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14B1 -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1914B1 KR101561914B1 KR1020090034362A KR20090034362A KR101561914B1 KR 101561914 B1 KR101561914 B1 KR 101561914B1 KR 1020090034362 A KR1020090034362 A KR 1020090034362A KR 20090034362 A KR20090034362 A KR 20090034362A KR 101561914 B1 KR101561914 B1 KR 1015619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nting layer
- layer
- unit
- gradation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3854 Surface Pri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45 offset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하고 개성적인 휴대 단말기의 구현을 위하여, 그레데이션 인쇄층이 적용된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가 개시된다. 그레데이션 인쇄층과 아울러 복수의 인쇄층을 적용함으로써 백라이팅 조명에 의한 문자 경계의 흐릿함을 최소화시키고 주야간 시인성을 높였다.In order to realize various and unique portable terminals, a keypad back surface printing structure to which a gradation printing layer is applied is disclosed. By applying a plurality of printing layers together with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the blurring of the character boundary due to the backlighting illumination is minimized and visibility during day and night is enhan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movies,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broadcasting, etc. These devices are integrally mounted and are equipped with a multimedia player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다양하고 개성적인 휴대 단말기의 구현을 위하여, 입력장치 또는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키패드에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일 예로서, 점점 농담이나 채 도 또는 색상의 변화를 가하는 '그레데이션 인쇄'를 도입하기도 하였다. 종래의 키패드는 하나의 색상을 갖는 차폐잉크를 사용함으로써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였으므로 시인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적었으나, 그레데이션 인쇄를 적용하는 경우, 문자 등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내부의 밸라이팅을 위한 빛이 투과될 때 더욱 심하여지기도 한다.Various technologies are applied to a keypad functioning as an input device or an operation unit for realizing various and unique portable terminals. As an example, "gradation printing" has been introduced which gradually changes the color, saturation or color. Since the conventional keypad merely represents letters, numbers or symbols by using shielded ink having one color,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visibility problem, but when the gradation printing is applied,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and the like is lowered . This tendency is even worse when the light for internal ballasting is transmit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레데이션 인쇄를 키패드에 적용하는 경우 그레이이션 인쇄층에 의한 문자의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시키고, 외관을 개선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deterioration of visibility of a character by a grayscale printing layer when gradation printing is applied to a keypad, and to improve appearan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광성의 표면베이스층; 및 상기 표면베이스층의 배면에 인쇄되는 복수의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상기 표면베이스층의 면 방향을 따라 그레데이션을 형성하도록 인쇄되는 투광성의 그레데이션 인쇄층; 상기 그레데이션 인쇄층의 배면에, 문자,숫자 또는 기호를 형성하도록 인쇄되는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 및 상기 문자 인쇄층의 배면에 인쇄되며,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주변영역이 투광되지 않게 불투광성으로 형성되는 스크린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를 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And a plurality of print layers printed on a back surface of the surface base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print layers include a transmissive gradation print layer printed to form a grada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urface base layer; A translucent character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to form letters, numbers or symbols; And a screen layer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the screen layer being formed to be non-translucent so that peripheral areas of the characters, numbers, or symbols are not projec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표면베이스층과 그레데이션 인쇄층의 사이에 불투광성의 옵셋인쇄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ffset printing layer which is opaque between the surface base layer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옵셋인쇄층은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윤곽을 형성하는 내부윤곽선과, 상기 내부 윤곽선으로부터 일정 폭만큼 옵셋된 외부윤곽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set printing layer may include an inner contour forming an outline of the character, number, or symbol, and an outer contour offset from the inner contour by a predetermined width.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 인쇄구조에 의하면, 문자 인쇄 층과 그레데이션 인쇄층을 별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스크린층에 의하여 필요한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투광시키는 것이므로 그레데이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pad pri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are formed as separate layers and only the necessary area is selectively projected by the screen layer, the gradation printing effect can be achieved Letters, numbers or symbols can be clearly recogniz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옵셋 인쇄층을 투광성 표면베이스층과 그레데이션 인쇄층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투광성의 그레이데션 인쇄층에 형성되는 문자 음각층과 스크린층의 비인쇄영역간의 이격 때문에 발생하는 흐릿함을 개선하고 주야간 문자 등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the offset printing layer between the light-transmitting surface base layer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offset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letter tone layer formed on the translucent grayscale printing layer and the n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ur and improve the visibility of day and night characters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진동 생성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bration genera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The components will be discuss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udio / video (A / V)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이라 부른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이동 단말기의 방위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The
센싱부(140)는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감지부(141)를 포함한다. 진동 감지부(1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에 의하여 구현되어 휴대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단말기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모터(156)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외관을 구성하는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인쇄구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disclosed
단말기 바디(101)는 복수의 케이스(102,103,104)(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케이스(102,103,104)의 내부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 프론트 케이스(103)와 리어 케이스(10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프론트 케이스(103)의 전면에 배치되는 케이스(102)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로 불릴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부(152), 제1영상입력부(121), 제1조작부(131) 등이 배치될 수 있다.A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 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제1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제1영상입력부(121)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자신쪽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형성되며, 화상통화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제1조작부(131)는 각종 입력이나 명령을 위하여 복수의 키의 배열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제1조작부(131)에는 농담 또는 색상이 점차 변하는 이른바 '그레데이션'이 적용되어 있다. 그레데이션 인쇄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영역적으로 제1조작부는 주로 문자 또는 숫자를 위한 뉴메릭 키영역(133)과 통화, 종료 또는 기타 특수 기능이나 조명효과를 위한 기능키 영역(132)으로 나뉘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Regionally, the first manipula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numeric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139), 인터페이스부(170) 및 음향입력부(122) 등이 배치된다.A
제2조작부(139)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조작부(139)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9)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작부(139)에 의하여, 영상입력부(125)의 제어, 음향출력 부(152,15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2)는 위치에 있어서, 단말기바디(101)의 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제1조작부(13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3)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3)는 전면에 배치된 제1영상입력부(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second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3)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영상입력부(12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제2영상입력부(123)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4)와 거울(125)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4)는 제2영상입력부(12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3)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54)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54)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제1음향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1조작부를 단말기바디로부터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a terminal body.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조작부(131)는 상부구조를 이루는 키패드(200)와 하부구조를 이루는 회로기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200)는 단말기 바 디(101)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조작될 수 있는 복수의 키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4, the
회로기판(135)에는 키패드(200)를 이루는 복수의 키들이 개별적으로 조작가능하도록 액츄에이터(136,134)가 장착된다. 액츄에이터(136,134)는 터치방식 또는 푸시방식의 입력방식인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4에서는 뉴메릭 키영역(133)의 액츄에이터로서 돔스위치(136)가 장착되어 있으며, 기능키 영역(132)의 액츄에이터로서 터치센서(134)가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기능키 영역(132)의 터치센서(134)의 주변에는 다양한 조명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발광소자(138)를 포함하고 있다.
나아가, 뉴메릭 키영역(133)의 돔스위치(136) 주변에도 각 키를 조명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발광부(137)가 설치되어 있다.Further, a
백라이트 발광부(137) 및 발광소자(138)는 어두운 곳에서 키패드(200)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Th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의 배면 인쇄구조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인쇄층을 분리하여 보인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printing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ach printing layer constituting the keypad is separated. FIG.
도 5와 같이, 키패드(200)는 투광성의 표면베이스층(201)과, 표면베이스층(201)에 인쇄되는 복수의 인쇄층(202,210,203,204)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인쇄층(202,210,203,204) 외에 키패드(200)는 누름돌기가 형성된 러버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생략되었다.5, the
표면베이스층(201)은 투광성의 PEP, PET, POM 등의 수지류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며 각 키마다 독립적으로 동작이 원활화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키별로 절개선이 형성되거나, 각 키마다 형성된 표면베이스층(201)을 위에서 설명한 러버시트에 이중사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일체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표면베이스층(201)은 입체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인쇄층(202,210,203,204)의 인쇄 전에 배면에 요철무늬 또는 그루브 등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인쇄층은 표면베이스층(201)으로부터 옵셋인쇄층(210), 그레데이션 인쇄층(202), 문자 인쇄층(203) 및, 스크린층(204)을 포함하고 있다.The printing layer includes an offset
그레데이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표면베이스층(201)의 배면에는 우선 투광성의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이 인쇄된다.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은 후술하는 문자 인쇄층(203)과는 별도로 키패드(200)의 전체적인 표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농담, 채도 또는 색상이 표면베이스층(201)의 면 방향을 따라 점차 짙거나 옅어지도록 인쇄된다. In order to realize the gradation effect, the transmissive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은 배면에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형상화하는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203)이 인쇄된다. 이러한 문자 인쇄층(203)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실제적인 색깔이나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에 형성되어 있는 문자 음각홀(202a)에 의하여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문자 인쇄층(203)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크기 정도로 형성되거나 키패드(200)의 전체 영역에 맞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두 개의 투광성층인 그레데이션 인새층(202)과 문자 인쇄층(203)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주변으로 내부의 백라이트 발광부(137)의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자 인쇄층(203)의 배면에는 불투광성의 스크린층(204)이 인쇄된다. 스크린층(204)은 문자,숫자 또는 기호를 제외한 부분은 빛을 차단하고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있는 영역만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비인쇄영역(204a)을 포함한다.The
이와 같이, 문자 인쇄층(203)과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을 별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스크린층(204)에 의하여 필요한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투광시키는 것이므로 그레데이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도 5와 같이, 표면베이스층(201)과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사이에는 옵셋인쇄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옵셋인쇄층(210)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윤곽을 형성하는 내부윤곽선(210a)과, 내부윤곽선(210a)으로부터 일정 폭(도 6의 d참조)만큼 옵셋된 외부윤곽선(210b)을 포함하고 있다. 옵셋인쇄층(210)은 불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투광성의 그레데이션 인쇄층(202)과 문자 인쇄층(203)에 의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흐릿한 경계를 명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5, an offset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200)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도 6에 의하면, 키패드(200)는 투광성 표면베이스층(201)의 배면에 옵셋인쇄층(210), 그레데이션 인쇄층(202), 문자 인쇄층(203) 및 스크린층(204)이 순차적으로 적층 인쇄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6, the
이에 따라, 도 4에 보인 백라이트 발광부(137)의 빛이 키패드(200)에 조사되면, 불투광성의 스크린층(204)에 의하여 차단되는 반면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형성된 비인쇄영역(204a)을 향하는 빛은 통과된다. Accordingly, when the light of the
스크린층(204)이 비인쇄영역(204a)을 통과한 빛은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203)도 투과하게 된다.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203)을 통과한 빛은 문자 인쇄층(203)이 갖는 색상을 띄게 된다. 다만, 문자 인쇄층(203)이 백색으로 인쇄되는 경우라면 문자 인쇄층(203)을 통과한 빛은 백라이트 발광부(137)의 색상을 띄게 될 수도 있다.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문자 인쇄층(203)을 통과한 빛은 다음으로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을 통과하게 된다. Th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한편, 스크린층(204)의 비인쇄영역(204a)과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문자 음각홀(202a)이 정확히 일대일로 맞추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한 정도를 도 6에서는 'g'로 표시하였다. 즉, g 만큼의 이격에 의하여 스크린층(204)의 비인쇄영역(204a)을 통과한 빛 중의 일부가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문자 음각홀(202a)의 주변 영역을 투과함으로써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인식상의 흐릿함이 초래될 수 있다. 옵셋인쇄층(210)은 그러한 경우에 문자 음각홀(202a)의 주변 영역을 투과하는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명확한 윤곽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나아가, 옵셋인쇄층(210) 자체에 의하여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옵셋인쇄층(210)의 내부윤곽선(210a)과 외부윤곽선(210b) 사이의 최소한의 폭(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문자 음각홀(202a)과 스크린층(204)의 비인쇄영역(204a)의 이격(g)의 최대치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minimum width d (d) between 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keypad back surface prin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but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As shown in FIG.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1조작부를 단말기바디로부터 분리한 분리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의 배면 인쇄구조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인쇄층을 분리하여 보인 배면 분리 사시도FIG. 5 is a rear view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의 배면 인쇄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ck printing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362A KR101561914B1 (en) | 2009-04-20 | 2009-04-20 |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362A KR101561914B1 (en) | 2009-04-20 | 2009-04-20 |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5661A KR20100115661A (en) | 2010-10-28 |
KR101561914B1 true KR101561914B1 (en) | 2015-10-20 |
Family
ID=4313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4362A KR101561914B1 (en) | 2009-04-20 | 2009-04-20 |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191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52861B2 (en) | 2017-09-13 | 2020-12-0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print pattern and attachment assisting layer comprising overlapping openings in a non-display area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11704A1 (en) * | 2010-11-05 | 2012-05-10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User Input El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
-
2009
- 2009-04-20 KR KR1020090034362A patent/KR10156191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52861B2 (en) | 2017-09-13 | 2020-12-0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print pattern and attachment assisting layer comprising overlapping openings in a non-display area |
US11592916B2 (en) | 2017-09-13 | 2023-02-28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5661A (en) | 2010-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9783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3548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558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5573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or mobile terminal | |
KR101850388B1 (en) | Mobile terminal | |
US8346309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64962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61914B1 (en) |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77207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3295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13934B1 (en) |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sing applied to the same | |
KR10156190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35144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37121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5141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22642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88140B1 (en) |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30091185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5217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00104635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688945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means thereof | |
KR101700762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78208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40021929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2385B1 (en) |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