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128B1 -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128B1
KR101561128B1 KR1020140007087A KR20140007087A KR101561128B1 KR 101561128 B1 KR101561128 B1 KR 101561128B1 KR 1020140007087 A KR1020140007087 A KR 1020140007087A KR 20140007087 A KR20140007087 A KR 20140007087A KR 101561128 B1 KR101561128 B1 KR 10156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air outlet
cover film
air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897A (ko
Inventor
소재광
김금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8763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611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to KR102014000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1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구성할 때, 입자상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고 공기만 배출될 수 있는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저장 용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체크밸브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되며, 외측으로 흡입력을 받는 경우에 몸체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들뜨도록 구성된 커버필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필름이 들뜨는 경우 상기 커버필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공기유통채널을 형성하는 개폐부;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되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입자상 물질은 거르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진공 저장 용기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베이스와, 진공 저장 용기에 구비된 배출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를 구비하며 진공 저장 용기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2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베이스는 진공 저장 용기의 내측 표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CHECK VALVE AND VACUUM PACKING ENVELOP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구성할 때, 입자상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고 공기만 배출될 수 있는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팩은 음식물이나 부패하기 쉬운 물품을 진공팩에 넣고 밀봉한 상태에서 체크밸브를 통하여 진공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를 만들어 진공팩 내부의 물품이 현상대로 장기간 유지 및 보관되도록 하고, 진공상태를 만들어 물품을 포장한 진공팩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의 면적을 줄이고 운반이나 이송을 보다 수월하게 할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팩은 팩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인하여 저장된 물건의 압축이 가능하다는 점 및 공기가 제거되어 해로운 생물체의 성장 및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진공팩에는 진공팩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기 위하여 진공팩 내부의 공기를 추출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구비된다.
체크밸브는 펌프와 같은 장치를 통해 진공팩의 외부에서 진공팩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 진공팩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외부공기가 진공팩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는 폐쇄되어, 공기를 일방으로만 유통시킨다.
이러한 진공팩용 체크밸브는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508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체크밸브는 공기가 배출되는 구멍이 단순히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므로, 진공팩 내부에 분말형태의 물질을 보관하는 경우, 체크밸브를 통해 진공팩 내부의 공기를 추출할 때 분말이 같이 빠져나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진공 저장 용기의 내부를 진공으로 구성하기 위해 용기 내부의 공기를 추출할 때, 저장된 물품의 입자상 물질이 공기와 같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되며, 외측으로 흡입력을 받는 경우에 몸체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들뜨도록 구성된 커버필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필름이 들뜨는 경우 상기 커버필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공기유통채널을 형성하는 개폐부;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되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입자상 물질은 거르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진공 저장 용기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베이스와, 진공 저장 용기에 구비된 배출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를 구비하며 진공 저장 용기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2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베이스는 진공 저장 용기의 내측 표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크밸브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되는 망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커버필름은 가요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되는 개폐막과, 상기 개폐막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도포되는 점성액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되고,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되는 지지필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덮도록 도포되는 점성액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나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배출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서, 물건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물건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된 입구를 구비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 및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된 배출개구에 구비되는 상기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용기본체의 표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 저장 용기의 내부를 진공으로 구성하기 위해 용기 내부의 공기를 추출할 때, 저장된 물품의 입자상 물질이 공기와 같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 저장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크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닫힌 상태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열린 상태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닫힌 상태의 B-B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열린 상태의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열린 상태의 측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크밸브(200,200-1,200-2)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필름 및 접착층(213)의 결합이어서, 가시적으로 그 두께가 보이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14에서 개별 층 및 접착층(213,217,222)의 분포는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 용기(1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밀폐수단(130) 및 체크밸브(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물건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물건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된 입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10)는 2장의 필름이 겹쳐져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10)에는 용기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별도의 펌프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추출하기 위해 마련된 배출개구(1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130)은 용기본체(110)에 구비되며, 용기본체(110)의 입구(12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밀폐수단(130)은 용기본체(110) 내외부간에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용기본체(110)의 입구(120)를 밀봉하는 열융착 라인 또는 지퍼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200)는 용기본체(110)의 배출개구(112)에 구비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부공기가 배출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는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200)는 펌프장치와 같은 별도의 공기흡입장치를 통해 체크밸브(200)의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용기본체(110)의 내부공기가 추출되도록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고, 외부 흡입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배출개구(112)를 밀폐하여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크밸브(200)는 용기본체(110)의 표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체크밸브(200)는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체크밸브(200,200-1,200-2)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체크밸브(200,200-1,200-2)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는 베이스(210), 커버필름(220), 개폐부(230) 및 필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가 용기본체(110)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기초로 설명하고 있으나, 체크밸브는 용기본체(110)와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고 용기본체(110)에 접착되는 부분에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로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베이스(210)는 용기본체(110)에 직접 접착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본체(110)에 구비된 배출개구(112)에 대응하는 공기배출구(212,216)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210)는 두께가 150㎛정도의 얇은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베이스(210)의 저면에는 접착층(213)이 도포되어, 용기본체(1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210)는 제1 베이스(211)와 제2 베이스(2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211)는 배출개구(112)에 연통될 수 있는 제1 공기배출구(2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저면에 용기본체(110)와의 접합을 위한 접착층(213)이 도포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215)는 제1 베이스(211) 상에 적층되며, 제1 공기배출구(212)와 연통되는 제2 공기배출구(21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저면에 제1 베이스(211)와의 접합을 위한 접착층(217)이 도포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211)와 제2 베이스(215)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베이스(211)와 제2 베이스(215)는 재질 및 두께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필름(220)은 베이스(210) 상에 접착되며 베이스(210)의 공기배출구(212,216)를 덮는 막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필름(220)의 저면에는 접착층(222)이 도포될 수 있고, 커버필름(220)은 접착층(222)을 통해 제2 베이스(215)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필름(22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할 때 즉, 펌프장치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할 때 휘어져서 몸체의 일부가 베이스(210)로부터 들뜸으로써 제2 베이스(215)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커버필름(22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제거되면 평평한 상태로 탄성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일 실시예에서 커버필름(220)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가요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필름(220)은 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수지 또는 OPP (oriented poly propylene) 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재료의 성질에 따라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는 적정두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필름(220)은 25㎛ 두께의 PET 수지 또는 40㎛ 두께의 OPP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30)는 베이스(210)와 커버필름(22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공기배출구(212)와 제2 공기배출구(216)를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30)는 커버필름(220)이 들뜨는 경우 커버필름(220)과 베이스(210) 사이에 제2 공기배출구(216)와 연결되는 공기유통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통채널은 커버필름(220)의 몸체 일부가 들뜸에 따라 형성되는 커버필름(220)과 베이스(210) 사이의 간격으로서, 제2 공기배출구(216)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부(230)는 개폐막(232)과 점성액체층(2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막(232)은 베이스(210)와 커버필름(220) 사이에 제2 공기배출구(216)를 덮도록 구비되는 불통기성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성액체층(234)은 개폐막(232)과 제2 베이스(215) 사이에 제2 공기배출구(216)의 주변에 도포되는 층으로서, 점도가 있는 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성액체층(234)은 커버필름(220)과 제2 베이스(215)의 접착면 중 일부에 비접착 영역을 구성함으로써, 커버필름(220)에 외측으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비접착 영역 즉, 개폐막(232)의 저면이 제2 베이스(215)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점성액체층(234)은 커버필름(220)이 제2 베이스(215)에서 들뜨지 않은 경우에 개폐막(232)과 제2 베이스(215) 사이를 밀봉함으로써, 외부공기가 제2 공기배출구(216), 제1 공기배출구(212) 및 배출개구(112)를 통해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점성액체층(234)은 점도를 가지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필터부(240)는 공기배출구(212,216)에 구비되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분말과 같은 입자상 물질은 걸러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240)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240)는 용기본체(110) 내부를 진공상태로 구성할 때 망사체의 격자형태가 벌어져 입자상 물질이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흡입력을 받는 경우에도 망사체의 격자형태가 유지되도록 경직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24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211)와 제2 베이스(21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40)는 제1 베이스(211)와 제2 베이스(215) 간의 접합압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필름(220)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용기본체(110)의 배출개구(112)는 개폐부(23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참고로, 용기본체(110) 내부가 진공 상태인 경우, 용기본체(110)의 내부보다 외부의 기압이 높기 때문에, 커버필름(220)에는 외측에서 용기본체(110) 측으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외력을 인가하여 커버필름(220)을 강제로 들뜨게 하지 않는 이상 커버필름(220)은 배출개구(112)를 밀폐하여 용기본체(110)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가 열리면, 커버필름(220)의 개폐부(230) 측 부분이 외측으로 휘어져 제2 베이스(215)의 제2 공기배출구(216)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개폐막(232)은 커버필름(220)에 접합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점성액체층(234)은 분리되어 공기유통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필름(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띠 형상으로 제2 베이스(215)에 접합되며, 제2 베이스(215)에 접합되지 않은 중앙부분이 흡입력에의해 상승하여 제2 베이스(215)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공기유통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배출개구(112), 제1 공기배출구(212) 및 제2 공기배출구(216)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공기유통채널의 양단을 통해 외부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1)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1)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와 달리, 제2 베이스(215) 및 필터부(240)가 용기본체(110)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215)는 용기본체(110)의 내측 표면에 접착층(217)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40)는 제2 베이스(215)와 용기본체(110)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이점을 제이환 커버필름(220) 및 개폐부(230)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에 포함된 커버필름(220) 및 개폐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1)는 필터부(240)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터부(24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2 베이스(215)는 용기본체(110)의 표면에서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에 반복적으로 재접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2)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00-2)에서, 공기배출구는 베이스(210)의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slit, 2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218)은 입자상 물질이 통과하지 않는 정도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필터부(240)는 복수의 슬릿(218)을 형성하는 베이스(210)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필터부(240)는 슬릿(218)과 슬릿(218) 사이의 베이스(210)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슬릿(218)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슬릿(218)과 슬릿(218)의 사이의 얇은 베이스(210) 몸체가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어 슬릿(218)의 폭이 넓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공기배출구를 격자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지지필름(2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필름(250)은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복수의 슬릿(252)을 구비하며, 가로방향 슬릿(218)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필름(250)은 가로방향 슬릿(218)을 덮도록 베이스(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지지필름(250)의 세로방향 슬릿과 베이스(210)에 형성된 가로방향 슬릿(218)은 서로 중첩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격자형태의 슬릿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격자형태의 슬릿은 흡입력을 작용받는 경우에도 지지필름(250)의 몸체와 베이스(210)의 몸체가 서로 십자형태로 지지됨으로써 공기배출구 즉, 슬릿(218,252)의 폭이 넓어지지 않으므로 입자상 물질을 안정적으로 거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230)는 베이스(210)와 커버필름(220) 사이에 슬릿(218,252)을 덮도록 도포되는 점성액체층(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성액체층은 커버필름(220)과 베이스(210) 사이에 비접촉 부분을 구성함으로써, 펌프장치에 의해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필름(220)과 베이스(210)의 비접촉 부분에 공기유통채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버필름(220)에는 슬릿(218,252)에서 나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배출홈(2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펌프장치에 의해 커버필름(220)의 외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 내부의 공기는 배출개구(112), 지지필름(250)의 세로방향 슬릿(252) 및 베이스(210)의 세로방향 슬릿(218)으로 나와서 개폐부(230)가 구성하는 공기유통채널로 이동하여 배출홈(225)을 통해 외부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배출홈(225)은 복수의 얇은 슬릿형태로 구성되어, 슬릿(218,252)로 누출된 입자상 물질을 2차적으로 거르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진공 저장 용기 110 : 용기본체
112 : 배출개구 120 : 입구
130 : 밀폐수단 200, 200-1, 200-2 : 체크밸브
210 : 베이스 211 : 제1 베이스
212 : 제1 공기배출구 213 : 접착층
215 : 제2 베이스 216 : 제2 공기배출구
217 : 접착층 218 : 가로방향 슬릿
220 : 커버필름 222 : 접착층
225 : 배출홈 230 : 개폐부
232 : 개폐막 234 : 점성액체층
240 : 필터부 250 : 지지필름
252 : 세로방향 슬릿

Claims (13)

  1.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되며, 외측으로 흡입력을 받는 경우에 몸체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들뜨도록 구성된 커버필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필름이 들뜨는 경우 상기 커버필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공기유통채널을 형성하는 개폐부;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되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입자상 물질은 거르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진공 저장 용기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베이스와, 진공 저장 용기에 구비된 배출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를 구비하며 진공 저장 용기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2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베이스는 진공 저장 용기의 내측 표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는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되는 망사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은 가요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되는 개폐막과, 상기 개폐막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도포되는 점성액체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8.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되며, 외측으로 흡입력을 받는 경우에 몸체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들뜨도록 구성된 커버필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필름이 들뜨는 경우 상기 커버필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공기유통채널을 형성하는 개폐부;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되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입자상 물질은 거르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되고,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되는 지지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덮도록 도포되는 점성액체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나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2. 물건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물건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된 입구를 구비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 및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된 배출개구에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용기본체의 표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용기.
KR1020140007087A 2014-01-21 2014-01-21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KR101561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87A KR101561128B1 (ko) 2014-01-21 2014-01-21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87A KR101561128B1 (ko) 2014-01-21 2014-01-21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97A KR20150086897A (ko) 2015-07-29
KR101561128B1 true KR101561128B1 (ko) 2015-10-19

Family

ID=5387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087A KR101561128B1 (ko) 2014-01-21 2014-01-21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42B1 (ko) * 2020-09-03 2021-06-01 주식회사 이노패키지 밀봉 컨테이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676B1 (ko) 2020-03-10 2022-01-07 홍춘강 체크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384A (ja) 2000-02-21 2001-08-28 Santoku:Kk 真空保管袋
US20130048125A1 (en) 2011-08-31 2013-02-28 Plitek, Llc Oil-Less and Wetted Pressure Relief Valves Having an Integrated Fi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384A (ja) 2000-02-21 2001-08-28 Santoku:Kk 真空保管袋
US20130048125A1 (en) 2011-08-31 2013-02-28 Plitek, Llc Oil-Less and Wetted Pressure Relief Valves Having an Integrated 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42B1 (ko) * 2020-09-03 2021-06-01 주식회사 이노패키지 밀봉 컨테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97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034B2 (en) Oil-less and wetted pressure relief valves having an integrated filter
CA2829452C (en) Oil-less and wetted pressure relief valves having an integrated filter
US9428306B2 (en) Gastight valve strip for a reclosable container
US8197138B2 (en) Evacuable container and evacuation strip therefor
US7490623B2 (en) Pressure-relief one-way valve applicable to a package containing a gas-releasing product, wherein there coexist a fluid medium and an air bubble, and a package including said valve
CA2490624C (en) Recloseable storage bag with porous evacuation portal
US8557357B2 (en) Packaging material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US4181146A (en) Two-way valve closing at balanced pressure condition
MX2013004518A (es) Bolsa compresible con multiples canales plegables a traves de la parte inferior.
KR102040443B1 (ko)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KR101561128B1 (ko)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JP5473170B2 (ja) スパウト付き収容体
RU2546456C2 (ru) Вакуумный клапан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US9340324B2 (en) Vacuum seal indicator for food preservation bags
JP6986268B2 (ja) フィルム弁及び収納袋
EP2653406A1 (en) Bag for the containing of gas-producing liquid products, in particular yeast
KR20140034664A (ko)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
KR101134011B1 (ko) 통기성 비닐봉지 및 그 제조방법
CN108324179A (zh) 抽吸设备
JP7463497B2 (ja) 包装容器用の弁
JP2007276863A (ja) 逆止弁付包装袋、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逆止弁
JPWO2019229928A1 (ja) 逆止弁及び逆止弁付パッケージ
US20180170645A1 (en) Pre-oiled valve
WO2012141356A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