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555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555B1
KR101562555B1 KR1020090070921A KR20090070921A KR101562555B1 KR 101562555 B1 KR101562555 B1 KR 101562555B1 KR 1020090070921 A KR1020090070921 A KR 1020090070921A KR 20090070921 A KR20090070921 A KR 20090070921A KR 101562555 B1 KR101562555 B1 KR 101562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op
program guide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977A (ko
Inventor
강창환
서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9007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555B1/ko
Priority to US12/804,843 priority patent/US8904438B2/en
Publication of KR2011001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수의 미니 EPG 정보를 단계적으로 확장하여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상에 존재하는 메인 팝업 창을 통해 미니 EPG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청자에 의해 확장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속하는 서브 팝업 창을 이용하여 EPG 정보를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초기 EPG 정보의 제공을 위해 오픈되는 메인 팝업 창에 연계하여 오픈되는 피아이피 창을 통해 피아이피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청자로부터의 요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화면을 통해 식별 가능하도록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EPG), 피아이피 (PIP), 방송 콘텐츠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ORTIN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MINI EPG; MINI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미니 EPG 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고품질의 영상과 음향을 지원하는 방송 콘텐츠 (content)를 시청자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은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칭함)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EPG 정보는 디지털 방송 서버에 의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EPG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의 변경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EPG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EPG 정보를 가공하여 EPG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표시되는 EPG 정보는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방송 콘텐츠 또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표시되는 EPG 화면에서 다양한 방송 콘턴츠를 검색하고, 서비스 받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의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시청자가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이 용이하도록 EPG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EPG 기능을 활용하여 복수의 팝업 창을 통해 EPG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EPG 기능과 피아이피 (PIP; Picture-In-Picture) 기능을 결합하여 복수의 팝업 창들 중 메인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PIP 창을 통해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소정 시간 이상의 처리 지연 시간이 요청되는 경우 시청자의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안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청자로부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시청자로부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메인 팝업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 또는 상기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1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추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추가 접수되면,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2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동하여 피아이피 (PIP; Picture-In-Picture)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서브 팝업 창을 추가로 확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청자로부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감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시청자로부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시청자의 요구에 의해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메인 팝업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 또는 상기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접수되 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1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추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추가 접수되면,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2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 또는 푸쉬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동하여 피아이피 (PIP; Picture-In-Picture)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PG 정보를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복수의 미니 EPG를 지원하는 팝업 창들을 통해 단계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EPG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청을 위한 방송 콘텐츠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EPG 정보와 함께 해당 EPG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를 PIP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청을 위한 방송 콘텐츠 선택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의 처리 지연 시간이 요구되는 특정 기능이 요청되면, 요청된 기능에 대응한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해당 요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시청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다양한 통신 매체를 통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수신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통신 매체로 위성, 지상파 등의 무선 망이 이용되는 경우에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통신 매체로 케이블 등의 유선 망이 이용되는 경우에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선 망을 통해 제공되는 대표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는 IP 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가 존재하며, 상기 무선 망을 통해 제공되는 대표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는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가 존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방송 콘텐츠라는 용어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사용할 것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EPG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순차적으로 오픈 되는 팝업 창들을 통해 EPG 정보가 단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팝업 창들은 미니 EPG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 및 동작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EPG 정보가 표시되는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A. 디지털 방송 수신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부 (user interface unit)(110)는 시청자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 (control signal)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어 신호를 정보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시청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방식은 유저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적외선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시청자는 리모컨 등의 외부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직접 입력 방식인 경우, 상기 시청자는 터치 스크린 (touch screen)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구비된 키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제어 신호는 다양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채널 전환 요청, EPG 정보 요청 등과 같이 시청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요청에 관한 제어 신호가 될 수 있다.
수신부(120)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한 모든 통신 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 정보뿐만 아니라 EPG 정보 등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20)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EPG 정보 등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 방송 콘텐츠 등이 전송되는 망의 종류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방식으로는 케이블망을 이용한 통신, 위성 통신, 지상파 통신 등이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시청자로부터 시청을 원하는 방송 콘텐츠의 선택 신호가 제공되면, 송신부(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해당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여 줄 것을 디지털 방송 서버로 요청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서비스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시청자로부터 요청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수신부(120)를 통해 시청자가 원하는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전달 받은 방송 콘텐츠 정보를 표시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부(140)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서비스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시청자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을 접수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수신부(120)를 통해 전달 받은 EPG 정보를 가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EPG 정보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EPG 정보의 요청이 초기 요청인 경우, 특정 방송 콘텐츠가 서비스되고 있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메인 팝업 창을 열 것을 상기 표시부(140)에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와 함께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상기 EPG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의 변경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변경 요청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와 함께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를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달 되는 시청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채널의 현재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가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 다. 이때 상기 정보 처리부(130)의 제어에 의해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되는 정보는 현재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로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시청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의해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에서 서비스되는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표시부(140)로 전달함으로써, 전체 화면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동하여 PIP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PIP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되는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상기 PIP 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PIP 창은 상기 메인 팝업 창의 우측 영역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메인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결하여 제1서브 팝업 창을 열 것을 상기 표시부(140)에게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새로운 EPG 정보와 함께 상기 새로운 EPG 정보를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 표시할 새로운 EPG 정보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에서 다음에 서비스될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와 유사한 종류의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 시된 EPG 정보보다 상세한 EPG 정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서브 팝업 창에 표시되는 정보는 앞서 예시한 정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로 확장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추가 접수되면,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2서브 팝업 창을 열 것을 상기 표시부(140)에게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새로운 EPG 정보와 함께 상기 새로운 EPG 정보를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에 표시할 새로운 EPG 정보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다음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다음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중 소정 주기로 해당 채널의 전체 방송 스케줄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서브 팝업 창에 표시되는 정보는 앞서 예시한 정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로 확장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시청자로부터의 액티브 키 입력이 감지되면, 전체 화면에서 사전에 지정된 영역에 상기 액티브 키의 입력을 감지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마크가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특정 기능을 요구하는 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바람직하기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해당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처리 지연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해당 기능을 요청하는 키를 액티브 키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정보 처리부(130)의 제어를 받아 메인 팝업 창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팝업 창뿐만 아니라 PIP 창 등을 열고, 상기 정보 처리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 정보 및 EPG 정보를 전체 화면, 메인 팝업 창, 서브 팝업 창, PIP 창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표시부(140)의 제어를 통해 표시할 서브 팝업 창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서브 팝업 창의 개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서브 팝업 창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메인 팝업 창을 포함하여 복수의 창이 열린 상태에서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복수의 창들 중 어느 하나의 창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창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팝업 창과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의 표시 방법의 일 예로 전체 화면의 좌측 하단의 일부 영역에서 우측 방향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확장되며, 상기 메인 팝업 창과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PIP 기능이 추가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PIP 창이 상기 메인 팝업 창의 좌측에 결합된 형태로 확장된다.
그뿐만 아니라 상술한 동작에 의해 활성화된 메인 팝업 창과 서브 팝업 창 및 PIP 등은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인 팝업 창과 두 개의 서브 팝업 창 및 하나의 PIP 창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시청자는 상기 활성화된 창들 중 하나를 닫을 것을 지시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활성화된 창들은 활성화 순서의 역순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액티브 키의 입력을 감지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표시한 마크를 해당 기능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 또는 마크를 표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해당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마크를 표시한 후 일정 시간은 시청자가 해당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인지하기에 충분한 시간일 필요가 있다.
B. 실시 예
이하 상술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인 팝업 창과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을 이용하여 EPG 정보를 표시하는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선택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는 전체 화면을 통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PIP 기능을 접목하여 메인 팝업 창 및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을 이용하여 EPG 정보를 표시하고, PIP 기능에 따른 PIP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선택되는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능으로써, 시청자에 의해 액티브 키가 입력될 시 이를 인지하였음을 시청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제안될 것이다.
한편, 후술 될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을 가정하고 있으나 하나의 서브 팝업 창을 이용하여 EPG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B-1.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210단계에서 시청자에 의해 요청된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가 제공하는 상황에서 시청자로부터 EPG 정보의 제공 이 요청되는 지를 감시한다 (212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시청자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면, 214단계에서 메인 팝업 창을 오픈 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216단계에서 상기 오픈된 메인 팝업 창을 통해 EPG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EPF 정보는 현재 전체 화면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이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특정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전체 화면(340) 상에 메인 팝업 창(310)을 오픈하고, 상기 오픈한 메인 팝업 창(310)을 통해 미니 EPG 정보가 표시된 일 예는 도 3a에서 보이고 있다. 도 3a에 의하면 메인 팝업 창(310)에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가 Prison Break season 3이며, 현재 서비스가 이루어진 정도가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a에서는 메인 팝업 창(310)이 전체 화면(340)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a에서 보이고 있는 전체 화면(340)은 실제 전체 화면 중 아랫부분의 영상만을 잘라서 보이고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218단계에서 시청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감시하며, 222단계에서는 팝업 창의 확장이 시청자에 의해 요청되는지를 감시한다. 그리고 228단계에서는 EPG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의 종료가 상기 시청자에 의해 요청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218단계에서 채널 전환이 요청되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시청자에 의해 전환이 요청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를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한다. 즉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 콘텐츠 또한 변경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218단계 내지 220단계에 의해 시청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되는 EPG 정보를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222단계에서 시청자로부터의 팝업 창 확장 요청이 접수되면, 224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팝업 창으로부터 확장된 서브 팝업 창을 오픈한다. 상기 서브 팝업 창의 확장은 앞서 오픈된 메인 팝업 창 또는 서브 팝업 창에 상, 하, 좌,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226단계에서 상기 오픈된 서브 팝업 창을 통해 추가 EPG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새로 오픈된 서브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될 새로운 EPG 정보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통해 다음으로 제공된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에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EPG 정보가 표시되거나 푸쉬 콘텐츠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푸쉬 콘텐츠는 사업자로부터 방송 서버를 통해 푸쉬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도 3b에서는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메인 팝업 창으로부터 제1서브 팝업 창(320)이 확장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b에 의하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서 확장된 제1서브 팝업 창(320)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다음에 서비스될 예정인 스케줄링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222단계 내지 226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서브 팝업 창을 오픈하고, 상기 오픈된 각 서브 팝업 창을 통해 서로 다른 EPG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되는 EPG 정보는 방송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 예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에 관한 정보 또는 푸쉬 콘텐츠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푸쉬 콘텐츠는 사업자로부터 방송 서버를 통해 푸쉬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도 3c에서는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EPG 정보가 표시된 후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새로운 EPG 정보를 표시하는 제2서브 팝업 창(330)이 확장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c에 의하면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서 확장된 제2서브 팝업 창(330)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통해 향후 제공될 방송 콘텐츠의 스케줄링 정보가 표시된다. 즉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될 EPG 정보는 현재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통해 향후 제공될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시간 순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 주기 또는 랜덤하게 해당 채널을 통해 제공될 전체 또는 일부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체 화면(340) 상에 메인 팝업 창(310)과 두 개의 서브 팝업 창(320, 330)을 통해 EPG 정보가 모두 표시된 상태에서의 화면 예를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228단계에서 시청자로부터 EPG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면, 23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오픈된 팝업 창을 모두 닫는다. 하지만 복수의 팝업 창이 오픈된 상태에서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오픈된 순서의 역순에 의해 팝업 창을 순차적으로 닫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창들을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메인 팝업 창과 두 개의 서브 팝업 창들 중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어 포커싱 (focusing)할 팝업 창을 다른 팝업 창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에서는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메인 팝업 창이 포커싱될 시 상기 메인 팝업 창을 두 개의 서브 팝업 창과 식별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8b에서는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첫 번째 서브 팝업 창이 포커싱될 시 상기 첫 번째 서브 팝업 창을 메인 팝업 창과 나머지 하나의 서브 팝업 창과 식별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8c에서는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두 번째 서브 팝업 창이 포커싱될 시 상기 두 번째 서브 팝업 창을 메인 팝업 창과 나머지 하나의 서브 팝업 창과 식별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b에서는 메인 팝업 창과 두 개의 서브 팝업 창들 중 시청자 에 의해 선택되어 포커싱 (focusing)할 팝업 창 외의 다른 팝업 창들 간에도 구분하여 표시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에서는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메인 팝업 창이 포커싱될 시 상기 메인 팝업 창의 크기를 가장 크게 표시하고, 두 개의 서브 팝업 창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작게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포커싱 되지 않은 두 개의 서브 팝업 창들 중 첫 번째 서브 팝업 창의 크기를 두 번째 서브 팝업 창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도 9b에서는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두 번째 서브 팝업 창이 포커싱될 시 상기 두 번째 서브 팝업 창의 크기를 가장 크게 표시하고, 메인 팝업 창과 첫 번째 서브 팝업 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크게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포커싱 되지 않은 첫 번째 서브 팝업 창의 크기를 메인 팝업 창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B-2. 제2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410단계에서 시청자에 의해 요청된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가 제공하는 상황에서 시청자로부터 EPG 정보의 제공이 요청되는 지를 감시한다 (412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시청자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면, 414단계에서 메인 팝업 창을 오픈 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416단계에서 상기 오픈된 메인 팝업 창을 통해 EPG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EPF 정보는 현재 전체 화면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메인 팝업 창의 오픈 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된 EPG 정보와 연동하여 PIP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PIP 창을 오픈하고, 상기 오픈된 PIP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서비스한다.
도 5a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특정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전체 화면(550) 상에 메인 팝업 창(510)과 PIP 창(520)을 오픈하며, 상기 오픈한 메인 팝업 창(510)을 통해 미니 EPG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오픈한 PIP 창(520)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510)을 통해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표시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a에 의하면, 메인 팝업 창에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가 War of The Worlds이며, 현재 서비스가 이루어진 정도가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War of The Worlds는 22시 15분부터 00시 10분까지 현재 채널을 통해 제공될 방송 콘텐츠임을 표시한다. 그리고 PIP 창(520)에는 상기 메인 팝업 창(510)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War of The Worlds의 방송 콘텐츠가 표시된다. 도 5a에서는 메인 팝업 창(510)과 PIP 창(520)이 전체 화면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420단계에서 시청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감시하며, 426단계에서는 팝업 창의 확장이 시청자에 의해 요청되는지를 감시한다. 그리고 432단계에서는 EPG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의 종료가 상기 시청자에 의해 요청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420단계에서 채널 전환이 요청되면, 422단계로 진행하여 시청자에 의해 전환이 요청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를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한다. 즉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424단계에서 PIP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EPG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를 앞서 오픈된 PIP 창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420단계 내지 424단계에서 시청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되는 EPG 정보를 반복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EPG 정보에 의해 상기 PIP 창을 통해 표시되는 방송 콘텐츠를 변경한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426단계에서 시청자로부터의 팝업 창 확장 요청이 접수되면, 428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팝업 창으로부터 확장된 서브 팝업 창을 오픈한다. 상기 서브 팝업 창의 확장은 앞서 오픈된 메인 팝업 창 또는 서브 팝업 창의 상, 하, 좌,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430단계에서 상기 오픈된 서브 팝업 창을 통해 추가 EPG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새로 오픈된 서브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될 새로운 EPG 정보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통해 다음으로 제공될 방송 콘텐츠에 관한 EPG 정보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에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EPG 정보가 표시되거나 푸쉬 콘텐츠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푸쉬 콘텐츠는 사업자로부터 방송 서버를 통해 푸쉬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도 5b에서는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메인 팝업 창으로부터 제1서브 팝업 창(530)이 확장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b에 의하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서 확장된 제1서브 팝업 창(530)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다음에 서비스될 예정인 스케줄링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426단계 내지 430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서브 팝업 창을 오픈하고, 상기 오픈된 각 서브 팝업 창을 통해 서로 다른 EPG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되는 EPG 정보는 방송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 예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에 관한 정보 또는 푸쉬 콘텐츠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푸쉬 콘텐츠는 사업자로부터 방송 서버를 통해 푸쉬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도 5c에서는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EPG 정보가 표시된 후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새로운 EPG 정보를 표시할 제2서브 팝업 창(540)이 확장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c에 의하면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서 확장된 제2서브 팝업 창(540)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통해 향후 제공될 방송 콘텐츠의 스케줄링 정보가 표시된다. 즉 상기 제2서브 팝업 창(540)을 통해 표시될 EPG 정보는 현재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통해 향후 제공될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시간 순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 주기 또는 랜덤하게 해당 채널을 통해 제공될 전체 또는 일부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체 화면(550) 상에 메인 팝업 창(510)과 두 개의 서브 팝업 창(530, 540)을 통해 EPG 정보가 모두 표시되고, PIP 창(520)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510)에 표시된 EPG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가 제공된 상태에서의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432단계에서 시청자로부터 EPG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면, 43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오픈된 팝업 창을 모두 닫는다. 하지만 복수의 팝업 창이 오픈된 상태에서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오픈된 순서의 역순에 의해 팝업 창을 순차적으로 닫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표시되는 팝업 창들과 PIP 창들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9a 내지 도 9b에서 보이고 있는 표시 예들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B-3. 부가 기능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키 입력 확인 을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610단계에서 시청자에 의해 요청된 특정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며, 612단계에서 시청자로부터 특정 기능의 제공이 요청되는 지를 감시한다. 상기 시청자로부터의 특정 기능 요청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리모컨을 통해 특정 기능 요청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구비된 기능 키에 의해 요청이 이루어지는 방식 등이 존재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시청자로부터 특정 기능 요청이 접수되면, 614단계에서 액티브 키의 입력에 따른 요청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액티브 키의 입력에 따른 요청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시 소정의 처리 지연 시간이 요구되는 동작을 요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액티브 키로 인지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요구되며, 상기 임계 시간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614단계에서 액티브 요청이라 판단되면, 616단계로 진행하여 시청자로부터의 요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요청 수신 확인 표시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요청 수신 확인 표시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7a에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특정 방송 콘텐츠가 전체 화면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청자에 의해 액티브 키가 입력되었을 시에 화면 상에 수 신 확인 표시가 이루어진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시청자로부터의 요청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의미하는 OK를 수신 확인 표시(710)로 사용한 예이다.
도 7b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특정 방송 콘텐츠와 함께 미니 EPG 기능이 수행되는 상황에서 시청자에 의해 액티브 키가 입력되었을 시에 화면 상에 수신 확인 표시가 이루어진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시청자로부터의 특정 기능 요청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의미하는 QUIT를 수신 확인 표시(720)로 사용한 예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인 팝업 창과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이 전체 화면의 하단에 배치된 예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팝업 창과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의 배열은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인 팝업 창과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이 결합된 형태로 확정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메인 팝업 창과 복수의 서브 팝업 창은 그 관계가 결합되지 않고 독립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팝업 창들은 서로 결합 관계를 갖지 않고 별개의 위치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해 팝업 창을 표시할 시, 각 팝업 창 별로 명도를 달리하여 포커싱된 팝업 창을 밝게 표시하고, 나머지 팝업 창을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각 팝업 창 별로 채도를 달리하여 표시하거나 팝업 창의 테두리에 의해 포커싱된 팝업 창이 식별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팝업 창들 각각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중첩하여 표시된 팝업 창들 중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팝업 창을 가장 상층에 표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팝업 창의 형태가 획일적으로 표시된 예를 보이고 있으나 각 팝업 창 별로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하더라도 도면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팝업 창의 형태를 원형 또는 마름모 형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EPG 정보를 표시한 일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EPG 정보를 표시한 일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키 입력 확인을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요청 수신 확인 표시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활성회된 팝업 창과 그 외의 팝업 창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Claims (18)

  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청자로부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감시하는 과정;
    상기 시청자로부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메인 팝업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 또는 상기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인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1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추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추가 접수되면,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2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 또는 푸쉬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동하여 피아이피 (PIP; Picture-In-Picture)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서브 팝업 창을 추가로 확장할 수 있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팝업 창과 상기 제1서브 팝업 창 및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은 전체 화면의 좌측 하단의 일부 영역에서 우측 방향으로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팝업 창에는 초기에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시청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채널의 현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전체 화면 또는 피아이피 창에 표시되는 방송 콘텐츠를 상기 변경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되는 추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에서 다음 방송할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와 유사한 종류의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보다 상세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또는 푸쉬 콘텐츠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다음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다음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중 소정 주기로 해당 채널의 전체 방송 스케줄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한 처리 지연 시간이 요구되는 액티브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체 화면의 지정 영역에 상기 액티브 키의 입력을 인지하였음을 알리는 마크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팝업 창과 상기 제1 및 제2서브 팝업 창과 그 외에 확장된 서브 팝업 창 중 어느 하나의 팝업 창을 나머지 팝업 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거나 밝게 표시하도록 활성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10.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청자로부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감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시청자로부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시청자의 요구에 의해 디지털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메인 팝업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을 통해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 또는 상기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결하여 제1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추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시청자로부터 확장 요청이 추가 접수되면,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2서브 팝업 창을 열고,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스케줄링 정보 또는 푸쉬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 팝업 창에 연동하여 피아이피 (PIP; Picture-In-Picture) 창을 열고,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메인 팝업 창과 상기 제1서브 팝업 창 및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전체 화면의 좌측 하단 일부 영역에서 우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2. 삭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는 초기에 상기 특정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시청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채널의 현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전체 화면 또는 피아이피 창에 표시되는 방송 콘텐츠를 상기 변경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로 전환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되는 추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에서 다음 방송할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와 유사한 종류의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또는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보다 상세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와 푸쉬 콘텐츠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서브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메인 팝업 창에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대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다음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다음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중 소정 주기로 해당 채널의 전체 방송 스케줄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한 처리 지연 시간이 요구되는 액티브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체 화면의 지정 영역에 상기 액티브 키의 입력을 인지하였음을 알리는 마크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팝업 창과 상기 제1 및 제2서브 팝업 창과 그 외에 확장된 서브 팝업 창 중 어느 하나의 팝업 창을 나머지 팝업 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거나 밝게 표시하도록 활성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20090070921A 2009-07-31 200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562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21A KR101562555B1 (ko) 2009-07-31 200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US12/804,843 US8904438B2 (en) 2009-07-31 2010-07-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ini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21A KR101562555B1 (ko) 2009-07-31 200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77A KR20110012977A (ko) 2011-02-09
KR101562555B1 true KR101562555B1 (ko) 2015-10-23

Family

ID=4352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921A KR101562555B1 (ko) 2009-07-31 2009-07-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04438B2 (ko)
KR (1) KR101562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4477B2 (en) * 2012-05-15 2016-12-20 Apple Inc. Utilizing a secondary application to render invitational content in a separate window above an allocated space of primary content
CN104244094A (zh) * 2014-09-15 2014-12-24 内蒙古中大传媒发展有限公司 一种在广电与电信双网模式下启用数字电视电子节目指南epg的调用管理方法
KR102471989B1 (ko) * 2016-12-07 2022-11-2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31871B (zh) * 2019-12-03 2021-03-1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节目时显示epg用户界面的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8803A (en) * 1994-11-29 1999-12-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programming information
US5801753A (en) * 1995-08-11 1998-09-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guide to events available on an information network
US5850218A (en) * 1997-02-19 1998-12-15 Time Warner Entertainment Company L.P. Inter-active program guide with default selection control
AU2001247291A1 (en) * 2000-03-15 2001-09-24 Simplayer.Com Ltd. Displaying images and other information
US7577973B1 (en) * 2001-05-31 2009-08-18 Keen Personal Media, Inc. Client terminal for display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different programs within a pop-up
US8819734B2 (en) * 2003-09-16 2014-08-26 Tvworks, Llc Contextual navigational control for digital television
US20080052742A1 (en) * 2005-04-26 2008-02-28 Sl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US20070162936A1 (en) * 2006-01-06 2007-07-12 Verizon Data Services Inc. Interactive main menu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8615779B2 (en) * 2007-06-12 2013-12-24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search
KR20090017425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US20090235312A1 (en) * 2008-03-11 2009-09-17 Amir Morad Targeted content with broadcast material
KR101528857B1 (ko) * 2008-04-24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장치
US11076189B2 (en) * 2009-03-30 2021-07-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Personal media channel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77A (ko) 2011-02-09
US20110030008A1 (en) 2011-02-03
US8904438B2 (en)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13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a currently airing program through the use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interface
CN100486307C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562374B1 (en) Managing list of channel/program information in video display device
EP1143717A2 (en) Display interface comprising a channel matrix
US20070204298A1 (en) Dynamic viewership rating system
US7538665B2 (en) Remote-control system, remote controller, and display-control method
KR101295567B1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EP2398233A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tuning a second tuner in anticipation of a channel surfing activity
KR10156255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미니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US8443388B2 (en)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for displaying favorite channel
KR10139698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 방법 및 장치
US8799947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s,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ariable size of textual information
KR101443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US8558954B2 (en)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system, and video display method
JP2006100949A (ja) 番組表映像信号生成装置,番組表映像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10506194B2 (en) Enhanced display panels of television receiving devices and methods
US10313735B2 (en) Live video recall list
KR1017048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전환 방법
CN104023270A (zh) 显示消息窗口的显示设备和该显示设备的执行服务的方法
KR101041816B1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예약 프로그램 제공 방법
KR100793777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EP193696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roadcast program listings
KR1014902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JP2008178026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表示方法
KR20080067197A (ko) 텔레비전의 채널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