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880B1 -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880B1
KR101560880B1 KR1020130122882A KR20130122882A KR101560880B1 KR 101560880 B1 KR101560880 B1 KR 101560880B1 KR 1020130122882 A KR1020130122882 A KR 1020130122882A KR 20130122882 A KR20130122882 A KR 20130122882A KR 101560880 B1 KR101560880 B1 KR 10156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cancer
lymph node
axillary lymph
metastasis
pat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898A (ko
Inventor
김범산
김예미
윤혜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8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를 예측함으로써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유방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는 액와림프절 전이 여부를 원암종의 비침습적 진단 소견만으로 정확히 예측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임상적 방법으로 진단했을 때 액와림프절에 전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환자들에서도 실제 전이가 일어났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유방암의 예후 판단에 매우 중요하게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A method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gnosis of breast cancer}
본 발명은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를 예측함으로써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2년 발표된 중앙 암 등록 본부 통계에 따르면, 2010년 우리나라에서는 연 202,503건의 암이 발생되었고, 그 중 유방암이 연 14,277건으로서 전체 암 발생의 7.1% (6위)를 차지하였다. 그 중 남성에서의 발생 건수는 연 69건이고 여성에서의 발생 건수가 연 14,208건으로, 여성암 중에서는 2위를 차지하였다. 발생 연령대는 40대가 36.2%로 가장 많고, 50대가 28.4%, 60대가 1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의 5년 생존률은 0기 암의 경우 100%에 가까우나 4기의 경우 20% 미만에 불과하여, 조기에 발견하여 전이를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한 암에 해당한다. 유방암 환자의 40%는 초기에 뼈 전이가 일어나며, 뼈 전이가 일어난 환자의 15%는 병적인 골절이 생긴다. 뼈 전이 또는 척추 전이로 신경학적 이상이 일어나는 경우 심한 통증을 수반하기 때문에 환자들의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유방암의 전이 여부 및 이에 따른 재발 및 생존 기간 예측을 파악하기 위한 예후 인자로서 현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것이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ALN) 전이 여부이다. 액와림프절은 위치상 유방암 조직에서 가장 먼저 도달하는 림프절에 해당하며, 액와림프절에 암 세포의 전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거나 예상되는 경우에는 유방암 절제시 액와림프절도 함께 절제하게 된다. 그러나 초음파, MRI, CT 등 비침습적인 영상 진단 장비들만으로는 액와림프절 전이를 정확하게 진단하지 못하므로, 현재로서는 비침습적인 영상 진단으로 확진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감시림프절 생검술(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감시림프절 생검술도 또한 위음성 비율이 15%에 달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침습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림프부종, 어깨 움직임 제한, 상지 무감각 등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감시림프절 생검술을 보완하여 액와림프절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정확한 진단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를 예측함으로써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유방암 환자의 원암종에서 FDG PET의 SUVmax가 9.8을 초과하는지 또는 9.8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의 액와림프절로의 전이 여부를 예측함으로써 유방암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원암종(primary tumor)은 종괴가 형성되는 해부학적 부위로서 종양 전이가 시작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유방암의 경우 원암종은 유방에 존재한다.
상기에서 유방암의 예후 예측은 재발 또는 생존 기간 예측을 의미하며, 유방암이 액와림프절로 전이된 경우 전신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예후가 나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PET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로서, 생체내에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방사성 의약품을 투여한 후 양전자가 인체내의 전자와 결합할 때 발생하는 방사능을 체외에서 검출하여 방사능의 분포를 재구성하여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대부분의 경우 방사성 의약품으로 FDG(2-[18F]-fluoro-2-deoxy-d-glucose, [18F]FDG)를 이용하므로 FDG PET이라고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FDG PET 은 인체내의 포도당 대사능을 영상화할 수 있는데, 종양은 일반적으로 포도당 대사능이 정상 조직보다 높고 악성 종양일수록 포도당 대사능이 높은 경향이 있어서 암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CT와 FDG PET을 결부시킨 FDG PET/CT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FDG PET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능-대사 영상(functional-metabolic imaging)을 CT에서 얻을 수 있는 해부학적 영상(anatomical imaging)과 함께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SUVmax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에 해당하며, SUV(t)(Standardized uptake value (t))는 하기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Figure 112013093118369-pat00001
즉, SUV(t)는 시점 t에서 조직 방사능 농도 c의 비율로 일반적으로 정의되며, 특정 시점(t)에서 신체의 선택된 부분의 방사능 농도로부터 유래된 이미지, 즉 주입된 [18F]FDG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이 신체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방법은 2) 유방암 환자의 원암종에서 D2-40 양성으로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2-40은 40kDa 크기의 당단백질인 O-linked sialoglycoprotein과 반응하는 단일클론 항체로서, 조직 내에서 D2-40 면역염색으로 확인된 림프관에서 암세포가 관찰되면 원암종의 림프관 침범을 의미한다. D2-40은 podoplanin 마커라고도 하며, 림프관 내막에서만 발현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방법에서 1) 유방암 환자의 원암종에서 FDG PET의 SUVmax가 9.8을 초과하는지 또는 9.8 이하인지 여부는 원암종의 외과적 절제 수술 이전에 확인하고, 2) 유방암 환자의 원암종에서 D2-40이 양성으로 나타나는지 여부는 원암종의 외과적 절제 수술 이후에 확인할 수 있다. FDG PET의 SUVmax는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단시간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원암종의 절제 수술 이전에 이용하기 적합하고, D2-40 양성 여부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지만, 조직을 D2-40 항체로 면역 염색하여 조직 내의 림프관에서 D2-40 양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되므로 원암종의 절제 수술 이후에 이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유방암 환자는 액와림프절을 임상적 방법으로 진단하였을 때 액와림프절에 유방암이 전이되지 않은 것으로 진단된 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상적 방법은 해당 부위에서 포도당 대사의 증가 여부를 확인하는 일반적인 FDG PET/CT, 해부학적 변화를 평가하는 MRI 및 초음파 중 1 이상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른 임상적 방법으로 진단하였을 때 액와림프절에 유방암이 전이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원암종의 소견만으로 실제 액와림프절 전이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임상 실무에서는 이러한 환자들을 Clinical N0라고 지칭하며, 현재로서는 상기 언급한 비침습적인 임상적 방법으로는 Clinical N0 환자들의 액와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할 길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Clinical N0 환자들의 액와림프절 전이 여부를 예측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방법은 감시림프절 생검술 (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을 실시하기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시림프절 생검술은 유방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소량 주사하고 해부학적 위치상 원암종의 암세포가 가장 먼저 전이될 수 있는 림프절(감시림프절, 주로 액와부에 존재) 2~3개를 찾아 생검하여 약식으로 액와림프절의 암세포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현재로서는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비교적 정확한 예후 예측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위음성 확률이 다소 높아 감시림프절 생검술 만으로 전이 여부를 100% 확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이도가 매우 높아 감시림프절 생검술을 보완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유방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는 액와림프절 전이 여부를 원암종의 비침습적 진단 소견만으로 정확히 예측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임상적 방법으로 진단했을 때 액와림프절에 전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환자들에서도 실제 전이가 일어났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유방암의 예후 판단에 매우 중요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임상적 N0 유방암 환자에서 원암종과 액와림프절 전이 간의 ROC 커브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유방암 환자의 유방 및 액와림프절의 FDG PET/CT, MRI 및 초음파 검사 결과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유방암 환자의 유방 및 액와림프절의 FDG PET/CT, MRI 및 초음파 검사 결과이다.
이하에서 언급된 시약 및 용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Sigma Aldrich®로부터 구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액와림프절 전이 임상적 N0 환자의 선정
(1) 유방암 환자의 선정
2010년 11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총 198명의 유방암 환자들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환자들에 대한 각종 데이터는 의료기록 차트를 소급하여 검토함으로써 수득되었다.
연구 대상이 된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9.4 ± 10.5 세였고, 병리적 종양 크기가 ≥ 1 cm 인 침습성 도관 유방암을 갖고 있었다. 상기 환자들은 영상 진단 연구 이전에 항암 및 방사선 치료 등의 초기 처치를 받지 않은 상태였고, FDG PET/CT, MRI 및 초음파 영상 진단 연구 이후에 유방암 원암종과 더불어 감시림프절 생검술 및/또는 액와림프절의 외과적 절제를 받았다. 또한 외과적으로 절제한 병리 조직 시편에서 D2-40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2) 영상 진단 장비
연구에 사용된 영상 진단 장비에 대한 정보는 하기와 같다.
FDG PET/CT 영상은 Siemens Biograph mCT/128 PET/CT 스캐너(Siemens Medical Solutions, Hoffman Estates, Knoxville, TN, USA)를 사용하여 수득되었다. 환자들이 최소 6시간 동안 금식하여 혈당 수치가 150 mg/kg 미만이 되도록 한 후, 환자들에게 4.81 MBq/kg의 18F-FDG를 투여하였다. 60분 후에 상하축 방향(craniocaudal)으로 CT 스캔을 수행하였다. 이때 dose reduction software(CARE Dose, Siemens Medical Solutions, Hoffman Estates, Knoxville, TN, USA)를 사용하여 파라미터를 120 kVp 및 50 mAs로 설정하였다. FDG PET은 대퇴부 중앙으로부터 두개저(skull base) 방향으로 bed position당 1.5분 방출 획득으로 습득되었다. CT 이미지를 트랜스미션 지도(transmission map)로 사용하여 감쇄보정(attenuation correction)을 수행하였다. PET 이미지는 정렬된 부분집합 기대 최대 반복 재구성 알고리즘(ordered subset expectation maximum iterative reconstruction algorithm) (2 반복, 21개의 부분집합)을 사용하여 200 × 200 이미지 매트릭스로 재구성하였다.
MRI는 환자에서 supine position에서 3.0-T 스캐너(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s, Best, the Netherlands) 및 7-channel dedicated breast coil syste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axial, fat-suppressed, fast-echo T2-weighted image를 먼저 얻고, 그 후 single-shot echo-planar imaging(EPI) axial DWI 촬영을 수행하였다. dynamic pre-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e가 axial plane에서 4.7 ms의 3차원 radiofrequency spoiled gradient echo sequence, 2.3 ms의 echo time, 10°의 flip angle, 및 28-36 cm의 field of view로 수득되었다 (두께는 2.0 mm 미만이고 기질은 ~320 × 320인, 150개의 절편). native 영상을 얻은 후에, gadopentetate dimeglumine (Gd-DTPA, Magnevist; Shering, Berlin, Germany)를 0.1 mg/kg 체중으로 2 ml/s의 속도로 볼루스로 투여하였고, 그 후 10 cc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dynamic 영상을 찍을 때 contrast를 주기 전 영상을 찍고 나서 contrast 준 시점으로 32초 간 기다렸다가 77초 interval로 총 7회 수행하였다.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and subtraction 이미지는 이미지 연구 후 후가공을 통해 얻었다.
초음파는 HDI 5000 스캐너 (Phillips Medical Systems, Bothell, WA, USA 또는 IU 22 스캐너(Philips Medical Systems)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3) 액와림프절 전이 Clinical N0 환자의 선정
(1)에서 선정된 총 198명의 유방암 환자들을 (2)에 서술한 FDG PET/CT, MRI 및 초음파로 검사하여 액와림프절에 유방암 전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환자들을 선정하였다.
각 영상 진단 장비 별로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기준은 하기와 같다.
FDG PET/CT로 액와림프절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액와부의 주변 정상 연부조직보다 높은 대사를 보이는 액와림프절이 있는 경우 액와림프절에 유방암 전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모든 분석은 한 명의 핵의학 전문의에 의해 수행되었다.
MRI로 액와림프절의 형태를 분석하였을 때, 림프절 크기가 10 mm를 초과하는 경우, 둥근 형태인 경우, 변형된 피질 과증식(eccentric cortical hypertrophy), 또는 비정상적으로 강화된 T1 weighted image인 경우 액와림프절에 유방암 전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초음파로 액와림프절의 형태를 분석하였을 때, 림프절 크기가 5 mm를 초과하는 경우, 둥글거나 타원형의 형태인 경우, fat hilum이 없는 경우 또는 비전형적인 피질 두께 또는 비대칭이 있는 경우에 액와림프절에 유방암 전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MRI 및 초음파는 두 명의 방사선 전문의들이 분석한 후 한 명의 숙련된 방사선 전문의가 각 관찰자들 간의 불일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총 198명의 유방암 환자들 중에서 총 104명이 FDG PET/CT, MRI 및 초음파 검사에 의해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이하 이러한 환자들을 'Clinical N0 환자'라 지칭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액와림프절 절제 후 병리조직 검사를 통해 전이된 유방암 세포를 확인하였을 때, 104명의 Clinical N0 환자들 중 21명 (20.2%)이 실제로는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Clinical N0 환자의 액와림프절 전이를 진단하기 위한 FDG PET 의 SUV max cut - off 값 결정
FDG PET/CT를 사용하여 원암종의 SUVmax를 계산하기 위하여, custom software (Syngo via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Siemens 사의 기기를 사용; Siemens Medical Solutions, Hoffman Estates, Knoxville, TN, USA)를 사용하여 semi-automatically delineated spherical volume of interest (VOI ≥ 지름 1 cm)를 그렸다. VOI의 경계가 둘러싸고 있는 FDG-avid 구조 또는 lesion과 겹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영상을 관찰한 후 수작업으로 재조정하였다.
104명의 Clinical N0 환자들 중 추후 최종 병리조직 검사에 의해 액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유방암 환자들은 FDG PET으로 측정했을 때, Clinical N0이면서 실제로도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는 유방암 환자들에 비하여 SUVmax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4.9 ± 2.8 vs 6.5 ± 3.3, p=0.045).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커브 분석에 기초할 때, 원암종의 SUVmax는 Clinical N0 환자들의 액와림프절 전이 여부 진단에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area under the curve(AUC) = 0.656, p=0.027](도 1 참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ROC 커브에서 Youden Index(바이오마커의 최대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Youden Index)=(민감도)+(특이도)-1'로 계산됨)를 산출한 결과, SUVmax의 cut-off 값이 9.8일 때 가장 진단의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Clinical N0 환자에서 SUVmax가 9.8을 초과하는 경우, 추후 최종적 병리조직 검사에 의해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의 확률, 즉 민감도(sensitivity)는 33.3%(총 21명 중 7명, 95% 신뢰구간(CI) 4.6-57.0%)로 나타났다. Clinical N0 환자에서 SUVmax가 9.8 이하인 경우, 추후 최종적 병리조직 검사에 의해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의 확률, 즉 특이도(specificity)는 92.8%(총 82명 중 77명, CI 84.9-97.3 %)로 나타났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 소견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2B는 침습성 유방암이 있는 43세 여성의 FDG PET/CT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SUVmax가 9.98인 국소적으로 대사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focal hypermetabolic mass)이 왼쪽 가슴의 내측 사분면에 존재하며, 이때 좌측 액와림프절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대사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이 발견되지 않아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도 2C 및 2D에서 각각 상기 여성의 MRI 및 초음파 결과에서도 좌측 액와림프절에서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여성은 최종적으로 액와림프절 절제 후 병리조직 검사를 통해 전이된 유방암 세포를 확인하였을 때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A 및 도3B는 침습성 유방암이 있는 52세 여성의 FDG PET/CT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SUVmax가 5.70인 국소적으로 대사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focal hypermetabolic mass)이 왼쪽 가슴의 상단 외측 사분면에 존재하며, 이때 좌측 액와림프절에는 비정상적으로 대사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이 발견되지 않아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도 3C 및 3D에서 각각 상기 여성의 MRI 및 초음파 결과에서도 좌측 액와림프절에서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여성은 수술 후에 최종적 병리조직 검사에 의해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3> Clinical N0 환자의 액와림프절 전이를 진단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바이오마커인 D2 -40 선정
Clinical N0 환자의 의료기록을 소급 관찰하여 여러 면역조직화학적 및 임상병리학적 소견들을 검토한 결과, D2-40 항체 염색을 액와림프절 전이를 진단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바이오마커로 선정하였다. D2-40 항체(1:100; Biocare medical, California, USA)를 사용하여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Van den Eynden et al. Distinguishing blood and lymph vessel invasion in breast cancer: a prospective immunohistochemical study. Br J Cancer. 2006;94(11):1643--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외과적으로 절제한 원암종의 병리 조직 시편에 면역염색을 수행하여, 원암종의 림프관 내에서 D2-40 양성인 부분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단변량 분석 ( Uni - variable analysis )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의 변수들을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는 하기와 같다.
[표 1]
Figure 112013093118369-pat00002
오즈비(Odds Ratio)는 두 변수가 얼마나 강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기 표에서는 'SUVmax가 9.8을 초과하는지 여부' 또는 'D2-40이 양성인지 여부'와 '액와림프절 전이'가 관련된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4명의 Clinical N0 환자들에 있어서, SUVmax가 9.8을 초과하는 경우 오즈비가 6.417로 높게 나타났다(p=0.004). D2-40 양성인 경우도 오즈비가 4.696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4).
< 실험예 5> 다변량 분석 ( Multi - variable analysis )
실험예 4의 단변량 분석 결과 SUVmax가 9.8을 초과하는 경우 및 D2-40 양성인 경우에 오즈비가 높게 계산되어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상기 2종의 변수 때문이 아닌, 그 외 제 3의 변수에 의해 우연히 나타난 효과일 수도 있으므로, 상기 2종의 변수들이 독립적으로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에서 p〈 0.05로 하여 독립변수를 '연령이 50세 미만인 경우', 'CD34 양성인 경우', 'D2-40 양성인 경우', 및 'SUVmax가 9.8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를 '유방암의 액와림프절 전이'로 설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로 정의되었다. 모든 통계적 분석은 SPSS 12(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다변량 분석에 따르면, SUVmax가 9.8을 초과하는 경우(조정된 오즈비 = 5.516, CI 1.475-20.633, p=0.011) 및 D2-40 양성 (조정된 오즈비=3.409, CI 1.154-10.072, p=0.027)는 독립적으로 Clinical N0 유방암 환자들의 액와림프절 전이와 관련이 있었다.

Claims (7)

1) 유방암 환자의 원암종의 FDG PET 데이터에서 SUVmax가 9.8을 초과하는지 또는 9.8 이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FDG PET 데이터는 외과적으로 절제되지 않은 원암종의 FDG PET 데이터인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2) 유방암 환자의 원암종 조직 시료에서 D2-40 양성으로 나타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방암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원암종 조직 시료는 외과적으로 절제된 원암종 조직 시료인 방법.
삭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 환자는 임상적 방법을 이용한 액와림프절 진단 결과 액와림프절에 유방암 전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환자인 것인,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적 방법은 FDG PET/CT, MRI, 및 초음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삭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방암의 액와림프절로의 전이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30122882A 2013-10-15 2013-10-15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56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882A KR101560880B1 (ko) 2013-10-15 2013-10-15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882A KR101560880B1 (ko) 2013-10-15 2013-10-15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98A KR20150043898A (ko) 2015-04-23
KR101560880B1 true KR101560880B1 (ko) 2015-10-19

Family

ID=5303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882A KR101560880B1 (ko) 2013-10-15 2013-10-15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98B1 (ko) * 2016-02-02 2018-08-3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대사 질환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KR101949347B1 (ko) * 2017-05-24 2019-02-1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암의 재발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KR102184992B1 (ko) * 2018-10-19 2020-12-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중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진단을 위한 디바이스
KR102333820B1 (ko) * 2019-06-10 2021-11-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암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405973B1 (ko) * 2019-09-20 2022-06-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암 초음파 영상과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유방암 치료법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08210B1 (ko) * 2020-10-16 2023-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암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dna 유전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009A (ja) 2008-11-26 2010-06-17 Korea Research Inst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Vegf−特異的なヒト抗体
JP2011524162A (ja) 2008-05-30 2011-09-01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ノースカロライナ アット チャペル ヒル 乳癌の予後を予測するための遺伝子発現プロフィ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4162A (ja) 2008-05-30 2011-09-01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ノースカロライナ アット チャペル ヒル 乳癌の予後を予測するための遺伝子発現プロフィール
JP2010131009A (ja) 2008-11-26 2010-06-17 Korea Research Inst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Vegf−特異的なヒト抗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98A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rvat et al.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with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ping as a quantitative imaging biomarker for prediction of immunohistochemical receptor status, proliferation rate, and molecular subtypes of breast cancer
Schilling et al. Positron emission mammography in breast cancer presurgical planning: comparison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KR101560880B1 (ko) 유방암의 예후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inker et al. A combined high temporal and high spatial resolution 3 Tesla MR imaging protocol for the assessment of breast lesions: initial results
Shiiba et al. Evaluation of primary prostate cancer using 11 C-methionine-PET/CT and 18 F-FDG-PET/CT
Pinker-Domenig et al. High resolution MRI of the breast at 3 T: which BI-RADS® descriptors a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diagnosis of breast cancer?
Jambor et al. Improved detection of localized prostate cancer using co-registered MRI and 11C-acetate PET/CT
Lin et al.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the management of vulvar malignancies
Walter et al. Clinical and diagnostic value of preoperative MR mammography and FDG-PET in suspicious breast lesions
Bickelhaupt et al. Independent value of image fusion in unenhanced breast MRI using diffusion-weighted and morphological T2-weighted images for lesion characterization in patients with recently detected BI-RADS 4/5 x-ray mammography findings
Stecco et al. Comparison of retrospective PET and MRI-DWI (PET/MRI-DWI) image fusion with PET/CT and MRI-DWI in detection of cervical and endometrial cancer lymph node metastases
Choi et al. Node-by-node correlation between MR and PET/CT in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diffusion-weighted imaging versus size-based criteria on T2WI
Shih et al. Standardized uptake value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of endometrial cancer evaluated with integrated whole‐body PET/MR: correlation with 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Lake et al. Optimal MRI sequences for 68 Ga-PSMA-11 PET/MRI in evaluation of biochemically recurrent prostate cancer
Bao et al. Differentiation of prostate cancer lesions in the transition zone by diffusion-weighted MRI
Magometschnigg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18 F-FDG PET/CT compared with that of contrast-enhanced MRI of the breast at 3 T
Park et al. Correlation between semi-quantitative 18 F-FDG PET/CT parameters and Ki-67 expression in small cell lung cancer
Jung et al. Effectiveness of breast MRI and 18F-FDG PET/CT for the preoperative staging of invasive lobular carcinoma versus ductal carcinoma
Hubner et al. The potential of F-18-FDG PET in breast cancer: detection of primary lesions, axillary lymph node metastases, or distant metastases
Kitajima et al.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judged by PERCIST–multicenter study in Japan
Van Goethem et al. Enhancing area surrounding breast carcinoma on MR mammography: comparison with pathological examination
Park et al. Low-dose perfusion computed tomography for breast cancer to quantify tumor vascularity: correlation with prognostic biomarkers
Liu et al. Monitoring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of primary osteosarcoma using diffusion kurtosis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itial findings
Sakat et al. The use of dynamic contrast-enhanced perfusion MRI in differentiating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Shih et al. PET/MRI in cervical cancer: associations between imaging biomarkers and tumor stage, disease progression, and overall survi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