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330B1 - 조리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330B1
KR101562330B1 KR1020140129076A KR20140129076A KR101562330B1 KR 101562330 B1 KR101562330 B1 KR 101562330B1 KR 1020140129076 A KR1020140129076 A KR 1020140129076A KR 20140129076 A KR20140129076 A KR 20140129076A KR 101562330 B1 KR101562330 B1 KR 10156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handle
mou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588A (ko
Inventor
윤원준
Original Assignee
윤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준 filed Critical 윤원준
Publication of KR2015003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위치 및 각도가 다양하게 가변되도록 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본체부,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마운트부 및 상기 마운트부의 내부에 구속되는 볼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마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마운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위치가변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손잡이의 위치 및 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의 보관 및 운반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손잡이{HANDLE FOR COOKWAR}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에 사용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조리용기는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용기와, 용기를 덮는 뚜껑과,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펼쳐진 형태로 용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평상시 조리용기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접철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가 개발되기도 했다.
이와 같이 손잡이가 회전되거나 접철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2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481호 등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들은 손잡이가 상하 방향으로만 회전 또는 접척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는 자세가 극히 제한적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228호(2013. 2. 27.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481호(2010. 3. 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위치 및 각도가 다양하게 가변되며, 손잡이가 용기의 뚜껑을 가압하도록 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본체부,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마운트부 및 상기 마운트부의 내부에 구속되는 볼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마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마운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위치가변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손잡이의 위치 및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해 개방되는 제 1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1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해 접힐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상측을 향해 개방되는 제 2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2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상측을 향해 세워질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접선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 3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3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제 4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4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위치 및 각도가 다양하게 가변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의 보관 및 운반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손잡이가 용기의 뚜껑을 가압하므로 간편한 구성으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설치된 냄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마운트부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내측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설치된 냄비를 나타낸 사시도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00)는 용기(10)와, 용기(10)를 개폐시키는 뚜껑(30)으로 구성되는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10)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00)는 본체부(110), 마운트부(13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110)는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감아쥐기 용이하며, 본체부(110)의 파지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111)와, 고리(111)로부터 연장되어 마운트부(130)에 탈착되는 탈착면(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운트부(130)에 탈착되는 탈착면(113)은 마운트부(130)의 외측면에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체부(110)는 후술될 볼(15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및 이동되어 마운트부(130)에 접촉하는 위치가 가변되고 후술될 탄성체(155)에 의해 마운트부(130)와 탈착면(113)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데, 마운트부(130)와 탈착면(113)이 접촉되는 면적이 최대한 확보되어야 마운트부(130)에 접촉된 탈착면(113)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마운트부(130)는 용기(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부(130)는 내열성이 우수한 페놀수지와 같은 열 경화성 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마운트부(130)는 하부 마운트(130a)와 상부 마운트(130b)로 분리될 수 있다. 하부 마운트(130a)는 용기(10)의 외측면에 나사, 너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요소에 의해 용기(10)의 외측면에 체결되어 마운트부(130)가 용기(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부 마운트(130b)는 하무 마운트(130a)의 상측에 결합되어 후술될 지지부(15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50)는 본체부(110)와 마운트부(130)를 연결하여 마운트부(130)에 본체부(110)가 지지되도록 한다. 지지부(150)는 마운트부(130)에 대한 본체부(110)의 위치가 신축 가능하도록 본체부(110)를 탄성지지한다. 즉, 지지부(150)는 지지핀(151), 지지링(153) 및 탄성체(15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핀(151)의 일단부에는 볼(151a)이 형성되며, 지지링(153)의 타단부는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고리(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링(153)은 지지핀(151)의 타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탄성체(155)는 일단부가 탈착면(11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지지링(153)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볼(151a)이 마운트부(130)에 구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잡아 당기면 본체부(110)는 마운트부(130)로부터 이격되며, 사용자가 잡아 당긴 본체부(110)를 놓으면 탄성체(155)가 압축되면서 탄성체(155)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부(110)의 탈착면(113)이 마운트부(13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는 볼(151a)을 중심으로 회전 및 3차원으로 이송되어 마운트부(130)에 대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마운트부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마운트(130b)의 중심부에는 볼 구속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마운트(130b)에는 상부 마운트(130b)의 하단면으로 개방되어 볼 구속홈(131)으로 볼(151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볼 삽입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핀(151)이 세워진 상태로 볼 삽입홈(132)으로 삽입되고, 볼(151a)는 복 구속홈(13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151a)이 볼 삽입홈(132)에 안착되면, 상부 마운트(130b)는 하부 마운트(130a)에 체결되어 볼(151a)이 마운트부(13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볼 구속홈(131)에 안착된 볼(151a)은 손잡이(10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본체부(110)가 회전될 때, 회전되는 본체부(110)의 중심이 된다.
한편, 볼 구속홈(131)에는 제 1, 2, 3, 4위치가변홈(133, 134, 135, 136)이 각각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2, 3, 4위치가변홈(133, 134, 135, 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지부(150)가 제 1, 2, 3, 4위치가변홈(133, 134, 135, 136)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볼 삽입홈(132)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제 1, 2, 3, 4위치가변홈(133, 134, 135, 136)은 서로 이웃하는 위치가변홈으로 지지부(15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 삽입홈(132)이 제 1위치가변홈(133)에 연통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일 뿐이며, 볼 삽입홈(132)에 연통되는 위치가변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내측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위치가변홈(133)은 볼 구속홈(131)과 볼 삽입홈(132)에 연통되며, 볼 구속홈(131)으로부터 용기(10)의 내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볼(151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지부(150)는 제 1위치가변홈(133)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체부(110)를 용기(10)의 마운트부(130)의 외측을 향해 본체부(110)를 잡아 당긴다. 이때, 지지부(150)는 그 길이가 신장되고 탈착면(113)은 마운트부(130)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탈착면(113)이 마운트부(13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지지부(150)가 제 1위치가변홈(133)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10)를 조작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놓으면, 탄성체가 압축되고 탈착면(113)이 마운트부(130)의 외측면에 면접촉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가 용기(10)의 내측을 향해 접히면, 고리(111)는 뚜껑(30)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1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진다 하더라도 뚜껑(30)이 개방되지 않고 조리용기(10) 내부 압력이 잘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위치가변홈(134)은 볼 구속홈(131)과 제 1위치가변홈(133)에 연통되며, 볼 구속홈(131)으로부터 용기(10)의 상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볼(151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지부(150)는 제 2위치가변홈(134)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본체부(110)의 위치가 조작되고, 지지부(150)는 제 2위치가변홈(134)에 위치하며, 탈착면(113)이 마운트부(130)의 외측면에 면접촉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50)가 제 3위치가변홈(135)에 위치하면 본체부(110)는 용기(10)의 상측을 향해 세워질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3위치가변홈(135)은 볼 구속홈(131)과 제 2위치가변홈(134)에 연통되며, 볼 구속홈(131)으로부터 용기(10)의 접선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볼(151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지부(150)는 제 3위치가변홈(135)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본체부(110)의 위치가 조작되고, 지지부(150)는 제 2위치가변홈(134)에 위치하며, 탈착면(113)이 마운트부(130)의 외측면에 면접촉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50)가 제 3위치가변홈(135)에 위치하면 본체부(110)는 용기(10)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가 용기(10)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면, 본체부(110)가 용기(10)의 내측으로 접혀졌을 때와 마찬가지로, 설계된 본체부(110)의 사이즈에 따라 뚜껑(3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본체부가 용기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4위치가변홈(136)은 볼 구속홈(131)과 제 3위치가변홈(135)에 연통되며, 용기(10)의 외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볼(151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지부(150)는 제 4위치가변홈(136)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본체부(110)의 위치가 조작되고, 지지부(150)는 제 4위치가변홈(136)에 위치하며, 탈착면(113)이 마운트부(130)의 외측면에 면접촉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50)가 제 4위치가변홈(136)에 위치하면 본체부(110)는 용기(10)의 외측을 향해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50)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는 본체부(110)는 각각의 위치에서 볼(151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지지부(150)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위치에서 볼(151a)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본체부(110)를 파지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부(110)의 위치와 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마운트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탈착면(113)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운트부(130)의 외측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홈(171)이 형성되고, 탈착면(113)에는 복수의 홈(171)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7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100)는 지지부(150)의 위치에 따라 본체부(110)의 위치가 가변되고, 볼(151a)을 중심으로 본체부(11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 및 각도에서 손잡이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손잡이(100)를 용기(10)의 내측, 또는 용기(10)의 접선방향으로 배치함에 따라 용기(10)를 덮고 있는 뚜껑(30)을 가압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용기 30 : 뚜껑
100 : 손잡이 110 : 본체부
111 : 고리 113 : 탈착면
130 : 마운트부 130a : 하부 마운트
130b : 상부 마운트 131 : 볼 구속홈
132 : 볼 삽입홈 133 : 제 1위치가변홈
134 : 제 2위치가변홈 135 : 제 3위치가변홈
136 : 제 4위치가변홈
150 : 지지부 151 : 지지핀
151a : 볼 153 : 지지링
155 : 탄성체

Claims (5)

  1.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에 설치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마운트부;및
    상기 마운트부의 내부에 구속되는 볼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마운트부를 연결하며 상기 마운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본체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을 구속하는 볼 구속홈과,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해 개방되는 제 1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1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상측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2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상측을 향해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접선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3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3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볼 구속홈에 연통되고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4위치가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4위치가변홈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0140129076A 2013-09-30 2014-09-26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562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893 2013-09-30
KR1020130115893 201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588A KR20150037588A (ko) 2015-04-08
KR101562330B1 true KR101562330B1 (ko) 2015-10-26

Family

ID=5303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076A KR101562330B1 (ko) 2013-09-30 2014-09-26 조리용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3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588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7101S1 (en) Furniture handle
USD532570S1 (en) Utensil receptacle
USD595155S1 (en) Food tray
USD854909S1 (en) Handle
US9534628B1 (en) Folding device for baby carriage
USD605935S1 (en) Ergonomic end cap
USD584104S1 (en) Cookware handle
USD522342S1 (en) Handle
USD486696S1 (en) Drinking vessel
US7918424B1 (en) Suspending buckle mechanism of output water device
USD657730S1 (en) Tarp with integral elastic cord
USD827365S1 (en) Tap handle for a beverage dispenser
KR101562330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US20160045053A1 (en) Detachable Pivoting Handle For Gripping a Cookware Vessel
USD855407S1 (en) Garlic tray
US20160338461A1 (en) Pull Handle of Luggage
USD851918S1 (en) Backpack
USD553869S1 (en) Foldable bench table
US9642498B2 (en) Handle device for a foldable electric kettle
USD542143S1 (en) Container
USD541948S1 (en) Movable room partition
USD543693S1 (en) Compartment device with attachment loops
EP3845090B1 (en) Container set having a locking structure
CN203616701U (zh) 一种便携式电脑桌包
KR200473489Y1 (ko) 조립식가구의 고정지주 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