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405B1 -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 Google Patents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405B1
KR101564405B1 KR1020110018139A KR20110018139A KR101564405B1 KR 101564405 B1 KR101564405 B1 KR 101564405B1 KR 1020110018139 A KR1020110018139 A KR 1020110018139A KR 20110018139 A KR20110018139 A KR 20110018139A KR 101564405 B1 KR101564405 B1 KR 10156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magnetic field
sensor unit
clam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283A (ko
Inventor
김영곤
서형권
문병화
오사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1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4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Landscapes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를 개시한다. 피뢰기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는 개폐 가능한 환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피뢰기를 수용하고, 피뢰기의 누설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와 연결되어 감지된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개폐 가능한 환형으로 이루어져 센서부를 수납하고, 센서부에 인가되는 외부 자계를 차폐하는 자계 차폐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Potable Leakage Current Measurement Screening Magnetic Flux}
본 발명은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피뢰기는 변전소 및 전력설비에 여러 형태의 과전압 즉, 운전시의 과전압과 차단기의 동작으로 일어나는 차단기 써지 및 낙뢰로 인한 낙뢰 써지로부터 전력설비의 절연을 보호하기 위해 최소 절연레벨을 결정하는 중요한 전력설비 보호기기이다. 이러한 피뢰기는 지중송전케이블 접속함에 절연통 보호장치로 설치되어 이상전류 유입시 이상 전류를 통전시켜 접속함을 전기적 손상을 예방한다.
여기서 절연통 보호장치의 누설전류측정 장비 중량이 커서 휴대가 불편하고 장비의 구성품이 복잡하다. 또한, 절연통 보호장치 누설전류측정 장비는 자기차폐 케이스를 설치하는데 불편하고 잦은 고장이 발생하며, 설치 준비 및 측정에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이크로 암페어 단위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누설전류 측정기에 주변자계 차폐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단시간에 누설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를 제공한다.
피뢰기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는 내측에 피뢰기에 연결된 피뢰기 리드선을 수용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환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피뢰기의 누설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와 연결되어 감지된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로 이루어져 센서부를 수납하고, 센서부에 인가되는 외부 자계를 차폐하는 자계 차폐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 및 자계 차폐 케이스의 개폐를 조작하는 계폐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계 차폐 케이스는 퍼멀로이(permallo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는 누설 전류 측정기의 센서부에 외부의 주변자계를 차폐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자계차폐 외함을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주변자계를 차폐한 상태에서 누설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는 측정 단위 및 측정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경제적이고 경량 및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 및 자계 차폐 케이스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의 측정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 및 자계 차폐 케이스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의 측정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100)는 센서부(110), 측정부(120), 표시부(125), 개폐 조작 버튼(140) 및 자계 차폐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피뢰기(미도시)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피뢰기의 뒤에 노출된 접지선(도 3의 50)을 내측에 두고 배치된다.
센서부(110)는 제1 클램퍼(111)와 제2 클램퍼(113)를 포함한다.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 각각은 한쌍의 반원 부재로 형성된다.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는 서로 연결되어 내측에 관통홀(115)이 마련되는 원형 고리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는 힌지축(미도시)을 통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진다.
측정부(120)는 도 4를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측정부(120)는 변류기(210), 전류 변환 수단(220), 필터(230), A/D 변환 수단(240), 연산부(250), 저장부(260), 출력부(270) 및 수납 케이스(280)를 포함한다.
변류기(210)는 피뢰기에서 누설되는 누설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변환 수단(220)은 변류기(210)에 의해 측정된 피뢰기의 누설 전류를 저항성분 전류로 변환한다. 필터(230)는 전류 변환 수단(220)에서 변환된 저항성분 전류에 함유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A/D 변환 수단(240)은 필터(2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아날로그 전류 파형을 받아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연산부(250)는 A/D 변환 수단(24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전류를 받아 연산 처리한다. 저장부(260)는 연산부(250)에서 연산 처리된 신호를 저장한다. 출력부(270)는 연산부(250)에서 연산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125)로 전송한다. 수납 케이스(280)는 변류기(210), 전류 변환 수단(220), 필터(230), A/D 변환 수단(240), 연산부(250), 저장부(260) 및 출력부(270)를 수납한다. 또한, 수납 케이스(280)는 휴대를 위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측정부(120)는 마이크로 암페어 단위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0)는 초고압 송전용 케이블의 절연통 보호 장치 등에서 누설 전류의 대소 측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측정부(120)의 측정 정밀도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은 이미 널리 알려진 부분이므로 생략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25)는 측정부(120)의 수납 케이스(280)에 설치된다. 표시부(125)는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누설전류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화상으로 표시한다. 즉, 표시부(125)는 누설 전류의 측정값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125)는 LCD, LED 등의 표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조작 버튼(140)은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와 연결된다. 이러한 개폐 조작 버튼(140)은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의 개폐를 작동시킨다. 이때, 개폐 조작 버튼(140)은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 각각을 힌지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개폐시킨다.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센서부(110)를 수납한다. 이러한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제1 케이스(131) 및 제2 케이스(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케이스(131)는 제1 클램퍼(111)를 수납한다. 제2 케이스(135)는 제2 클램퍼(113)를 수납한다. 이를 위해, 제1 케이스(131) 및 제2 케이스(135) 각각은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에 상응하는 반원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케이스(131) 및 제2 케이스(135) 각각은 서로 연결되어 관통홀(115)을 마련하는 원형 고리로 형성된다. 제1 케이스(131) 및 제2 케이스(135) 각각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케이스(131) 및 제2 케이스(135) 각각은 개폐 조작 버튼(140)에 의해 개폐된다. 예를 들면, 제1 케이스(131) 및 제2 케이스(135) 각각은 제1 클램퍼(111) 및 제2 클램퍼(113)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투자율이 높고 자기 히스테리시스의 손실이 작은 우수한 자성 재료인 퍼멀로이(permalloy)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져 무게가 가벼운 차폐 케이스에 퍼멀로이 포일을 감싸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센서부(110)의 누설 전류 측정시 주변의 외부 자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면, 외부 자계가 매우 강한 전기 설비 인근에서 누설 전류를 측정할 때 센서부(110)에서 미세 누설 전류를 측정이 어려우므로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센서부(110)에 인가되는 외부 자계를 차폐한다.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100)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자계 차폐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100)의 휴대를 용이하게 만든다.
한편,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센서부(110) 뿐만 아니라 측정부(120) 및 표시부(125)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표시부(125)를 투영시키는 윈도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계 차폐 케이스(130)는 자계 차폐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는 누설 전류 측정기의 센서부에 외부의 주변자계를 차폐할 수 잇는 개폐 가능한 자계차폐 케이스를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주변자계를 차폐한 상태에서 누설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는 측정 단위 및 측정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경제적이고 경량 및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110: 센서부
120: 측정부
125: 표시부
130: 자계 차폐 케이스
140: 개폐 조작 버튼

Claims (3)

  1. 피뢰기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에 있어서,
    내측에 피뢰기에 연결된 피뢰기 리드선을 수용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환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상기 피뢰기의 누설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감지된 상기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센서부를 수납하고, 상기 센서부에 인가되는 외부 자계를 차폐하는 퍼멀로이(permalloy) 재질의 자계 차폐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반원부재로 형성된 제1 클램퍼 및 제2 클램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클램퍼 및 제2 클램퍼는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내측에 상기 피뢰기에 연결된 피뢰기 리드선을 수용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원형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퍼와 제2 클램퍼는 개폐조작버튼에 의하여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2. 삭제
  3. 삭제
KR1020110018139A 2011-02-28 2011-02-28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KR10156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139A KR101564405B1 (ko) 2011-02-28 2011-02-28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139A KR101564405B1 (ko) 2011-02-28 2011-02-28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283A KR20120098283A (ko) 2012-09-05
KR101564405B1 true KR101564405B1 (ko) 2015-10-29

Family

ID=4710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139A KR101564405B1 (ko) 2011-02-28 2011-02-28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70B1 (ko) * 2012-09-10 2018-10-01 한국전력공사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KR102071480B1 (ko) * 2019-04-23 2020-03-02 이엠코어텍 주식회사 전류 보상 장치
US11901832B2 (en) 2019-04-17 2024-02-13 Em Coretech Co., Ltd. Device for compensating for voltage or current
KR102377534B1 (ko) * 2019-04-23 2022-03-23 이엠코어텍 주식회사 전류 보상 장치
KR102453661B1 (ko) * 2020-01-10 2022-10-12 이엠코어텍 주식회사 전류 보상 장치
KR102498070B1 (ko) * 2021-04-27 2023-02-10 (주) 에스엠엔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468Y1 (ko) * 2006-09-18 2006-12-04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피뢰기 고장 원격 무선 검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468Y1 (ko) * 2006-09-18 2006-12-04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피뢰기 고장 원격 무선 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283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405B1 (ko)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US8193803B2 (en) Current measuring device
US8203328B2 (en) Current measuring device
US7638999B2 (en) Protective relay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Rogowski coil sensors
CN107132445A (zh) 一种交直流避雷器实时在线监测装置
KR20090118298A (ko) 로고스키코일을 구비하는 분할클램프식 전류센서
CN102368085A (zh) 组合式电气变量检测装置
CN202772882U (zh) 一种屏蔽式抗干扰的电力二次系统
RU89792U1 (ru) Устройство оператив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нелинейных ограничителей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WO2019194754A1 (en) Link box with built-in insulator type voltage divider and inductive partial discharge sensor
CN102288850A (zh) 氧化锌避雷器监测装置
CN101789593A (zh) 带检测功能的浪涌防护器件
CN206832917U (zh) 一种交直流避雷器在线监测装置
JPH10185961A (ja) 光変流器
CN201681115U (zh) 用于输电线杆塔接地电流检测的电流传感器
CN201430424Y (zh) 带检测功能的浪涌防护器件
CN202393863U (zh) 电力系统用故障指示器及其探头
CN112147395B (zh) 一种钳形电流表转接器及电流测量装置
JP2012141232A (ja) 配電用変圧器2次側地絡検出システム
KR102091257B1 (ko) 변전소용 피뢰기 열화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200456352Y1 (ko) 무철심형 전류센서의 전류검출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류검출 시스템
CN107765138A (zh) 一种电网监测系统
CN202196111U (zh) 氧化锌避雷器监测装置
KR101454121B1 (ko) 직류피뢰기의 열화진단을 위한 누설전류 검출장치
GB2607143A (en) Intelligent link box with early warning system for online monitoring of sheath bonding system and high voltage cable access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