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065B1 -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065B1
KR101561065B1 KR1020150013078A KR20150013078A KR101561065B1 KR 101561065 B1 KR101561065 B1 KR 101561065B1 KR 1020150013078 A KR1020150013078 A KR 1020150013078A KR 20150013078 A KR20150013078 A KR 20150013078A KR 101561065 B1 KR101561065 B1 KR 101561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ultimedia file
web page
gps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973A (ko
Inventor
구본현
손태식
최효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0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순서 및 장소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of management multimedia file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등 최근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온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생활의 필수품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고 있다. 더욱이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면서, 또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조업체들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면서,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기본적 기능 외에 각종 부수적 기능들을 다양하게 갖추어가고 있다. 카메라 기능을 채용하여 휴대 단말기로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것은 그 좋은 예이다.
이러한 카메라 기능은 휴대 단말기의 휴대성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우리의 생활을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매체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로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 예컨대, 사진, 동영상 등은 그 휴대 단말기의 장치의 특성(크기)상 저장 공간의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저장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자신이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 등에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옮겨 저장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을 옮기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 등의 번거로움을 더 수반한다.
또한, 옮겨진 파일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거나, 필요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해당 파일들을 하나씩 검색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멀티미디어 파일들이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경우,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해야만 그 멀티미디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 등의 생성한 멀티미디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순서 및 장소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중에서 특정 개인의 웹 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생성한 웹 페이지를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웹 페이지 주소로 자동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GPS 위성을 통해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GPS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GPS 위성을 통해 상기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받은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PS 정보는 위도, 경도 및 표고이며,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위도, 상기 경도 및 상기 표고의 정보로 변환 가능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드 정보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기 저장되거나,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지그비를 프로토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링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한 정보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수집한 정보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시간 순서 및 장소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서비스 서버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순서 및 장소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와 같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웹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어,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휴대 단말기에 따로 저장하지 않고 분류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장치의 용량에 구애 받지 않고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정보를 통해 지인들에게 자동으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사용을 늘리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자동 배포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10) 및 무선 디바이스(20)와, 개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센서 태그(30)와, 상기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들과 멀티미디어 파일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개인 정보 및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여 자동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200)와,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위성(10)은 휴대 단말기(100)가 실외에 있는 경우 GPS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위치 정보는 3개 이상의 위성으로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측량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계산한다. 나침반과 달리 위성 항법 시스템은 위도·경도·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위치 정확도는 군사용과 민간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민간용은 수평·수직 오차가 10∼15m 정도이며 속도측정 정확도는 초당 3cm이다. 또한, 인공위성에는 3개의 원자시계가 탑재되어 있어 3만 6000년에 1초만의 오차를 갖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무선 디바이스(20)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 Wireless Sensor Network) 등에 활용되는 센서 노드 등의 디바이스로써 휴대 단말기(100)에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무선 디바이스(20)는 IEEE 802.15 및 이와 유사한 맥 계층, 물리 계층(MAC Layer, Phy Layer) 등이 구현된 장치를 말하며, 그 예로 지그비(ZigBee) 모듈을 구비한 디바이스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지그비(Zigbee) 모듈은 맥 층의 상위에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APL)이 구현되며, 응용 계층은 응용 지원 부계층(Application Support Sublayer, APS)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그 규모적인 측면에서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급의 네트워크를 말하며, 상술한 무선 디바이스(20)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지그비(ZigBee) 모듈을 구비한 디바이스에 한정하지 않으며, 네트워크도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무선 디바이스로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로 좀 더 규모가 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무선 디바이스(20)들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근거리 네트워크”라고 칭하기로 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거나, 게이트웨이(40)와 연결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40)와 연결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는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 노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무선 디바이스(20)는 싱크 노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20)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위치 서버 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싱크 노드가 아닌 경우, 싱크 노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태그(sensor tag)(30)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개인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센서 태그(30)는 대표적인 예로 RF id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서는 센서 태그(30)는 지그비에 기반한 통신 모듈(RF transceiver 등)을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개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인 정보는 기 설정된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시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얻어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파일은 텍스트, 동영상, 및 정지 영상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정지 영상, 즉, 사진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정지 영상” 및 “사진”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한 사진과 함께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위치 정보, 개인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사진을 수신하여 사진과 함께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같이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 생성하고, 생성한 웹 페이지를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각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배포한다.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 단말(300),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된 웹 페이지를 열어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테마 공원(예컨대, 에버랜드)에 놀러가서 사진을 촬영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 및 같이 놀러간 지인 또는 가족은 테마 공원의 입구에서 센서 태그(30)를 지급 받았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사진 촬영시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획득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하여 자동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진 등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는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 정보와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 정보를 GPS 정보라 하고,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정보를 코드 정보라고 하기로 한다.
GPS 정보는 위도, 경도 및 표고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코드 정보는 GPS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6 자리 또는 10 자리의 코드(JGCODE/ICODE)로 표현한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112015009054716-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만약, 주소가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동 27번지”인 곳의 위치 정보를 예를 들어 나타내면, GPS 정보는 “37-37-46.8973”, “127-04-47.0067”, “59.109m”이며, 코드 정보는 “844-733-2676”이다. 이때, 코드 정보는 GPS 정보의 위도 경도 및 표고를 각각 3/3/4자리로 표현한 것이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로 명명하며, 이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카메라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무선 이동 인터넷 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모듈을 연결한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개인 통신부(120), GPS 수신부(130), 카메라부(140), 표시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입력부(170), 저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기본적으로 음성 또는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무선 통신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및 멀티미디어 파일의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제어부(19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을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 후 다시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 antenna)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가 실내에 위치한 경우 무선 디바이스(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20)는 센서 태그(20)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부(120)를 지그비(Zigbee)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120)는 IEEE 802.15.4에 따른 맥 및 물리 층이 구현되어 있으며, 맥 층의 상위에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APL)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응용 계층은 응용 지원 부계층(Application Support Sublayer, APS)을 포함한다.
GPS 수신부(13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GPS 안테나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되는 GPS 신호를 저잡음 증폭(low noise amplifying)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down converting)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부(140)는 카메라 모듈(미도시), 신호처리장치(미도시) 및 영상처리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며, 촬영된 피사체인, 광학적 영상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영상처리장치는 신호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부(150)의 규격에 맞춰 화면 영상 신호로 출력한다.
표시부(150)는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제어부(190)로 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액정표시장치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150)는 입력부(17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음향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7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입력부(17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저장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8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무선 통신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GPS 수신부(130), 카메라부(140), 표시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입력부(170), 및 저장부(18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멀티미디어 파일과, 근거리 통신부(120) 또는 GPS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 정보 및 근거리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하는 개인 정보를 수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90)는 수신한 멀티미어 파일, 위치 정보 및 개인정보를 함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GPS 위성의 특성상 휴대 단말기(100)는 실외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실내에서는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190)는 GPS 수신부(13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GPS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190)는 근거리 통신부(12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되는 개인들의 개인 정보를 센서 태그(30)를 통해 수집한다.
제어부(190)는 코덱(CODEC), 모뎀(MODEM) 및 먹스/디먹스(MUX/DEMUX)를 구비할 수 있다. 코덱은 송신하는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한다. 먹스/디먹스는 인코딩된 신호 등을 다중화하며, 영상 및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수신 신호들을 역다중화한다. 모뎀은 다중화된 화상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하고,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한 변조된 화상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한다. 코덱(CODEC), 모뎀(MODEM) 및 먹스/디먹스(MUX/DEMUX)는 무선통신부(1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와 제어부(190) 사이에 독립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 단자, 충전용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모듈, 디지털 음원 재생을 위한 MP3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획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획득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전, 촬영 후, 및 촬영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촬영 후에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S301 단계에서 GPS 수신부(130)를 통해 GPS 신호 수신을 시도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S303 단계에서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S303 단계의 판단 결과,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하면, 제어부(190)는 S305 단계로 진행하여 GPS 신호를 수신하고, S307 단계에서 수신한 GPS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S303 단계의 판단 결과,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제어부(190)는 S309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20)들로 이루어진 근거리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S311 단계에서 근거리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GPS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는 휴대 단말기(100)가 실내에 위치한 경우 또는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경우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디바이스(20)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근거리 네트워크를 우선 검색한다. 이때, 네트워크의 검색은 무선 디바이스(20)들을 검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S311 단계의 판단 결과, 근거리 네트워크가 존재하면, 제어부(190)는 S313 단계에서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정보의 생성 방법은 하기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S311 단계의 판단 결과, 근거리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90)는 S315 단계에서 최근 수신한 GPS 정보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음영 지역인 경우, 음영 지역임을 밝히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키 입력을 통해 최근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거나, 위치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최근 수신한 GPS 정보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90)는 S317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319 단계에서 최근 수신한 GPS 신호를 위치 정보로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알리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90)는 S319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321 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에 위치한 경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GPS 신호를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실내에 위치한 경우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3의 S313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지그비(Zigbee)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첫째로, 지그비 사용자 프로파일(Zigbee User Prfile)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지그비 사용자 프로파일 중 사용자 기술자(User descriptor)에 기 입력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코드 정보는 “ICODE” 또는 “JGCODE”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술자의 데이터 포맷을 정의한 것이다.
Figure 112015009054716-pat00002
무선 디바이스(20)들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 기술자 데이터 포맷을 가지며, 이러한 포맷으로 코드 정보를 기술한다. 예컨대,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844-733-2676”를 저장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코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20)들은 지그비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 저장된 코드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코드 정보, “844-733-2676”를 GPS 정보로 변환한다. 즉, <표 1>의 “37-37-46.8973”, “127-04-47.0067”, “59.109m”로 변환한다. 이는 위도, 경도 및 표고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변환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의 그 두 번째로, 무선 디바이스(20)들은 지그비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APL)의 위치 정보 패킷을 정의하고, 응용 지원 부계층(APS) 정보 베이스에 에트리뷰트(attribute)를 추가한다. 이러한 에트리뷰트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 코어망(core network)에 접속하며, 코어망의 위치 서버(Location Server)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코드 정보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CODE 또는 JGCODE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20)들은 위치 서버로부터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코드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코드 정보를 GPS 정보로 변환한다. 그런 다음, 변환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지금까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위치 정보와 개인 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400)은 멀티미디어 파일과 함께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가진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400)의 포맷은 와이브로 헤더(410)와, TCP/IP 헤더(420)와 TCP/IP 페이로드(430)로 이루어진다.
이때, 페이로드(430)는 위치 정보(431), 시간 정보(433), 재전송 정보(435), 개인 정보(437), ARSS 정보(439) 및 멀티미디어 파일(441) 필드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431) 필드는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00), GPS 신호를 통해 생성한 위치 정보인 경우(01),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한 위치 정보인 경우(10)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없어 최근에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 정보인 경우(11) 각각을 2 비트의 플래그 값으로 구분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를 기술한다. 이는 이러한 위치 정보가 실외인지 실내인지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개인 정보(437) 필드에는 촬영 당시 피사체의 개인 정보를 기술한다.
RSS는 뉴스, 블로그 등 자주 갱신되는 웹 페이지를 구독하기 위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포맷으로 자료 교환을 위한 규격이다. 이는 RDF Site Summary, Really Simple Syndication, Rich Site Summary 등의 약자이며, 해석이 다양한 것은 다양한 규격의 RSS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RSS는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에게 자동으로 배포하기 위한 것이다. ARSS 정보 필드(439)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한다.
멀티미디어 파일(441) 필드에는 촬영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기술한다.
이때, 재전송 정보 필드(433)는 전송이 실패한 경우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을 저장부(180)에 임시 저장하였다가 다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S501 단계에서 카메라부(140)를 통해 정지 영상을 촬영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는 S503 단계에서 표시부(150)를 통해 촬영한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리뷰(review)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표시부(150)를 통해 촬영한 정지 영상을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메시지를 보고, 키 입력 신호를 통해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송하지 않을 것임을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S505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507 단계에서 정지 영상을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전송할 것임을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S505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509 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위치 정보 수집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때, S511 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S513 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필드(431)에 기술한다. 한편,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515 단계로 진행하여 플래그 값, “00”만 기술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S517 단계에서 개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개인 정보가 존재하면 S519 단계에서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필드(437)에 기록한다. 이러한 개인 정보는 센서 태그(30)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S521 단계에서 시간 정보 필드(433)에 시간 정보를 기술하고, S523 단계에서 ARSS 정보 필드(439)에 ARSS 처리 정보를 기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을 완성하면, 제어부(190)는 S525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도 5를 참조로 하는 실시 예에서는 위치 정보 등의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특정 순서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술한 도 5를 참조로 하는 실시 예에서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멀티미디어 파일 필드(441)에는 정지 영상, 동영상 및 텍스트 파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400)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동영상을 촬영하고, 위치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을 생성하고,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을 수신한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에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웹 페이지를 자동 생성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6a에 수신한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400)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생성한 텍스트 기반의 블로그(blog)의 화면 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순서 및 장소 별로 배열하였다. 또한, 장소별 멀티미디어 파일의 종류 및 수를 개시하였다. 이때, 각 멀티미디어 파일 별로 링크(도면에서 밑줄 표시)를 제공한다. 즉, “귀여운 내 아들.jpg”, “귀여운 내 아들.mpg”, “갓 난 아기였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 . .” 등의 링크를 제공하여 사진, 동영상 텍스트 전체를 보여줄 수 있다. 도 6d에 “귀여운 내 아들.jpg”의 링크 화면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6b 및 도 6c에는 그림 파일 기반의 웹 페이지를 도시하였다. 도 6b와 같이 광역의 지도(610)를 표시한다. 광역의 지도(610)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위치 및 그 위치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 수를 표시하며, 세부 위치의 링크를 포함한다. 예컨대, “캐리비안베이 10”, “에버랜드 20”을 표시한다. 그 광역의 지도에서 특정 링크를 선택하면 도 6c와 같은 세역의 지도(630)를 표시하며, 세역의 지도(630)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위치 및 그 위치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 수 및 그 세역의 지도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링크를 제공한다.
예컨대, 광역의 지도(610)에서 링크 에버랜드 20(613)을 선택하면, 선택한 위치의 세역의 지도(630)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세역의 지도(630)에서 링크, 주토피아(631)를 선택하면, 주토피아(631) 위치에서 전송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표시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400)을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 단말, 예컨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진 촬영 후(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후), 웹 페이지에 저장하는 결과가 된다. 또한, 다수의 사진들을 날짜별 장소별로 정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접속 환경이 있는 어느 곳에서나 웹 페이지에 접속 할 수 있으므로, 진정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된다면, 언제 어디서나 이동 중에도 해당 사진(멀티미디어 파일)을 열람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상술한 웹 페이지 자동 생성 기능 외로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자동 배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자동 배포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진 촬영시 같이 있던 지인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하였다고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S701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 수신하면, S703 단계에서 웹 페이지를 자동 생성한다. 이러한 웹 페이지는 도 6a 내지 도 6d의 예와 같은, 블로그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S705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전송 파일에 개인 정보 필드를 참조하여 개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개인 정보가 존재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S707 단계에서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블로그에 생성된 웹 페이지를 배포한다. 이러한 S705 단계 및 S707 단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RSS 기능으로 사진 촬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시 촬영 대상에 속하는 개인들이 센서 태그(30)를 구비한 경우, 해당 개인들에 대해 자동으로 생성한 웹 페이지를 배포하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S709 단계에서 구독자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구독자가 존재하는 경우, S711 단계에서 해당 구독자의 블로그에 생성된 웹 페이지를 배포한다. 여기서, 구독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블로그에서 RSS 기능을 통한 구독 신청자를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GPS 위성 20 : 무선 디바이스
30 : 센서 태그 40 : 게이트 웨이
100 : 휴대 단말기 200 : 서비스 서버
300 : 인터넷 접속 단말

Claims (26)

  1.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순서 및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중에서 특정 개인의 웹 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생성한 웹 페이지를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웹 페이지 주소로 자동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GPS 위성을 통해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GPS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GPS 위성을 통해 상기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받은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GPS 정보는 위도, 경도 및 표고이며,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위도, 상기 경도 및 상기 표고의 정보로 변환 가능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기 저장되거나,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지그비를 프로토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링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8.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서비스 서버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순서 및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9.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한 정보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집한 정보 및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시간 순서 및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경우
    GPS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GPS 정보는 위도, 경도 및 표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 수신이 불가한 경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코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위도, 경도 및 표고의 정보로 변환 가능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기 저장되거나,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지그비를 프로토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특정 개인의 웹 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수집한 정보 중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생성한 웹 페이지를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웹 페이지 주소로 자동으로 배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링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19.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시간 순서 및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경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상기 GPS 신호 수신이 불가한 경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GPS 정보는 위도, 경도 및 표고이며,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위도, 상기 경도 및 상기 표고의 정보로 변환 가능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기 저장되거나,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들이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것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태그;
    상기 GPS 정보를 제공하는 GPS 위성; 및
    상기 코드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센서 태그는
    특정 개인의 웹 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25.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정보 중 특정 개인의 웹 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생성한 웹 페이지를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웹 페이지 주소로 자동으로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링크를 제공하는 상기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KR1020150013078A 2015-01-27 2015-01-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1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078A KR101561065B1 (ko) 2015-01-27 2015-01-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078A KR101561065B1 (ko) 2015-01-27 2015-01-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35A Division KR20090080720A (ko) 2008-01-22 2008-01-22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73A KR20150028973A (ko) 2015-03-17
KR101561065B1 true KR101561065B1 (ko) 2015-10-19

Family

ID=5302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078A KR101561065B1 (ko) 2015-01-27 2015-01-27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065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기환 외, "국민참여형 위성영상 블로그 시스템 구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25~130 1228-6161 KCI, 2007년 4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73A (ko)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458B1 (ko) 개체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US9239849B2 (en) Mobile device access of location specific images from a remote database
US7957749B1 (en) Location-based bookmarks
US20080182587A1 (en) Attractions network and mobile devices for use in such network
JP2008512933A (ja) カメラ付き電話で画像に場所名注釈を付加する方法
CN101090517A (zh) 全球定位手机多语言导游方法及系统
KR100788605B1 (ko)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1022515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lassifying digital media files based on associated geographical identification metadata
EP27985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tadata search codes to multimedia
GB2412804A (en) Recording images with associated context information
JP200427259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サーバ装置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5018421A (ja) 端末装置、投稿情報送信方法、投稿情報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投稿情報共有システム
CN101179643A (zh) 传送影像文件位置信息并在地理信息系统中识别的方法
JP6066824B2 (ja) 投稿情報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投稿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61065B1 (ko)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0720A (ko)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83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sightseers
KR101178418B1 (ko) 위치기반 서비스가 연동된 일정관리시스템 및 일정관리방법
JP6164633B2 (ja) 投稿情報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投稿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51893A (ko) 멀티미디어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KR20110136529A (ko) 영상 전송을 통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2762A (ko) 장소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72144B1 (ko)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2760158A (zh) 基于移动app的增强现实百科的应用系统及应用方法
KR101245269B1 (ko) 개인 맞춤 여행 가이드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