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565B1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4565B1 KR101564565B1 KR1020150062278A KR20150062278A KR101564565B1 KR 101564565 B1 KR101564565 B1 KR 101564565B1 KR 1020150062278 A KR1020150062278 A KR 1020150062278A KR 20150062278 A KR20150062278 A KR 20150062278A KR 101564565 B1 KR101564565 B1 KR 101564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ridge
- contact portion
- main body
- toner cartridge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 G03G15/08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로서,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본체와 연결되어 카트리지의 정보를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한다. 접점부는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The disclosed cartridge includes a contact unit for connection with a main body, and a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transfer information of the cartridge to the main body. The contact portion is moved to a first position hidden inside the cartridge and to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to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forms an image on a recording medium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 cartridge which is detached therefrom.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is a method of supply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a photoreceptor with toner to form a visible toner image on the photoreceptor,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onto a recording medium, And the image is printed on the recording medium.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며, 수명이 경과한 때에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와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토너가 수용된 수용부가 일체로 된 구조, 감광체 및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이미징 카트리지와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로 구분된 구조, 및 감광체를 구비하는 감광체 카트리지와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및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로 구분된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process cartridge is an assembly of parts for forming a visible toner image, which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and is a consumable item to be replaced when the service life of the process cartridge is over. The process cartridge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developing roller for supplying toner to a photoreceptor and a photoreceptor, and a housing portion in which the toner is housed, a structure in which an imaging cartridge having a photoreceptor and a developing roller and a toner cartridge containing the toner are separated, A development cartridge including a cartridge and a development roller, and a structure separated by a toner cartridge containing the toner.
카트리지에는 카트리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유닛이 마련된다. 메모리유닛은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되면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와 통신하며, 카트리지의 정보를 본체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은 본체의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를 구비한다. The cartridge is provided with a memory unit sto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cartridge. The memory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n the cartridg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communicates with the main body, and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cartridge to the main body. The memory unit has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본체와의 통신을 위하여 카트리지에 마련된 메모리유닛의 접점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artridge capabl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a contact portion of a memory unit provided in a cartridge for communicating with a main body,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메모리유닛의 접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cartridge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memory unit from being damaged,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돌출된 파지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에 접근된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된다.A cartridg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tridge detachably mount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the cartridge having a contact portion for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transfer information of the cartridge to the main body; A movable member mounted on the contact portion and moved to a first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is hidden inside the cartridge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cartridge to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handle which is pivoted to a gripping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cartridge and to a first receiving position which is approached to the cartridge, wherein the moving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숨겨진 후퇴 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삽입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Wherein the cartridge is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hidden inside the cartridge as the contact portion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to a protruding posi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for insertion into an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member.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연결부를 정렬시킬 수 있다.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to alig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fore the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보호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접점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rotective member may protrude furth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tha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tridge orthogonal to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artridge and the protective member can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artridge.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member.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수납위치에 위치된 상기 손잡이가 수납될 수 있도록 몰입된 수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artridg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portion that is immersed so that the handle located at the first storage position can be received.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운동을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artridg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pivoting motion of the handle to a sliding motion of the moving member.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제2수납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handle may be slid from the gripping position to a second receiving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 위치와 상기 제1수납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전환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2수납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전환유닛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Wherein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gripping posi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osition, the turning shaft of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and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second receiving position, Lt; / RTI >
상기 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tridge may include a to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toner is accommodated.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될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tridge includes: a developing roller; And a to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toner to be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is accommodated.
상기 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tridge includes: a to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oner is accommodated; A photosensitive member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And a developing roller for supplying the toner in the toner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카트리지;를 구비한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d the above-described cartridg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상술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 내부로 수납된 제1위치와 카트리지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채용함으로써, 접점부의 오염과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cartridge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cartrid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contamination and damage of the contact portion by adopting the contact portion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stored in the cartridge to the second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cartridge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비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현상기가 교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토너 카트리지가 교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메모리유닛과 본체와의 연결구조를 보여준다.
도 5a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 접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b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 접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메모리유닛의 회로부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접점부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토너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보호부재가 후퇴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보호부재가 돌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와 보호부재가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와 보호부재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와 보호부재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딩되는 노브가 채용 된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연결 에러 방지 구조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a와 도 14a는 접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와 간섭부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b와 도 14b는 접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와 간섭부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채용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6a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b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로서, 손잡이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c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로서, 손잡이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a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d는 손잡이의 회동축과 피니언과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e는 손잡이의 회동축과 피니언과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19a는 연결부가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9b는 연결부가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0a는 연결부가 도어의 닫힘 동작에 의하여 연결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0b는 연결부가 도어의 닫힘 동작에 의하여 연결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hotosensitive drum and the developing roller in the contact developing system.
FIG. 2B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hotosensitive drum and the developing roller in the non-contact developing system.
3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eloping device is replaced.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ner cartridge is replaced.
4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emory unit and the main body.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toner cartridge having a moving structure for moving a contact portion to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by a manual operation,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toner cartridge having a moving structure for moving a contact portion to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by manual operation,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A.
7 is a rear view of the toner cartridge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ircuit portion of the memory unit is located at a fixed position and the contact portion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shown in Fig. 8,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member is placed in the retracted position. Fig.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shown in FIG. 8,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member is located at the protruding position. FIG.
10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otection member ar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respectively, with the toner cartridge shown in FIG. 8 mounted on the main body.
FIG. 10B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mov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otecting member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protruding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toner cartridge shown in FIG. 8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C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otection member are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protruding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toner cartridge shown in FIG. 8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toner cartridge employing a sliding knob.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connection error preventing structure is applied.
13A and 14A are diagrams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knob and the interference por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13B and 14B are diagrams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knob and the interference por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FIGS. 15A and 15B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n embodiment of a toner cartridge employing a structure for moving the contact portion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n cooperation with the handle. FIG.
16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16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for moving the contact portion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n cooperation with the handle, wherei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grip position.
16C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ucture for moving the contact portion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by interlocking with the handle, showing a state where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first receiving position.
17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Fig. 17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shown in Fig. 17A, showing the state where the handle is placed in the second receiving position. Fig.
17C is a schematic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shown in Fig. 17A, showing the state where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gripping position.
17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urning shaft of the handle and the pinion.
17E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urning shaft of the handle and the pinion.
18 is a schematic rear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ner cartridge.
19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portion is moved,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at a releasing position released from a contact portion.
FIG. 19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moved, and shows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art is located at a connection position connected to the contact part.
20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moved to the connecting position by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released position released from the contact portion.
20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moved to the connecting position by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connecting position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착/탈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1)가 마련된다. 커버(12)는 개구부(11)를 개폐한다. 본체(1)에는 노광기(13), 전사롤러(14), 및 정착기(15)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에는 화상이 형성될 기록매체(P)를 적재하고, 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구조가 마련된다. 1, an image forming apparatus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토너 수용부(101)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21)과, 토너 수용부(101)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3)는 감광드럼(21)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3)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참조부호 24은 대전롤러(23)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는 후술하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장치가 채용될 수도 있다.The
현상 방식으로는,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과,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롤러(22)는 토너를 감광드럼(21)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롤러(22)에는 토너를 감광드럼(2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성분 현상방식은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접촉 현상방식과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되는 비접촉 현상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a는 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비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접촉 현상방식의 경우, 현상롤러(22)의 회전축(22-1)의 양단부에는 현상롤러(22)의 직경보다 작은 갭유지부재(22-2a)가 설치될 수 있다. 갭유지부재(22-2a)는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현상롤러(22)의 감광드럼(21)에 대한 접촉량을 규제한다. 현상롤러(22)는 감광드럼(21)에 접촉됨으로써 현상 닙(N)을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비접촉 현상방식의 경우, 현상롤러(22)의 회전축(22-1)의 양단부에는 현상롤러(22)의 직경보다 큰 갭유지부재(22-2b)가 설치될 수 있다. 갭유지부재(22-2b)는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 사이의 현상 간격(g)을 규제한다. As the developing method, there is a one-component developing method using toner, and a two-component developing method using toner and carrier. The
규제부재(26)는 현상롤러(22)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한다. 규제부재(26)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닥터 블레이드일 수 있다. 공급롤러(27)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22)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공급롤러(6)에는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The regulating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22)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22)는 중공 원통형 슬리브 내에 자기롤러가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21)으로 공급되어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토너를 캐리어와 혼합, 교반하여, 이들을 현상롤러(22)로 운반하는 교반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교반기는 예를 들어 오거(auger)일 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는 복수의 교반기가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two-component developing method is employed, the developing
노광기(13)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13)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The
전사롤러(14)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기록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14)에는 기록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14)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The
기록매체(P)는 픽업롤러(16)에 의하여 적재대(17)로부터 한 장씩 픽업되고, 이송롤러(18-1)(18-2)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14)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된다. The recording medium P is picked up one by one from the stacking table 17 by the
정착기(15)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15)를 통과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The fixing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13)는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22)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적재대(17)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픽업롤러(16)와 이송롤러(18-1)(18-2)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14)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되며, 토너화상은 전사롤러(14)에 인가되는 전사바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기록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15)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배출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감광드럼(21) 및 현상롤러(22)를 구비하는 이미징 카트리지(400)와 토어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100)로 구분된 제1구조, 감광드럼(21)을 구비하는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현상롤러(22)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300)와 토너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100)로 구분된 제2구조,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토너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300)로 구분된 제3구조,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현상 카트리지(300)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일체로 된 제4구조일 수 있다. The
제1구조(또는 제2구조)를 채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경우, 토너 카트리지(100)는 본체(1)에 장착되면 이미징 카트리지(400)(또는 현상 카트리지(30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되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토너 배출부(102)와 이미징 카트리지(400)(또는 현상 카트리지(300))의 토너 유입부(301)가 서로 연결된다.In the case of the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수명이 경과하면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개구부(11)를 통하여 본체(1)에 착탈된다. 제4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경우 토너 수용부(101)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 전체가 교체된다. 일반적으로 이미징 카트리지(400)의 수명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명보다 길다. 제1구조 또는 제2구조 또는 제3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채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 또는 토너 수용부(101)가 일체로 된 현상 카트리지(300)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모품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제1구조를 갖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체(1)에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0)이 마련되며,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가이드 레일(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00-30)가 마련될 수 있다. The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메모리유닛(110)이 마련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메모리유닛(110)은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정보를 본체(1)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1)는 메모리유닛(110)과의 전기적 연결 여부, 예를 들어 메모리유닛(110)과의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4 is a partial plan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Referring to FIG. 4, the
메모리유닛(110)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기 위한 회로부(111)와, 본체(1)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11)에는 예를 들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본체(1)와의 사이에서 인증 및/또는 암호화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CPU(centralprocess unit)를 포함하는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부가 마련될 수 있다. 회로부(111)에는 메모리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등과 같은 고유 정보, 각종 프로그램, 전자 서명 정보 및 사용 상태(예를 들어, 현재까지 몇 매를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명,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회로부(111)는 본체(1)와의 통신, 인증, 암호화 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11)는 CPU를 포함하는 칩(chip)의 형태, 또는 메모리와 CPU를 포함하는 칩의 형태, 칩 및 다양한 기능 블록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접점부(112)는 회로부(111)의 인쇄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111)와 신호선(113)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는 예를 들어 모듈러 잭(modular jack)일 수 있다. 본체(1)에는 접점부(112)와 연결되는 연결부(40)가 마련된다. 연결부(40)는 모듈러 잭 형태의 접점부(112)가 삽입되는 모듈러 커넥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는 도전성 패턴 형태일 수 있다. 도전성 패턴 형태의 접점부(112)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보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부(111)의 인쇄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신유닛(110)은 회로부(111)가 내장되고 접점부(112)가 외부로 노출된 패키지 형태이고 접점부(112)는 도전성 패턴의 형태로서 패키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40)는 도전성 패턴 형태의 접점부(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핀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는 핀형 단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연결부(40)는 핀형 단자가 접속되는 도전성 패턴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접점부(112)와 연결부(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면, 토너 카트리지(100)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접점부(112)가 오염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본체(1)와의 충돌로 인하여 접점부(112)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접점부(112)의 파손 또는 오염은 접점부(112)와 연결부(40)와의 접점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메모리유닛(110)은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가능한 접점부(112)를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때에 접점부(112)는 본체(1)에 마련된 연결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위치로 이동되며,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기 전에 접점부(112)는 연결부(40)와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제2위치에서의 접점부(112)의 돌출 방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 상부, 하부, 전부, 후부(100-1) 등 다양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점부(112)가 장착 방향(A)과 직교하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 돌출되는 구조를 예로써 설명한다. If the
접점부(112)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5b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a의 분해 사시도이다. The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장착 방향(A)을 기준으로 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노브(120)가 마련된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측부(100-2)에는 접점부(112)가 출입되는 제1출입구(103)가 마련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에 수납되며 제1출입구(103)를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를 열고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하여 노브(120)에 액세스하여 노브(120)를 회전시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출입구(103)를 통하여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되며,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본체(1)의 연결부(40)에 결합되어 메모리유닛(110)과 본체(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도 6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이동 부재(130)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동 부재(13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결합되는 배면 커버(104)의 내측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에 고정되고, 신호선(113)에 의하여 회로부(111)와 연결된다. 노브(120)는 전환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130)와 연결된다. 노브(120)의 회전운동은 전환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130)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전환유닛은 피니언(140)과 랙 기어(13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랙 기어(131)는 이동 부재(130)에 마련된다. 피니언(140)은 배면 커버(104)의 내측에 설치되어 랙 기어(131)와 맞물린다. 노브(120)는 배면 커버(104)에 마련된 설치홀(104-1)에 삽입되어 피니언(140)과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6, a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120)를 회전시키면, 피니언(140)과 랙기어(131)에 의하여 노브(120)의 회전조작이 이동 부재(13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접점부(112)가 도 5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전환유닛의 구조에 따라서 접점부(112)의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피니언(140)으로서 제1베벨기어(미도시)를 채용하고, 랙기어(131)와 피니언(140) 사이에 피니언(140)과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미도시) 및 제1베벨기어(미도시)와 동축을 이루는 평기어(미도시)를 배치하여, 평기어(미도시)와 랙 기어(131)가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환유닛은 후술하는 도 18을 참조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환유닛에 의하면, 이동 부재(13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폭방향 또는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전부 또는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The rotary operation of the
노브(120)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착탈할 때에 도어(12)에 의하여 개방되는 개구부(11)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구부(11)와 대향된 부분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노브(12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A)을 기준으로 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위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착탈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노브(120)는 손잡이(150)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100)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노브(120)를 인식하고 노브(120)를 조작할 수 있다. When the
도 5a, 5b,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로부(111)가 이동 부재(130)에 장착되어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접점부(112)와 회로부(111)와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신호선(113)과 접점부(112) 및 회로부(111)와의 단선의 위험이 크게 낮아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점부(112)는 회로부(1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신호선(113)이 생략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111)는 배면 커버(104) 또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고정되고, 접점부(112)만이 이동 부재(130)에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면 커버(104)에 마련되어 신호선(113)을 지지하는 와이어 홀더(104-2)는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때의 스트로크(S)의 중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접점부(112)가 이동되는 동안에 접점부(112)와 회로부(111) 사이의 신호선(113)의 길이 변화를 최소화하여 신호선(113)과 접점부(112) 및 회로부(111)와의 단선 위험을 줄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A, 5B and 6, the
토너 카트리지(100)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도 5a)에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1)에 장착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후에 접점부(112)를 제2위치(도 5b)로 이동시켜 본체(1)의 연결부(40)에 연결시킨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점부(112)를 제1위치로 복귀시켜 연결부(40)와의 연결을 해제한 후에 본체(1)로부터 탈거하여야 한다.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면, 접점부(112)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 충돌하여 접점부(112)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는 연결부(40) 또는 접점부(112)가 손상될 수 있다. The
도 8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보호부재(132)가 후퇴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b는 보호부재(132)가 돌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c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접점부(112)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보호부재(132)가 도시되어 있다. 보호부재(132)는 노브(120)의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된다. 즉, 보호부재(132)는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로 숨겨진 후퇴위치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를 갖는다. 일 예로서,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8, a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보호부재(132)는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에 수납된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20)가 회전됨에 따라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보호부재(132)는 제2출입구(105)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9A, in a state where the
도 9b 및 도 10a를 참조하면, 장착 방향(A)을 기준으로 하여 보호부재(132)는 접점부(112)의 전방에 위치된다. 즉, 보호부재(132)의 장착 방향(A)의 최 전방면(132-1)은 접점부(112)의 장착 방향(A)의 최 전방면(112-1)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보호부재(132)는 돌출위치에 위치된다.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할 때에, 접점부(112)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 접촉되기 전에 보호부재(132)가 먼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 접촉된다. 그러므로, 장착 과정에서 접점부(112)의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9B and 10A, the
토너 카트리지(100)는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120)를 회전시키면, 이동 부재(130)가 슬리이딩되고,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함께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슬라이딩된다. 본체(1)에는 보호부재(132)가 삽입되는 삽입부(50)가 마련된다. The
도 10b를 참조하면, 보호부재(132)는 돌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접점부(112)보다 더 돌출된 형태이다. 즉, 보호부재(132)의 선단부(132a)는 접점부(112)의 선단부(112a)보다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부(50)가 연결부(40)보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 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와 연결부(40)와의 정렬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즉 토너 카트리지(100)가 덜 삽입된 상태에서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되면 접점부(112)가 연결부(40)와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되기 전에 보호부재(132)가 먼저 삽입부(50)에 삽입됨으로써 접점부(112)와 연결부(4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0)에의 삽입과정에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노브(120)를 완전히 회전시키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는 연결부(40)에 삽입된 제2위치에 위치되며, 보호부재(132)는 삽입부(50)에 삽입된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Referring to FIG. 10B, the
도 10c에 도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접점부(112)에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재(132)도 삽입부(5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접점부(112)에 가해지는 힘이 보호부재(132)에 의하여 분산된다. 따라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부재(132)를 구비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는 과정 및 탈거하는 과정에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되는 노브(120)를 이용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되는 노브(도 11의 120-1)를 이용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1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는 슬라이딩되는 노브(120-1)가 채용된다는 점에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도 11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이동 부재(130-1)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130-1)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배면 커버(104a)의 내측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1)에 고정되고, 신호선(113)에 의하여 회로부(111)와 연결된다. 회로부(111)는 이동 부재(1301-)에 고정되어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130-1)에는 배면 커버(104a)를 향하여 돌출된 결합편(133)이 마련된다. 노브(120-1)는 홈(121)이 마련된 결합부(122)를 구비한다. 배면 커버(104a)에는 노브(120-1)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절개된 슬롯(104-3)이 마련된다. 결합부(122)는 배면 커버(104a)의 외측으로부터 슬롯(104-3)에 삽입되며, 결합편(133)은 결합부(122)의 홈(12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120-1)를 슬롯(104-3)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접점부(112)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브(120-1)의 슬라이딩 방향은 접점부(11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한 후에, 노브(120 또는 120-1)를 조작하여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메모리유닛(110)이 본체(1)와 연결된다. 그런 후에 도어(12)를 닫는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한 후에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도어(12)를 닫으면 메모리유닛(110)과 본체(1)는 연결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로 전환되지 않으면 도어(12)가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100)와 본체(1)와의 연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에러 방지를 위하여, 예를 들어 노브(120 또는 120-1)와 도어(12)와의 간섭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연결 에러 방지 구조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a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120)와 간섭부(12-1)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b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120)와 간섭부(12-1)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12)에는 노브(120)를 향하여 돌출된 간섭부(12-1)가 마련된다. 노브(120)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12-1)와 간섭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노브(120)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12-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되고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12)를 닫을 경우, 간섭부(12-1)가 노브(120)와 간섭되어 도어(12)가 닫히지 않는다. After the
도 12 및 도 13a, 도 13b에 도시된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슬라이딩되는 노브(120-1)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12-1)가 노브(120-1)와 간섭되며,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20-1)는 간섭부(12-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2 and 13A and 13B may also be applied to the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본체(1)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접점부(112)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손잡이(150)와 연동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채용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5a와 도 15b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1)에 설치되고,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1)와 일체로 형성된다. 노브(120-2)는 경사 가이드홈(120-4)을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1에 도시된 노브(120-1)와 동일하다. The
도 15a와 도 15b를 참조하면, 손잡이(15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손잡이(150)는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파지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도출된 파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파지 위치로부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에 접근된 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손잡이(150)의 회동 방향은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A)일 수 있다. 손잡이(150)의 회동운동은 전환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130-1)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된다. 전환유닛은 예를 들어, 이동 부재(130-1)에 마련되는 경사 가이드 홈(120-4)과, 경사 가이드 홈(120-4)과 손잡이(15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6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경사 가이드홈(120-4)은 접점부(11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노브(120-2)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60)의 일측에는 경사 가이드홈(120-4)에 삽입되는 가이드 포스트(161)가 마련된다. 연결부재(160)의 타측은 손잡이(150)에 연결된다. 손잡이(150)가 토너 카트리지(100)에 장착방향(A)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재(160)와 손잡이(150)는 접점부(11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162)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15A and 15B, the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를 장착 방향(A)의 반대 방향, 즉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손잡이(150)를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된 파지 위치에 위치시킨다. 손잡이(150)가 회동되면 연결부재(160)는 손잡이(150)를 따라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탈거 방향(B)으로 이동된다. 가이드 포스트(161)는 경사 가이드홈(120-4)의 제1단부(120-4a)에 위치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내측에 숨겨진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와 손잡이(150) 사이의 공간에 손을 넣어 손잡이(150)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든다. 손잡이(15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유지된다.In order to mount the
그런 다음, 도어(12)를 열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개구부(11)를 통하여 본체(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도 1: 100-30)을 따라 본체(1)에 삽입한다. The
삽입이 완료되면, 손잡이(150)를 장착 방향(A)으로 밀어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연결부재(16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이드 포스트(161)가 경사 가이드 홈(120-4)의 내벽을 밀다. 이 미는 힘에 의하여 노브(120-2) 및 이동 부재(130-2)가 접점부(112)가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C1)으로 슬라이딩된다. 손잡이(150)가 수납 위치에 도달되면, 가이드 포스트(161)는 경사 가이드 홈(120-4)의 제2단부(120-4b)에 도달되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2위치 및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때에는 도어(12)를 열고 손잡이(15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겨 파지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연결부재(16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가이드 포스트(161)는 경사 가이드 홈(120-4)의 내벽을 당기면서 제2단부(120-4b)로부터 제1단부(120-4a)로 이동된다. 이에 의하여 노브(120-2)와 이동 부재(130-2)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로 이동되는 방향(C2)으로 슬라이딩된다. 손잡이(150)가 파지 위치에 도달되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와 손잡이(150) 사이의 공간에 손을 넣어 손잡이(150)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When detaching the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손잡이(150)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탈거 또는 장착하는 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를 각각 제1, 제2위치와 후퇴/돌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도 16a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손잡이(150-1)가 마련된다. 손잡이(150-1)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손잡이(150-1)는 예를 들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파지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도출된 파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50-1)는 파지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에 접근된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손잡이(150-1)를 수납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몰입된 수납부(100-1a)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50-1)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50-1)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부(111)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50-1)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수납부(100-1a)는 후부(100-1)에 내측으로 몰입되게 형성된다. 손잡이(150-1)의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로의 회동에 연동되어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16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도 16b 및 도 16c는 손잡이(150-1)와 연동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들로서, 각각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12)가 장착 방향(A)과 직교하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에 위치된다. 16B and 16C are schematic side views of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for moving the
도 16b와 도 16c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130-3)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가이드 핀(106)이 마련되고, 이동 부재(130-3)에는 가이드 핀(10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 슬롯(135)이 마련될 수 있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3)에 탑재된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에는 접점부(112)가 출입되는 제1출입구(103)가 마련된다.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에는 보호부재(112)가 출입되는 제2출입구(10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40)와 삽입부(5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16B and 16C, the shifting member 130-3 is installed on the
토너 카트리지(100)는 손잡이(150-1)의 회동을 이동 부재(130-3)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유닛을 구비한다. 전환유닛은 예를 들어 피니언-랙 기어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환유닛은 손잡이(150-1)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171)(172)과, 이동 부재(130-3)에 마련되어 피니언(172)과 맞물리는 랙기어(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피니언(171)(172)을 채용하나,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니언의 갯수는 손잡이(150-1)의 회동 방향을 고려하여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접점부(112)를 각각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50-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파지 위치로부터 제1수납 위치로 전환되나, 손잡이(150-1)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파지 위치로부터 제1수납 위치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피니언(172)는 불필요하며, 피니언(171)과 랙기어(136)가 맞물리면 된다. 즉, 피니언의 갯수는 손잡이(150-1)의 회동 방향과 이동 부재(130-1)의 슬라이딩 방향을 고려하여 짝수 또는 홀수일 수 있다. The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위치에 위치된 손잡이(150-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개구부(11)를 통하여 본체(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도 3b: 30)을 따라 본체(1)에 삽입한다.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다. In order to mount the
삽입이 완료되면, 손잡이(150-1)를 제1수납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이때, 회동축(151)과 연결된 피니언(171)(172)도 회전되며 피니언(171)(172)의 회전은 랙기어(136)에 의하여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되어 이동 부재(130-3)가 D1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접점부(112)는 제1출입구(103)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로부터 돌출되어 연결부(40)를 향하여 이동된다. 보호부재(132)는 제2출입구(105)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로부터 돌출되어 삽입부(50)를 향하여 이동된다.When insertion is completed, the handle 150-1 is rotated to the first receiv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보호부재(132)의 선단부(132a)는 접점부(112)의 선단부(112a)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므로, 보호부재(132)가 먼저 삽입부(50)에 삽입되어 접점부(112)와 연결부(40)를 정렬시킨다. 뒤이어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된다. Since the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1)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되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2위치 및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16C, when the handle 150-1 is positioned at the first receiving position, the
다음으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12)를 연다. 손잡이(150-1)는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 위치에 유지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2위치와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손잡이(150)를 당겨 파지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축(151)과 연결된 피니언(171)(172)도 회전되며 피니언(171)(172)의 회전은 랙기어(136)에 의하여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되어 이동 부재(130-3)가 D2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50-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Next, a process of detaching the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되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형이 커진다. 손잡이(150-1)를 제1수납 위치로 전환시키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형은 작아지지만 접점부(112)가 돌출되어 접점부(112)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When the handle 150-1 is positioned at the gripping position when the
도 17a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150-1)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d와 도 17e는 각각 손잡이(150-1)의 회동축(151)과 피니언(171)과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17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도 17a를 참조하면, 손잡이(150-1)는 파지 위치(점선으로 도시)와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마련된 수납부(100-1a)에 수납된 제2수납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이를 위하여, 도 17b와 도 17c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가이드 슬롯(107)이 마련된다. 회동축(151)은 가이드 슬롯(107)에 삽입되어 가이드 슬롯(107)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파지 위치와 제2수납 위치로 이동되는 손잡이(150-1)가 구현될 수 있다.17A, the handle 150-1 is connected to a second receiving position accommodated in a holding position (shown by a dotted line) and a receiving portion 100-1a provided in a rear portion 100-1 of the
도 17a 내지 도 17e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는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와 제2수납 위치로 슬라이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은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손잡이(150-1)는 파지 위치에서 도 16a에 도시된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손잡이(150-1)의 회동축(151)는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전환유닛과 연결되며,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전환유닛으로부터 해제된다. 예를 들어, 손잡이(150-1)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 피니언(171)과 회동축(151)과의 연결이 해제되며,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때에 피니언(171)과 회동축(15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 16b및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1)를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d와 도 17e를 참조하면,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에는 제1, 제2결합부(151a)(171b)가 각각 마련된다. 제1, 제2결합부(151a)(171b)는 손잡이(150-1)가 회동될 때에 피니언(171)이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결합부(151a)는 회동축(151)에 손잡이(150-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제2결합부(171b)는 연장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피니언(171)의 중심축(171a)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연장홈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7e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1)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회동축(151)과 피니언(171)과의 연결이 해제되며,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제2결합부(171b)에 제1결합부(151a)가 삽입되어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이 서로 연결되며, 손잡이(150-1)가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되면 피니언(171)도 회동된다.The handle 150-1 can be pivoted from the gripping position to the first receiving position shown in Fig. 16A. The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손잡이(150-1)는 도 17a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의 연결은 해제된 상태이다.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다.The handle 150-1 is located at the second receiving position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In this st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하여, 손잡이(150-1)를 당겨 도 17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위치로 슬라이딩시킨다.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도달되면, 회동축(151)에 마련된 제1결합부(151a)가 피니언(171)의 제2결합부(171b)에 결합되어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이 서로 연결된다.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유지된다.In order to mount the
이 상태에서 도 16b 및 도 16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고 손잡이(150-1)를 밀어 제1수납 위치로 회동시키면, 손잡이(150-1)의 회동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각각 이동되어 연결부(40)와 삽입부(50)에 각각 삽입된다.In this state, when the
토너 카트리지(100)를 탈거하는 과정 역시 도 16c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탈거가 완료되면, 손잡이(150-1)를 밀어 제2수납 위치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회동축(151)에 마련된 제1결합부(151a)가 피니언(171)의 제2결합부(171b)로부터 이탈되고,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의 연결이 해제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손잡이(150-1)를 제2수납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작은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토너 카트리지(100)는 소모품의 형태로 제공될 때에 포장된 상태에서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운송을 위한 적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도 16a 내지 도 16c 및 도 17a 내지 도 17e에 도시된 실시예는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에 위치된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6A to 16C and Figs. 17A to 17E can be modified into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18을 참조하면, 손잡이(150-1)의 회동축(151)과 연결되는 피니언(171)은 베벨 기어이다. 피니언(171)과 연결되는 피니언(172)은 베벨기어(172a)와 평기어(171b)를 구비한다. 베벨기어(172a)와 평기어(171b)는 공통의 회전축(172c)을 가지며, 회전축(172c)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피니언(171)과 피니언(172)은 서로 직교하는 회전축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피니언(171), 베벨기어(172a), 평기어(171b), 및 랙기어(136)가 순차로 연결됨으로써, 손잡이(150-1)의 파지 위치로부터 제1수납 위치(도 18에 점선으로 도시)로의 회동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각각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와 돌출위치에 위치되도록 이동 부재(130-3)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벨기어 형태의 피니언(171)과 베벨기어(172a)의 배치 각도에 따라서 이동 부재(130-3)는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전부(100-4)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접점부(112)가 사용자의 노브 조작 또는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위한 손잡이의 조작에 연동되어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접점부(112)는 도어(12)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노브(120-1)는 도어(12)를 닫는 동작 및/또는 여는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딩되어 접점부(112)를 제2위치 및/또는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a, 도 15b에 도시된 손잡이(150)는 도어(12)를 닫는 동작 및/또는 여는 동작에 의하여 회동되어 노브(120-2)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접점부(112)를 제2위치 및/또는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7a에 도시된 손잡이(150-1)는 도어(12)를 닫는 동작에 의하여 회동되어 피니언(151)을 회전시킴으로써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접점부(112)는 카트리지를 본체(1)에 장착하는 동작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이동부재는 카트리지를 본체(1)에 장착할 때에 본체(1)에 마련된 작동부재(미도시)와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접점부(112)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카트리지가 본체(1)로부터 탈거될 때에 접점부(112)는 제1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접점부(112)는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연결부(40)가 이동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도 19a와 도 19b는 연결부(40)가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19a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9b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9a와 도 19b를 참조하면,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위치된다.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예를 들어 측부(100-2)에는 연결부(40)가 출입되는 출입구(103-1)가 마련된다. 본체(1)에는 이동부재(510)가 장착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연결부(40)는 이동부재(510)에 탑재된다. 이동부재(5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연결부(40)가 접점부(112)와 연결된 연결위치와,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로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부재(510)는 노브(520)를 구비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다. 이때, 연결부(40)는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장착한 후에 사용자는 노브(520)를 잡고 이동부재(510)를 M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연결부(40)는 출입구(103-1)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내부에 위치된 접점부(112)에 접근하며,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에 연결된 연결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탈거하기 위하여, 도 19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12)를 열고, 이동부재(510)를 M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연결부(40)는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되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연결부(40)를 연결위치와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19A and 19B are schematic plan views of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도 19a 및 도 19b에서 보호부재(132)와 삽입부(50)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보호부재(132)가 이동부재(5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토너 카트리지(100)에 보호부재(132)가 삽입되는 삽입부(5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부재(132)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에 연결되기 전에 삽입부(50)에 삽입되어 연결부(40)와 접점부(112)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40)가 해제위치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보호부재(132)와 삽입부(50)는 연결부(40) 및 접점부(112)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하는 기능을 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연결부(40)는 도어(12)의 닫힌 동작에 의하여 연결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도 20a와 도 20b는 연결부(40)가 도어(12)의 닫힌 동작과 연동되어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20a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0b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0a와 도 20b를 참조하면, 이동부재(510-1)는 그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530)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이동부재(510)와 차이가 있다. 도어(12)에는 닫힐 때에 경사부(530)에 접촉되어 미는 푸쉬 레버(12-9)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후에 도어(12)를 닫으면, 푸쉬 레버(12-9)가 경사부(530)를 민다. 그러면, 이동부재(510-1)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1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부(40)는 접점부(112)에 연결된 연결위치로 이동된다. 탄성부재(540)는 연결부(40)가 해제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부재(510-1)에 탄성력을 가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기 우하여 도어(12)를 열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부재(510-1)가 M2방향으로 이동되고, 연결부(40)는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로 복귀된다. 탄성부재(540)가 없는 경우에는 도어(12)를 열고 노브(52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10-1)를 M2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The
이상,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카트리지(400)와 분리되어 교체되는 구조에서 토너 카트리지(100)에 설치된 메모리유닛(110)의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는 토너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300)가 감광체 카트리지(200)과 분리되어 교체되는 제3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현상 카트리지(300)로 대체된다. 메모리유닛(110)은 현상 카트리지(30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상 카트리지(300)의 정보를 본체(1)로 전달한다. 메모리유닛(110)에는 현상 카트리지(300)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 예를 들어,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등과 같은 고유 정보, 각종 프로그램, 전자 서명 정보 및 사용 상태(예를 들어, 현재까지 몇 매를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 현상 카트리지(300)의 수명,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또한,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는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현상 카트리지(300)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일체로 된 제4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로 대체된다. 메모리유닛(1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정보를 본체(1)로 전달한다. 메모리유닛(11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 예를 들어,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등과 같은 고유 정보, 각종 프로그램, 전자 서명 정보 및 사용 상태(예를 들어, 현재까지 몇 매를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수명,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본체 2...현상기
11...개구부 12...도어
12-1...간섭부 13...노광기
14...전사롤러 15...정착기
21...감광드럼 22...현상롤러
23...대전롤러 24...클리닝 롤러
25...클리닝 블레이드 26...규제부재
27,...공급롤러 30...가이드 레일
40...연결부 50...삽입부
100...토너 카트리지 101....토너수용부
102...토너 공급부 103, 105...제1, 제2출입구
104, 104a...배면 커버 107...가이드 슬롯
100-30...가이드 돌기 110...메모리유닛
111...회로부 112...접점부
113...신호선 120, 120-1, 120-2...노브
120-4...경사 가이드홈 130, 130-1, 130-2, 130-3...이동 부재
132...보호부재 150, 150-1...손잡이
151...손잡이의 회동축 160...연결부재
161...가이드 포스트 171, 172...피니언
200...감광체 카트리지 300...현상 카트리지
400...이미징 카트리지1 ...
11 ... opening 12 ... door
12-1 ...
14 ...
21 ...
23 ... charging
25 ... cleaning
27, ... feed
40 ...
100 ...
102 ...
104, 104a ...
100-30 ...
111 ...
113 ...
120-4 ...
132 ...
151 ... turning shaft of the
161 ... Guide posts 171, 172 ... Pinion
200 ...
400 ... Imaging cartridge
Claims (14)
상기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돌출된 파지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에 접근된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카트리지.1. A cartridge detachably attach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A memory unit having a contact portion for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transfer information of the cartridge to the main body;
A movable member mounted on the contact portion and moved to a first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is hidden inside the cartridge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cartridge to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handle which is pivoted to a gripping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cartridge and to a first receiving position which is approached to the cartridge,
And the moving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숨겨진 후퇴 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삽입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ective member which is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hidden inside the cartridge as the contact portion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to a protruding posi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cartridge to be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Respectively.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연결부를 정렬시키는 카트리지.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ectiv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to alig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fore the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보호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접점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으로 더 돌출된 카트리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protective member is further project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tha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카트리지.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act portion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tridge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artridge,
And the protective membe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cartridge.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카트리지.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rotective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member.
상기 제1수납위치에 위치된 상기 손잡이가 수납될 수 있도록 몰입된 수납부;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immersed so that the handle located at the first receiving position can be received.
상기 손잡이의 회동운동을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유닛;을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pivotal movement of the handle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제2수납위치로 슬라이딩되는 카트리지.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handle is slid from the gripping position to a second receiving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 위치와 상기 제1수납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전환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2수납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전환유닛으로부터 해제되는 카트리지.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urning shaft of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gripping posi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osition,
And the turning shaft of the handle is released from the switching unit when the knob is located at the second receiving position.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o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toner is accommodated.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될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veloping roller;
And a to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oner to be su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is accommodated.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toner is accommodated;
A photosensitive member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And a developing roller for supplying the toner in the toner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main bod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cartridg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278A KR101564565B1 (en) | 2015-05-01 | 2015-05-01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2278A KR101564565B1 (en) | 2015-05-01 | 2015-05-01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9157A Division KR101580224B1 (en) | 2014-03-12 | 2014-03-12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860A KR20150106860A (en) | 2015-09-22 |
KR101564565B1 true KR101564565B1 (en) | 2015-10-30 |
Family
ID=5424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2278A KR101564565B1 (en) | 2015-05-01 | 2015-05-01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456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5863A (en) | 2001-06-05 | 2002-12-18 | Canon Inc |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07079284A (en) | 2005-09-15 | 2007-03-29 | Brother Ind Ltd |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3220649A (en) | 2012-04-19 | 2013-10-28 | Brother Industries Ltd | Printing fluid cartridge |
-
2015
- 2015-05-01 KR KR1020150062278A patent/KR10156456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5863A (en) | 2001-06-05 | 2002-12-18 | Canon Inc |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07079284A (en) | 2005-09-15 | 2007-03-29 | Brother Ind Ltd |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3220649A (en) | 2012-04-19 | 2013-10-28 | Brother Industries Ltd | Printing fluid cart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860A (en) | 2015-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0224B1 (en)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585058B1 (en)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20150106729A (en)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9651894B2 (en) |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9360835B2 (en) | Substrate mounting structure, developer container, image form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ubstrate mounting method | |
KR100547130B1 (en) | Electrophotographic printer | |
EP3118689B1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 |
JP2005031673A (en) | Electrophotographic printer | |
CN106527077B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oner supply device | |
KR101649277B1 (en)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20220107604A1 (en) | Cartridge unit | |
KR101564565B1 (en) |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642821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150098421A (en) | Cartridge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08732899B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oner supply device | |
JP2017215522A (en) | Container holding devic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