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244B1 -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244B1
KR101560244B1 KR1020140082350A KR20140082350A KR101560244B1 KR 101560244 B1 KR101560244 B1 KR 101560244B1 KR 1020140082350 A KR1020140082350 A KR 1020140082350A KR 20140082350 A KR20140082350 A KR 20140082350A KR 101560244 B1 KR101560244 B1 KR 10156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basic
user terminal
network quality
quality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현
김동래
김진성
신홍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Priority to KR1020140082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사용자 단말의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고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저장하는 단계,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여 접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ser Terminal Access to Wireless Access Poin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상태에 따라 인접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기본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접속하게 하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VoIP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음성을 주고받는 인터넷 전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VoIP는 인터넷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실어 나르는 기술로, 기존 회선 교환 방식의 일반전화와 달리 인터넷의 근간인 IP(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패킷 형태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 전화는 인터넷망을 이용해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망으로 전송함으로써 망 효율을 높일수 있고 인터넷과 연계된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으며, 시외, 국제전화 등 원거리 통화시 요금이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가 설치된 무선랜 환경에서 와이파이(Wi-Fi) 인터넷 전화를 무선으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일반적으로 Wi-Fi 인터넷 전화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시 접속용 식별자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동일한 SSID를 가진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주변에 있을 경우, Wi-Fi 인터넷 전화는 본래 접속을 의도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지 않고 SSID가 동일한 다른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품질이 열등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의 음성품질에 영향을 주고, 본래 의도했던 액세스 포인트에 재접속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본 접속 대상으로 설정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접속하게 하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은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사용자 단말의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저장하는 단계,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여 접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보다 무선 신호 세기가 크거나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보다 무선 신호 세기가 크거나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신호 세기가 크거나 가장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2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 조건을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전송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이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 및 채널 간섭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로밍 대상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범위의 채널까지 가중치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것을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 각각을 기준으로 반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에 부여된 가중치의 합을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간섭도로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BSSID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SSID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는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파일 목록에 BSSID가 표시되게 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SSID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는 프로파일 목록에 SSID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 여부 또는 SIP 등록 완료 여부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목록에 표시되는 BSSID의 색상이나 BSSID에 소정의 부호가 함께 표시되는지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은 통화 품질값, 무선 신호의 세기, 데이터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무선랜 접속방식을 지원하는 무선랜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여 접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이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기본 AP 설정 조건을 전송하는 단말 관리 서버, 그리고 상기 기본 AP 설정 조건에 따라 제1 액세스 포인트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며, 검색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여 접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네트워크 품질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품질이 기준 이하이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MAC 주소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MAC 주소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결과를 이용하여 로밍 대상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을 의도한 액세스 포인트와 SSID가 동일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구분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본래 접속을 의도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지 않고 SSID가 동일한 다른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였더라도 복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무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 여부, 기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 및 기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SSID를 가지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직관적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밍 대상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때 네트워크 품질, 인터넷 망 품질, 채널 간섭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로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목록 표시 기준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의 채널 간섭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200b, 200c, …, 200n), 단말 관리 서버(300),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 및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인터넷 전화(Wi-Fi phone),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무선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변에 위치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이하 'AP'라 함)(200a, 200b, 200c, …, 200n)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통신망(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인터넷 전화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하나 다른 무선 단말기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AP(200a, 200b, 200c, …, 200n) 중에서 기본 접속 대상으로 설정된 AP(이하 '기본 AP'라 함)에 대한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본 AP가 아닌 다른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기본 AP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본 AP의 상태가 접속 조건을 만족하면 다른 AP의 상태와 관계없이 우선적으로 기본 AP로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기본 AP와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동일한 다른 AP에 접속된 상태에서도, 기본 AP의 상태가 접속 조건을 만족하면 기본 AP로 접속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선랜 환경에서 AP의 식별자로 이용되는 SSID는 서로 다른 AP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기본 AP 설정은 AP의 고유 식별자인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이용하여 지정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본 AP로 설정된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프로파일 목록에서 관리할 수 있다. BSSID는 해당 AP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가 사용될 수 있다.
AP(200a, 200b, 200c, …, 200n)는 IEEE 802.11 b/g/n/ac 등과 같은 무선랜 접속방식을 지원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망(10)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AP(200a, 200b, 200c, …, 200n)는 유무선 공유기와 같이 통신망(10)과 사용자 단말(100) 사이에서 유선으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유선 전화망, 3G 이동통신망, 4G 이동통신망, Wi-Fi, WIBRO, 위성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는다.
단말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단말(100)의 기본 AP 설정 조건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관리 서버(300)는 소정의 무선 신호 세기(RSSI) 또는 데이터 전송 속도와 같은 네트워크 품질을 기본 AP 설정 조건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여 설정되게 할 수 있다. 가령 '-45 dBm'이 기본 AP 설정 조건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되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45 dBm' 이내의 큰 무선 신호 세기를 가지는 AP를 기본 AP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300)는 기본 AP 설정 조건에 변경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변경된 조건을 전송하여 적용되게 할 수 있다. 물론 기본 AP 설정 조건이 단말 관리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되도록 구현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100) 상에서 기본 AP 설정 메뉴를 통해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의 네트워크 품질을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품질 측정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국제표준 규격 ITU-T G.107 규격에 따라 인터넷 전화 통화 품질 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ITU-T G.107 규격 외의 다른 기준에 따라 네트워크 품질을 측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품질은 인터넷 전화 통화 품질, 무선 신호의 세기,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AP(200a, 200b, 200c, …, 200n)의 MAC 주소를 제공받고, 해당 MAC 주소에 대응하는 AP(200a, 200b, 200c, …, 200n)의 인터넷 망 품질을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망 품질은 상향 파워(UP POWER), 상향 신호대잡음비(UP SNR), 하향 파워(DOWN POWER), 하향 신호대잡음비(DOWN SNR) 등의 항목에 대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AP 별로 각 항목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매우 양호, 양호, 나쁨 등의 품질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인터넷 망 품질은 앞에서 설명한 항목이외 다른 항목이 측정될 수도 있으며, 등급도 예시한 것 외에 더 많은 등급으로 구분되게 하거나 작게 구분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 관리 서버(300),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 및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500)는 도 1에 예시한 것과 같이 각각 별개의 장치로 구현하거나,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단말 관리 서버(300),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 및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500) 중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2개의 서버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저장부(110), 통신부(130), 표시부(150), 입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0)는 프로파일 목록이나 기본 AP 설정 조건을 저장하고 제어부(19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기본 AP 설정 조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본 AP로 설정될 수 있는 AP의 무선 신호 세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기본 AP 설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벤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AP 설정 동작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100)의 충전거치대 거치, 사용자 단말(100)의 최초 호통화 종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이 재부팅될 때 등일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이벤트가 기본 AP 설정 동작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능동적 스캐닝이나 수동적 스캐닝 과정에서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BSSID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IEEE 802.11 b/g/n/ac 등과 같은 무선랜 접속방식을 지원하는 무선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 따라 통신부(130)는 무선랜 이외의 다른 통신 방식, 3G, 4G,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CD 모듈, LED 모듈 또는 OLED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50)는 도 3에 예시한 것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검색된 AP(200a, 200b, 200c, …, 200n)의 프로파일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목록 표시 기준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본 AP로 설정될 수 있는 SSID(Hellophone)와 동일한 SSID를 가지는 AP에 접속된 경우, 1번 내지 6번과 같이 SSID와 BSSID를 함께 표시하거나, SSID 대신에 BSSID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기본 AP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2번, 4번, 5번, 6번과 같이 SSID 및/또는 BSSID에 부호(*)를 함께 표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SIP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AP는 1번, 2번과 같이 회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SIP 등록이 이루어진 경우 5번과 같이 기본 AP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서브 AP는 3번, 4번과 같이 청색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SIP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예외적으로 기본 AP에 접속되고 특정 상황인 경우 6번과 같이 녹색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상황은 기본 AP가 설정이 되어 있고, AP의 전원 오프(OFF)가 아닌 상태이며, AP와 사용자 단말(100)의 무선구간이 양호 하나, 상위 인터넷망(장치, 장비, 시스템 등)의 장애로 인하여 SIP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서브 AP는 기본 AP로 설정될 수 있는 SSID를 가지는 AP 중에서 기본 AP로 설정되지 않은 상태의 AP를 의미한다.
한편 기본 AP로 설정될 수 없는 타 SSID(CJWiFi_XXXX)를 가지는 AP는 SSID를 표시하고, SIP 접속된 경우에는 7번과 같이 청색으로 표시하고, SIP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회색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프로파일 목록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기본 AP가 설정되어 있는 지, 현재 기본 AP에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되어 있는 지, 기본 AP와 동일한 SSID를 가지는 다른 AP에 접속되어 있는 지 등을 직관적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로파일 목록에는 AP의 채널과 무선 신호 세기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3에서 예시한 색상 및 부호(*)는 일 예일뿐이고, 다른 색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부호나 문자 등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명령을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키패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사용자 단말(190)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면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기본 AP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0). 단계(S310)에서 기본 AP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 방식에 의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된 AP(200a, 200b, 200c, …, 200n)를 표시부(15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또는 설치 기사로부터 선택된 AP를 기본 AP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검색된 AP(200a, 200b, 200c, …, 200n)의 SSID, BSSID, 무선 신호 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검색된 AP(200a, 200b, 200c, …, 200n)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아 기본 AP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기본 AP의 BSSID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파일에는 AP의 BSSID 외에도 SSID, 인증 방법, 암호화 방법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자동 방식에 의하면, 제어부(190)는, 미리 정해진 기본 AP 설정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 단말(100)의 주변에 위치한 AP(200a, 200b, 200c, …, 200n)를 검색하고, 그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본 AP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AP를 자동으로 기본 AP로 설정할 수 있다. 수동 방식과 마찬가지로 제어부(190)는 기본 AP의 BSSID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기본 AP 설정 동작 이벤트는 충전거치대 거치, 사용자 단말(100)의 최초 호통화 종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이 재부팅될 때 등일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이벤트가 기본 AP 설정 동작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기본 AP 설정 조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무선 신호 세기값 또는 데이터 전송속도 등과 같은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본 AP 설정 동작 과정에서 검색된 AP 중에서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보다 무선 신호 세기가 큰 AP가 있으면, 해당 AP를 자동으로 기본 AP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AP가 미리 정해진 신호세기보다 큰 경우에는 그 중에서 가장 신호 세기가 큰 AP를 기본 AP로 선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기본 AP 설정 동작 과정에서 검색된 AP 중에서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AP가 있으면, 해당 AP를 자동으로 기본 AP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AP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중에서 가장 속도가 높은 AP를 기본 AP로 선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기본 AP는 미리 지정된 SSID를 가지는 AP 중에서만 설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특정 인터넷 전화 서비스사에서 제공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전화 서비스사에서 지정한 SSID를 가지는 AP만 기본 AP로 선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기본 AP로 설정 가능한 SSID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1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310)에서 기본 AP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320-N), 제어부(190)는 기본 AP 설정없이 접속 가능한 AP에 접속할 수 있다(S330). 그리고 제어부(19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본 AP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S335-Y), 기본 AP 설정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S310).
한편 단계(S310)에서 기본 AP 설정이 이루어지면(S320-Y),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100)이 기본 AP에 접속되게 한다(S340).
기본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100)이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와 연동하여 통화 품질 측정값과 같은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전송받도록 할 수 있다(S350). 단계(S350)에서 통화 품질 측정값은 ITU-T G.107 규격에 따라 구해지는 값일 수 있다. 물론 음성 품질,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 불가 상태, 패킷 손실, 무선 신호 세기 저하 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화 품질과 관련된 측정값이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에서 전송된 통화 품질 측정값을 저장부(190)에 DB화해서 저장할 수 있다. DB화된 통화 품질 측정값은 기본 AP에서 다른 AP로 로밍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 몇 번(예컨대 2번, 3번, 5번 등)의 통화 품질 측정값의 평균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기간(예컨대 하루, 반나절, 한 시간, 30분 등) 동안 측정된 통화 품질값 중에서 기준값 이하인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에 다른 AP로 로밍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기본 AP에서 다른 AP로 로밍 여부를 결정하는데 DB화된 통화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기본 AP의 통화 품질 측정값이 기준값 이하이면(S355-Y),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100)을 다른 AP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60). 단계(S360)는 기본 AP의 통화 품질 측정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400)와 연동 없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체적으로 기본 AP의 무선 신호 세기가 통화 품질을 확보할 수 없을 정도로 나쁘거나 기본 AP의 전원이 오프되어 연결이 종료된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6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100)의 주변에 위치한 AP 검색을 수행한다(S361). 단계(S361)에서 검색된 AP의무선 신호 세기 또는 데이터 전송 속도 등과 같은 네트워크 품질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으로 무선 신호 세기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나, 그 외 다른 네트워크 품질 예컨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S361)에서 검색된 AP의 MAC 주소를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500)에 전송하여 검색된 AP에 대한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S363). 단계(S363)에서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는 일정 기준 이상의 인터넷 망 품질을 가지는 AP의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망 품질은 표 1에 예시한 것과 같이 매우 양호, 양호, 나쁨 등의 등급으로 구분되거나 점수화될 수 있으며, 일정 기준 이상의 인터넷 망 품질을 가지는 AP의 MAC 주소만이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표 1에 예시한 것과 다른 기준이 인터넷 망 품질 측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MAC 주소에 대응하는 모든 AP의 인터넷 망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 1]
Figure 112014062369230-pat00001
한편 제어부(190)는 단계(S361)에서 검색된 AP의 채널 간섭도를 계산할 수 있다(S365). 채널 간섭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의 채널 간섭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AP가 검색된 채널을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가지도록 채널별로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컨대 1번 채널에서 AP1이 검색되었으므로 가장 큰 가중치 5를 1번 채널에 부여하고, 2번, 3번, 4번, 5번 채널에는 순차적으로 4, 3, 2, 1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AP2, AP3, AP4, AP5가 검색된 4번 채널, 8번 채널, 9번 채널 및 13번 채널을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가지도록 채널별로 가중치를 부여한다. 그리고 각 채널별 가중치의 합을 구해보면 13번 채널이 가중치 합이 '6'으로 가장 작으며, 따라서 AP5가 검색된 채널이 간섭이 가장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P가 검색된 채널을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가지도록 채널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의 합이 가장 작은 채널이 간섭이 가장 작은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반대로 멀어질수록 큰 값을 가지도록 채널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의 합이 가장 큰 채널이 간섭이 가장 작은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에 따라 간섭이 작은 채널을 판단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가중치의 합을 구하는 방법 외에도 다른 방법에 의해 채널 간섭도를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190)는 단계(S363)에서 제공된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와 단계(S365)에서 구해진 채널 간섭도를 이용하여 로밍 대상 AP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게 할 수 있다(S367).
단계(S367)에서 로밍 대상 AP 선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인터넷 망 품질이 일정 기준 이상인 AP 중에서 단계(S361)에서 측정된 무선 신호 세기가 가장 좋거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높은 AP를 우선적으로 로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넷 망 품질 기준이 '양호'인 경우, 인터넷 망 품질이 '양호' 이상인 AP 중에서 무선 신호 세기가 가장 좋거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높은 AP를 로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간섭도를 계산하는 단계(S365)는 생략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인터넷 망 품질을 로밍 대상 AP 선정에 고려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터넷 망 품질을 제외한 채널 간섭도와 무선 신호 세기 또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로밍 대상 AP를 선택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S365)에서 구해진 채널 간섭도에 따라 채널 간섭이 가장 작은 AP를 우선 로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간섭이 가장 작은 AP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무선 신호 세기가 더 좋거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높은 AP를 로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채널 간섭도가 가장 작은 AP를 우선 로밍 대상으로 바로 선정하지 않고 채널 간섭도를 기준으로 복수의 로밍 대상 AP를 선정하고 그 중에서 무선 신호 세기가 가장 좋거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높은 AP를 로밍 대상으로 선정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를 제공받는 단계(S363)는 생략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으로, 로밍 대상 AP 선정에 인터넷 망 품질과 채널 간섭을 동시에 고려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먼저 인터넷 망 품질이 일정 기준 이상인 AP를 먼저 선정하고 그 중에서 채널 간섭이 가장 작은 AP를 우선 로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네 번째 방법으로, 세 번째 방법과 반대로 채널 간섭도 기준을 만족하는 AP를 먼저 선정하고 그 중에서 인터넷 망 품질이 가장 좋은 AP를 우선 로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한 방법 외에도 로밍 대상 AP를 선택하는 다른 방법과 기준이 적용 가능하다.
단계(S360)를 통해 기본 AP가 아닌 다른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부(S370)는 기본 AP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S370). 예컨대 제어부(19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기본 AP의 BSSID(MAC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미리 정해진 간격(예컨대 60초)으로 기본 AP를 검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AP 모니터링 주기는 실시예에 따라 60초보다 길게 또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기본 AP의 상태가 기본 AP 접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80). 기본 AP 접속 조건은 무선 신호 세기값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비교적 무선 신호 세기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값, 예컨대 -65 db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65 dbm 보다 더 높거나 낮은 값으로 정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무선 신호 세기값 대신에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준으로 기본 AP 접속 조건을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무선 신호 세기값과데이터 전송 속도를 함께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무선 신호 세기값과데이터 전송 속도 외에 다른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본 AP 접속 조건을 만족하면(S380-Y), 제어부(19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AP와의 연결을 끊고 기본 AP로 접속되게 한다(S390).
한편 단계(S310)에서 설정된 기본 AP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검색이 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9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기본 AP의 프로파일을 삭제하여 기본 AP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기본 AP 설정 해제는 공장 초기화, 사용자 단말(100)의 2회 재부팅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기본 AP 설정이 해제된 경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본 AP 설정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다시 기본 AP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단계(S310) 내지 단계(S390) 동안에 사용자로부터 프로파일 목록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90)는 도 3에 예시한 것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검색된 AP(200a, 200b, 200c, …, 200n)의 프로파일 목록을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능동적 스캐닝이나 수동적 스캐닝 과정에서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BSSID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제어부(19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2)

  1.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사용자 단말의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저장하는 단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여 접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보다 무선 신호 세기가 크거나 미리 정해진 전송 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보다 무선 신호 세기가 크거나 미리 정해진 전송 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신호 세기가 크거나 가장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3. 제 1 항에서,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4. 제 1 항에서,
    상기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상태와 관계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5. 제 1 항에서,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전송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이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6. 제 5 항에서,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 및 채널 간섭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로밍 대상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7. 제 6 항에서,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를 제공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8. 제 6 항에서,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범위의 채널까지 가중치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것을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 각각을 기준으로 반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에 부여된 가중치의 합을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간섭도로 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9. 제 1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BSSID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SSID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는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파일 목록에 BSSID가 표시되게 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SSID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는 프로파일 목록에 SSID가 표시되게 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0. 제 9 항에서,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 여부 또는 SIP 등록 완료 여부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목록에 표시되는 BSSID의 색상이나 BSSID에 소정의 부호가 함께 표시되는지 여부가 달라지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1. 제 1 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은,
    통화 품질값, 무선 신호의 세기, 데이터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2. 무선랜 접속방식을 지원하는 무선랜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제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BSSID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을 이용하여 접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이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 12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보다 무선 신호 세기가 크거나 미리 정해진 전송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며,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보다 무선 신호 세기가 크거나 미리 정해진 전송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가장 무선 신호 세기가 크거나 가장 데이터 전송속도가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 12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을 해제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 12 항에서,
    상기 접속 조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의 상태와 관계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 12 항에서,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품질 측정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품질 측정값을 전송받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이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 16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 및 채널 간섭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로밍 대상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 17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망 품질 측정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인터넷 망 품질 측정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19. 제 18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범위의 채널까지 가중치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것을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 각각을 기준으로 반복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된 채널에 부여된 가중치의 합을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간섭도로 구하는 사용자 단말.
  20. 제 12 항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BSSID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본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SSID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는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파일 목록에 BSSID가 표시되게 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SSID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는 프로파일 목록에 SSID가 표시되게 하는 사용자 단말.
  21. 제 20 항에서,
    기본 액세스 포인트 설정 여부 또는 SIP 등록 완료 여부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목록에 표시되는 BSSID의 색상이나 BSSID에 소정의 부호가 함께 표시되는지 여부가 달라지는 사용자 단말.
  22. 제 12 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품질 측정값은,
    통화 품질값, 무선 신호의 세기, 데이터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40082350A 2014-07-02 2014-07-02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10156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50A KR101560244B1 (ko) 2014-07-02 2014-07-02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50A KR101560244B1 (ko) 2014-07-02 2014-07-02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244B1 true KR101560244B1 (ko) 2015-10-14

Family

ID=5435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50A KR101560244B1 (ko) 2014-07-02 2014-07-02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076B1 (ko) * 2016-11-30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사 제어 방법
KR102022606B1 (ko) * 2018-03-27 2019-09-1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접속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N113873609A (zh) * 2021-09-24 2021-12-31 新华三技术有限公司成都分公司 一种指导客户端接入ap的方法和ac
CN114554584A (zh) * 2021-12-31 2022-05-27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通信方法、系统、服务器及无线接入点
WO2024063438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품질 향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54B1 (ko) * 2012-02-10 2014-04-10 황민규 무선랜 단말의 우선순위 자동접속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54B1 (ko) * 2012-02-10 2014-04-10 황민규 무선랜 단말의 우선순위 자동접속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076B1 (ko) * 2016-11-30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사 제어 방법
KR102022606B1 (ko) * 2018-03-27 2019-09-1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접속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N113873609A (zh) * 2021-09-24 2021-12-31 新华三技术有限公司成都分公司 一种指导客户端接入ap的方法和ac
CN113873609B (zh) * 2021-09-24 2023-11-03 新华三技术有限公司成都分公司 一种指导客户端接入ap的方法和ac
CN114554584A (zh) * 2021-12-31 2022-05-27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通信方法、系统、服务器及无线接入点
WO2024063438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품질 향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184B2 (en) Handoffs between access points in a Wi-Fi environment
AU2019271960B2 (en) Method of controlling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apparatus and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US10075963B2 (en) Interference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560244B1 (ko) 사용자 단말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US9642036B2 (en) Relieving conges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6213473B2 (ja) スキャン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37372B1 (ko) 관리 서버를 활용한 와이파이 접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820179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11622295B1 (en) Dynamic communication channel switching in a wireless access point
JP2011029985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6506932B (zh) 功率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7157016A1 (zh) 无线接入的方法
JP6093183B2 (ja) 受信信号強度を考慮した使用周波数帯域の設定が可能な無線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465687B1 (ko) 이기종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2321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697206B1 (ko) 이기종 망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384062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로드 균형과 빠른 핸드오프 지원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