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339B1 - 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 Google Patents

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339B1
KR101564339B1 KR1020140037072A KR20140037072A KR101564339B1 KR 101564339 B1 KR101564339 B1 KR 101564339B1 KR 1020140037072 A KR1020140037072 A KR 1020140037072A KR 20140037072 A KR20140037072 A KR 20140037072A KR 101564339 B1 KR101564339 B1 KR 10156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photocoupler
reference voltage
sub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3447A (en
Inventor
최원석
이원모
Original Assignee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석 filed Critical 최원석
Priority to KR102014003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339B1/en
Publication of KR2015011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4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3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Abstract

본 발명은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출력보드회로는, RS232 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D-sub 커넥터와; 접점제어용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과;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포토커플러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wherein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sub connector for connecting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A first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second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xth data set ready (DS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he outpu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input terminal has a fourth photocoup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

Figure R1020140037072
Figure R1020140037072

Description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I / 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본 발명은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쉽게 접점을 제어할 수 있는 입출력 보드회로의 구현이 가능하여 종래의 입출력 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more specifically, to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that can replace an input / output board .

일반적으로 PC에서 접점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입출력 보드회로가 필요하다. 이때 필요한 입출력 보드회로는 1쌍 또는 2쌍의 접점제어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Generally,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s required to control contact point in PC. In this case, the I / O board circuit required often requires one pair or two pairs of contact control.

그러나 시장에서 판매되는 입출력(I/O)보드는 8/8, 16/16, 8/0, 16/0 의 형태로 제작되고 판매되고 있어, 1쌍 또는 2쌍의 접점제어를 위해 8/8, 16/16, 8/0, 16/0 의 형태로 제작 판매되는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매하는 것은 비용대비 효율성이 떨어지고 사용의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input / output (I / O) boards sold in the market are manufactured and sold in the form of 8/8, 16/16, 8/0, 16/0, , 16/16, 8/0, 16/0 in the form of an I / O board circuit is costly and inefficient to use.

한편, PC에서 RS232 포트는 시리얼 통신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데스크탑 PC의 메인보드 내에는 RS232 포트가 2개 이상 장착되어 있고, 노트북의 경우에도 RS232 To USB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S232 port is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in PC, and two or more RS232 ports are installed in the main board of desktop PC, and RS232 To USB is used for notebook.

도 1은 일반적으로 RS 232 포트 또는 RS 232 포트에 접속되는 D-sub 커넥터의 단자(또는 핀)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the terminal (or pin) of a D-sub connector, which is generally connected to an RS 232 port or an RS 232 po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sub 커넥터(11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또는 핀),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또는 핀), 제5번 GND 단자(또는 핀),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또는 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또는 핀),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또는 핀),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또는 핀)을 구비하고 있다.1, the D-sub connector 110 includes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r pin), a second RXD (Received Data), a third DC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No. 4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r pin), No. 5 GND terminal (or pin), No. 6 DSR (Data Set Ready) A No. 7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r pin), an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r pin), and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r pin).

이들 단자들 중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제5번 GND 단자(또는 핀)은 RS232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나 나머지 단자들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second RXD (Received Data), the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and the fifth GND terminal (or pin) of these terminals are used for RS232 serial communication, but the remaining terminals are not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left unattend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6233호(2013.08.0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96233 (Au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that can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입출력 보드를 구매함이 없이 RS232 포트의 사용되지 않는 포트들(또는 단자들)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한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that can be implemented using unused ports (or terminals) of an RS232 port without purchasing a separate input / output boar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출력 보드의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간단한 사용이 가능한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which can reduce the purchase cost of an input / output board and is simple to use.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는,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2쌍의 접점제어를 위한 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an RS232 port and a sixth DTR And a circuit for two pairs of contact control are formed by using a first set of terminals (Set Ready) terminal,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an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s a second set .

상기 입출력보드회로는, RS232 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D-sub 커넥터와; 접점제어용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과;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포토커플러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ncludes a D-sub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A first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second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xth data set ready (DS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he outpu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input terminal has a fourth photocoup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

상기 제1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first photocoupler,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GND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nd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ND terminal, In the photocoupler,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the cath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Wherein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GND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nd a third photocoupler , And an an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DSR) And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n the fourth photocoupler,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 1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사이에는 제1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2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사이에는 제3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4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5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6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7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8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first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a fourth terminal of a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 And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nd a seventh RTS of the D-sub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 second resistor, A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a fourth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fifth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 Connector No. 6 DSR (Data Set Ready) And a second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anode of the fourth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 sixth resistor, and a third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anode of the fourth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 eighth resistan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s shown in FIG.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인 DC 24V를 가지며,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2기준전압은 DC 5~12V 일 수 있다.Wherei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has DC 24V which is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is DC 5 to 12V.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사이에는 제1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2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사이에는 제3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4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5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는 별도의 정류회로 및 제6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7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는 상기 정류회로 및 제8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first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a fourth terminal of a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 And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nd a seventh RTS of the D-sub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 second resistor, A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a fourth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fifth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 Connector No. 6 DSR (Data Set Ready) (TX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sixth resistor. The anode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 fourth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s, A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and the eighth resistor.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인 24V를 가지며, 상기 정류회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은 5~12V 일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has 24V, which is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may be 5-12V.

상기 제1저항 및 상기 제3저항은 동일한 제1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2저항, 제4저항, 제5저항 및 제7저항은 서로 동일한 제2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6저항 및 상기 제8저항은 동일한 제3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first resistor and the third resistor have the same first resistance value and the second resistor, the fourth resistor, the fifth resistor and the seventh resistor have the same second resistance value, The eighth resistor may have the same third resistance value.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 사이에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에 온되는 제1스위칭소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 사이에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에 온되는 제2스위칭 소자가 연결될 수 있다.A first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generated is connec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switching device which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generated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 사이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P채널 트랜지스터 또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 사이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P채널 트랜지스터 또는 N채널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Wherei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a P-channel transistor or an N-channel transistor for conducting or interrupt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generated,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P-channel transistor or an N-channel transistor for conducting or interrupt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generated.

상기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반파정류회로일 수 있다. The rectifying circuit may be a half-wave rectifying circuit including a diode and a capacitor.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는, RS232 포트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를 이용하여 4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가지는 접점 제어를 위한 회로를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an RS232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of an RS232 port, a fourth DTR (RTS) terminal, a 6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 7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nd a 9th RI Thereby realizing a circuit for contact control having four inputs and two outputs.

상기 입출력보드회로는, RS232 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D-sub 커넥터와;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ncludes a D-sub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n RS232 port;

접점제어용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과;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3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4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포토커플러를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A first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second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third photocoupler having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fourth photocoupler having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fifth photocoupler having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hird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he outpu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input terminal has a sixth photocoup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턴 온되는 오픈드레인 구조의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턴 온되는 오픈드레인 구조의 제2스위칭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of an open drain structure which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generated;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of an open drain structure which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generated.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은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및 접지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게이트가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이미터 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접지단자와는 제1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제1출력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2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스는 상기 접지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는, 게이트가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이미터 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접지단자와는 제3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제2출력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4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스는 상기 접지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제5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접지단자와는 상기 제1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의 게이트와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2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제6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접지단자와는 상기 제3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게이트와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3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7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4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8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5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9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3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6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10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4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further comprise a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wherei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has a gate connected directly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the drai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direct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the second resistor, and the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Wherein the gat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via a third resistor and the drain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an N-channel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wherein the N-channel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 fourth resistor, The anode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via a fifth resistor, and the cathode terminal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rou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 and the second photocoupler has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and an emitter stage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via the third resistor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photocoupler has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fourth photocoupler has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 Terminal,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fifth photocoupler has an anod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the nin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input terminal,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xth data set ready (DS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sixth photocoupler has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ten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nput terminal,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 And an emitt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sub connector Of the can be connected to the GND terminal 5 electrically.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은 제2기준전압의 외부공급을 위한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1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2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5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3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6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4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further comprise a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for external supply of a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the RI (Ring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8th CTS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n 11th resis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fth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through a second resis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sixth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 thirteenth resistor,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ixth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the D-sub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connector And contact connec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via a fourteenth resistor.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는 정류회로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내부전원 연결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가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기준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via a rectifying circuit, and the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sub When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connector is not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상기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반파정류회로일 수 있다.The rectifying circuit may be a half-wave rectifying circuit including a diode and a capacitor.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는 외부에서 제2기준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내부적으로 제2기준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may supply a second reference voltage from the outside or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to supply a second reference voltage internally.

본 발명에 따르면, RS232 포트의 사용되지 않는 단자(핀 또는 포트)들을 이용하여 입출력 보드를 구현하여 접점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RS232 포트의 사용되지 않는 포트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 output board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unused terminals (pins or ports) of the RS232 port to perform the contact control,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reduce the cost, and the unused port Is advantageous.

도 1은 일반적으로 RS 232 포트 또는 RS 232 포트에 접속되는 D-sub 커넥터의 단자(또는 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입출력 보드 회로를 이용하여 PC에서 접점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입출력 보드 회로를 이용하여 노트북에서 접점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terminal (or pin) of a D-sub connector which is generally connected to an RS 232 port or an RS 232 port,
FIG. 2 shows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nection diagram for performing contact control in a PC using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of FIG. 2,
FIG. 4 is a connection diagram for performing contact control in a notebook using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of FIG. 2,
5 shows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intending to intend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PC에서 자주 사용되는 RS 232 포트에서 사용되지 않는 포트(또는 단자,핀)를 이용하여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현하고 있다. 이하에서 '단자'는 포트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ports (or terminals, pins) not used in a RS 232 port frequently used in a PC. In the following, 'terminal'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 po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100)를 나타낸 것으로, RS232 포트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이다.FIG. 2 shows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mplemented using an RS232 po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100)는,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인,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독립적으로 접점제어를 위한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2,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RS232 port, which is a terminal not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6 sets a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s a first set,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an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s a second set, Circuit.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100)는, RS232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9핀 D-sub 커넥터(110),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를 구비한다.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100 includes a 9-pin D-sub connector 110 to be connected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Respectively.

상기 D-sub 커넥터(11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또는 핀),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또는 핀), 제5번 GND 단자(또는 핀),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또는 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또는 핀),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또는 핀),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또는 핀)를 구비한다. The D-sub connector 110 includes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r pin), a second RXD (Received Data), a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r pin), No. 5 GND terminal (or pin), No. 6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r pin), No. 7 RTS (Or pin), a CTS (Clear To Send) terminal (or pin), and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r pin).

이들 단자들 중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제5번 GND 단자(또는 핀)은 RS232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나 나머지 단자들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 The second RXD (Received Data), the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and the fifth GND terminal (or pin) of these terminals are used for RS232 serial communication, but the remaining terminals are not used .

본 발명은 RS232 포트에서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 중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접점 제어를 위한 입출력 보드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DTR) terminal and a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mong the terminals not used for RS232 communication in the RS232 port are set as the first set and the seventh RTS To Send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s the second set constitute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for contact control.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의 제1세트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의 제2세트는 각각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어 2쌍의 접점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A first set of the Data Terminal Ready (DTR) terminal of the RS232 port and a sixth set of DSR (Data Set Ready) terminals,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an eighth CTS The first and second sets of contacts can take charge of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 so that two pairs of contact control can be performed.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은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것으로, 6개의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커넥터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제2번 GND 단자(GND),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제6번 제2입력단자(IN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및 제6번 제2입력단자(IN2)의 명칭은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100)를 기준으로 호칭된 것으로, 상기 외부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3번 제1입력단자(IN1), 제4번 제2입력단자(IN2), 제5번 제1출력단자(OUT1), 및 제6번 제2출력단자(OUT2)로 호칭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six terminals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nector.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e second GND terminal GND, the third first output terminal OUT1, the fourth second output terminal OUT2, the fifth A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a sixth input terminal IN2. The names of the third output terminal OUT1, the fourth output terminal OUT2,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the sixth input terminal IN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nput /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fourth input terminal IN2,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ixth output terminal OUT2.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의 제3번 단자 내지 제6번 단자를, 편의상 상기 입출력보드회로(100)를 기준으로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및 제6번 제2입력단자(IN2)로 호칭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o sixth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output terminal OUT1, a fourth output terminal OUT2, 2 output terminal OUT2, a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a sixth input terminal IN2.

상기 제1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외부장치의 경우 24V를 가지게 되나, 경우에 따라 제1기준전압의 레벨은 12V, 5V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may have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In general, the external reference voltage may have 24 V, The level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may be changed to 12V, 5V or the like.

상기 외부장치는 PC를 이용한 접점제어가 가능한 장치로, PLC(Program Logic Controller; 미도시) 등의 외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contact using a PC, and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LC (Program Logic Controller).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1포토커플러(152)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3번 제1출력단자(OU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photocoupler 152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OUT1.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2포토커플러(154)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4번 제2출력단자(OU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second photocouler 154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output terminal (OUT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3포토커플러(156)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5번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data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4포토커플러(158)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6번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번 GND 단자(G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photocoupler 152,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DTR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of the D-sub connector 110,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n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ND terminal GND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

또한,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번 GND 단자(G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photocoupler 154,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ND terminal GND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third photocoupler 156,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control terminal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sixth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IN1 of the D-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

그리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 cathode terminal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8th CTS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D-

그리고, 입출력 신호 및 기준전압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복수의 저항들(R1,R2,R3,R4,R5,R6,R7,R8)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sistors R1, R2, R3, R4, R5, R6, R7, and R8 may be disposed for stable transmission of the input / output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즉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사이에는 제1저항(R1)이 배치되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OUT1)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나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는 제2저항(R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That is, a first resistor R1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 coupler 152 and a fourth DT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 collector terminal of the photocoupler 152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b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rough a second resistor R2 .

또한,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사이에는 제3저항(R3)이 배치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OUT2)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나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는 제4저항(R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A third resistor R3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ler 154 and a seventh RTS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b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rough a fourth resistor R4 .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사이에는 제5저항(R5)이 배치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2)와는 제6저항(R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A fifth resistor R5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a collector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2,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ixth resistor R6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2)를 통해 공급되는 제2기준전압은 DC 5~12V 일 수 있다. 이는 PC 또는 입출력 보드회로(100)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레벨이 변동가능하다. Here,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2 may be DC 5 to 12V. This may be a voltage level supplied to the PC or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100, and the level thereof may be varied as required.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2)는 별도의 GND 단자(GND)와 함께 별도의 2개의 단자를 가지는 전원공급용 커넥터(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용 커넥터(130)의 GND 단자(GND)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2 may include a separate GND terminal GND and a power supply connector 130 having two separate terminals. At this time, the GND terminal (GND) of the power supply connector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그리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사이에는 제7저항(R7)이 배치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2)와는 제8저항(R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 seventh resistor R7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the collector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eighth resistor R8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2. And may have an electrically connected configuration.

여기서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3저항(R3)은 각각 제1저항값(예를 들면, 470Ω)을 가지고, 상기 제2저항(R2),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7저항(R7)은 각각 제2저항값(예를 들면, 3kΩ)을 가지고, 상기 제6저항(R6) 및 상기 제8저항(R8)은 각각 제3저항값(예를 들면, 470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저항값, 상기 제2저항값, 상기 제3저항값은 상기 제1기준전압 및 상기 제2기준전압의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third resistor R3 each have a first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470?), And the second resistor R2, the fourth resistor R4, The third resistor R5 and the seventh resistor R7 each have a secon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3 kΩ), and the sixth resistor R6 and the eighth resistor R8 have a thir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470 [Omega]). The first resistance value, the second resistance value, and the third resistance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6개의 단자(핀)들을 가지는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을 접점 제어용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2) 및 별도의 GND 단자(GND)를 가지는 케이블 또는 커넥터(130)를 제2기준전압 공급용으로 사용하고, 원래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었던 RS232 포트의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제5번 GND 단자(또는 핀)와 직접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커넥터(140)를 RS 232 시리얼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having six terminals (pins) are used for contact control,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2 and the The cable or connector 130 having the GND terminal GND of the RS232 port is used for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and the second RXD (Received Data) of the RS232 port originally used for the RS232 communication, the third TXD It is possible to use a cable or a connector 140 directly connected to the data terminal (or pin) and the fifth GND terminal (or pin) for the RS 232 serial commun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100)는 RS232포트를 탑재하고 있는 데스크탑 PC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sub 커넥터(110)를 데스크탑 PC에 직접 접속하여 접점 제어 동작이 가능하고, RS232포트를 탑재하지 않는 노트북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RS232 시리얼 통신에 사용되는 RS232 to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노트북과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100)를 접속함에 의해 접점 제어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의 경우는 외부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입출력 단자들이 정의되어 있다.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sub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 desktop PC The RS232 to USB cable used for the conventional RS232 serial communication is used to connect the notebook PC and the input / output board By connecting the circuit 100, the contact control operation becomes possible. 3 and 4, input and output terminals are defined with reference to an external device.

이하 접점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act contro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상기 D-sub 커넥터(110)를 PC나 노트북에 접속하고,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은 접점제어를 위한 외부장치에 접속한다. 그리고,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에는 DC 24V를 공급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2)에는 DC 5~12V를 공급한다.First, the D-sub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 PC o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DC 24V is suppli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DC 5-12V is suppli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2.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오프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는 상기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1출력상태 또는 제1입력상태)가 된다.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off when the fourth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in an off state,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UT1. However, since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in the ON state when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n, 1 output terminal OUT1 is in an ON state (first output state or first in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한편,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는 상기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2출력상태 또는 제2입력상태)가 된다. Meanwhile, since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in an OFF state when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in the OFF state,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However, since the second photocouler 154 is turned on when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n,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turned on, The output terminal OUT2 is in a turned-on state (second output state or second in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Out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온 상태(제1입력단자(IN1)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1입력상태 또는 제1출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off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ff state, the D-sub connector 1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turned on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or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ON state (the first input state or the first output state).

한편,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온 상태(제2입력단자(IN2)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2입력상태 또는 제2출력상태)가 된다. Meanwhile, since the fourth photocoupler 158 is off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off, the D-sub connector 1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he fourth photocoupler 158 is turned on The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turned on (the second input state or the second out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상술한 바와 같이,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의 제1세트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의 제2세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현함에 의해 2쌍의 접점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set of the Data Terminal Ready (DTR) terminal and the sixth set of DSR (Data Set Ready) terminals of the RS232 port,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the eighth CTS Output board circuit using the second set of terminals for the clear to send terminals.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200)는 RS232 포트의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제5번 GND 단자(또는 핀)를 이용하여 RS232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접점 제어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포토커플러들의 구동 등을 위해 외부에서 외부전원(즉 제2기준전압)을 인가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외부전원을 대체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하 설명한다.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 RXD (Received Data),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of the RS232 port, (Or a pin) for performing RS232 serial communication and contact control is also possible. However, the disadvantage of externally applying an external power supply (i.e., a second reference voltage) for driving the photocouplers have.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re has been a need to replace the external power source.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200)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100)와 달리 내부적으로 제2기준전압(REF2)을 발생시켜 이용하고 있다.5,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REF2 internally, unlike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200)는,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인,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2쌍의 접점제어를 위한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5,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RS232 port, which is a terminal not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6 sets the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s the first set, the 7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s the second set, .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200)는, RS232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9핀 D-sub 커넥터(110),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를 구비한다.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200 includes a 9-pin D-sub connector 110 to be connected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Respectively.

상기 D-sub 커넥터(11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또는 핀),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또는 핀), 제5번 GND 단자(또는 핀),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또는 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또는 핀),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또는 핀),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또는 핀)를 구비한다. The D-sub connector 110 includes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r pin), a second RXD (Received Data), a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r pin), No. 5 GND terminal (or pin), No. 6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r pin), No. 7 RTS (Or pin), a CTS (Clear To Send) terminal (or pin), and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r pin).

이들 단자들 중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제5번 GND 단자(또는 핀)은 RS232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나 나머지 단자들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 The second RXD (Received Data), the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and the fifth GND terminal (or pin) of these terminals are used for RS232 serial communication, but the remaining terminals are not used .

본 발명은 RS232 포트에서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 중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접점 제어를 위한 입출력 보드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DTR) terminal and a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mong the terminals not used for RS232 communication in the RS232 port are set as the first set and the seventh RTS To Send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s the second set constitute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for contact control.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의 제1세트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의 제2세트는 각각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어 2쌍의 접점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A first set of the Data Terminal Ready (DTR) terminal of the RS232 port and a sixth set of DSR (Data Set Ready) terminals,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an eighth CTS The first and second sets of contacts can take charge of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 so that two pairs of contact control can be performed.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은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것으로, 6개의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커넥터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제2번 GND 단자(GND),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제6번 제2입력단자(IN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및 제6번 제2입력단자(IN2)의 명칭은 상기 입출력보드회로(200)를 기준으로 호칭된 것으로, 상기 외부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3번 제1입력단자(IN1), 제4번 제2입력단자(IN2), 제5번 제1출력단자(OUT1), 및 제6번 제2입출력단자(OUT2)로 호칭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six terminals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nector.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e second GND terminal GND, the third first output terminal OUT1, the fourth second output terminal OUT2, the fifth A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a sixth input terminal IN2. The names of the third output terminal OUT1, the fourth output terminal OUT2,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the sixth input terminal IN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nput /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fourth input terminal IN2,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the fifth input terminal IN2 are referred to as a reference based on the board circuit 200, Th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ixth input / output terminal OUT2.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의 제3번 단자 내지 제6번 단자를, 편의상 상기 입출력보드회로(200)를 기준으로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및 제6번 제2입력단자(IN2)로 호칭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o sixth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output terminal OUT1, a fourth output terminal OUT2, 2 output terminal OUT2, a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a sixth input terminal IN2.

상기 제1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외부장치의 경우 24V를 가지게 되나, 경우에 따라 제1기준전압의 레벨은 12V 또는 5V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may have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In general, the external reference voltage may have 24 V, The level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may be changed to 12V or 5V.

상기 외부장치는 PC를 이용한 접점제어가 가능한 장치로, PLC(Program Logic Controller; 미도시) 등의 외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contact using a PC, and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LC (Program Logic Controller).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1포토커플러(152)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3번 제1출력단자(OU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photocoupler 152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OUT1.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2포토커플러(154)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4번 제2출력단자(OU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second photocouler 154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output terminal (OUT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3포토커플러(156)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5번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data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4포토커플러(158)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6번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번 GND 단자(G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photocoupler 152,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DTR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of the D-sub connector 110,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n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ND terminal GND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

또한,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번 GND 단자(G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photocoupler 154,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ND terminal GND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third photocoupler 156,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control terminal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sixth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IN1 of the D-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

그리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 cathode terminal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8th CTS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D-

그리고, 입출력 신호 및 기준전압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복수의 저항들(R1,R2,R3,R4,R5,R6,R7,R8)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sistors R1, R2, R3, R4, R5, R6, R7, and R8 may be disposed for stable transmission of the input / output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즉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사이에는 제1저항(R1)이 배치되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OUT1)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나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는 제2저항(R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That is, a first resistor R1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 coupler 152 and a fourth DT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 collector terminal of the photocoupler 152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b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rough a second resistor R2 .

또한,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사이에는 제3저항(R3)이 배치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OUT2)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나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는 제4저항(R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A third resistor R3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ler 154 and a seventh RTS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b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rough a fourth resistor R4 .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사이에는 제5저항(R5)이 배치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 별도의 정류회로(150) 및 제6저항(R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A fifth resistor R5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a collector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 separate rectifying circuit 150 ) And a sixth resistor (R6).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collector) 단자가 외부에서 제2기준전압를 공급받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2)와 연결되는 구성을 가졌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는 외부에서 제2기준전압을 공급받지 않고 내부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collector) 단자 사이에 별도의 정류회로(150)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준전압을 PC에 접속되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connected to a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2 separately provided for receiving a second reference voltage from the outside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third photocoupler 156 A separate rectifying circuit 150 is form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s of the transistors Q1 and Q2. According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connected to the PC.

이를 위해,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에는 보 레이트(baud rate)를 600~1200 로 하여 지속적인 데이터 입력(또는 출력)을 해주어야 한다.To this e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must continuously input data (or output) at a baud rate of 600 to 1200.

예를 들어, '10101010' 또는 '01010101'비트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output '10101010' or '01010101' bit data.

상기 정류회로(150)는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를 구비하는 반파정류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정류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The rectifier circu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half-wave rectifier circuit including a diode D1 and a capacitor C1, but a rectifier circuit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used.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대략 10~12V의 전압레벨을 가지므로, 이를 반파정류하면, 대략 5~6V의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전압레벨만으로도 RS232 포트 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통한 온/오프 인식이 가능하다. Since the data output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has a voltage level of approximately 10-12V, if the half-wave rectification is performed, the voltage of approximately 5-6V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on / off state through the RS232 port or the data set ready (DSR)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with only the voltage level.

RS232 포트 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통한 온/오프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다른 전파 정류회로 등의 다른 정류회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명백하다.Another rectification circuit such as another full-wave rectification circuit for increasing the on / off recognition rate through the RS232 port or the 6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 It is clear tha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circuit.

그리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사이에는 제7저항(R7)이 배치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 별도의 정류회로(150) 및 제8저항(R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정류회로(150)와의 사이에 상기 제8저항(R8)이 연결되게 된다.A seventh resistor R7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the collector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Circuit 150 and the eighth resistor R8. Specifically, the eighth resistor (R8) is connect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d the rectifying circuit (150).

이에 따라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지속적인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정류회로(150)를 통해 정류되어, 제6저항(R6)을 통해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 단자에 공급되고, 제8저항(R8)을 통해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콜렉터 단자에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inuous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rectifi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150, and the third photocoupler 156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through the eighth resistor R8.

여기서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3저항(R3)은 각각 제1저항값(예를 들면, 470Ω)을 가지고, 상기 제2저항(R2),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7저항(R7)은 각각 제2저항값(예를 들면, 3kΩ)을 가지고, 상기 제6저항(R6) 및 상기 제8저항(R8)은 각각 제3저항값(예를 들면, 470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저항값, 상기 제2저항값, 상기 제3저항값은 상기 제1기준전압 및 상기 제2기준전압의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third resistor R3 each have a first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470?), And the second resistor R2, the fourth resistor R4, The third resistor R5 and the seventh resistor R7 each have a secon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3 kΩ), and the sixth resistor R6 and the eighth resistor R8 have a thir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470 [Omega]). The first resistance value, the second resistance value, and the third resistance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6개의 단자(핀)들을 가지는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을 접점 제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이 없이도 접점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다만 원래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었던 RS232 포트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를 제2기준전압 공급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RS232 시리얼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having six terminals (pins) can be used for contact control, and contact control can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ower supply. Effect. However, since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of the RS232 port used for the original RS232 communication is used for supplying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he RS232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can not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200)는 RS232포트를 탑재하고 있는 데스크탑 PC의 경우에는 상기 D-sub 커넥터(110)를 데스크탑 PC에 직접 접속하여 접점 제어 동작이 가능하고, RS232포트를 탑재하지 않는 노트북의 경우에는 종래의 RS232 시리얼 통신에 사용되는 RS232 to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노트북과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200)를 접속함에 의해 접점 제어동작이 가능하게 된다.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connect the D-sub connector 110 to the desktop PC in the case of a desktop PC having an RS232 port, In the case of a notebook PC not equipped with an RS232 port, a contact control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he notebook PC and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200 using an RS232 to USB cable used for conventional RS232 serial communication.

이하 접점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act contro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상기 D-sub 커넥터(110)를 PC나 노트북에 접속하고,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은 접점제어를 위한 외부장치에 접속한다. 그리고,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에는 DC 24V를 공급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에는 보 레이트(baud rate)를 600~1200 로 하여 지속적인 데이터 입력(또는 출력)을 해주어 제2기준전압을 공급한다.First, the D-sub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 PC o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In addition, DC 24V is suppli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the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supplied with a continuous data input Output) to supp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오프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는 상기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1출력상태 또는 제1입력상태)가 된다.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off when the fourth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in an off state,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UT1. However, since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in the ON state when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n, 1 output terminal OUT1 is in an ON state (first output state or first in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한편,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는 상기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2출력상태 또는 제2입력상태)가 된다. Meanwhile, since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in an OFF state when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in the OFF state,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However, since the second photocouler 154 is turned on when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n,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turned on, The output terminal OUT2 is in a turned-on state (second output state or second in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온 상태(제1입력단자(IN1)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1입력상태 또는 제1출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off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ff state, the D-sub connector 1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turned on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or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ON state (the first input state or the first output state).

한편,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온 상태(제2입력단자(IN2)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2입력상태 또는 제2출력상태)가 된다. Meanwhile, since the fourth photocoupler 158 is off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off, the D-sub connector 1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he fourth photocoupler 158 is turned on The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turned on (the second input state or the second out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상술한 바와 같이,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의 제1세트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의 제2세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현함에 의해 2쌍의 접점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set of the Data Terminal Ready (DTR) terminal and the sixth set of DSR (Data Set Ready) terminals of the RS232 port,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the eighth CTS Output board circuit using the second set of terminals for the clear to send terminals.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300)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200)의 경우와 달리, 포토커플러(152,154)의 출력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의 입력신호로 직접 사용하지 않고 상기 포토커플러(152,154)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들(Q1,Q2)를 제어하여, 상기 입출력보드회로(300)의 출력신호(OUT1,OUT2)를 발생하는 구조로 구현되었다.Output board circui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ase of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signals of the photocouplers 152 and 154 Output boards OUT1 and OUT2 of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300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s Q1 and Q2 us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photocouplers 152 and 154 without directly using the input signals of the external device ), Respectively.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300)는,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인,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2쌍의 접점제어를 위한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6,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RS232 port, which is a terminal not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6 sets the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s the first set, the 7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s the second set, .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300)는, RS232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9핀 D-sub 커넥터(110),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를 구비한다.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300 includes a 9-pin D-sub connector 110 to be connected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Respectively.

상기 D-sub 커넥터(11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또는 핀),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또는 핀), 제5번 GND 단자(또는 핀),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또는 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또는 핀),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또는 핀),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또는 핀)를 구비한다. The D-sub connector 110 includes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r pin), a second RXD (Received Data), a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r pin), No. 5 GND terminal (or pin), No. 6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r pin), No. 7 RTS (Or pin), a CTS (Clear To Send) terminal (or pin), and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r pin).

이들 단자들 중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제5번 GND 단자(또는 핀)은 RS232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나 나머지 단자들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 The second RXD (Received Data), the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and the fifth GND terminal (or pin) of these terminals are used for RS232 serial communication, but the remaining terminals are not used .

본 발명은 RS232 포트에서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 중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접점 제어를 위한 입출력 보드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DTR) terminal and a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mong the terminals not used for RS232 communication in the RS232 port are set as the first set and the seventh RTS To Send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as the second set constitute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for contact control.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의 제1세트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의 제2세트는 각각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어 2쌍의 접점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A first set of the Data Terminal Ready (DTR) terminal of the RS232 port and a sixth set of DSR (Data Set Ready) terminals,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an eighth CTS The first and second sets of contacts can take charge of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 so that two pairs of contact control can be performed.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은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것으로, 6개의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커넥터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제2번 GND 단자(GND),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제6번 제2입력단자(IN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및 제6번 제2입력단자(IN2)의 명칭은 상기 입출력보드회로(300)를 기준으로 호칭된 것으로, 상기 외부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3번 제1입력단자(IN1), 제4번 제2입력단자(IN2), 제5번 제1출력단자(OUT1), 및 제6번 제2출력단자(OUT2)로 호칭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six terminals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nector.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e second GND terminal GND, the third first output terminal OUT1, the fourth second output terminal OUT2, the fifth A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a sixth input terminal IN2. The names of the third output terminal OUT1, the fourth output terminal OUT2,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the sixth input terminal IN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nput /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fourth input terminal IN2, the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the fifth input terminal IN2 are referred to as a reference based on the board circuit 300. When the external device is used as a reference,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ixth output terminal OUT2.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의 제3번 단자 내지 제6번 단자를, 편의상 상기 입출력보드회로(300)를 기준으로 제3번 제1출력단자(OUT1), 제4번 제2출력단자(OUT2), 제5번 제1입력단자(IN1), 및 제6번 제2입력단자(IN2)로 호칭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o sixth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OUT1, the fourth output terminal OUT2, 2 output terminal OUT2, a fifth input terminal IN1, and a sixth input terminal IN2.

상기 제1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외부장치의 경우 24V를 가지게 되나, 경우에 따라 제1기준전압의 레벨은 12V 또는 5V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may have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In general, the external reference voltage may have 24 V, The level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may be changed to 12V or 5V.

상기 외부장치는 PC를 이용한 접점제어가 가능한 장치로, PLC(Program Logic Controller; 미도시) 등의 외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contact using a PC, and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LC (Program Logic Controller).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1포토커플러(152)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1출력단자(OU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photocoupler 152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2포토커플러(154)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출력단자(OU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second photocouler 154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3포토커플러(156)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data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상기 제1 내지 제4포토커플러(152,154,156,158) 중 제4포토커플러(158)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of the first to fourth photocouplers 152, 154, 156 and 15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와 제1스위칭소자(Q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번 GND 단자(G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photocoupler 152,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DTR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of the D-sub connector 110,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ND terminal GND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ND terminal GND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

구체적으로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OUT) 사이에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출력신호 발생시에 온(On)되는 제1스위칭소자(Q1)가 연결된다. 상기 제1스위칭소자(Q1)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연결되고, 소오스 단자가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스위칭소자(Q1)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출력신호 발생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상기 제1출력단자(In1) 사이를 도통시켜 상기 제1기준전압이 상기 제1출력단자(OUT1)로 공급되도록 한다.Specifically, a first switching element (ON)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genera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152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 Q1) are connected.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has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152,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conduc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In1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generated, And is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상기 제1스위칭소자(Q1)는 P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N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스위칭 소자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may be a P-channel transistor, but it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Alternatively, other switching devic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applied.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와 제2스위칭소자(Q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2번 GND 단자(G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second photocoupler 154,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sub connector 110, And an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ND terminal GND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

구체적으로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OUT2)사이에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4)의 출력신호 발생시에 온(On)되는 제2스위칭소자(Q2)가 연결된다. 상기 제2스위칭소자(Q2)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연결되고, 소오스 단자가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스위칭소자(Q2)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출력신호 발생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상기 제2출력단자(OUT2) 사이를 도통시켜 상기 제1기준전압이 상기 제2출력단자(OUT2)로 공급되도록 한다.Specifically, a second switching element (on)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154 is generat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ler 154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Q2) are connecte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has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a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ler 154,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conduc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generated so that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is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상기 제2스위칭소자(Q2)는 P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N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스위칭 소자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may be a p-channel transistor, but it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Alternatively, other switching devic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applied.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third photocoupler 156,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control terminal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sixth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IN1 of the D-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

그리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a cathode terminal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8th CTS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nd the emitter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D-

그리고, 입출력 신호 및 기준전압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복수의 저항들(R1,R2,R3,R4,R5,R6,R7,R8)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sistors R1, R2, R3, R4, R5, R6, R7, and R8 may be disposed for stable transmission of the input / output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즉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사이에는 제1저항(R1)이 배치되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는 제2저항(R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That is, a first resistor R1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 coupler 152 and a fourth DT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photocoupler 15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rough the second resistor R2.

또한,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사이에는 제3저항(R3)이 배치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와는 제4저항(R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A third resistor R3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ler 154 and a seventh RTS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hrough the fourth resistor R4.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사이에는 제5저항(R5)이 배치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 별도의 정류회로(150) 및 제6저항(R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A fifth resistor R5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a collector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 separate rectifying circuit 150 ) And a sixth resistor (R6).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외부에서 제2기준전압을 공급받지 않고 내부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collector) 단자 사이에 별도의 정류회로(150)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준전압을 PC에 접속되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ternally without receiving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from the outside,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156. The rectifier circuit 150 is a rectifier circuit. According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connected to the PC.

이를 위해,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에는 보 레이트(baud rate)를 600~1200 로 하여 지속적인 데이터 입력(또는 출력)을 해주어야 한다.To this e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must continuously input data (or output) at a baud rate of 600 to 1200.

예를 들어, '10101010' 또는 '01010101'비트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output '10101010' or '01010101' bit data.

상기 정류회로(150)는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가 연결된 반파정류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정류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The rectifier circu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half-wave rectifier circuit in which a diode D1 and a capacitor C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a rectifier circuit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used.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대략 10~12V의 전압레벨을 가지므로, 이를 반파정류하면, 대략 5~6V의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전압레벨만으로도 RS232 포트 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통한 온/오프 인식이 가능하다. Since the data output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has a voltage level of approximately 10-12V, if the half-wave rectification is performed, the voltage of approximately 5-6V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on / off state through the RS232 port or the data set ready (DSR)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with only the voltage level.

RS232 포트 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통한 온/오프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다른 전파 정류회로 등의 다른 정류회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명백하다.Another rectification circuit such as another full-wave rectification circuit for increasing the on / off recognition rate through the RS232 port or the 6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nd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 It is clear tha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circuit.

그리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 사이에는 제7저항(R7)이 배치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 별도의 정류회로(150) 및 제8저항(R8)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정류회로(150)와의 사이에 상기 제8저항(R8)이 연결되게 된다.A seventh resistor R7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the collector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electrically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a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Circuit 150 and the eighth resistor R8. Specifically, the eighth resistor (R8) is connected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and the rectifying circuit (150).

이에 따라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지속적인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정류회로(150)를 통해 정류되어, 제6저항(R6)을 통해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의 콜렉터 단자에 공급되고, 제8저항(R8)을 통해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의 콜렉터 단자에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inuous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rectifi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150, and the third photocoupler 156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158 through the eighth resistor R8.

여기서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3저항(R3)은 각각 제1저항값(예를 들면, 470Ω)을 가지고, 상기 제2저항(R2), 제4저항(R4), 제5저항(R5) 및 제7저항(R7)은 각각 제2저항값(예를 들면, 3kΩ)을 가지고, 상기 제6저항(R6) 및 상기 제8저항(R8)은 각각 제3저항값(예를 들면, 470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저항값, 상기 제2저항값, 상기 제3저항값은 상기 제1기준전압 및 상기 제2기준전압의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third resistor R3 each have a first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470?), And the second resistor R2, the fourth resistor R4, The third resistor R5 and the seventh resistor R7 each have a secon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3 kΩ), and the sixth resistor R6 and the eighth resistor R8 have a thir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470 [Omega]). The first resistance value, the second resistance value, and the third resistance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6개의 단자(핀)들을 가지는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을 접점 제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이 없이도 접점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스위칭소자(Q1) 및 제2스위칭소자(Q2)를 통해 신호전송을 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있는 입출력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원래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었던 RS232 포트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를 제2기준전압 공급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RS232 시리얼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having six terminals (pins) can be used for contact control, and contact control can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ower supply. Effect. In addition, since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more stable and reliabl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However, since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of the RS232 port used for the original RS232 communication is used for supplying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he RS232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can not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300)는 RS232포트를 탑재하고 있는 데스크탑 PC의 경우에는 상기 D-sub 커넥터(110)를 데스크탑 PC에 직접 접속하여 접점 제어 동작이 가능하고, RS232포트를 탑재하지 않는 노트북의 경우에는 종래의 RS232 시리얼 통신에 사용되는 RS232 to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노트북과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300)를 접속함에 의해 접점 제어동작이 가능하게 된다.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D-sub connector 110 directly to the desktop PC in the case of a desktop PC having an RS232 port, In the case of a notebook that does not have an RS232 port, the contact control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he notebook PC and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300 using an RS232 to USB cable used for conventional RS232 serial communication.

이하 접점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act contro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상기 D-sub 커넥터(110)를 PC나 노트북에 접속하고, 복수의 제어단자들(120)은 접점제어를 위한 외부장치에 접속한다. 그리고,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REF1)에는 DC 24V를 공급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에는 보 레이트(baud rate)를 600~1200 로 하여 지속적인 데이터 입력(또는 출력)을 해주어 제2기준전압을 공급한다.First, the D-sub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 PC o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In addition, DC 24V is suppli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1, and the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supplied with a continuous data input Output) to supp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오프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의 게이트단자에는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제1스위칭소자(Q1)가 오프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152)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제1스위칭 소자(Q1)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는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어 온 상태(제1출력상태 또는 제1입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off when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ff, the gate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is connected to the first The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urn off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so that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turned off. However, since the first photocoupler 152 is in the ON state when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N,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is in the ON state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the first output state or the first input state).

상기 제1스위칭소자(Q1)가 N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오프상태에서는, 제1스위칭소자(Q1)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제1출력단자(OUT1)가 오프상태가 되고,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제1스위칭소자(Q1)가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제1출력단자(OUT1)가 온 상태(제1출력상태 또는 제1입력상태)가 된다.Wh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composed of an N-channel transistor, when the fourth data terminal ready (DTR)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turned on And a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to turn off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fourth terminal DTR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turned off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so that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is turned on State or first input state).

한편,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제2스위칭소자(Q2)의 게이트단자에는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제2스위칭소자(Q2)가 오프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 또한 오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154)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제2스위칭 소자(Q2)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는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어 온 상태(제2출력상태 또는 제2입력상태)가 된다. Meanwhile, since the second photocoupler 154 is off when the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ff, the gate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urn off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so that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also turned off. However, when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on, the second photocouler 154 is in an on state, and thus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is in an on state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the second output state or the second input state).

상기 제2스위칭소자(Q2)가 N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오프상태에서는, 제2스위칭소자(Q2)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제2출력단자(OUT2)가 오프상태가 되고,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제2스위칭소자(Q2)가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제2출력단자(OUT2)가 온 상태(제2출력상태 또는 제2입력상태)가 된다.Wh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composed of an N-channel transistor, when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in the off stat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turned on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2 is turned off by supplying a first reference voltage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and the seventh RTS of the D-sub connector 110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turned off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so that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is turned on State or a second input state).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1입력단자(IN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온 상태(제1입력단자(IN1)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156)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1입력상태 또는 제1출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off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ff state, the D-sub connector 1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third photocoupler 156 is turned on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or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ON state (the first input state or the first output state).

한편,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120) 중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온 상태(제2입력단자(IN2)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158)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1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2입력상태 또는 제2출력상태)가 된다. Meanwhile, since the fourth photocoupler 158 is off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off, the D-sub connector 1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120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he fourth photocoupler 158 is turned on The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110 is turned on (the second input state or the second out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상술한 바와 같이,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의 제1세트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의 제2세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현함에 의해 2쌍의 접점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set of the Data Terminal Ready (DTR) terminal and the sixth set of DSR (Data Set Ready) terminals of the RS232 port,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the eighth CTS Output board circuit using the second set of terminals for the clear to send terminals.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는 원래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었던 RS232 포트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를 제2기준전압 공급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RS232 시리얼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of the RS232 port used for the original RS232 communication is used for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he RS232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done.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400)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300)의 경우와 달리, RS232 시리얼 통신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제2기준전압을 공급하고 RS232 시리얼 통신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RS232 포트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를 제2기준전압 공급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이외에 접점제어를 위해 입력단자는 4개, 출력단자는 2개를 가지는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현하고 있다.7 is a block diagram of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S232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is used (TXD) terminal (or pin) of the RS232 port is used for supplying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whe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RS232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is not used .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s implemented with four input terminals and two output terminals for contact contro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보드회로(400)는,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인, RS232 포트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를 이용하여 4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가지는 접점 제어를 위한 회로를 구현한 것이다.7,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of the RS232 port, which is a terminal not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Data Set Ready) terminal, a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 CTS (Clear To Send) terminal, and a 9th RI ) Terminal to implement a circuit for contact control with four inputs and two outputs.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400)는, RS232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9핀 D-sub 커넥터(410),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420,430),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 제1스위칭 소자(Q1) 및 제2스위칭 소자(Q2)를 구비한다.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400 includes a 9-pin D-sub connector 410 to be connected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420 and 43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A first switching device Q1, and a second switching device Q2.

상기 D-sub 커넥터(11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또는 핀),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또는 핀), 제5번 GND 단자(또는 핀),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또는 핀),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또는 핀),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또는 핀),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또는 핀)를 구비한다. The D-sub connector 110 includes a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r pin), a second RXD (Received Data), a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r pin), No. 5 GND terminal (or pin), No. 6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r pin), No. 7 RTS (Or pin), a CTS (Clear To Send) terminal (or pin), and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r pin).

이들 단자들 중 제2번 RXD(Received Data),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제5번 GND 단자(또는 핀)은 RS232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나 나머지 단자들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 The second RXD (Received Data), the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and the fifth GND terminal (or pin) of these terminals are used for RS232 serial communication, but the remaining terminals are not used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단자들인, RS232 포트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를 이용하여 4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가지는 접점 제어를 위한 회로를 구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of the RS232 port,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the sixth DSR (RTS) terminal, a set-ready terminal, a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 CTS (clear to send) terminal, and a 9th RI The circuit for the control is implemented.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420,430)은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것으로, 8개의 단자들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420)와, 상기 D-sub 커넥터(110)의 RXD(Received Data),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GND 단자(또는 핀)과 연결되어 RS232 시리얼 통신을 위한 RXD(Received Data),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GND 단자(또는 핀)의 3개의 단자와,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 및 내부전원연결단자(INT)를 구비하는 제2커넥터(430)로 구분된다.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420 and 43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include a first connector 420 having eight terminals and a second connector 420 having an RXD (Received Data), TXD (Transmitted (Or receive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and GND terminal (or pin) for RS232 serial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data terminal (or pin) and GND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or 430 having a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and an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NT.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는 제2기준전압의 외부공급을 위한 것으로, 대략 5~6V 레벨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is for external supply of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may have a level of about 5 to 6V.

상기 제1커넥터(420)는 제1번 제1출력단자(OUT1), 제번 제2출력단자(OUT2), 제3번 제1입력단자(IN1), 제4번 제2입력단자(IN2), 제5번 제3입력단자(IN3), 제6번 제4입력단자(IN4), 제7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 및 접지단자(EXT-)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420 includes a first output terminal OUT1, a second output terminal OUT2, a third input terminal IN1, a fourth input terminal IN2, A fifth input terminal IN3, a sixth input terminal IN4, a seventh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and a ground terminal EXT-.

여기서 제1출력단자(OUT1),제2출력단자(OUT2), 제1입력단자(IN1), 제2입력단자(IN2), 제3입력단자(IN3), 제4입력단자(IN4)의 명칭은 상기 입출력보드회로(400)를 기준으로 호칭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420,430)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바뀌어 호칭될 수 있다..Here, the names of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he third input terminal IN3, and the fourth input terminal IN4 Output board circuit 400. When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420 and 430 is used as a reference,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being replac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제1번 단자 내지 제6번 단자를, 편의상 상기 입출력보드회로(400)를 기준으로 제1번 제1출력단자(OUT1), 제번 제2출력단자(OUT2), 제3번 제1입력단자(IN1), 제4번 제2입력단자(IN2), 제5번 제3입력단자(IN3), 제6번 제4입력단자(IN4)로 호칭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sixth terminals of the first connector 4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1, respectively, A fourth input terminal IN2, a fourth input terminal IN3, and a sixth input terminal IN4, as shown in FIG. do.

상기 제6번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외부장치의 경우 24V를 가지게 되나, 경우에 따라 제1기준전압의 레벨은 12V 또는 5V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sixth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may have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In general, the external reference voltage may have 24 V, The level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may be changed to 12V or 5V.

상기 외부장치는 PC를 이용한 접점제어가 가능한 장치로, PLC(Program Logic Controller; 미도시) 등의 외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contact using a PC, and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LC (Program Logic Controller).

상기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 중 제1포토커플러(451)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제1번 제1출력단자(OU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photocoupler 451 of th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first connector (420).

상기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 중 제2포토커플러(452)는,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제2번 제2출력단자(OU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econd photocoupler 452 of th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has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DTR terminal (Data Terminal Ready)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first connector (420).

상기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 중 제3포토커플러(453)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제3번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453 of th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input terminal IN1 of the first connector 420.

상기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 중 제4포토커플러(454)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제4번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454 of th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nput terminal (IN2) of the first connector (420).

상기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 중 제5포토커플러(455)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제5번 제3력단자(IN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fifth photocoupler 455 of th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terminal (IN3) of the first connector (420).

상기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 중 제6포토커플러(456는,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제6번 제4력단자(IN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sixth photocoupler 456 of th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fourth terminal IN4 of the first connector 420. [

상기 제1스위칭 소자(Q1)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451)의 출력신호 발생시 턴 온되는 오픈드레인 구조의 N채널 트랜지스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of an open drain structure that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451 is generated.

상기 제2스위칭 소자(Q2)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452)의 출력신호 발생시 턴 온되는 오픈드레인 구조의 N채널 트랜지스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having an open drain structure that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452 is generated.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스위칭소자(Q1)는, 게이트가 상기 제1포토커플러(451)의 이미터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420)의 접지단자(EXT-)와는 제1저항(R1)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제1출력단자(OUT1)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는 제2저항(R2)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스는 상기 접지단자(EX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채널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has a g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451 and a ground terminal EXT- of the first connector 420 And the drain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via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source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EXT-.

상기 제2스위칭소자(Q2)는, 게이트가 상기 제2포토커플러(452)의 이미터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연결되고 상기 접지단자(EXT-)와는 제3저항(R3)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제2출력단자(OUT2)와는 전기적으로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는 제4저항(R4)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스는 상기 접지단자(EX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채널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has a gat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45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EXT- via a third resistor R3. And a drain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via a fourth resistor R4, and a source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Channel transis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istor EXT-.

상기 제1 내지 제6포토커플러(451,452,453,454,455,456)의 경우에도, 구체적으로 연결구조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case of the first to sixth photocouplers 451, 452, 453, 454, 455 and 456, the connection structure is expressed as follows.

상기 제1포토커플러(451)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제5저항(R5)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접지단자(EXT-)와는 상기 제1저항(R1)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의 게이트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4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via a fifth resistor R5,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EXT- via the first resistor R1 and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gat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상기 제2포토커플러(452)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는 제6저항(R6)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접지단자(EXT-)와는 상기 제3저항(R3)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Q2)의 게이트와는 w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45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via a sixth resistor R6 ,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EXT- via the third resistor R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directly.

상기 제3포토커플러(453)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 제7저항(R7)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1입력단자(I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An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45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via a seventh resistor R7, and a cathode terminal thereo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 and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sub connector 410.

상기 제4포토커플러(454)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는 제8저항(R8)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2입력단자(I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n anode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45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through an eighth resistor R8, and a cathode terminal thereo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상기 제5포토커플러(455)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 제9저항(R9)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3입력단자(IN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n anode terminal of the fifth photocoupler 45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via a ninth resistor R9 and a cathode terminal thereo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3.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상기 제6포토커플러(456)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와 제10저항(R10)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4입력단자(IN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n anode terminal of the sixth photocoupler 45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via a tenth resistor R10, and a cathode terminal thereo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특히 상기 제3포토커플러(453)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와는 제11저항(R11)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Particularly,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453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through the eleventh resistor (R11).

또한, 상기 제4포토커플러(454)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와는 제12저항(R12)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45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is electrically connected via a twelfth resistor R12.

상기 제5포토커플러(455)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와는 제13저항(R13)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ifth photocoupler 455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ifth photocoupler 45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 Is electrically connected via the thirteenth resistor R13.

상기 제6포토커플러(456)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와는 제14저항(R14)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ixth photocoupler 456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ourteenth resistor (R14).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430)의 내부전원 연결단자(INT)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는 정류회로(440)를 경유하여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INT)와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 사이에 상기 정류회로(440)가 구비되게 된다.The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NT of the second connector 430 is connected to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via a rectifier circuit 440. That is, the rectifying circuit 440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nal power supply terminal INT a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그리고,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 상기 정류회로(440) 사이에는 딥스위치(dip switch)(SW1)가 구비되어 온/오프를 통해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이용한 내부전원을 제2기준전압으로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 dip switch SW1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and the rectifying circuit 440, and TXD (Transmitted Data ) Terminal can be used a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가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딥스위치(dip switch)(SW1)를 오프시키고,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INT)가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와 전기적으로 오픈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를 통해 제2기준전압을 공급하게 된다.When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the dip switch SW1 is turned off and the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NT is turned off And supplie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hroug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while being electrically open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INT)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가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기준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The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N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when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not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즉 내부전원 사용을 위해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 및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INT)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2기준전압을 PC에 접속되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and the internal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use of internal power,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reference voltage to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connected to the PC.

이를 위해,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에는 보 레이트(baud rate)를 600~1200 로 하여 지속적인 데이터 입력(또는 출력)을 해주어야 한다.To this end,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must continuously input data (or output) at a baud rate of 600 to 1200.

예를 들어, '10101010' 또는 '01010101'비트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output '10101010' or '01010101' bit data.

상기 정류회로(440)는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가 연결된 반파정류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정류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The rectifier circuit 440 may be implemented as a half-wave rectifier circuit in which a diode D1 and a capacitor C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a rectifier circuit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used.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지속적인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정류회로(440)를 통해 정류되어, 제2기준전압으로 공급되게 된다.The continuous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rectifi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440 and is supplied a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대략 10~12V의 전압레벨을 가지므로, 이를 반파정류하면, 대략 5~6V의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전압레벨만으로도 RS232 포트 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를 통한 온/오프 인식이 가능하다. The data output through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has a voltage level of approximately 10 to 12 V, so that half-wave rectification of the data results in a voltage of approximately 5 to 6 V The data level of the RS232 port or the data carrier detector of the D-sub connector 410, the DSR (Data Set Ready) terminal, the CTS (Clear To Send) terminal, And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RS232 포트 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를 통한 온/오프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다른 전파 정류회로 등의 다른 정류회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명백하다.(Data Carrier Detect), No. 6 DSR (Data Set Ready) terminal, No. 8 CTS (Clear To Send) terminal, and No. 9 RI It is obvious that other rectifying circuits such as other full-wave rectifying circuits can be applied to increase the on / off recognition rate through the Ring Indicator terminal.

상기 제2기준전압의 공급을 위해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를 이용한 내부전원의 선택과 독립적인 외부전원의 이용여부는 필요에 따라 선택가능한 것이다.The selection of the internal power supply using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for the supply of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the use of the external power independently of the power supply can be selected as needed.

상술한 제1저항 내지 제4저항(R1,R2,R3,R4) 및 제7저항 내지 제10저항(R7,R8,R9,R10)은 각각 제1저항값(예를 들면, 3KΩ)을 가지고, 제5 내지 제6저항(R5,R6), 및 제11저항 내지 제14저항(R11,R12,R13,R14)은 각각 제2저항값(예를 들면, 470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저항값, 상기 제2저항값, 상기 제3저항값은 상기 제1기준전압 및 상기 제2기준전압의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resistors R1 to R4 and the seventh to tenth resistors R7 to R8 have a first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3KΩ) The fifth to sixth resistors R5 and R6 and the eleventh to fourteenth resistors R11, R12, R13 and R14 may each have a secon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470?). The first resistance value, the second resistance value, and the third resistance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8개의 단자(핀)들을 가지는 제1커넥터(420)을 접점 제어용으로 사용하고, 상기 D-sub 커넥터(410)의 RXD(Received Data),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GND 단자(또는 핀)과 연결되어 RS232 시리얼 통신을 위한 RXD(Received Data),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 및 GND 단자(또는 핀)의 3개의 단자와,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 및 내부전원연결단자(INT)를 구비하는 제2커넥터(430)를 이용하여 RS232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터(430)의 경우에는,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 및 내부전원연결단자(INT)를 통해 제2기준전압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420 having eight terminals (pins) is used for contact control, and the RXD (Received Data) of the D- ,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and GND terminal (or pin) for RS232 serial communication and RXD (Received Data), TXD And a second connector 430 having a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and an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NT to perform RS232 serial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nector 430, a second reference voltage can b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and the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NT.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4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접점 제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전원을 통한 제2기준전압의 공급이 없이도 접점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지며, 별도로 제2기준전압을 공급하여 접점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제1스위칭소자(Q1) 및 제2스위칭소자(Q2)를 오픈 드레인 구조로 하여 신호전송을 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있는 입출력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four inputs and two outputs for contact control, and has an effect that contact control can be performed without supplying a second reference voltage through a separate external power supply, Contact control is also possible by supplying the reference voltag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have an open-drain structure and signal transmission is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stable and reliabl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원래 RS232 통신을 위해 사용되었던 RS232 포트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또는 핀)를 제2기준전압 공급용으로 병용사용함에 따라, RS232 시리얼 통신 기능을 사용하면서도 입출력 접점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r pin) of the RS232 port used for the original RS232 communication is used for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he input / output contact control is performed while using the RS232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

이하 접점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act contro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상기 D-sub 커넥터(410)를 PC나 노트북에 접속하고,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커넥터(420)는 접점제어를 위한 외부장치에 접속한다. 그리고,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EXT+)에는 DC 24V를 공급하고 제2기준전압을 내부전원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에 보 레이트(baud rate)를 600~1200 로 하여 지속적인 데이터 입력(또는 출력)을 해주어 제2기준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제2기준전압을 외부전원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REF)에 DC 5V 정도의 제2기준전압을 공급한다.First, the D-sub connector 410 is connected to a PC o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first connector 420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When a DC 24 V is suppli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EXT + and a second reference voltage is to be used as the internal power supply,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 (or output) the baud rate from 600 to 1200 to supp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supplies a second reference voltage of about DC 5V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REF whe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to be an external power supply.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를 통한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451)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의 게이트단자는 턴 오프 상태 또는 플로팅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1출력단자(OUT1)에는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인 오프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451)가 온 상태이므로, 제1저항(R1)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의 게이트에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므로,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이 턴 온 되어 상기 제1출력단자(OUT1)는 접지되는 상태인 온 상태(제1출력상태)가 된다.Since the first photocoupler 451 is off when the signal through the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off, Off state or a floating state,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is in an off state in whi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However, since the first photocoupler 451 is in the ON state when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on, the first switch R1 is turned on by the first resistor R1,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gate of the device Q1 so that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is turned on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is in an on state (first output state) .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오프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452)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제2스위칭소자(Q2)의 게이트단자는 턴 오프 상태 또는 플로팅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출력단자(OUT2)에는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인 오프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신호가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452)가 온 상태이므로, 제3저항(R3)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칭소자(Q2)의 게이트에 제1기준전압이 공급되므로, 상기 제2스위칭소자(Q2)이 턴 온 되어 상기 제2출력단자(OUT2)는 접지되는 상태인 온 상태(제2출력상태)가 된다.When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off, the gate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is turned off because the second photocoupler 452 is off. State or a floating state,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is in an off state in whi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However, since the second photocoupler 452 is in the on-state when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sig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is on, the second swit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gate of the element Q2 so that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turned on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is in an on state (second output state) .

상기 제1입력단자(IN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453)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제1입력단자(IN1)를 통한 제1입력신호가 온 상태(제1입력단자(IN1)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3포토커플러(453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1입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third photocoupler 453 is in the off state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is in the off state, the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he third photocoupler 453 is in the ON state and the D-sub connector 410 is in the on state when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 SW1, or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ON state (first input state).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454)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제2입력단자(IN2)를 통한 제2입력신호가 온 상태(제2입력단자(IN2)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4포토커플러(454)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2입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fourth photocoupler 454 is off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is in the off state, the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410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Since the fourth photocoupler 454 is in an ON state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is in the ON state (the ground state of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he D-sub connector 410 The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CTS) is turned on (second in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상기 제3입력단자(IN3)를 통한 제3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5포토커플러(455)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제3입력단자(IN3)를 통한 제3입력신호가 온 상태(제3입력단자(IN3)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5포토커플러(455)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3입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fifth photocoupler 455 is in an off state when the third input signal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IN3 is in the off state, the sixth data-ready terminal DSR of the 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Since the fifth photocoupler 455 is in an ON state when the third input signal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IN3 is in the ON state (the third input terminal IN3 is grounded), the D-sub connector 410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r the current does not flow, thereby turning on (the third input state).

상기 제4입력단자(IN4)를 통한 제4입력신호가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6포토커플러(456)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에는 제2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제4입력단자(IN4)를 통한 제4입력신호가 온 상태(제4입력단자(IN4)의 접지상태)에서는 상기 제6포토커플러(456)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D-sub 커넥터(410)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 상태(제4입력상태)가 된다. Since the sixth photocoupler 456 is off when the fourth input signal through the fourth input terminal IN4 is in the off state,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Since the sixth photocoupler 456 is in an ON state when the fourth input signal through the fourth input terminal IN4 is on (the grounded state of the fourth input terminal IN4), the D-sub connector 410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DCD) is turned on (fourth input state)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or no current flows.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410: D-sub 커넥터 120,420,430 : 복수의 제어단자들
152,154,156,158,451,452,453,454,455,456 : 포토커플러
150,440 : 정류회로
110, 410: D-sub connectors 120, 420, 430:
152,154,156,158,451,452,453,454,455,456: Photocoupler
150,440: rectifier circuit

Claims (19)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에 있어서:
RS232 포트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및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를 제1세트로 하고,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및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를 제2세트로 하여, 접점제어를 위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는,
RS232 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D-sub 커넥터와;
접점제어용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과;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포토커플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For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RS232 port: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RS232 port and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re set as the first set,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nd the eighth CTS ) Terminal is set as a second set to constitute an input / output board circuit for contact control,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ncludes:
A D-sub connector for connecting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A first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second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xth data set ready (DS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he outpu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input terminal has a fourth photocoup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Output board circui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에서, 애노드(anode)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photocoupler,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GND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In the second photocoupler, the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GND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In the third photocoupler,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
In the fourth photocoupler,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Output board circu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사이에는 제1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2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사이에는 제3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4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5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6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7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8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a fourth terminal of a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 And a second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 second resistor,
A third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nd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 second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fifth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the sixth terminal of the D- (Data Set Ready) terminal and a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 sixth resistor,
A seventh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an eighth CTS of the 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lear to send terminal,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n eighth resis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인 DC 24V를 가지며,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2기준전압은 DC 5~12V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has DC 24V which is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is DC 5 to 12V.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사이에는 제1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2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사이에는 제3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4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5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는 별도의 정류회로 및 제6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사이에는 제7저항이 배치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는 상기 정류회로 및 제8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a fourth terminal of a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 And a second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through a second resistor,
A third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nd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 second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 fifth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the sixth terminal of the D-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through a separate rectifier circuit and a sixth resistor,
A seventh resistor is disposed between an anode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connected to an eighth CTS of the D- And a third terminal (TXD) of the D-sub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r to send terminal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and the eighth resis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1기준전압은 상기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인 24V를 가지며, 상기 정류회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은 5~12V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has 24V which is the same level a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is 5 to 12V. Circuit.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 및 상기 제3저항은 동일한 제1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2저항, 제4저항, 제5저항 및 제7저항은 서로 동일한 제2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6저항 및 상기 제8저항은 동일한 제3저항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Wherein the first resistor and the third resistor have the same first resistance value and the second resistor, the fourth resistor, the fifth resistor and the seventh resistor have the same second resistance value, And the eighth resistor has the same third resistance value.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 사이에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에 온되는 제1스위칭소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 사이에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에 온되는 제2스위칭 소자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A first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at the time of generat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connec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generated is connected between a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 사이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P채널 트랜지스터 또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 사이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P채널 트랜지스터 또는 N채널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a P-channel transistor or an N-channel transistor for conducting or interrupt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generated,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a P-channel transistor or an N-channel transistor for conducting or interrupt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generated. .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반파정류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rectifier circuit is a half-wave rectifier circuit including a diode and a capacitor.
RS232 포트를 이용한 입출력 보드회로에 있어서:
RS232 포트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 및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를 이용하여 4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을 가지는 접점 제어를 위한 입출력 보드회로를 구현하되,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는,
RS232 포트에 접속되기 위한 D-sub 커넥터와;
접점제어용 외부장치에 접속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단자들과;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입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3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포토커플러와;
출력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 중 제4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포토커플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For input / output board circuit using RS232 port:
A Data Carrier Detect (DCD) of the RS232 port, a Data Terminal Ready (DTR) terminal, a DSR (Data Set Ready) terminal, a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a CTS Output board circuit having 4 inputs and 2 outputs by using the RI (Clear To Send) terminal and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ncludes:
A D-sub connector for connecting to an RS232 port;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contact control;
A first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second photocoupler having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third photocoupler having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fourth photocoupler having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 fifth photocoupler having an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an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hird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The outpu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input terminal has a sixth photo-coup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Output board circuit.
삭제delet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는,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턴 온되는 오픈드레인 구조의 제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 발생시 턴 온되는 오픈드레인 구조의 제2스위칭소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13.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input /
A first switching device of an open drain structure which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generated;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of an open drain structure which is turned on when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generat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은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 및 접지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는, 게이트가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이미터 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접지단자와는 제1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제1출력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2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스는 상기 접지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는, 게이트가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이미터 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접지단자와는 제3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제2출력단자와는 직접연결되고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4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스는 상기 접지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1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7번 RTS(Request To Send) 단자와 제5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접지단자와는 상기 제1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소자의 게이트와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2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D-sub 커넥터의 제4번 DTR(Data Terminal Ready) 단자와 제6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접지단자와는 상기 제3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게이트와는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3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7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1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4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8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2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5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9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3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6포토커플러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제1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제10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cathod) 단자는 상기 제4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5번 GND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further include a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The first switching element has a gate directly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via a first resistor and a drain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via a second resistor, and the source is an N-channel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has a gate connected directly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via a third resistor and a drain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Channel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 fourth resistor and the source is an N-channel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 anode terminal of the first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venth RTS (Request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through a fif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of the D-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n emitt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the first resistor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ourth DTR (Data Terminal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through a six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of the D- and a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resistor and the third resistor,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n the third photocoupler,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 seven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fth GND terminal of the D-
In the fourth photocoupler,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n eigh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
In the fifth photocoupler,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 nin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input terminal, the collecto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
In the sixth photocoupler, an an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 tenth resistor, a cath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nput terminal,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emitt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G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Features an I / O board circui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단자들은 제2기준전압의 외부공급을 위한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9번 RI(Ring Indicator)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1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8번 CTS(Clear To Send)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2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5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6번 DSR(Data Set Ready)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3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6포토커플러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1번 DCD(Data Carrier Detect) 단자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는 제14저항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further comprise a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for external supply of a second reference voltage,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9th RI (Ring Indicator)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the 11th resistor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ighth CTS (Clear To Send)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 twelfth resistor Connecte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ifth photocoupl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xth DSR (Data Set Ready)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ifth photocoupl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via a thirteenth resistor Connecte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ixth photocoupl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ixth photo-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보드회로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와는 정류회로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내부전원 연결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는, 상기 D-sub 커넥터의 제3번 TXD(Transmitted Data) 단자가 시리얼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기준전압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17.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according to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n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via a rectifying circuit,
Wherein the inter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when the third TXD (Transmitted Data) terminal of the D-sub connector is not used for serial communication, To the input / output board circuit.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반파정류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rectifier circuit is a half-wave rectifier circuit including a diode and a capacitor.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 공급단자는 별도로 제2기준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내부전원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내부적으로 제2기준전압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보드회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upply terminal supplie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eparately or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to supp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nternally.

KR1020140037072A 2014-03-28 2014-03-28 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KR1015643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72A KR101564339B1 (en) 2014-03-28 2014-03-28 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72A KR101564339B1 (en) 2014-03-28 2014-03-28 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447A KR20150113447A (en) 2015-10-08
KR101564339B1 true KR101564339B1 (en) 2015-10-30

Family

ID=5434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72A KR101564339B1 (en) 2014-03-28 2014-03-28 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3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788B1 (en) * 2019-12-16 2020-08-25 정환영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olid state relay using rs-232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447A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9325B2 (en) USB Type-C module
US11515797B2 (en) Apparatus for dynamic learning of voltage source capabilities
US8880909B2 (en) Auto-detect polling for correct handshake to USB client
US2009002701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through discernment of charging cable
CN103457348B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04642B2 (en) Detection circuit of universal serial bus
US20070118322A1 (en) Testing circuit for a data interface
US9787124B2 (en) Charging device
KR101406927B1 (en) Touch display device
TW201520754A (en) System for detecting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method thereof
US7917779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motherboard
JP2006262610A (en) Power supply circuit
US9952640B2 (en) Power control system
KR101564339B1 (en) I/O board circuits using RS232 port
CN113614919B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a high-speed circuit
CN104810868B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TW201245581A (en) Fan system
TW201626130A (en) Voltage adjus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8334672B2 (en) Charging circuit with ability to identify power source
US20140159490A1 (en) Power convert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utput power of power converter
TW201133216A (en) Mother board
TW200820572A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identifying power adaptor
TWI386788B (en) Power switch circuit
US6703873B2 (en) Pull-up circuit for input/output terminals of electronic appliances
KR200458625Y1 (en) Data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