하여 발광 소자 고유의 기판 두께나 발광 소자를 접착시키기 위한 본딩 물질의 두께가 배제되어, 탐침의 두께가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The probe fabricated in this manner can be fabricated by monolithically integrating a light emitting element directly on a substrate using an optical fiber of a conventional method or by mounting the probe on a substrate, The thickness of the probe is drastically reduced.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탐침은 그 두께가 200㎛ 이하로 소형화에 따른 의학적 효용성이 높아지며, 활용범위가 다양하고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prob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ness of 200 탆 or less,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medical efficacy of the probe according to miniaturization and to be used in various ranges.

특히, 본 발명은, 단일의 탐침(기판) 상에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한 개의 탐침으로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신경의 활성과 억제의 제어가 가능하여 의학적 효용성이 매우 높으며,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공정의 간단화로 제품 수율을 향상시킨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a single prob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in various wavelength ranges with a single probe, It is highly possible to have a high medical efficacy, lower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and improve the product yield by simplifying the process.

또한, 기존의 기판과 탐침 간의 접합이 따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접착 물질, 접착 공정 등이 필요없으므로 제품 완성 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발광 소자를 박막의 트랜스퍼 프린팅 공정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방식의 탐침보다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의학적 효용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between the conventional substrate and the probe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horten the product completion period since no adhesive material, a bonding step or the like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sequentially The thickness of the probe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medical utility is further enhanced.

100 : 탐침 110 : 기판
120 : 발광 소자 121 : 제1전극층
122 : 정공수송층 123 : 발광층
124 : 전자수송층 125 : 제2전극층
130 : 금속배선전극 140 : 절연막
100: probe 110: substrate
120: light emitting element 121: first electrode layer
122: hole transporting layer 123: light emitting layer
124: electron transport layer 125: second electrode layer
130: metal wiring electrode 140: insulating film

Claims (14)

기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기판 상의 일부 영역에 발광소자 형성을 위한 정렬키를 형성하고,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정렬키를 기준으로 하여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배선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 상의 전 영역 및 상기 금속배선전극을 감싸도록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기판에 탐침 형성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제6단계;
상기 기판의 두께를 낮추기 위해 폴리싱 또는 에칭하는 제7단계;
상기 기판 상에서 탐침 모양의 패턴을 분리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A second step of forming an alignment key for forming a light emitting element on a part of the substrate and forming a first electrode layer;
A third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on the substrate with reference to the alignment key;
A fourth step of forming a metal wiring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fifth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film to surrou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entire region o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A sixth step of forming a pattern for forming a probe on the substrate;
A seventh step of polishing or etching to lower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And separating the probe-like pattern on the substrate. The method of claim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Glass or polyimid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트랜스퍼 프린팅법(transfer printing method)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characterized by using a transfer printing metho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LED(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n organic LED (OL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거나,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동시에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Transfer-printing sequentially on different regions on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And transfer printing is performed on other regions on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제 4항에 있어서, 트랜스퍼 프린팅법(transfer printing method)은,
패턴화된 PDMS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고, 그 상층에 순차적으로 전자수송층, 발광층,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전극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상기 정렬키를 기준으로 하여 트랜스퍼 프린팅하여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ansfer printing method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the patterned PDMS,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hole transporting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patterned PDMS. Transfer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formed, Wherein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is controlled to be in the range of about 10 to 20 nm.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QD(Quantum-Dot)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ght emitting layer is made of QD (Quantum-Do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거나,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파장에 따라 동시에 트랜스퍼 프린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Transfer-printing sequentially on different regions on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And transfer printing is performed on other regions on the substrate according to wavelength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절연막은,
상기 제2전극층과 금속배선전극이 접하는 영역은 오픈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reg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metal wiring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opened and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기판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탐침 형성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pattern for forming a single probe or a plurality of probes is formed on the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파장을 갖도록 각각 단수개로 형성하거나, 각각 복수개로 형성하며, 복수개로 형성한 경우에 일렬, 병렬, 지그재그 및 십자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된 배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ha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each having a red, green, and blue emission wavelength, o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series, parallel, zigza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according to claim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 이후에 탐침의 두께는,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의 제조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the seventh step,
Wherein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is controlled to be 200 占 퐉 or less.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장 제어가 가능한 탐침.A probe capable of wavelength control produc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3.
KR1020140063619A 2014-05-27 2014-05-27 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 KR101564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19A KR101564710B1 (en) 2014-05-27 2014-05-27 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19A KR101564710B1 (en) 2014-05-27 2014-05-27 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710B1 true KR101564710B1 (en) 2015-11-02

Family

ID=5459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619A KR101564710B1 (en) 2014-05-27 2014-05-27 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7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11100A (en) * 2018-01-26 2021-05-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ight source incorporated into neural probe for multi-wavelength activation
JP7497942B2 (en) 2018-01-26 2024-06-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Multiple light sources integrated into neural probes for multi-wavelength activ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926Y1 (en) 2002-04-12 2002-07-13 김종태 Portable Electrical Nerve Muscle Stimulator
JP2010115452A (en) 2008-11-15 2010-05-27 Kenji Naito Home use intraoral observation and prevention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926Y1 (en) 2002-04-12 2002-07-13 김종태 Portable Electrical Nerve Muscle Stimulator
JP2010115452A (en) 2008-11-15 2010-05-27 Kenji Naito Home use intraoral observation and prevention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11100A (en) * 2018-01-26 2021-05-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ight source incorporated into neural probe for multi-wavelength activation
JP7497942B2 (en) 2018-01-26 2024-06-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Multiple light sources integrated into neural probes for multi-wavelength activ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25132C2 (en) A two-pan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114499B2 (en) Display device having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US10109655B2 (en) Display device with light-emitting diode in concave
JP2021508938A (en) Luminous laminat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is
KR101109267B1 (en) Single phosphor layer photonic device for generating white light or color lights
US20190019930A1 (en) Ultra-small led electrode assembly
US10381381B1 (en) Display with light transmitting windows
US20170213868A1 (en) Semiconducting pixel, matrix of such pixels, semiconducting structure for the production of such pixels and their methods of fabrication
JP4571097B2 (en) Light emitting component having electrode arrangement
CN102105927A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108666345A (en) O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947464A (en) Light-emitting display
KR20210107208A (en) Display device
CN103390729A (en) Methods of manufacturing optical shee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ing optical shee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ing optical sheets
CN105489629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591189A (en) Nanowire light emitting switch devices and methods thereof
US11963402B2 (en) Display device having auxiliary wiring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metal nanowire
KR10156471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wave-tunable stimulus tip and stimulus tip thereby
KR10216600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92436B2 (en) Narrow bezel electroluminance lighting device
CN108155208B (en) Display device
US20140374781A1 (en)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light emitting device
Taal et al. Optogenetic stimulation probes with single-neuron resolution based on organic LEDs monolithically integrated on CMOS
EP4156265A1 (en) Display device
CN106410003A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