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14B1 -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914B1
KR101561914B1 KR1020090034362A KR20090034362A KR101561914B1 KR 101561914 B1 KR101561914 B1 KR 101561914B1 KR 1020090034362 A KR1020090034362 A KR 1020090034362A KR 20090034362 A KR20090034362 A KR 20090034362A KR 101561914 B1 KR101561914 B1 KR 101561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layer
layer
unit
grad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15661A (en
Inventor
박준성
허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14B1/en
Publication of KR2010011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6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하고 개성적인 휴대 단말기의 구현을 위하여, 그레데이션 인쇄층이 적용된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가 개시된다. 그레데이션 인쇄층과 아울러 복수의 인쇄층을 적용함으로써 백라이팅 조명에 의한 문자 경계의 흐릿함을 최소화시키고 주야간 시인성을 높였다.In order to realize various and unique portable terminals, a keypad back surface printing structure to which a gradation printing layer is applied is disclosed. By applying a plurality of printing layers together with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the blurring of the character boundary due to the backlighting illumination is minimized and visibility during day and night is enhanced.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KEYPAD FOR PORTABLE TERMINAL}[0001]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back surface pri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movies,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broadcasting, etc. These devices are integrally mounted and are equipped with a multimedia player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다양하고 개성적인 휴대 단말기의 구현을 위하여, 입력장치 또는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키패드에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일 예로서, 점점 농담이나 채 도 또는 색상의 변화를 가하는 '그레데이션 인쇄'를 도입하기도 하였다. 종래의 키패드는 하나의 색상을 갖는 차폐잉크를 사용함으로써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였으므로 시인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적었으나, 그레데이션 인쇄를 적용하는 경우, 문자 등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내부의 밸라이팅을 위한 빛이 투과될 때 더욱 심하여지기도 한다.Various technologies are applied to a keypad functioning as an input device or an operation unit for realizing various and unique portable terminals. As an example, "gradation printing" has been introduced which gradually changes the color, saturation or color. Since the conventional keypad merely represents letters, numbers or symbols by using shielded ink having one color,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visibility problem, but when the gradation printing is applied,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and the like is lowered . This tendency is even worse when the light for internal ballasting is transmit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레데이션 인쇄를 키패드에 적용하는 경우 그레이이션 인쇄층에 의한 문자의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시키고, 외관을 개선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deterioration of visibility of a character by a grayscale printing layer when gradation printing is applied to a keypad, and to improve appearan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광성의 표면베이스층; 및 상기 표면베이스층의 배면에 인쇄되는 복수의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상기 표면베이스층의 면 방향을 따라 그레데이션을 형성하도록 인쇄되는 투광성의 그레데이션 인쇄층; 상기 그레데이션 인쇄층의 배면에, 문자,숫자 또는 기호를 형성하도록 인쇄되는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 및 상기 문자 인쇄층의 배면에 인쇄되며,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주변영역이 투광되지 않게 불투광성으로 형성되는 스크린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를 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And a plurality of print layers printed on a back surface of the surface base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print layers include a transmissive gradation print layer printed to form a grada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urface base layer; A translucent character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to form letters, numbers or symbols; And a screen layer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the screen layer being formed to be non-translucent so that peripheral areas of the characters, numbers, or symbols are not projec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표면베이스층과 그레데이션 인쇄층의 사이에 불투광성의 옵셋인쇄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ffset printing layer which is opaque between the surface base layer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옵셋인쇄층은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윤곽을 형성하는 내부윤곽선과, 상기 내부 윤곽선으로부터 일정 폭만큼 옵셋된 외부윤곽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set printing layer may include an inner contour forming an outline of the character, number, or symbol, and an outer contour offset from the inner contour by a predetermined width.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 인쇄구조에 의하면, 문자 인쇄 층과 그레데이션 인쇄층을 별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스크린층에 의하여 필요한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투광시키는 것이므로 그레데이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pad pri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are formed as separate layers and only the necessary area is selectively projected by the screen layer, the gradation printing effect can be achieved Letters, numbers or symbols can be clearly recogniz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옵셋 인쇄층을 투광성 표면베이스층과 그레데이션 인쇄층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투광성의 그레이데션 인쇄층에 형성되는 문자 음각층과 스크린층의 비인쇄영역간의 이격 때문에 발생하는 흐릿함을 개선하고 주야간 문자 등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the offset printing layer between the light-transmitting surface base layer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offset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letter tone layer formed on the translucent grayscale printing layer and the n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ur and improve the visibility of day and night characters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진동 생성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bration genera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unit 160, A controller 170,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190, and the like. 1 shows a portab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A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a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The components will be discuss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located .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be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the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typical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15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a trigonometric method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calculated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115 can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이라 부른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called a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이동 단말기의 방위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The sensing unit 140 is responsible for sensing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감지부(141)를 포함한다. 진동 감지부(1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에 의하여 구현되어 휴대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The sensing unit 140 particularly includes a vibration sensing unit 141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sensing unit 141 is implemented by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nses an impact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80.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s, earphone ports, and the like. 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aratus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단말기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모터(156)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156),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And displays the captured or / and received image or UI and GUI.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can output a vibration to notify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can output the vibration by the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inclu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 / RTI >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upon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 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 An optical disc,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unit 160 on the Internet.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can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the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programming language. It is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a controller 180.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외관을 구성하는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인쇄구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disclosed portable terminal 100 has a terminal body 101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Further, the keypad prin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It can also be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단말기 바디(101)는 복수의 케이스(102,103,104)(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케이스(102,103,104)의 내부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 프론트 케이스(103)와 리어 케이스(10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프론트 케이스(103)의 전면에 배치되는 케이스(102)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로 불릴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101 includes a plurality of cases 102, 103, and 104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nside the cases 102, 103, and 104.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3 and the rear case 104. The case 102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front case 103 may be referred to as a window for protecting the display have.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부(152), 제1영상입력부(121), 제1조작부(131) 등이 배치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 a first image input unit 121, a first operation unit 131,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 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and an e-paper for visually expressing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touch sensing means for inputting by a touch method. The touch sensing means is formed in a light-transmissive manner so that the display unit can be seen, and a structure for enhancing the visibility of the touch screen in a bright place may be included.

제1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for deliver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or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제1영상입력부(121)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자신쪽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형성되며, 화상통화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1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 subject on the user side or the user side and can be used for a video call.

제1조작부(131)는 각종 입력이나 명령을 위하여 복수의 키의 배열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제1조작부(131)에는 농담 또는 색상이 점차 변하는 이른바 '그레데이션'이 적용되어 있다. 그레데이션 인쇄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operation unit 131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for various inputs and command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so-called " gradation " in which gradation or color gradually changes is applied to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radation print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영역적으로 제1조작부는 주로 문자 또는 숫자를 위한 뉴메릭 키영역(133)과 통화, 종료 또는 기타 특수 기능이나 조명효과를 위한 기능키 영역(132)으로 나뉘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Regionally, the first manipula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numeric key region 133 primarily for letters or numbers, and a function key region 132 for call, termination, or other special or lighting effects.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139), 인터페이스부(170) 및 음향입력부(122) 등이 배치된다.A second operating unit 139, an interface unit 170, and an acoustical input unit 122 ar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

제2조작부(139)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조작부(139)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9)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작부(139)에 의하여, 영상입력부(125)의 제어, 음향출력 부(152,15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unit 139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peration unit, and may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39 can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impression. The contents inputted by the second operation unit 139 can be set variously. For example, by the second operation unit 139, commands such as control of the image input unit 125, adjustment of the size of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s 152 and 154, or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Can be input.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2)는 위치에 있어서, 단말기바디(101)의 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제1조작부(13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sound input unit 12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or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in the position.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enables the port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3)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3)는 전면에 배치된 제1영상입력부(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second image input unit 123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3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1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1. [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3)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영상입력부(12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1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the face of the user to the other part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3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The image input unit 125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such that the image input unit 125 can be rotated or popped up.

제2영상입력부(123)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4)와 거울(125)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4)는 제2영상입력부(12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3)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4 and a mirror 125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3. The flash 124 shines light toward a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3. The mirror 125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photograph the self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3 (self-photographing).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54)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54)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제1음향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sound output unit 154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4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may be used for implementing a speakerphone mode in a call.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1조작부를 단말기바디로부터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a terminal body.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조작부(131)는 상부구조를 이루는 키패드(200)와 하부구조를 이루는 회로기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200)는 단말기 바 디(101)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조작될 수 있는 복수의 키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4,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may include a keypad 200 having an upper structure and a circuit board 135 having a lower structure. The keypad 200 form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and a plurality of keys that can be operated are integrally formed.

회로기판(135)에는 키패드(200)를 이루는 복수의 키들이 개별적으로 조작가능하도록 액츄에이터(136,134)가 장착된다. 액츄에이터(136,134)는 터치방식 또는 푸시방식의 입력방식인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4에서는 뉴메릭 키영역(133)의 액츄에이터로서 돔스위치(136)가 장착되어 있으며, 기능키 영역(132)의 액츄에이터로서 터치센서(134)가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기능키 영역(132)의 터치센서(134)의 주변에는 다양한 조명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발광소자(138)를 포함하고 있다.Actuators 136 and 134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35 such that a plurality of keys constituting the keypad 200 can be individually operated. The actuators 136 and 13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input method is a touch method or a push method. 4 shows that the dome switch 136 is mounted as an actuator of the numeric key region 133 and the touch sensor 134 is mounted as an actuator of the function key region 132. [ Around the touch sensor 134 of the function key region 132,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138 are provided to realize various lighting effects.

나아가, 뉴메릭 키영역(133)의 돔스위치(136) 주변에도 각 키를 조명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발광부(137)가 설치되어 있다.Further, a backlight emitting portion 137 for illuminating each key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dome switch 136 of the numeric key region 133 as well.

백라이트 발광부(137) 및 발광소자(138)는 어두운 곳에서 키패드(200)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The backlight emitting portion 137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8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number, letter or symbol of the keypad 200 in the dark.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의 배면 인쇄구조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인쇄층을 분리하여 보인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printing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ach printing layer constituting the keypad is separated. FIG.

도 5와 같이, 키패드(200)는 투광성의 표면베이스층(201)과, 표면베이스층(201)에 인쇄되는 복수의 인쇄층(202,210,203,204)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인쇄층(202,210,203,204) 외에 키패드(200)는 누름돌기가 형성된 러버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생략되었다.5, the keypad 200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surface base layer 201 and a plurality of print layers 202, 210, 203, and 204 printed on the surface base layer 201.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print layers 202, 210, 203, and 204, the keypad 200 may include a rubber sheet with a raised pad, which is omitted in FIG.

표면베이스층(201)은 투광성의 PEP, PET, POM 등의 수지류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며 각 키마다 독립적으로 동작이 원활화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키별로 절개선이 형성되거나, 각 키마다 형성된 표면베이스층(201)을 위에서 설명한 러버시트에 이중사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일체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surface base layer 201 may be made of resin such as translucent PEP, PET, POM, or glass material. The surface base layer 201 may be formed by cutting each key so that operation is smoothly performed independently for each key, The layer 201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 method such as double injection or the like on the above-described rubber sheet.

표면베이스층(201)은 입체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인쇄층(202,210,203,204)의 인쇄 전에 배면에 요철무늬 또는 그루브 등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rface base layer 201 may have a concave-convex pattern or grooves formed on its back surface before the printing layers 202, 210, 203 and 204 are printed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effect.

인쇄층은 표면베이스층(201)으로부터 옵셋인쇄층(210), 그레데이션 인쇄층(202), 문자 인쇄층(203) 및, 스크린층(204)을 포함하고 있다.The printing layer includes an offset printing layer 210, a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a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and a screen layer 204 from the surface base layer 201.

그레데이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표면베이스층(201)의 배면에는 우선 투광성의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이 인쇄된다.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은 후술하는 문자 인쇄층(203)과는 별도로 키패드(200)의 전체적인 표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농담, 채도 또는 색상이 표면베이스층(201)의 면 방향을 따라 점차 짙거나 옅어지도록 인쇄된다. In order to realize the gradation effect, the transmissive gradation print layer 202 is pri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base layer 201 first. The gradation print layer 202 may be used to form the overall surface appearance of the keypad 200 separately from the character print layer 203 described later and may be used in a manner such that a hue, And is printed so as to gradually become darker or lighter.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은 배면에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형상화하는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203)이 인쇄된다. 이러한 문자 인쇄층(203)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실제적인 색깔이나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에 형성되어 있는 문자 음각홀(202a)에 의하여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문자 인쇄층(203)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크기 정도로 형성되거나 키패드(200)의 전체 영역에 맞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gradation print layer 202 is printed with a translucent letter printing layer 203 that shapes letters, numbers or symbols on its back surface.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is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conveying the actual color or feeling of a character, a number or a symbol.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is formed by a letter engraving hole 202a formed in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letters, numbers, or symbols, or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keypad 200.

두 개의 투광성층인 그레데이션 인새층(202)과 문자 인쇄층(203)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주변으로 내부의 백라이트 발광부(137)의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자 인쇄층(203)의 배면에는 불투광성의 스크린층(204)이 인쇄된다. 스크린층(204)은 문자,숫자 또는 기호를 제외한 부분은 빛을 차단하고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있는 영역만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비인쇄영역(204a)을 포함한다.The letter printing layer 203 is formed to prevent the light of the backlight emitting portion 137 from leaking around the letters, numbers or symbols of the gradation inner layer 202 and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which are two light transmitting layers, An opaque screen layer 204 is printed. The screen layer 204 includes a non-printing area 204a such that a portion except for a letter, a number, or a symbol blocks light and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only an area having a letter, number, or symbol.

이와 같이, 문자 인쇄층(203)과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을 별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스크린층(204)에 의하여 필요한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투광시키는 것이므로 그레데이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are formed as separate layers and only the necessary area is selectively projected by the screen layer 204 as described above, Or symbols can be clearly recognized.

도 5와 같이, 표면베이스층(201)과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사이에는 옵셋인쇄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옵셋인쇄층(210)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윤곽을 형성하는 내부윤곽선(210a)과, 내부윤곽선(210a)으로부터 일정 폭(도 6의 d참조)만큼 옵셋된 외부윤곽선(210b)을 포함하고 있다. 옵셋인쇄층(210)은 불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투광성의 그레데이션 인쇄층(202)과 문자 인쇄층(203)에 의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흐릿한 경계를 명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5, an offset printing layer 210 may be formed between the surface base layer 201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 The offset printing layer 210 includes an inner contour 210a forming an outline of a letter, number or symbol and an outer contour 210b offset from the inner contour 210a by a predetermined width (see d in FIG. 6) have. The offset printing layer 210 is formed to be opaque and serves to clarify a faded boundary of characters, numbers, or symbols by the translucent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and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200)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keypad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의하면, 키패드(200)는 투광성 표면베이스층(201)의 배면에 옵셋인쇄층(210), 그레데이션 인쇄층(202), 문자 인쇄층(203) 및 스크린층(204)이 순차적으로 적층 인쇄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6, the keypad 200 includes an offset printing layer 210, a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a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and a screen layer 204 sequentially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transmitting surface base layer 201 And is formed in a laminated printed form.

이에 따라, 도 4에 보인 백라이트 발광부(137)의 빛이 키패드(200)에 조사되면, 불투광성의 스크린층(204)에 의하여 차단되는 반면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형성된 비인쇄영역(204a)을 향하는 빛은 통과된다. Accordingly, when the light of the backlight emitting portion 137 shown in FIG. 4 is irradiated on the keypad 200, the light is blocked by the opaque screen layer 204 while the non-printing region 204a.

스크린층(204)이 비인쇄영역(204a)을 통과한 빛은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203)도 투과하게 된다.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203)을 통과한 빛은 문자 인쇄층(203)이 갖는 색상을 띄게 된다. 다만, 문자 인쇄층(203)이 백색으로 인쇄되는 경우라면 문자 인쇄층(203)을 통과한 빛은 백라이트 발광부(137)의 색상을 띄게 될 수도 있다.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non-printing area 204a of the screen layer 204 is also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lucent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 Th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translucent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becomes colored by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However, if the text printing layer 203 is printed in white, light passing through the text printing layer 203 may have a color of the backlight emitting portion 137.

문자 인쇄층(203)을 통과한 빛은 다음으로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을 통과하게 된다. Th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203 is then passed through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한편, 스크린층(204)의 비인쇄영역(204a)과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문자 음각홀(202a)이 정확히 일대일로 맞추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한 정도를 도 6에서는 'g'로 표시하였다. 즉, g 만큼의 이격에 의하여 스크린층(204)의 비인쇄영역(204a)을 통과한 빛 중의 일부가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문자 음각홀(202a)의 주변 영역을 투과함으로써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인식상의 흐릿함이 초래될 수 있다. 옵셋인쇄층(210)은 그러한 경우에 문자 음각홀(202a)의 주변 영역을 투과하는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명확한 윤곽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non-printed area 204a of the screen layer 204 and the character intaglio hole 202a of the gradation print layer 202 are not exactly aligned one-to-one. Such a degree is indicated by 'g' in FIG. That is, a part of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non-print area 204a of the screen layer 204 by the gap of g passes through the peripheral area of the character intaglio hole 202a of the gradation print layer 202, Or the recognition blur of the symbol may be caused. The offset printing layer 210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letters, numbers, or symbols have a clear outline by blocking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eripheral area of the character engraved hole 202a.

나아가, 옵셋인쇄층(210) 자체에 의하여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옵셋인쇄층(210)의 내부윤곽선(210a)과 외부윤곽선(210b) 사이의 최소한의 폭(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레데이션 인쇄층(202)의 문자 음각홀(202a)과 스크린층(204)의 비인쇄영역(204a)의 이격(g)의 최대치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minimum width d (d) between the inner contour 210a and the outer contour 210b of the offset printing layer 210 is set so as to minimize the covering of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202 by the offset printing layer 210 itself ) Is preferably formed. This can be set to a maximum value of the spacing (g) between the character intaglio hole 202a of the gradation print layer 202 and the non-print area 204a of the screen layer 204. [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keypad back surface prin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but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As shown in FIG.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1조작부를 단말기바디로부터 분리한 분리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의 배면 인쇄구조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인쇄층을 분리하여 보인 배면 분리 사시도FIG. 5 is a rear view of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키패드의 배면 인쇄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ck printing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투광성의 표면베이스층; 및A translucent surface base layer; And 상기 표면베이스층의 배면에 인쇄되는 복수의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And a plurality of print layers printed on a back surface of the surface base layer, 상기 표면베이스층의 면 방향을 따라 그레데이션을 형성하도록 인쇄되며,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형성하는 문자 음각홀이 형성되는 투광성의 그레데이션 인쇄층;A translucent gradation printing layer printed to form a grada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urface base layer and formed with letter embossed holes forming letters, numbers or symbols; 상기 표면베이스층과 그레데이션 인쇄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불투광성의 옵셋인쇄층;An opaque offset prin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surface base layer and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상기 그레데이션 인쇄층의 배면에, 문자,숫자 또는 기호를 형성하도록 인쇄되는 투광성의 문자 인쇄층; 및A translucent character printing layer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gradation printing layer to form letters, numbers or symbols; And 상기 문자 인쇄층의 배면에 인쇄되며,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주변영역이 투광되지 않게 불투광성으로 형성되는 스크린층을 포함하고,And a screen layer pri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haracter printing layer and formed so as to be opaque so as not to transmit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letter, number or symbol, 상기 옵셋인쇄층은 상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윤곽을 형성하는 내부윤곽선과, 상기 내부 윤곽선으로부터 일정 폭만큼 옵셋된 외부윤곽선을 포함하고, 상기 옵셋인쇄층에 의해 상기 문자 음각홀의 주변 영역을 투과하는 빛을 차단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Wherein the offset printing layer includes an inner contour forming an outline of the character, number, or symbol and an outer contour offset from the inner contour by a predetermined width, A back surface printing structure of a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for blocking l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34362A 2009-04-20 2009-04-20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KR101561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62A KR101561914B1 (en) 2009-04-20 2009-04-20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62A KR101561914B1 (en) 2009-04-20 2009-04-20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661A KR20100115661A (en) 2010-10-28
KR101561914B1 true KR101561914B1 (en) 2015-10-20

Family

ID=4313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362A KR101561914B1 (en) 2009-04-20 2009-04-20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9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2861B2 (en) 2017-09-13 2020-1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print pattern and attachment assisting layer comprising overlapping openings in a non-display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1704A1 (en) * 2010-11-05 2012-05-1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User Input El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2861B2 (en) 2017-09-13 2020-1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print pattern and attachment assisting layer comprising overlapping openings in a non-display area
US11592916B2 (en) 2017-09-13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661A (en)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783B1 (en) Mobile terminal
KR101535486B1 (en) Mobile terminal
KR101545584B1 (en) Mobile terminal
KR10154557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or mobile terminal
KR101850388B1 (en) Mobile terminal
US8346309B2 (en) Mobile terminal
KR101649626B1 (en) Mobile terminal
KR101561914B1 (en)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KR101772074B1 (en) Mobile terminal
KR101832956B1 (en) Mobile terminal
KR101613934B1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sing applied to the same
KR101561906B1 (en) Mobile terminal
KR101535144B1 (en) Mobile terminal
KR20130037121A (en) Mobile terminal
KR101951415B1 (en) Mobile terminal
KR10162264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8140B1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30091185A (en) Mobile terminal
KR101952172B1 (en) Mobile terminal
KR20100104635A (en) Portable terminal
KR10168894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means thereof
KR101700762B1 (en) Mobile terminal
KR101978208B1 (en) Mobile terminal
KR20140021929A (en) Mobile terminal
KR101542385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