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292B1 -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292B1
KR101563292B1 KR1020130145352A KR20130145352A KR101563292B1 KR 101563292 B1 KR101563292 B1 KR 101563292B1 KR 1020130145352 A KR1020130145352 A KR 1020130145352A KR 20130145352 A KR20130145352 A KR 20130145352A KR 101563292 B1 KR101563292 B1 KR 10156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information
file
storage spa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346A (ko
Inventor
나형율
고경섭
고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인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인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인미디어
Priority to KR102013014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2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하는 접속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CLOUD VIRTU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SESSION MANAG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해 클라우드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중화 되면서, 여러 기업들에서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은 3가지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존재한다.
1. PUBLIC CLOUD: 대표적으로 Amazon의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를 뽑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통신사에서 사업을 시도하고 있는 uCloud 등이다. 기본적으로 대외적인 공개 기업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업뿐 아니라 개인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다양한 기능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PRIVATE CLOUD: 대표적으로 VMWARE, XEN 등의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PUBLIC의 보안상문제등을 이유로, 기업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솔루션 서비스로 생각하면 된다.
3. PERSONAL CLOUD: 해외에는 DROPBOX, 구글 드라이브 등이 있고, 국내에는 N드라이브, 다음클라우드, T클라우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 사용자들의 저장매체로서 많이 사용된다.
대부분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이상의 클라우드들 중에 몇 개 이상을 동시에 가입하여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이다. 그런데,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공간 크기의 한계에 대한 제한이 있으며, 만약 크기를 늘리고자 하더라도 불가능하거나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둘째, 한 개인이 여러 가지 클라우드를 운영하다 보니 같은 파일이 여러 클라우드에 중복 저장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업체가 다르기 때문에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셋째, 클라우드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 한 클라우드는 꽉 차있고 다른 클라우드는 비어있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는 저장 공간 활용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여러 클라우드를 일일이 왔다 갔다 하며 수작업으로 관리해야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7113호(발명의 명칭: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통합사용자환경 제공방법 및 장치, 공개일자: 2010년 10월 5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여러 개의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들을 모아 하나의 큰 가상적인 저장 공간으로 인식하여 가상적인 저장 공간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하는 접속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를 연결하는 세션 정보를 가상화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합한 하나의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은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된 파일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파일 제어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파일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해당 파일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파일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중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중복 체크의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복사, 이동 및 삭제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파일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저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업로드하는 파일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저장 방식은 업로드 요청 파일을 파일 종류, 날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는 상기 파일에 관한 리스트 정보, 저장 경로 정보, 포맷 정보 및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은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접속부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수집부에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생성부에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제공부에서, 상기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은 상기 접속부에서,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를 연결하는 세션 정보를 가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합한 하나의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저장부에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된 파일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파일 제어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파일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해당 파일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파일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저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여러 개의 클라우드(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들을 모아 하나의 큰 가상적인 저장 공간으로 인식하여 가상적인 저장 공간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클라우드 사용 시 발생하는 공간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신규 클라우드 연동을 통하여 쉽게 공간 확장이 가능하므로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화된 클라우드 관리자에 클라우드 사업자의 퍼스널 클라우드 뿐 아니라 FTP 서버나 SAMBA 서버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 서버들을 연동하여 공간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클라우드의 정보를 모아 하나의 공간처럼 활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클라우드에 저장된 파일 정보들을 하나의 저장 공간에서 관리하듯이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클라우드에 산재되어 있는 중복된 파일의 관리나 클라우드 간 파일 이동, 복사, 삭제, 다운로드, 업로드 등을 손쉬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클라우드에 직접 저장하는 것이 아닌, 중간 관리자(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를 통해서 저장을 하기 때문에 각 클라우드에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분산 저장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 내 파일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일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일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클라우드 접속 정보(예: 아이디, 패스워드 등과 같은 회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n)(130)에 로그인한다.
상기 로그인을 통해 회원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간에 세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간에 세션 연결을 유지한다.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세션 연결에 따라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로부터 사용자가 업로드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는 상기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할당된 저장 공간이 존재하는데,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업로드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할당된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한다.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가상화 세션 관리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화 세션 관리자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간에 생성된 세션 정보를 가상화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서도 해당 파일을 하나의 폴더에서 관리하듯이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접속부(210), 수집부(220), 저장부(230),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DB)(240), 생성부(250), 제공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은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접속부(210)는 상기 세션 연결에 따라 세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간에 세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0)는 상기 세션 정보를 가상화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저장된 파일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부(210)는 가상화 세션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세션 정보를 가상화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220)는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는 상기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할당된 저장 공간이 존재한다.
상기 사용자는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 공간에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집부(220)는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업로드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는 상기 파일에 관한 리스트 정보, 저장 경로 정보, 포맷 정보,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새로운 파일이 업로드 되거나 수정(이동, 복사, 삭제 등)되는 경우, 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는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의 식별 정보와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통해 새로운 파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기존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250)는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내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생성부(250)는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내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합한 하나의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는 상기 접속부(2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부(210)는 상기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를 연결하는 세션 정보를 가상화함으로써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공부(260)는 상기 수집부(220)에 의해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공부(260)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와 연동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공부(260)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와 연동하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230)에 저장된 파일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등 업데이트 현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상기 가상 저장 공간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 즉 상기 접속부(210), 상기 수집부(220), 상기 저장부(230),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 상기 생성부(250), 상기 제공부(26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접속부(310), 수집부(320), 저장부(330),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340), 생성부(350), 제공부(360), 파일 관리부(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도 2의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과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진다. 즉, 도 3의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파일 관리부(370)를 제외하고는 도 2의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일 관리부(37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파일 관리부(370)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에 대해서는 간단히 언급하기로 한다.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파일 제어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 제어 요청은 상기 생성부(350)에 의해 생성된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된 파일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수정이나 다운로드 등에 관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수신된 파일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액세스하여 상기 해당 파일의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접속부(310)에 의해 생성된 가상화 세션 정보를 통해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와 세션 연결을 유지한다. 이러한 세션 연결 유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특정 파일에 관한 파일 제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340)로부터 상기 특정 파일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특히 클라우드 식별 정보 및 저장 경로 정보 등)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 내 사용자 저장 공간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파일 제어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파일에 대한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특정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특히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파일명, 파일 크기 및 포맷 정보 등) 상기 특정 파일에 대한 중복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중복 체크의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복 체크의 수행 결과 중복된 다른 파일(들)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의 화면상에 구현된 가상 폴더에서 상기 중복된 다른 파일(들)을 삭제 처리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액세스하여 상기 중복된 다른 파일(들)을 삭제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클라우드 서버(130)에서 상기 중복된 다른 파일(들)이 삭제 처리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340)에서는 상기 삭제 처리를 반영하여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파일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복사, 이동 및 삭제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는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파일 업로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파일 업로드 요청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파일(업로드 대상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저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중 어느 하나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 방식은 업로드 요청 파일을 파일 종류, 날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분산 저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 방식으로서 상기 파일 종류가 설정되면(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 가능), 상기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340)를 참조하여 확장자가 동일한 파일이 저장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상기 업로드 대상 파일에 대한 업로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는 상기 업로드 처리 요청에 따라 상기 업로드 대상 파일에 대한 업로드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340)에서는 상기 업로드 처리를 반영하여 상기 업로드 대상 파일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은 상기 업로드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업로드 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410), 사용자 단말기(420), 클라우드 서버(1~n)(432)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도 1의 네트워크 구성과 유사한다.
다만, 도 4의 네트워크 구성은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430)로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432) 외에도 FTP 서버(434) 및 SAMBA 서버(436)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의 네트워크 구성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성상의 차이로 인해, 도 4의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410)은 사용자에게 보다 확장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FTP 서버(434) 및 상기 SAMBA 서버(436)에 대한 클라우드 가상화 서비스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32)의 그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FTP 서버(434) 및 상기 SAMBA 서버(436)에 대한 클라우드 가상화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접속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은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수집부(220)는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로부터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단계(53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저장부(230)는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24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54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접속부(210)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간의 세션 연결에 따른 세션 정보를 가상화한다.
다음으로, 단계(55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생성부(250)는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 내 사용자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 저장 공간을 통합한 하나의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56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제공부(260)는 상기 수집부(220)에 의해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생성된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 내 파일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된, 파일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파일 제어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62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파일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액세스하여 상기 해당 파일의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63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해당 파일의 제어에 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일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복사, 이동, 삭제 등의 처리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단계(720)에서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는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복사, 이동, 삭제 등을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73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일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중복 체크를 수행한다.
상기 중복 체크 결과, 중복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820의 "예" 방향), 단계(83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중복 파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중복 파일의 삭제 입력이 있는 경우(840의 "예" 방향), 단계(85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에 상기 중복 파일에 대한 삭제 요청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860)에서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는 상기 중복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87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해당 클라우드 서버(130)로부터 상기 중복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파일 업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92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업로드 요청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저장 방식, 즉 파일 종류, 날짜, 크기 등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으로, 단계(930)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110)의 파일 관리부(370)는 상기 분류된 파일을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130)에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업로드 요청 파일에 대한 업로드 처리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여러 개의 클라우드(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들을 모아 하나의 큰 가상적인 저장 공간으로 인식하여 가상적인 저장 공간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클라우드 사용 시 발생하는 공간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신규 클라우드 연동을 통하여 쉽게 공간 확장이 가능하므로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상화된 클라우드 관리자에 클라우드 사업자의 퍼스널 클라우드 뿐 아니라 FTP 서버나 SAMBA 서버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 서버들을 연동하여 공간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여러 클라우드의 정보를 모아 하나의 공간처럼 활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클라우드에 저장된 파일 정보들을 하나의 저장 공간에서 관리하듯이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클라우드에 산재되어 있는 중복된 파일의 관리나 클라우드 간 파일 이동, 복사, 삭제, 다운로드, 업로드 등을 손쉬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클라우드에 직접 저장하는 것이 아닌, 중간 관리자(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를 통해서 저장을 하기 때문에 각 클라우드에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분산 저장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120: 사용자 단말기
130, 432: 클라우드 서버
210, 310: 접속부
220, 320: 수집부
230, 330: 저장부
240, 340: 클라우드 파일 정보 DB
250, 350: 생성부
260, 360: 제공부
270, 380: 제어부
370: 파일 관리부
434: FTP 서버
436: SAMBA 서버

Claims (14)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하는 접속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파일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저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분산시켜 업로드하는 파일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를 연결하는 세션 정보를 가상화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합한 하나의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된 파일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파일 제어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파일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해당 파일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파일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중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중복 체크의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접속부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클라우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수집부에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생성부에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제공부에서, 상기 수집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파일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미리 설정된 저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분산시켜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서,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를 연결하는 세션 정보를 가상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저장 공간을 가상화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합한 하나의 가상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저장부에서, 상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파일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배치된 파일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파일 제어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파일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해당 파일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방법.
  14. 삭제
KR1020130145352A 2013-11-27 2013-11-27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56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52A KR101563292B1 (ko) 2013-11-27 2013-11-27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52A KR101563292B1 (ko) 2013-11-27 2013-11-27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346A KR20150061346A (ko) 2015-06-04
KR101563292B1 true KR101563292B1 (ko) 2015-10-26

Family

ID=5349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352A KR101563292B1 (ko) 2013-11-27 2013-11-27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2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96A (ko) 2017-12-26 2019-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컴퓨팅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10733021B2 (en) 2017-09-19 2020-08-0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Hee University System of cloud computing and method for detaching load in cloud computing system
KR20230103997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커넥트스토리 프로젝트 문서 관리 방법, 프로젝트 관리 서버,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17B1 (ko) * 2017-09-20 2019-03-19 주식회사 에즈웰 공용 컴퓨팅 환경에서 랜섬웨어의 감염 방지가 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운용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0772B1 (ko) * 2018-11-09 2019-11-05 주식회사 커넥트스토리 조달물품등록 관련 컨설팅 프로젝트에 필요한 데이터의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3021B2 (en) 2017-09-19 2020-08-0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Hee University System of cloud computing and method for detaching load in cloud computing system
KR20190077696A (ko) 2017-12-26 2019-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컴퓨팅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30103997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커넥트스토리 프로젝트 문서 관리 방법, 프로젝트 관리 서버,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346A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9678B2 (en) Transactional operations in multi-master distributed data management systems
US9934053B2 (en) Optimizing the configura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in a networked computing environment
US11281621B2 (en) Clientless active remote archive
CN103765371B (zh) 导出作为存储对象的逻辑卷的数据存储系统
US9558194B1 (en) Scalable object store
CN106168884B (zh) 访问对象存储系统的计算机系统
JP5976230B2 (ja)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リソース管理方法
US8924592B2 (en) Synchronization of server-side cookies with client-side cookies
CN110447017A (zh) 数据存储装备监视器中基于规则的修改
JP6518346B2 (ja) 分散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における仮想マシンインスタンス上のコマンドの実行
US20130238557A1 (en) Managing tenant-specific data sets in a multi-tenant environment
JP2019517043A (ja) ハイブリッドアプリケーションの自動更新
US20210064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oss region resource management for regional infrastructure resources in a cloud infrastructure environment
KR101563292B1 (ko) 가상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3870A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접속 스토리지 관리
CN103620580A (zh) 用于数据副本的迁移的系统和方法
JP5859417B2 (ja) メタデータサーバとデータサーバとの間でaclの一貫性を維持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642809B2 (en) Import, export, and copy management for tiered object storage
US9246920B2 (en) Cloud resource cloning based on collaborative content
JP6423752B2 (ja) 移行支援装置および移行支援方法
US201302386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ile cre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2386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ile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Yan Cloud Storage Services
US11287982B2 (en) Associating data management policies to portions of data using connection information
CN109739615A (zh) 一种虚拟硬盘的映射方法、设备和云计算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