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495B1 - A Wire Stick - Google Patents

A Wire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495B1
KR101561495B1 KR1020130126432A KR20130126432A KR101561495B1 KR 101561495 B1 KR101561495 B1 KR 101561495B1 KR 1020130126432 A KR1020130126432 A KR 1020130126432A KR 20130126432 A KR20130126432 A KR 20130126432A KR 101561495 B1 KR101561495 B1 KR 10156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ides
assembly
engag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6891A (en
Inventor
김종율
Original Assignee
(주)한국기술
김종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기술, 김종율 filed Critical (주)한국기술
Priority to KR102013012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495B1/en
Publication of KR2015004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스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의 중앙에 돌출되는 제 2몸체를 포함하여 'T'자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 2몸체의 선단과 상기 제 1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제 2몸체의 양측면이 동일한 형태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제 1몸체의 일단에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의 가장자리 상하면에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되는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몸체의 타단에 제 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에 맞물려 체결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각의 조립체가 서로 하나의 조립체의 제 1결합부와 다른 조립체의 제 2결합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조립체들을 배열할 때, 각각이 조립체들의 제 2몸체들 사이에 마주보는 조립체들의 제 2몸체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stick having a body portion formed in a T shape including a first body positioned horizontally and a second bod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A first body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engaging with and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of one assembly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other assembly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when arranging the respective assemblies, each of the second bodies of assemblies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second bodies of the assembli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와이어 스틱{A Wire Stick}Wire Stick {A Wire Stick}

본 발명은 와이어 스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형태로 구성되어 와이어로도 사용가능하고, 스틱으로도 사용가능한 와이어 스틱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sti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stick which can be used as a wire and can also be used as a stick.

일반적으로 스틱의 경우 많이 사용되는 분야가 등산용 스틱으로 많이 사용된다.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산행시 신체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최근에는 산행가들에게 있어 등산용 스틱이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등산용 스틱이 출시되고 있다. In general, sticks are often used as a mountain climbing stick.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body balance during mountain climbing which does not support the body load when climbing or lowering the mountain, or has no uniform terrain. Recently, mountain climbing stick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item for mountaineers and their demand is increasing , Various climbing sticks are being releas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스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ti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스틱이 봉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시 별도의 넓은 공간을 보유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stick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a rod, which requires a separate space for carrying.

그리고, 스틱의 경우 분리 또는 체결 등을 통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세밀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stick,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separating or fasten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ngth can not be controlled finely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52258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225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틱을 최소한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는 와이어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stick capable of storing a stick in a minimum sp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틱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stick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ick.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와이어 스틱의 구성은,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의 중앙에 돌출되는 제 2몸체를 포함하여 'T'자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 2몸체의 선단과 상기 제 1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제 2몸체의 양측면이 동일한 형태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제 1몸체의 일단에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의 가장자리 상하면에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되는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몸체의 타단에 제 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에 맞물려 체결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각의 조립체가 서로 하나의 조립체의 제 1결합부와 다른 조립체의 제 2결합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조립체들을 배열할 때, 각각이 조립체들의 제 2몸체들 사이에 마주보는 조립체들의 제 2몸체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in a T shape including a first body positioned horizontally and a second bod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Wherein the first body is formed with a concave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shape as a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re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engaging with and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one assembly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other assembly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when arranging the respective assemblies, And the second bodies of the bodies are coupled.

상기 제 2몸체는, 2층으로 구성되며, 제 1층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 2층에는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body is composed of two layers, both sides of which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first layer, and both sides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in the second layer.

상기 제 2몸체는, 3층으로 구성되며, 제 1층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 2층에는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 3층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body is composed of three layers, both sides of which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on the first layer, curved surfaces are formed on the second layer, and both sides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on the third layer.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 2몸체에는 상기 제 2몸체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측면에는 돌기가 타측면에는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body may have groove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so that the projections engage with the other side surfaces.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와이어 스틱의 단위부품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보관시 최소의 부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 스틱의 단위부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길이와 형태로 스틱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unit parts of the wire stick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stored in the minimum volume during storage, and the unit parts of the wire stick can be fixed by the length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제 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제 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제 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제 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제 5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제 6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제 7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작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다른 작용예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ssembly constituting a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인 와이어 스틱은 여러개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그 조립체의 제 1실시예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 1몸체(12)와 상기 제 1몸체(12)의 중앙에 돌출되는 제 2몸체(14)를 포함하여 'T'자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제 2몸체(12)의 선단(22)과 상기 제 1몸체(14)와 연결되는 상기 제 2몸체(12)의 양측면(24, 26)이 서로 동일한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부(20)와, 상기 제 1몸체(14)의 일단에 제 1관통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32)의 가장자리 상하면에 요입된 요입부(34)가 형성되는 제 1결합부(30)와, 상기 제 1몸체(14)의 타단에 제 2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30)에 맞물려 체결되는 제 2결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semblies.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includes a first body 12 positioned horizontally and a center of the first body 12 And a second body 14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14 and being connected to the tip 22 of the second body 12 and the first body 14, Wherein the first body (14) has a first through hole (32)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14), and the second body (12) A first engaging portion 30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34 recessed i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first through hole 32 and a second through hole 4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14 And a second engaging part 40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art 30 to be fastened.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와이어 스틱을 구성하는 조립체에는 조립체를 구성하는 몸체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 1몸체(12)와 상기 제 1몸체(12)의 중앙에 돌출되는 제 2몸체(14)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2, an assembly constituting the wire stick of Fig. 1 is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10 constituting an assembly. The body 10 may include a first body 12 positioned horizontally and a second body 14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12 so as to have a T shape as a whole .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에는 양측면에 측면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측면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양측면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20)는 상기 제 2몸체(14)의 선단(22)과 상기 제 1몸체(12)와 연결되는 상기 제 2몸체(14)의 양측면(24, 26)이 동일한 형태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side portions 20 on both sides thereof. The side portions 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0 in the same manner. 3, the side portion 20 includes a front end 22 of the second body 14 and the second body 14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2. [ The side surfaces 24 and 26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4 and 25 may be formed into concave curved surfaces in the same shape.

상기 측면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체가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결합될 때,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ide portions 20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assemblie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그리고, 상기 제 1몸체(12)의 일단에는 제 1결합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결합부(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른 조립체의 제 2결합부(4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The first body 12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30 at one end there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0 of another assembly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 1결합부(30)에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서, 상기 제 1몸체(12)의 일단을 관통하는 제 1관통공(32)과 상기 제 1관통공(32)의 가장자리에는 요입된 요입부(34)가 마련된다.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32 passing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body 12 and a second through hole 32 penetrating the edge of the first through hole 32, (34).

먼저, 상기 제 1결합부(30)에는 제 1관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관통공(32)은 아래에서 설명될 다른 조립체의 제 2결합부(40)의 제 2관통공(42)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First, a first through hole 32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The first through hole 32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42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0 of another assembly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 1몸체(12)에서 상기 제 1관통공(32)의 가장자리에는 요입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34)는 상기 제 1몸체(12)의 상하면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다른 조립체의 제 2결합부(40)의 슬릿(4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A recessed portion (34)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through hole (32) in the first body (12). The recessed portion 34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12 and is inserted into the slit 44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40 of another assembly to be described below to be rotatably engaged.

그리고, 상기 제 1몸체(12)의 타단에는 제 2결합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결합부(40)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른 조립체의 제 1결합부(3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A second engaging part 4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1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0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of another assembly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 2결합부(40)에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서, 상기 제 1몸체(12)의 타단을 관통하는 제 2관통공(42)과 상기 제 2관통공(4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몸체(12) 타단의 횡으로 요입된 슬릿(44)이 마련된다. 상기 슬릿(44)은 상술한 제 1결합부(30)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42 passing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12 and a second through hole 42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through hole 42 for the above- And a slit 44 recessed transversely to the other end is provided. The slit 44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to be rotatably engag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조립체의 제 2실시예를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 sti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조립체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조립체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몸체부(100)의 구성이 상이하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assembly of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assembly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body portion 100 is configured differently.

상기 제 2실시예의 조립체의 몸체부(100)는, 제 2몸체(140)가 2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몸체(140)의 1층(142)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140)의 2층(144)에는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때, 각각의 측면부의 체결력을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함이다. The body portion 100 of the assembly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body 140 is composed of two layers and both side surfaces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one layer 142 of the second body 140, Both sides of the two bodies 140 may be curved. This is to strengthen the fastening force of each side portion when the assembly is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조립체의 제 3실시예를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third embodiment of the wire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조립체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조립체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몸체부(200)의 구성이 상이하게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wire sti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at of the assembly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body portion 200 is configured differently.

상기 제 3실시예의 조립체의 몸체부(200)는, 제 2몸체(240)가 3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몸체(240)의 1층(242)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240)의 2층(244)에는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몸체(240)의 3층(246)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때, 각각의 측면부의 체결력을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함이다. The body portion 200 of the assembly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body 240 has three layers and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242 of the second body 240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240 are curved on both sides and the two sides of the second body 240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on the third layer 246 of the second body 240. This is to strengthen the fastening force of each side portion when the assembly is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몸체(240)가 3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몸체(240)의 1층에는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240)의 2층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몸체(240)의 3층에는 양측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body 240 has three layers, one side of the second body 240 is curved on both sides, and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body 240 has two sides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240 may be curved in three layer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조립체의 제 4실시예를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fourth embodiment of the wire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조립체는, 상술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조립체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몸체부(300)의 상하면의 구성이 상이하게 구성된다. 5, the assembly of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at of the assembli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300 is different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체의 제 5실시예는 상기 몸체부(30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310)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공(3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스틱을 여러개 겹쳐서 사용할 때, 각각의 와이어 스틱의 체결공(310)에 체결구(40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와이어 스틱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체결공(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fifth embodiment of the assembly includes a fastening hole 310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300. 11, when the plurality of wire sticks are stacked and used, the fastening holes 310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310 of the respective wire sticks using fastening tools 400, So as to be fixed. The fastening holes may be polygonal fastening holes 320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체결공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홈(3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돌기(340)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by a rectangular groove 330, and may be formed by a rectangular protrusion 340 a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스틱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ire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 스틱이 마련되면, 이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고정을 한다. 이때, 각각의 조립체는 서로 마주보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9, if a wire stick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epared, it is fixed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espective assemblies face each other and are fix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조립체이 개수를 조절하여 직선으로 형성되는 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adjust the number of assemblies which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ar formed as a straight line.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스틱을 여러개 겹쳐서 와이어 스틱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11, the wire stick can be stacked several time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ire stick.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10: 몸체부 12: 제 1몸체
14: 제 2몸체 20: 측면부
22: 선단 24: 측면
26: 측면 30: 제 1결합부
32: 제 1관통공 34: 요입부
40: 제 2결합부 42: 제 2관통공
44: 슬릿 100: 몸체부
140: 제 2몸체 142: 1층
144: 2층 200: 몸체부
240: 제 2몸체 242: 1층
244: 2층 246: 3층
300: 몸체부 310: 체결공
320: 체결공 330: 홈
340: 돌기 400: 체결구
10: body part 12: first body
14: second body 20: side surface
22: Fleet 24: Side
26: side surface 30: first engaging portion
32: first through hole 34:
40: second coupling portion 42: second through hole
44: slit 100:
140: second body 142: first floor
144: two layers 200:
240: second body 242: first floor
244: second floor 246: third floor
300: body part 310: fastening hole
320: fastening hole 330: groove
340: projection 400: fastener

Claims (5)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의 중앙에 돌출되는 제 2몸체를 포함하여 'T'자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 2몸체의 선단과 상기 제 1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제 2몸체의 양측면이 동일한 형태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제 1몸체의 일단에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의 가장자리 상하면에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되는 제 1결합부;
상기 제 1몸체의 타단에 제 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에 맞물려 체결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각각의 조립체가 서로 하나의 조립체의 제 1결합부와 다른 조립체의 제 2결합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조립체들을 배열할 때, 각각이 조립체들의 제 2몸체들 사이에 마주보는 조립체들의 제 2몸체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틱.
A body portion formed in a 'T' shape including a first body positioned horizontally and a second body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y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y that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re formed in concave curved surfaces in the same shape;
A first engaging portio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engaging with and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assemblies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when assembling the respective assemblies, the second bodies of opposing assemblies are coupled between the second bodies of the assemblie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는,
2층으로 구성되며,
제 1층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 2층에는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may include:
It consists of two floors,
Both sides of the first layer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layer are cur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는,
3층으로 구성되며,
제 1층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 2층에는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 3층에는 양측면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may include:
It consists of three layers,
Both sides of the first layer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Both sides of the second layer are curved,
And both sides of the third layer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에는 상기 제 2몸체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측면에는 돌기가 타측면에는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ody is formed with a groov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the protrusion being engaged with the other side surface.
KR1020130126432A 2013-10-23 2013-10-23 A Wire Stick KR101561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32A KR101561495B1 (en) 2013-10-23 2013-10-23 A Wire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32A KR101561495B1 (en) 2013-10-23 2013-10-23 A Wire 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891A KR20150046891A (en) 2015-05-04
KR101561495B1 true KR101561495B1 (en) 2015-10-20

Family

ID=5338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432A KR101561495B1 (en) 2013-10-23 2013-10-23 A Wire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72Y1 (en) 2009-03-12 2011-12-06 김근식 Connection element for ornamental chain
KR200465544Y1 (en) 2012-11-27 2013-02-25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Multiple stick for leisure
KR101276577B1 (en) 2012-04-26 2013-06-18 김경원 A climbing sti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72Y1 (en) 2009-03-12 2011-12-06 김근식 Connection element for ornamental chain
KR101276577B1 (en) 2012-04-26 2013-06-18 김경원 A climbing stick
KR200465544Y1 (en) 2012-11-27 2013-02-25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Multiple stick for lei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891A (en)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112B2 (en) Foldable chair capable of being overlapped with other chairs vertically
US9408469B1 (en) Ball chair
US8696014B2 (en) Push cart with expandable load-carrying area
GB2531937A (en) Luggage case
US10525327B2 (en) Modular ramp system
US9089964B2 (en) Tool box
US20130082020A1 (en) Cross-Linking Modular Drawer Divider and Method of Use
EP3685895A1 (en) Assembled slide
US8499417B1 (en) Luggage handle structure
US20170042329A1 (en) Shelf for Storage Racks
WO2017089868A1 (en) A collapsible bed base
US8464616B2 (en) Tools with driving rods
KR101561495B1 (en) A Wire Stick
CN203516327U (en) Locating fastening structure
CN202746884U (en) Bearing structure, trip and support frame
US20180193761A1 (en) Set of castle building blocks
CN201011188Y (en) Enclosure structure
CN210251225U (en) Enclosure assembly supporting locking
CN103486121B (en) Woods structure
KR200487267Y1 (en) assemblable multi-purpose hanger
TWM495421U (en) Primary-secondary complex type A-shaped ladder
CN106320914B (en) Door substrate and the door for having the door substrate
CN105230148B (en) Portable flower hoe
JP2021024617A (en) Division plate
US20120118836A1 (en) Retaining bracke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