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209B1 - 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 - Google Patents

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209B1
KR101563209B1 KR1020130020305A KR20130020305A KR101563209B1 KR 101563209 B1 KR101563209 B1 KR 101563209B1 KR 1020130020305 A KR1020130020305 A KR 1020130020305A KR 20130020305 A KR20130020305 A KR 20130020305A KR 101563209 B1 KR101563209 B1 KR 101563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s
trough
wire
building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1854A (en
Inventor
김석수
Original Assignee
김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수 filed Critical 김석수
Publication of KR2014007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46Interconnecting down pip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 후 설치 장소까지 이송이 용이하고, 건물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될 가능성이 낮고 관내부 청소가 용이하며,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층 건물의 도난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낙수관(500)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낙수관(500)을 설계하고 이를 신축시킬 수 있는 신축수단을 구비한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붕(2)의 처마끝에 구배를 갖는 물받이 보(1)에 수직으로 신축되도록 연결되는 낙수관(500)을 포함하며, 상기 낙수관(500)은 신축가능하며, 상기 신축 가능한 낙수관(500)을 신축시키는 신축수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in that it is easy to transfer to the installation site after fabrication, does not harm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is less likely to be clogged by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easy to clean inside the tub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having a drainage pipe 500 designed to have a length of a drainage pipe 500 so as to secure safety against theft, (500) connected to extend vertically to a water-receiving beam (1) having a gradient at the end of a trough (500), and the water drainage pipe (500)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nd a stretching device (700).

Description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배수구에 안내하는 낙수관을 포함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 후 설치 장소까지 이송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외관이 미려할 수 있게 낙수관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한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including a drainage pipe for guiding rainwater falling on a roof of a building to a drainage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지붕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배수구에 안내하기 위한 낙수관을 포함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지붕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은 구배(句配)를 둔 물받이 보의 하부에 연결된 낙수관을 타고 내려와 배수구를 통해 지면으로 배수되는 단순한 구조이다. Generally,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building drainage system including a drainage pipe for guiding the rainwater falling from the roof to the drainage port. The rainwater falling from the roof is a simple structure that descends down the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ater-bearing beam with a gradient and drains to the ground through the drainage ho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빗물 배수장치는 기본적으로 물받이 보(1) 및 낙수관(5)을 구비한다.1 and 2, the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basically includes a water-catching beam 1 and a water drainage pipe 5. [

물받이 보(eaves gutter,1)는 지붕(2)의 처마 끝에, 벽체(4)의 안쪽으로, 구배를 갖도록 설치되는 홈통으로서 지름 10cm 내외의 반원형인 경우가 많다. 고급건축에서는 장식이 붙은 이중사각형으로 만들기도 한다. The eaves gutter 1 is a trough installed to have a gradient in the inside of the wall 4 at the eaves of the roof 2 and is often a semi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about 10 cm. In high-end architecture, it is made into a double rectangle with decoration.

물받이 보(1)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리거나 장기간 방치로 인해 이물질이 퇴적되는 경우 하중에 의해 처질 수 있고 햇빛 등에 의해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받이 보(1)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3)를 지붕(2)에 인접한 벽체(4)에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한다.The water-catching beam (1) can be deformed by a load when a large amount of rain falls or a foreign matter is deposited due to long-term neglect, and may be twisted by the sunlight. Therefore, Is fixed to the wall (4) adjacent to the roof (2) by rivets, bolts or the like.

상기 낙수관(rain leader pipe,5)은 물받이 보(1)와 연결되는 수직방향의 홈통으로서 지붕면적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지만 주택에 있어서는 통상 지름 75mm 내외의 원형으로 된 것을 많이 사용한다.The rain leader pipe 5 is a vertical trough connected to the water-bearing rib 1, and the size of the rain leader pipe 5 varies depending on the roof area. However, in the case of houses,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about 75 mm is often used.

또한, 여기에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빗물 배수장치는 루프드레인(roof drain) 뿐만 아니라 홈걸이 등을 더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generally includes a roof drain as well as a home hanger.

상기 루프드레인(roof drain)은 물받이 보(1)와 낙수관(5)이 연결되는 낙수구(落水口)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이나 쓰레기가 낙수관(5)으로 흘러들어가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이 여러 개 뚫린 삿갓 모양의 덮개이다.The roof drain is installed at a drain port through which the water-catching beam 1 and the drainage pipe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oof drain is used to prevent the water or waste from flowing into the drainage pipe 5 to be clogged It is a cap shaped cover with several holes.

상기 홈걸이(6)는 빗물이 벽체(4)를 타고 흐르면서 얼룩을 남기지 않도록 낙수관(5)을 벽체(4)로부터 이격시키고, 비바람 등에 의해 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벽체(4)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후크형 고리를 서로 맞대어 연결한다. 그러나 물받이 보(1)와 낙수관(5)을 연통시키고, 벽체(4)와 낙수관(5)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홈걸이(6)를 설치하는 데는 상당한 숙련도가 필요하다. 한편으로, 벽체(4)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낙수관(5)은 다층 건물의 도난에도 사용될 우려가 있다. The grooved hook 6 is used to separate the water drainage pipe 5 from the wall 4 so as to prevent the rainwater from flowing along the wall 4 and to fix the water drainage pipe 5 to the wall 4 Normally, the hook-shaped hooks are butted against each other. However, a considerable degree of skill is required for establishing the groove 6 while keeping the space between the wall 4 and the water drainage pipe 5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catching beam 1 and the drainage pipe 5. On the other hand, the water drainage pipe 5 installed apart from the wall 4 may also be used for theft of multi-story buildings.

이뿐만 아니라 통상의 낙수관은 길이가 길어서 제작 후 설치 장소까지 이송이 용이치 않아, 공장에서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서 제작한 후 설치장소에서 연결부를 용접, 리벳 이음 등으로 결합시키는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통상의 낙수관은 이물질 등에 의한 막힘 발생시 어느 부위가 막혔는지 알 수 없어 전체를 철거 후 교체해야하는 비합리성이 존재하였으며, 또한 통상 건물의 코너에(즉 적어도 4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건물의 미관상 좋지도 않아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normal water outlet pipe is long and can not be transpor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after production.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product by dividing it into several parts at the factory and then 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 by welding or riveting at the installation site. The operation takes a long time.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know which part is clogged when the clogging due to the foreign material or the like occurs in the conventional drainage pipe, and there is the irrationality that the whole should be removed after the clogging, and also, it is usually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building (at least four or more places)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34082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29387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낙수관에 스크류를 내장시켜 수압에 의해 다량의 우수를 신속히 배출하게 하거나 낙수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기를 설치하는 등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09-0034082 and 11-293870, a screw is built in a water drop pipe to quickly discharge a large amount of water by water pressure, or a foreign matter A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not yet been developed,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작 후 설치 장소까지 이송이 용이하고, 건물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될 가능성이 적고 관내부 청소가 용이하며,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층 건물의 도난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낙수관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한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that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a place of installation after fabrication, does not hurt the aesthetics of a building, is less likely to be clogged by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outsid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which can extend and contract the length of the rainfall water pipe so as to secure safety against theft of the multi-story building.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는,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uilding rain drai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지붕(2)의 처마끝에 구배를 갖는 물받이 보(1)에 수직으로 신축되도록 연결되는 낙수관(500)을 포함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comprising a drainage pipe (500) connected to a water-receiving beam (1) having a gradient at the eaves of a roof (2) so as to extend and contract vertically,

상기 낙수관(500)은 신축가능하며, 상기 신축 가능한 낙수관(500)을 신축시키는 신축수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ainage pipe (500) is expandable and contractable, and further includes a stretching and stretching means (700) for stretching the stretchable drainage pipe (500).

또한, 상기 낙수관(500)은 서로 굵기가 다른 다수의 홈통(510, 520, 530, 540)이 신축되도록 삽입 설치되되, 하단 홈통(54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신축수단(700)의 와이어(720)가 결속되는 와이어 결속부(548)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rality of troughs 510, 520, 530 and 540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drainage pipe 500 so that the wires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70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trough 540, And a wire connecting portion 548 to which the wire connecting portions 720 are connected.

또한, 상기 다수의 홈통은 상단 홈통(510), 중간 홈통(520,530) 및 하단 홈통(540)으로 나뉘며, 상기 각 홈통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단 홈통(510)의 하부 직경이 중간 홈통(520,53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간 홈통(520,530)의 하부 직경이 하단 홈통(54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신장시 하단 홈통(540)이 중간 홈통(520,530)에 면접하면서 걸리고, 중간 홈통(520,530)이 상단 홈통(510)에 면접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신장상태를 유지하고, 하단 홈통(540)은 걸림턱(546)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이 중간 홈통(520,530)을 지지함으로써 수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troughs are divided into upper troughs 510,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nd lower troughs 540. The troughs are tapered so as to enlarge the diameter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lower trenches 520 and 530 are formed to have a lower diameter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trenches 520 and 530. The lower trenches 520 and 530 are formed to have a lower diameter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lower trenches 540, And the lower trough 54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546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So that the shrinkage state can be maintained.

또는, 상기 다수의 홈통은 상단 홈통(510), 중간 홈통(520,530) 및 하단 홈통(540)으로 나뉘며, 상기 각 홈통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단 홈통(510)의 하부 직경이 중간 홈통(520,53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간 홈통(520,530)의 하부 직경이 하단 홈통(54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신장시 하단 홈통(540)이 중간 홈통(520,530)에 면접하면서 걸리고, 중간 홈통(520,530)이 상단 홈통(510)에 면접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신장상태를 유지하고, 하단 홈통(540)은 측면에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며, 또한 하단 홈통(540)은 하단부에 끼워지는 분리가능한 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마개부가 중간 홈통(520,530)을 지지함으로써 수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troughs are divided into upper troughs 510,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nd lower troughs 540. The troughs are tapered so as to enlarge the diameter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lower trenches 520 and 530 are formed to have a lower diameter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trenches 520 and 530. The lower trenches 520 and 530 are formed to have a lower diameter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lower trenches 540, And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troughs 510 to maintain the extended state. The lower troughs 540 have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side surfaces, and the lower troughs 540 are provided with detachable stoppers which are fitted to the lower ends of the stoppers 530, 540 so that the stoppers can maintain a contracted state by supporting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530.

또한, 상기 신축수단(700)은 상단 홈통의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에 톱니(760)가 형성되는 와이어풀리(710), 상기 와이어풀리(710)에 감기는 와이어(720), 상기 와이어풀리(710)의 상부를 감싸는 풀리캡(730), 상기 풀리캡(730)의 내부에 후단이 힌지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와이어풀리(710)의 톱니(760)에 결합시 와이어풀리(7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재(740) 및 상기 걸림부재(740)를 와이어풀리(710)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7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와이어(720)의 타단을 당길시에 와이어(720)는 상기 걸림부재(740)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부재(740)를 와이어풀리(710)의 톱니(760)로부터 이탈시켜 걸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means 700 includes a wire pulley 71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trough to be rotatable and having teeth 760 formed on its outer periphery, a wire 720 wound on the wire pulley 710, A rear end of the wire pulley 710 is hinged to the inside of the pulley cap 730 and a front end of the wire pulley 710 is engaged with the teeth 760 of the wire pulley 710, And an elastic means 750 for pressing the engaging member 740 toward the wire pulley 710. When the other end of the wire 720 is pulled, The wire 720 is configured to press the engaging member 740 to release the engaging member 740 from the tooth 760 of the wire pulley 710 so that the engaging member 740 can be released from the engaging member 740.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building rain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이송시 공장에서 설치장소까지 낙수관의 길이가 짧은 상태로 이송되므로 이송이 용이하고, 또한 설치시 낙수관의 수직도를 맞추거나 벽체(4)로부터 이격 거리를 맞추는데 필요한 전문성을 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First, since it is transported in a short length from the factory to the installation site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it is easy to transport and it does not require the expertise required to adjust the verticality of the water pipe or to set the distance from the wall (4)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work.

둘째, 평소에는 낙수관의 길이가 최대한 짧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될 가능성이 적고, 관내부 청소가 용이하며, 도둑이 낙수관을 타고 침입할 수 없어 도난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length of the water discharge pipe is kept as short as usual,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clogging due to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easy cleaning in the inside of the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safety can be ensured from the above.

셋째, 평상시에 와이어(720)만 보일 뿐이고 와이어(720)도 가늘어서 먼 거리에서는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건물 미관을 해치지 않는 이점이 있다.
Thirdly, the wires 720 are only visible at normal times, and the wire 720 is also thin,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observe at a long distan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를 도시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의 신장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의 수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의 신축장치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의 신장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의 수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etailed 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ension state of the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rinking state of the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retching device of the rainwater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tension state of a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traction state of the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lso,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front", "back", "front", "forward", "rear", etc.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 (s).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not limita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는 지붕(2)의 처마 끝에 구배를 갖는 물받이 보(1)에 수직으로 신축되도록 연결되는 낙수관(500)과 상기 낙수관(500)을 승강시키는 신축수단(700)을 포함한다.3, the building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water drainage pipe 500 connected vertically to a water-receiving beam 1 having a gradient at an eave end of a roof 2, (70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er (500).

상기 낙수관(500)은 서로 굵기가 다른 다수의 홈통이 접이식으로 신축되도록 삽입 설치되는데, 크게 상단 홈통(510), 중간 홈통(520,530) 및 하단 홈통(540)으로 나뉜다. 여기서 상단 홈통(510)은 지붕(2) 또는 물받이 보(1)와 연결되는 부분이고, 하단 홈통(540)은 와이어(72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수작업에 따라 승강하는 부분이다. 또한, 중간 홈통(520,530)은 상단 홈통(510)과 하단 홈통(540)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단 홈통(510,540) 사이에서 출몰하는 부분으로서 그 개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The water outflow pipe 5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troughs 510, 520 and 530 and a lower end trough 540 in a folded manner. Here, the upper trough 510 is connected to the roof 2 or the water-catching beam 1, and the lower trough 540 is connected to the wire 720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re located between the upper troughs 510 and the lower troughs 540 and protrude and retrac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oughs 510 and 540. The number of the middle troughs 520 and 53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도 4 (a),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중간 홈통(520,530)이 2단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며, 이때 낙수관(500)은 상단 홈통(510), 제1 홈통(520), 제2 홈통(530) 및 하단 홈통(540)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중간 홈통(520,530)은 제1 홈통(520) 및 제2 홈통(530)을 의미하며, 상기 하단 홈통(540)은 걸림턱(546) 및 와이어 결속부(548)를 포함한다. 이때 상단 홈통(510)으로부터 하단 홈통(540)으로 갈수록 직경은 점차 커진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in this embodiment, the middle troughs 520 and 530 are two-tiered. In this case, the downcomer 500 includes an upper trough 510, a first trough 520 , A second trough 530 and a lower trough 540. [ Here,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refer to the first trough 520 and the second trough 530, and the lower trough 540 includes the catching jaw 546 and the wire binding portion 548. At this time,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trough (510) to the lower trough (540).

즉, 상단 홈통(510)의 하부 직경이 제1 홈통(52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홈통(520)의 하부 직경이 제2 홈통(53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홈통(530)의 하부 직경이 하단 홈통(54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하단 홈통(540)이 제2 홈통(530)에 면접하면서 걸리고, 제2 홈통(530)이 제1 홈통(520)에 면접하면서 걸리고, 제1 홈통(520)이 상단 홈통(510)에 면접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신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lower trough of the upper trough (5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first trough (520), the lower trough of the first trough (520) is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second trough The second trough 530 is formed to have a lower diameter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lower trough 540 so that the lower trough 540 contacts the second trough 530 while the second trough 530 contacts the first trough 520 And the first trough 520 is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trough 510 to maintain the stretched state.

도 5 (a), (b)를 참조하면, 최외측에는 하단 홈통(540)이 위치하며, 그 안에는 차례로 제2 홈통(530), 제1 홈통(520) 및 상단 홈통(510)이 차례로 위치한다. 이는 와이어(720)가 하단 홈통(540)을 잡고 있고 하단 홈통(540)의 걸림턱(546)이 제1 홈통(520) 및 제2 홈통(530)의 하강을 저지하면서 받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546)은 제1 홈통(520) 및 제2 홈통(53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 및 강도로 형성하면 족하다. 5 (a) and 5 (b), a bottom trough 540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nd a second trough 530, a first trough 520, do.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wire 720 is held by the lower trough 540 while the lowering trough 546 of the lower trough 540 rests against the lowering of the first trough 520 and the second trough 530. In addition, the engaging protrusion 546 may be formed with sufficient thickness and strength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troughs 520 and 530 from descending.

여기서 낙수관(500)의 재질은 아연도금을 한 평함석, 동판 또는 피브이시(PVC)제 홈통 등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material of the water outlet pipe 500 may be suitab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galvanized flat bed, a copper plate, or a PVC trough.

이로써 평소에는 낙수관(500)의 길이가 최대한 짧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될 가능성이 적고, 관내부 청소가 용이하며, 도둑이 낙수관(500)을 타고 침입할 수 없어 도난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720)만 보일 뿐이고 와이어(720)도 가늘어서 먼 거리에서는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건물 미관을 해치지 않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length of the water discharge pipe 500 is kept as short as possible, it is less likely to be clogged by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easy to clean inside the pipe, and the thief can ride the water discharge pipe 5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security can be ensured from theft because it can not be intruded. In addition, since only the wire 720 is visible and the wire 720 is also thin, observation at a long distance is not possibl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eauty of the building is not hurt.

뿐만 아니라 이송시 공장에서 설치장소까지 낙수관(500)의 길이가 짧은 상태로 이송되므로 이송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discharge pipe 500 is transported in a short length from the factory to the installation site during transportation, the transportation is advantageous.

도 6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수단(7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신축수단(700)은 상단 홈통의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에 톱니(760)가 형성되는 와이어풀리(710), 상기 와이어풀리(710)에 감기는 와이어(720), 상기 와이어풀리(710)의 상부를 감싸는 풀리캡(730), 상기 풀리캡(730)의 내부에 후단이 힌지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와이어풀리(710)의 톱니(760)에 결합시 와이어풀리(7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재(740) 및 상기 걸림부재(740)를 와이어풀리(710)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7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와이어(720)의 타단을 당길시에 와이어(720)는 상기 걸림부재(740)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부재(740)를 와이어풀리(710)의 톱니(760)로부터 이탈시켜 걸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700 includes a wire pulley 71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trough to be rotatable and having teeth 760 formed on its outer periphery, a wire 720 wound on the wire pulley 710, The rear end of the wire pulley 710 is hinged to the inside of the pulley cap 730 and the front end of the wire pulley 710 is engaged with the teeth 760 of the wire pulley 710, And an elastic means 750 for pressing the engaging member 740 toward the wire pulley 710. When the wire 720 is pull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720, 720 is configured to press the latching member 740 to release the latching member 740 from the teeth 760 of the wire pulley 710 to release the latching.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대한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rainwater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평소에는 물받이 보(1)의 하부에 연결된 낙수관(500)의 길이가 최대한 짧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비가 내리게 되면 사용자는 와이어(720) 타단을 당겨서 상기 걸림부재(740)를 와이어풀리(710)의 톱니(760)로부터 이탈시켜 걸림이 해제시키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어풀리(710)를 조금씩 놓아주게 되면, 홈통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The length of the water discharge pipe 500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bearing beam 1 is kept as short as possible. When the rain is lowered, the user pulls the other end of the wire 720 to move the retaining member 740 to the wire pulley 710 So that when the wire pulley 710 is released little by little in this state, the trough is lowered due to its own weight.

이에 따라 하단 홈통(540)의 걸림턱(546)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제2 홈통(530) 및 제1 홈통(520)이 차례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하는 홈통들은 그 직경의 차이로 인해 제일 처음 제1 홈통(520)의 상부가 상단 홈통(510)의 하부에 걸려 정지하고, 이어서 제2 홈통(530)의 상부가 제1 홈통(520)의 하부에 걸려 정지하고, 이어서 하단 홈통(540)의 상부가 제2 홈통(530)의 하부에 걸려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낙수관(500)은 전체적으로 신장한 상태를 유지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trough 530 and the first trough 520, which are support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s 546 of the lower trough 540, descend in that order.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rough 520 is stopp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ough 5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rough 530 is then stopped by the first trough 520. [ And the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rough 540 is caught by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ough 530 and stops. In this way, the water outlet pipe 500 maintains a generally elongated state.

이와 같이 낙수관(500)이 신장할 때는 자중에 의해 상기 홈통들이 낙하하므로 낙수관 전체의 수직도를 따로 맞출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When the water drop pipe 500 is extended, the troughs drop by their own weight, so that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vertical degree of the entire water drop pipe separately,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아울러 비가 그치고 낙수관(500)을 수축시키고자할 때, 사용자는 와이어(720) 타단을 파지한 채 당겨주면 와이어(720)는 승강하게 되고, 와이어 결속부(548)가 형성된 하단 홈통(540) 역시 와이어(720)와 함께 승강하고, 이때 하단 홈통(540)의 걸림턱(546)은 제2 홈통(530)의 하부 말단을 들어올리면서 상승한다. 계속해서 제1 홈통(520)의 하부 말단을 들어올리면서 상승하여 결국 신축관이 가장 짧은 상태가 된다.
When the user pushes the other end of the wire 720 while grasp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720, the wire 720 is lifted and lowered and the lower trough 540 formed with the wire connecting part 548, The hooking jaw 546 of the lower trough 540 is lifted up while lift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rough 530. Th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trough 520 is lifted while lifting the end of the first trough 520, so that the shortest extension pipe is finally obtained.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building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의 신장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수장치의 수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tension state of a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striction state of a rainwater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홈통은 상단 홈통(510), 중간 홈통(520,530) 및 하단 홈통(540)으로 나뉘며, 상기 각 홈통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단 홈통(510)의 하부 직경이 중간 홈통(520,53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간 홈통(520,530)의 하부 직경이 하단 홈통(54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신장시 하단 홈통(540)이 중간 홈통(520,530)에 면접하면서 걸리고, 중간 홈통(520,530)이 상단 홈통(510)에 면접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신장상태를 유지하고, 하단 홈통(540)은 그 측면에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801)을 구비하며, 또한 하단 홈통(540)은 하단부에 끼워지는 분리가능한 마개부(802)를 구비하여 상기 마개부(802)가 중간 홈통(520,530)을 지지함으로써 수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7 and 8, the plurality of troughs are divided into upper troughs 510,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nd lower troughs 540, respectively, Each of the troughs is tapered so as to expand in diameter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lower troughs of the upper troughs 510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troughs of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The lower trough 540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while being inserted while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re inserted into the upper trough 510 to be held in the extended state, And the lower trough 540 has a discharge hole 801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side thereof and the lower trough 540 has a detachable stopper 802 to be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802, 530 support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Writing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of contraction.

여기서, 상기 배출홀(801)은 하단 홈통(54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며{축적된 빗물의 자중에 의해 하단 홈통(540)이 하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출홀(80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부(802)는 하단 홈통(540)의 하단부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강제 끼워맞춤, 나사 결합 등의 방법을 통해 수작업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discharge hole 801 is space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trough 5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discharge hole 801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trough 540 can descend due to the self weight of accumulated rainwater The stopper 802 is configured to close the lower end of the lower trough 540 and is configured to be manually separated by a method such as forcible fitting or screwing.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대한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rainwater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평소에는 물받이 보(1)의 하부에 연결된 낙수관(500)의 길이가 최대한 짧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비가 내리게 되면 마개부(802)에 의해 하단부가 막힌 하단 홈통(540)의 내부에 빗물이 축적되게 되며, 축적된 빗물에 의한 자중으로 홈통은 하강하게 된다.Normally, the length of the water discharge pipe 500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beam 1 is maintained as short as possible. When the rain is lowered,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lower trough 540, And the trough is lowered due to the self weight due to the accumulated rainwater.

이에 따라 하단 홈통(540)의 마개부(802)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제2 홈통(530) 및 제1 홈통(520)이 차례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하는 홈통들은 그 직경의 차이로 인해 제일 처음 제1 홈통(520)의 상부가 상단 홈통(510)의 하부에 걸려 정지하고, 이어서 제2 홈통(530)의 상부가 제1 홈통(520)의 하부에 걸려 정지하고, 이어서 하단 홈통(540)의 상부가 제2 홈통(530)의 하부에 걸려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낙수관(500)은 전체적으로 신장한 상태를 유지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trough 530 and the first trough 520, which are supported by the stopper 802 of the lower trough 540, descend in that order.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rough 520 is stopp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ough 5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rough 530 is then stopped by the first trough 520. [ And the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rough 540 is caught by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ough 530 and stops. In this way, the water outlet pipe 500 maintains a generally elongated state.

이와 같이 낙수관(500)이 신장할 때는 자중에 의해 상기 홈통들이 낙하하므로 낙수관 전체의 수직도를 따로 맞출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When the water drop pipe 500 is extended, the troughs drop by their own weight, so that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vertical degree of the entire water drop pipe separately,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이때, 홈통으로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하단 홈통(54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홀(801)로 배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rainwater continuously flowing into the trough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801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trough 540.

아울러 비가 그치고 낙수관(500)을 수축시키고자할 때, 사용자는 상기 마개부(802)를 하단 홈통(54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축적된 빗물을 배출한 후 다시 결합하며 와이어(720) 타단을 파지한 채 당겨주면 와이어(720)는 승강하게 되고, 와이어 결속부(548)가 형성된 하단 홈통(540) 역시 와이어(720)와 함께 승강하고, 이때 하단 홈통(540)의 마개부(802)는 제2 홈통(530)의 하부 말단을 들어올리면서 상승한다. 계속해서 제1 홈통(520)의 하부 말단을 들어올리면서 상승하여 결국 신축관이 가장 짧은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rain stops and the water outlet pipe 500 is to be retracted, the user separates the stopper 802 from the lower trough 540, discharges the accumulated rainwater and then joins again, and grips the other end of the wire 720 The wire 720 is lifted and lowered and the lower end trough 540 having the wire connecting portion 548 is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wire 720. At this time, And rises while lifting the lower end of the trough 530. Th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trough 520 is lifted while lifting the end of the first trough 520, so that the shortest extension pipe is finally obtained.

여기서, 와이어(720)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외력 하에서는 변형이 제한되어 홈통의 신장을 방지하게 된다.Here, since the wire 720 is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deformation is limited under an external force of a certain size, thereby preventing elongation of the trough.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신축수단으로 와이어(720)와 와이어 풀리(710)만 구비되므로 장치를 더욱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uilding rain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the merit that the apparatus can be constructed more simply because only the wire 720 and the wire pulley 710 are provided a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un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물받이 보 2: 지붕 3: 지지부재
4: 벽체 5: 낙수관 6: 홈걸이
500: 낙수관
510: 상단 홈통 520: 제1 홈통 530: 제2 홈통
540: 하단 홈통 546: 걸림턱 548: 와이어 결속부
700: 신축수단
710: 와이어풀리 720: 와이어 730: 풀리캡
740: 걸림부재 750: 탄성수단 760: 톱니
801: 배출홀 802: 마개부
1: waterbath beam 2: roof 3: support member
4: Wall 5: Drain pipe 6: Home hook
500: Drainage pipe
510: upper trough 520: first trough 530: second trough
540: lower trough 546: latching jaw 548:
700: New construction means
710: wire pulley 720: wire 730: pulley cap
740: engaging member 750: elastic means 760: tooth
801: exhaust hole 802:

Claims (5)

지붕(2)의 처마끝에 구배를 갖는 물받이 보(1)에 수직으로 신축되도록 연결되는 낙수관(500)을 포함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낙수관(500)은 신축가능하며, 상기 신축 가능한 낙수관(500)을 신축시키는 신축수단(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낙수관(500)은 서로 굵기가 다른 다수의 홈통(510, 520, 530, 540)이 신축되도록 삽입 설치되되, 하단 홈통(54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신축수단(700)의 와이어(720)가 결속되는 와이어 결속부(548)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홈통은 상단 홈통(510), 중간 홈통(520,530) 및 하단 홈통(540)으로 나뉘며, 상기 각 홈통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단 홈통(510)의 하부 직경이 중간 홈통(520,53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간 홈통(520,530)의 하부 직경이 하단 홈통(54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신장시 하단 홈통(540)이 중간 홈통(520,530)에 면접하면서 걸리고, 중간 홈통(520,530)이 상단 홈통(510)에 면접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신장상태를 유지하고, 하단 홈통(540)은 걸림턱(546)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546)이 중간 홈통(520,530)을 지지함으로써 수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comprising a drainage pipe (500) connected to a water-receiving beam (1) having a gradient at the eaves of a roof (2) so as to extend and contract vertically,
The drainage pipe (500) is configur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nd further includes a stretching means (700) for stretching the stretchable drainage pipe (500)
A plurality of troughs 510, 520, 530 and 540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drainage pipe 500. The wire 720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7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trough 540, A wire connecting portion 548 to which the wire connecting portion 548 is coupled,
The plurality of troughs are divided into upper troughs 510,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nd lower troughs 540. The troughs are tapered so as to enlarge the diameter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lower trenches 530 and 530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trenches 520 and 530 and the low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trenches 520 and 5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lower trenches 540, And the lower trough 54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546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546 is engaged with the intermediate trough (not shown), and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trough 510, 520, 530), thereby maintaining a contracted state
Building drainage systems
지붕(2)의 처마끝에 구배를 갖는 물받이 보(1)에 수직으로 신축되도록 연결되는 낙수관(500)을 포함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낙수관(500)은 신축가능하며, 상기 신축 가능한 낙수관(500)을 신축시키는 신축수단(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낙수관(500)은 서로 굵기가 다른 다수의 홈통(510, 520, 530, 540)이 신축되도록 삽입 설치되되, 하단 홈통(54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신축수단(700)의 와이어(720)가 결속되는 와이어 결속부(548)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홈통은 상단 홈통(510), 중간 홈통(520,530) 및 하단 홈통(540)으로 나뉘며, 상기 각 홈통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되, 상단 홈통(510)의 하부 직경이 중간 홈통(520,53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간 홈통(520,530)의 하부 직경이 하단 홈통(540)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신장시 하단 홈통(540)이 중간 홈통(520,530)에 면접하면서 걸리고, 중간 홈통(520,530)이 상단 홈통(510)에 면접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신장상태를 유지하고, 하단 홈통(540)은 측면에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801)을 구비하며, 또한 하단 홈통(540)은 하단부에 끼워지는 분리가능한 마개부(802)를 구비하여 상기 마개부(802)가 중간 홈통(520,530)을 지지함으로써 수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
A rainwate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comprising a drainage pipe (500) connected to a water-receiving beam (1) having a gradient at the eaves of a roof (2) so as to extend and contract vertically,
The drainage pipe (500) is configur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nd further includes a stretching means (700) for stretching the stretchable drainage pipe (500)
A plurality of troughs 510, 520, 530 and 540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drainage pipe 500. The wire 720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7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trough 540, A wire connecting portion 548 to which the wire connecting portion 548 is coupled,
The plurality of troughs are divided into upper troughs 510,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nd lower troughs 540. The troughs are tapered so as to enlarge the diameter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lower trenches 530 and 530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trenches 520 and 530 and the low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trenches 520 and 5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lower trenches 540, And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and 530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troughs 510 to maintain a stretched state and the lower troughs 540 have discharge holes 801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side surfaces, (54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stopper (802) which is fitted in the lower end so that the stopper (802) can maintain the contraction state by supporting the intermediate troughs (520, 530)
Building drainage system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700)은 상단 홈통의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에 톱니(760)가 형성되는 와이어풀리(7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720)는 와이어풀리(710)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700 further comprises a wire pulley 71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trough to be rotatable and having teeth 760 formed on its outer periph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720) is wound on a wire pulley (710)
Building drainage system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20305A 2012-12-04 2013-02-26 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 KR1015632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42 2012-12-04
KR20120139942 2012-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54A KR20140071854A (en) 2014-06-12
KR101563209B1 true KR101563209B1 (en) 2015-10-26

Family

ID=5112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305A KR101563209B1 (en) 2012-12-04 2013-02-26 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2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94B1 (en) 2018-12-21 2019-06-27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rainwater drainer for bridge for a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480B (en) * 2016-12-08 2022-02-25 王海丽 Improved multifunctional drain pi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94B1 (en) 2018-12-21 2019-06-27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rainwater drainer for bridge for a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54A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613A (en) Roof drain assembly
EP1460199B1 (en) Rounded gutter with gutter guard
US8959840B1 (en) Gutter guard
CN105008633B (en) The railing waterproof and drainage arrangement of building roof
WO2008137145A2 (en) Removable downspout for a gutter system
KR101563209B1 (en) 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
US20160168857A1 (en) Gutter system
US5586837A (en) Raingutter leaf guard and cleaning device
CA3077146A1 (en) Eavestrough debris guard
KR101925206B1 (en) Method of Repair for Rooftop Drain Using Drain Units for Rooftop
JP2015021267A (en) Drainage structure of building
US9777482B1 (en) Residential or commercial see-through eaves and downspout gutter system
KR101248063B1 (en) A buoyancy function apparatus of facilities
KR200405437Y1 (en) Rayer roof and floor drain system
CN103362259A (en) Back-flow-type rain cover adopting steel structure
WO2015137701A1 (en) Device for blocking rain and preventing falling of snow and icicle for rooftop of building
FI60754C (en) ANORDINATION VIDEO BUMPER FOR TAKRAENNOR FOER AVLEDNING AV REGNVATTEN FRAON STUPROERET
JP6134948B2 (en) Building external structure
AU2016101570A4 (en) Debris Collection Device
CN215484145U (en) Architectural design roof eaves mouth watertight fittings
JP3132494U (en) Snow sliding structure at the eaves of a wooden tiled roof
KR101906927B1 (en) Assembly-type gutter system with membrane re-tension device
KR101925205B1 (en) Drain Units for Rooftop
JP2021188302A (en) Drain structure
AU2015101719A4 (en) Rain Water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