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630B1 -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 Google Patents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630B1
KR101562630B1 KR1020140148569A KR20140148569A KR101562630B1 KR 101562630 B1 KR101562630 B1 KR 101562630B1 KR 1020140148569 A KR1020140148569 A KR 1020140148569A KR 20140148569 A KR20140148569 A KR 20140148569A KR 101562630 B1 KR101562630 B1 KR 10156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instrument
length
instrument
length measuring
instru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102014014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G21C17/063Burn-up contro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기 집합체를 구성하는 임의의 계측기가 고장나더라도 원하는 길이방향의 출력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계측기로 이루어져서 원자로 내부의 출력분포를 측정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있어서, 가장 긴 길이를 갖는 전장 계측기: 상기 전장 계측기와 동일한 높이를 갖되 하단이 상기 전장 계측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길이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속 부분장 계측기 및 길이 방향으로 상호 떨어져 있는, 2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를 포함하는 각각의 단절 계측기사이의 간격은 부분장 계측기의 줄어드는 길이로 구성되며, 반드시 하나이상의 단절 계측기는 전장계측기의 양 끝단에 일치시켜 중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개 이상의 단절부 계측기로 이루어진 단절 부분장 계측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전장 계측기, 상기 연속 부분장 계측기 및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의 에미터 재질은 바나듐, 로듐, 플래티늄, 지르코늄, 코발트, 실버 및 하프늄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절한 것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는 보호 튜브 내부에 절연 충진재와 함께 내장되되, 상기 단절부 계측기가 설치되지 않은 부위의 보호 튜브의 직경은 그렇지 않은 부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incore instrument assembly for nuclear reactor with substitute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측기 집합체를 구성하는 임의의 계측기가 고장나더라도 원하는 길이방향의 출력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자는 핵연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허용출력을 미리 계산하여 최대 허용출력에 관한 정보를 운전원에게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공받은 운전원은 최대 허용출력을 넘지 않도록 운전함으로써 핵연료의 건전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핵연료의 최대 허용출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원자로 노심 내의 중성자 또는 감마선 플럭스(Flux) 분포를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원자로 노심 내의 중성자 또는 감마선 플럭스 분포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원자로의 안정성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종래 원자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원자로 노심 내의 중성자 또는 감마선 플럭스 분포를 측정하는 원자로의 고정형 계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기 집합체(1)와 기타 지지 구조물(2), 케이블(3), 컨넥터(4), 신호 측정 및 처리 장비들(5)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용 원자로의 노심 출력을 측정하기 위한 원자로의 고정형 계측기에는 로듐(Rh-103), 바나듐(V-51) 또는 백금(Pt-195) 등이 에미터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표준형 원전의 경우 전체 177개의 핵연료 집합체 중 반경 방향으로 45개의 핵연료 집합체에 계측기 집합체가 설치되며, 각각의 계측기 집합체는 핵연료 집합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고, 각각의 계측기 집합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예를 들어 로듐 계측기가 5개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듐 계측기에 따르면, 핵분열성 물질에서 발생하여 계측기 내로 입사하는 중성자가 그 내부에 에미터로 존재하는 로듐 동위원소와 반응하여 베타 입자를 방출함으로써 중성자 플럭스에 비례한 전류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로듐이 팔라듐으로 변하게 된다. 로듐은 열중성자에 대하여 높은 흡수 단면적을 갖기 때문에 계측 신호의 특성이 양호한 반면, 로듐이 중성자와 반응하여 지속적으로 연소되기 때문에 로듐 계측기 에미터로부터 나오는 중성자 플럭스당 신호출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 즉 로듐이 점차 연소(Depletion)되면서 팔라듐으로 변화되어 발생되는 신호 출력이 줄어들게 되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정확한 출력분포 측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 분포 측정이 불가능한 시점까지 도달하게 되면 로듐 계측기가 교체되어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로듐 계측기 수명은 2~3주기(3~5년)에 불과하다. 따라서 매 주기 15~20개의 로듐 계측기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교체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교체 주기 전에 계측기의 성능이 현저하게 나빠져서 오작동 신호를 발생하더라도 핵설계 프로그램이 예측한 값과 비교하여 실제 측정값과 예측값이 15% 이상의 차이를 보일 때까지 측정 신호를 노심 감시의 출력분포 분석에 사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듐 계측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정상 출력보다 높게 측정된 중성자속 오신호의 경우 해당 계측기 위치 인근의 국부 출력 분포를 높게 평가하게 하여 발전소 운전 여유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핵설계 프로그램의 실제 측정값이 예측한 값과 비교하여 15% 이상의 차이를 보이게 될 경우, 계측기를 고장 처리하여 출력분포 평가에서 제외하게 되지만 발전소 예방 정지까지 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고장난 계측기 위치의 출력분포 정보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웨스팅하우스 사의 파셀(PARSSEL) 계측기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셀 계측기는 로듐 계측기의 신호 지연성을 해결하고자 백금 에미터를 이용한 5개의 백금 계측기(200)와 바나듐 에미터를 이용한 1개의 바나듐 계측기(300)로 구성하였는바, 백금 에미터의 길이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백금 계측기의 신호 길이를 증가시키고 있다.
즉, 로듐에 비하여 낮은 연소율, 즉 낮은 중성자 흡수 단면적을 갖는 백금(24barns)과 바나듐(5barns) 등을 사용하여, 계측기 에미터 물질의 연소를 줄임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한 것이다. 이때, 길이가 가장 긴 백금과 바나듐 계측기의 길이는 일 예로 약 345㎝이며, 가장 짧은 백금 계측기의 길이는 약 90㎝이다.
그러나, 상기의 백금과 바나듐의 낮은 흡수 단면적으로 인하여 계측기의 출력 신호가 낮다는 문제점을 발견한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웨스팅하우스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채널에 장입되는 5개의 바나듐 계측기의 축방향 길이를 노심 전장부터 단계적으로 축소되도록 설계하며, 인접하여 중첩된 계측기 신호를 단계적으로 차감하여 축방향 출력분포를 구하는 오파셀(OPARSSEL) 계측기를 발명(선행기술 1 참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미국 웨스팅하우스사가 제안한 파셀 및 오파셀 계측기에 따르면, 일부씩 중첩되어 있는 4~5개의 바나듐 혹은 백금 계측기 중에서 임의의 계측기를 기준으로 인접한 상부 및 하부 계측기와의 계산을 통해 2곳의 축방향 출력분포가 산출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계측기가 고장날 경우, 해당 계측기에 관계되는 2곳의 출력분포 확인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종래 또 다른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선행기술 2 참조)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계측기 집합체에 따르면, 계측기의 신호 크기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계측기의 길이를 기존 로듐 계측기보다 최소 2배~최대 5배로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계측기의 길이가 최소 2배 미만이면 계측기의 신호 크기를 증가시킬 수 없으며, 상기 계측기의 길이가 최대 5배를 초과하게 되면 계측기 집합체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한 계측기의 자가 고장진단을 위한 로직을 구현하는 동시에, 동일 채널 내의 단일 계측기 고장 발생시에도 출력분포 측정이 가능하도록 다중 중첩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계측기의 길이 방향의 중첩 위치의 구성은, 전장 계측기(a)(10), 각 부분장 계측기(b,c,d,e,f)(20,30) 및 5개로 이루어진 길이방향 출력(p1, p2, p3, p4, p5)(4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전장 계측기(10)는 150인치의 길이를 갖는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부분장 계측기(20,30)는 60인치의 길이로 이루어진 4개와 90인치의 길이로 이루어진 1개를 포함해서 총 5개로 구성된다.
즉, 계측기 집합체 내에서 60인치의 부분장 계측기(20)는 상측을 기준으로 30인치씩 중첩되게 하방으로 설치되고, 1개의 90인치의 부분장 계측기(30)는 상측을 기준으로 30인치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1개의 전장 계측기(10)가 90인치의 부분장 계측기(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60인치의 부분장 계측기(20)의 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계측기 집합체 내에 위치한 각각의 계측기(10~30)는 그 설치 위치와 길이에 따라 상측에서 하방으로, 즉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5개의 길이방향 출력(p1, p2, p3, p4, p5)(40)을 측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계측기 집합체에 따르면, 총 5개의 부분장 계측기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 다른 계측기의 신호를 조합하여 원하는 길이방향 출력을 얻을 수 있으나, 전장 계측기가 고장난 경우에는 원하는 길이방향 출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외에도 신호선의 백그라운드 노이즈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 10-2012-0031482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노심내 기구 노심 성능 검증 방법) 선행기술 2 : 10-2009-0119163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원자로의 고정형 계측기) 선행기술 3 : 10-2013-0087763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계측기 집합체를 구성하는 임의의 계측기가 고장나더라도 원하는 길이방향의 출력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계측기로 이루어져서 원자로 내부의 출력분포를 측정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있어서, 가장 긴 길이를 갖는 전장 계측기: 상기 전장 계측기와 동일한 높이를 갖되 하단이 상기 전장 계측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길이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속 부분장 계측기 및 길이 방향으로 상호 떨어져 있는, 2개 이상의 단절부 계측기로 이루어진 단절 부분장 계측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전장 계측기, 상기 연속 부분장 계측기 및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의 에미터 재질은 바나듐, 로듐, 플래티늄, 지르코늄, 코발트, 실버 및 하프늄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절한 것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는 보호 튜브 내부에 절연 충진재와 함께 내장되되, 상기 단절부 계측기가 설치되지 않은 부위의 보호 튜브의 직경은 그렇지 않은 부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단절부 계측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속 부분장 계측기의 줄어드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단절부 계측기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장 계측기의 적어도 일측 단부와 일치되도록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따르면, 계측기 집합체를 구성하는 임의의 계측기가 고장나더라도 원하는 길이방향의 출력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노이즈를 저감시킴으로써 계측기의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이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임의의 계측기 출력신호에 대해 대체 계산을 통해 상호 비교함으로써 신호의 건전성을 평가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원자로의 고정형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원자로의 고정형 계측 시스템에서 각 계측기 집합체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종래 웨스팅하우스 사의 파셀(PARSSEL) 계측기의 구성도.
도 4은 종래 웨스팅하우스 사의 오파셀(OPARSSEL) 계측기의 구성도.
도 5는 종래 또 다른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서 단절 부분장 계측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는 크게 1개의 전장 계측기(41), 총 4개의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5) 및 1개의 단절된 부분장 계측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전장 계측기(41)는 150인치의 길이를 갖는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총 4개의 부분장 계측기(42~45)는 각각 30인치씩 줄어드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연속 부분장 계측기(42)는 그 상부가 전장 계측기(41)와 중첩되되 그 하단은 전장 계측기(41)보다 30인치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제2 연속 부분장 계측기(43)는 상부가 제1 연속 부분장 계측기(42)와 중첩되되 그 하단은 제1 연속 부분장 계측기(42)보다 30인치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3 연속 부분장 계측기(44)는 그 상부가 제2 연속 부분장 계측기(43)와 중첩되되 그 하단이 제2 연속 부분장 계측기(43)보다 30인치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제4 연속 부분장 계측기(45)는 그 상부가 제3 연속 부분장 계측기(44)와 중첩되되 그 하단이 제3 연속 부분장 계측기(44)보다 30인치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단절 부분장 계측기(50)는 길이방향으로 30인치씩 이격된 3개의 이미터, 즉 단절부 계측기(A),(B),(C)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단절 부분장 계측기(50)의 상부 계측기(A)는 모든 계측기와 중첩되고, 단절 부분장 계측기(50)의 중부 계측기(B)는 전장 계측기(41), 제1 및 제2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3)와 중첩되며, 마지막으로 단절 부분장 계측기(50)의 하부 계측기(C)는 전장 계측기(41)에만 중첩된다.
전장 계측기(41),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5) 및 단절 부분장 계측기(50)의 재질, 즉 에미터 재질은 바나듐, 로듐, 플래티늄, 지르코늄, 코발트, 실버 및 하프늄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절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를 통한 길이방향 출력 계산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는바, 전장 계측기(41)의 상단부터 하단까지의 30인치 길이로 된 총 5개 출력 구간을 각각 P1~P5라 한다. 또한 각 구간의 출력을 각각 OP1, OP2, OP3, OP4 및 OP5라 하고, 전장 계측기(41)의 출력을 O41, 각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5)의 출력을 O42, O43, O44 및 OP45라 하고, 단절 부분장 계측기(50)의 출력을 O50이라 한다.
먼저 모든 계측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P1 구간의 출력(OP1)은 제4 연속 부분장 계측기(45)의 출력(O45)을 통해 구할 수 있다(OP1=O45). 다음으로 P2 구간의 출력(OP2)은 제3 연속 부분장 계측기(44)의 출력(O44)에서 제4 연속 부분장 계측기(45)의 출력(O45)을 감산한 값으로 구해질 수 있다(OP2=O44-O45).
마찬가지 방식으로, P3 구간의 출력(OP3)은 제2 연속 부분장 계측기(43)의 출력(O43)에서 제3 연속 부분장 계측기(44)의 출력(O44)을 감산한 값으로 구해질 수 있고(OP3=O43-O44), P4 구간의 출력(OP4)은 제1 연속 부분장 계측기(42)의 출력(O42)에서 제3 연속 부분장 계측기(43)의 출력(O43)을 감산한 값으로 구해질 수 있다(OP4=O42-O43). 마지막으로 P5 구간의 출력(OP5)은 전장 계측기(41)의 출력(O41)에서 제1 연속 부분장 계측기(42)의 출력(O42)을 감산한 값으로 구해질 수 있다(OP5=O41-O42).
한편, 전장 계측기(41)나 각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5)의 고장시에는 단절 부분장 계측기(50)의 출력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원하는 길이방향 출력을 구할 수 있다.
[전장 계측기(41) 고장시]
OP1=O45, OP2=O44-O45, OP3=O43-O44, OP4=O42-O43, OP5=O50-O45-(O43-O44)
[제1 연속 부분장 계측기(42) 고장시]
OP1=O45, OP2=O44-O45, OP3=O43-O44, OP4=O41-(O50+(O44-O45)), OP5=O50-O45-(O43-O44)
[제2 연속 부분장 계측기(43) 고장시]
OP1=O45, OP2=O44-O45, OP3=O50-O45-(O41-O42), OP4=O41-(O50+(O44-O45)), OP5=O41-O42
[제3 연속 부분장 계측기(44) 고장시]
OP1=O45, OP2=O41-(O50+(O42-O43)), OP3=O50-O45-(O41-O42), OP4=O42-O43, OP5=O41-O42
[제4 연속 부분장 계측기(45) 고장시]
OP1=O50-(O41-O42)-(O43-O44), OP2=O41-(O50+(O42-O43)), OP3=O43-O44, OP4=O42-O43, OP5=O41-O42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따르면, 전장 계측기(41), 전장 계측기(41)와 동일한 높이를 갖되 그 하단이 전장 계측기(41)에 대해 30인치씩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길이로 이루어진 총 4개의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5) 및 전장 계측기(41)의 수직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있되 상호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총 3개의 단절부 계측기(A),(B),(C)로 이루어진 단절 부분장 계측기(50)로 구성됨으로써 전장 계측기(41) 및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5)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행하더라도 원하는 길이방향 출력을 계산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서 단절 부분장 계측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서, 단절 부분장 계측기(50),(5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 튜브(52),(52'), 보호 튜브(52),(52')의 내부에 상호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총 3개의 단절부 계측기(A),(B),(C), 단절부 계측기(A),(B),(C)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도선(56) 및 보호 튜브(52),(52') 내부에 충진되어 보호 튜브(52),(52')와 단절부 계측기(A),(B),(C)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충진재(54),(54'), 예를 들어 세라믹 충진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보호 튜브(52),(54')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절부 계측기(A),(B),(C)가 설치되지 않는 부위의 보호 튜브(52),(52')를 통해 입사되는 중성자에 의해서도 신호가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발생된 신호는 모두 노이즈 신호가 된다. 이를 감안하여,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도 7의 실시예에 비해 단절부 계측기(A),(B),(C)가 설치되지 않은 부위의 보호 튜브(52')의 직경을 작게하여 전체 보호 튜브(52')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의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참조번호 41' 및 41"는 전장 계측기를 나타내고, 42'~46' 및 42"~47"는 각각 연속 부분장 계측기를 나타내며, 60 및 60'는 단절 부분장 계측기를 각각 나타낸다. 즉,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6'),(42"~47")의 갯수가 각각 5개 및 6개로 증가하였는바, 이와 같이 전장 계측기(41', 41") 및 연속 부분장 계측기(42'~46'),(42"~47")의 수량 및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단절 부분장 계측기(60, 60') 내부의 단절부 계측기(A'),(B'),(C'),(D')의 갯수와 위치가 함께 변경되게 될 것이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41, 41', 41": 전장 계측기,
42~45, 42'~46', 42"~47" : 연속 부분장 계측기,
50, 60, 60': 단절 부분장 계측기,
52, 52': 보호 튜브, 54, 54': 절연 충진재,
56: 전기 도선,
A, B, C, A', B', C', D': 단절부 계측기

Claims (4)

  1. 복수의 계측기로 이루어져서 원자로 내부의 출력분포를 측정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에 있어서,
    가장 긴 길이를 갖는 전장 계측기:
    상기 전장 계측기와 동일한 높이를 갖되 하단이 상기 전장 계측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길이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속 부분장 계측기 및
    길이 방향으로 상호 떨어져 있는, 2개 이상의 단절부 계측기로 이루어진 단절 부분장 계측기;를 포함하되,
    상기 단절부 계측기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장 계측기의 적어도 일측 단부와 일치되도록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계측기, 상기 연속 부분장 계측기 및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의 에미터 재질은 바나듐, 로듐, 플래티늄, 지르코늄, 코발트, 실버 및 하프늄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는 보호 튜브 내부에 절연 충진재와 함께 내장되되,
    상기 단절부 계측기가 설치되지 않은 부위의 보호 튜브의 직경은 그렇지 않은 부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 부분장 계측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단절부 계측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속 부분장 계측기의 줄어드는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KR1020140148569A 2014-10-29 2014-10-29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KR10156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569A KR101562630B1 (ko) 2014-10-29 2014-10-29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569A KR101562630B1 (ko) 2014-10-29 2014-10-29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630B1 true KR101562630B1 (ko) 2015-10-23

Family

ID=5442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569A KR101562630B1 (ko) 2014-10-29 2014-10-29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02B1 (ko) 2019-11-15 2020-03-11 유춘성 로듐계측기의 수명 연장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2495A (ja) * 2000-03-27 2001-10-05 Toshiba Corp 原子炉出力監視装置
KR100301297B1 (ko) 1992-06-22 2001-10-22 드폴 루이스 에이 노심내고정형검출기및원자로내의출력분포결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297B1 (ko) 1992-06-22 2001-10-22 드폴 루이스 에이 노심내고정형검출기및원자로내의출력분포결정방법
JP2001272495A (ja) * 2000-03-27 2001-10-05 Toshiba Corp 原子炉出力監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02B1 (ko) 2019-11-15 2020-03-11 유춘성 로듐계측기의 수명 연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603B1 (ko) 자기 보상식의 고정밀 고수명의 듀얼 로듐 바나듐 이미터 로내 핵 검출기
CN107767974B (zh) 核反应堆堆芯中子及温度探测装置
JPH11264887A (ja) 原子炉核計装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を備えた原子炉出力分布監視システムおよび原子炉出力分布監視方法
KR102254441B1 (ko) 이온 챔버 방사선 검출기
US20160055926A1 (en) Multi-thermocouple in-core instrument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ternal state of nuclear reactor after severe accident using the same
CN108899102A (zh) 用于压水堆通用的固定式自给能中子探测器的布置方法
KR101376704B1 (ko) 중성자 선속 검출 민감도가 개선된 노내 계측기
KR101484000B1 (ko)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 융합형 노내계측기 집합체
CN103226171B (zh) 一种电缆载流热效应冗余度监测方法
KR101562630B1 (ko) 대체 측정용 계측기를 갖는 원자로의 계측기 집합체
EP3007175A1 (en) Hybrid reactor in-core detector assembly for core monitoring and protection
KR100960788B1 (ko) 원자로의 고정형 계측기
EP3007176A1 (en) Convergence reactor in-core detector assembly for core monitoring and protection
KR870001094B1 (ko) 중성자속 검출기
KR101621236B1 (ko) 다중열전대 노내핵계측기
JP4625557B2 (ja) 原子炉出力監視装置
CN107068219B (zh) 核反应堆控制棒棒位探测器
US2022034209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radiation with schottky diodes for enhanced in-core measurements
KR20220092608A (ko) 원자로 노심의 플럭스를 측정하기 위한 자체-전원 노외 검출기 장치
KR101445557B1 (ko)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US11694816B2 (en) Self-powered in-core detector arrangement for measuring flux in a nuclear reactor core
JPH0548438B2 (ko)
JP2005172474A (ja) 原子炉炉心熱出力監視装置
Cacciapouti et al. Experience with fixed platinum in-core detectors
KR101230845B1 (ko) 주검출부 및 보조검출부를 가지는 원자로의 고정형 노내계측기 및 이를 이용한 중성자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