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222B1 -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222B1
KR101560222B1 KR1020140129527A KR20140129527A KR101560222B1 KR 101560222 B1 KR101560222 B1 KR 101560222B1 KR 1020140129527 A KR1020140129527 A KR 1020140129527A KR 20140129527 A KR20140129527 A KR 20140129527A KR 101560222 B1 KR101560222 B1 KR 10156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probe
sensing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400A (ko
Inventor
김용수
박재성
송미란
이승주
현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2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신호를 생체에 송신하고 생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초음파 프로브; 초음파 프로브를 센싱하여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 여부에 해당하는 감지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감지부; 및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도록 동작하는 자동 활성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ULTRASOUN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ULTRASOUND PROBE BASED ON MOTION OF ULTRASOUND PROBE}
본 발명은 초음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시스템은 무침습 및 비파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생체 내부의 정보를 얻기 위한 의료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시스템은 생체를 직접 절개하여 관찰하는 외과 수술의 필요 없이, 생체 내부 조직의 고해상도 형상을 실시간으로 의사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신호를 생체에 송신하고 생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즉,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하였다. 이로 인해, 사용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변경할 때마다 해당 초음파 프로브가 선택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감압 센서를 초음파 프로브에 장착하여 초음파 프로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였다. 그러나,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초음파 프로브에 장착된 감압 센서에 정확히 압력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신호를 생체에 송신하고 상기 생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센싱하여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 여부에 해당하는 감지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도록 동작하는 자동 활성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 활성화 방법은, a) 초음파 프로브를 센싱하여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 여부에 해당하는 감지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촉을 정확하게 감지할 필요없이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에 별도의 센서를 장착하지 않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부만을 장착할 수 있어 기존의 초음파 프로브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 초음파 프로브, 초음파 프로브 홀더 및 센싱부를 보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활성화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ㄷ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시스템(100)은 초음파 프로브(110)를 포함한다.
초음파 프로브(110)는 초음파 신호를 생체에 송신하고, 생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즉,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수신신호)를 형성한다. 초음파 프로브(110)는 초음파 시스템(100)의 본체(1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초음파 프로브(110)는 컨벡스 프로브(convex probe), 리니어 프로브(linear probe), 3D 프로브(three-dimensional probe), 위상 배열 프로(phased array probe) 등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110)는 식별정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식별정보부는 초음파 프로브(11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식별정보부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포함한다. 그러나, 식별정보부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식별정보부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외부 또는 내부 일측에 다양한 형태로 장착된다. 일례로서, 식별정보부는 부착 가능한 스티커 형태로 초음파 프로브(110)의 외부 또는 내부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식별정보부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예를 들어, 링 등과 같이 탈부착 가능한 악세사리 형태)로 초음파 프로브(110)의 외부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110)는 자기장 발생부(magnetic field generator)(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자기장 발생부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초음파 프로브(1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시스템(100)은 컨트롤 패널(120)을 더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120)은 초음파 시스템(100)의 본체(1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컨트롤 패널(120)은 감지부(121)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 패널(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프로브(110)를 거치하기 위한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 및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3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복수의 버튼, 복수의 슬라이스, 키보드, 트랙볼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초음파 프로브(110)의 움직임 여부에 해당하는 감지정보를 형성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를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도록 동작하는 센싱부(도시하지 않음),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독출하여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제1 안테나부(210, 도 2 참조) 및 식별정보의 독출 여부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110)의 움직임 여부에 해당하는 감지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제1 감지정보 형성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감지부(121)는 RFID 리더를 포함한다. 그러나, 감지부(12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안테나부(210)는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에 거치된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제1 안테나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로부터 사전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제1 안테나부(210)는 초음파 프로브(110)가 동시에 활성화되지 않게 초음파 프로브(110)(즉,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를 센싱하는 영역이 겹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안테나부(210)는 초음파 프로브(110)(즉,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를 센싱하는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를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여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독출 여부를 판단한다.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111)에 저장된 식별정보가 독출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초음파 프로브(110)가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에 거치되어 있어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가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부(121)는 식별정보부(111)로부터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정보(이하, 제1 감지정보라 함)를 형성한다. 한편,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가 독출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초음파 프로브(110)가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로부터 분리되어 초음파 프로브(110)가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 가능한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가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로부터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감지정보(이하, 제2 감지정보라 함)를 형성한다. 즉, 제2 감지정보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감지정보이다.
다른 예로서,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를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여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독출 여부를 판단한다.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가 독출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초음파 프로브(110)가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에 거치되어 있어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가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로부터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감지정보를 형성한다. 한편, 초음파 프로브(110)의 식별정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가 독출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초음파 프로브(110)가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로부터 분리되어 초음파 프로브(110)가 감지부(121)에 의해 센싱 가능한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부(121)는 감지정보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감지부(121)는 식별정보부(111)의 식별정보를 독출 가능한 경우에만 감지정보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즉, 초음파 프로브(110)의 자기장 발생부)를 센싱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하도록 동작하는 코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부(도시하지 않음) 및 유도 전류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110)의 움직임 여부에 해당하는 감지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제2 감지정보 형성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2 안테나부는 컨트롤 패널의 일측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안테나부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 영역에 포함될 때마다 코일에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부는 초음파 프로브(110)가 동시에 활성화되지 않게 초음파 프로브(110)(즉, 초음파 프로브(110)의 자기장 발생부)를 센싱하는 영역이 겹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안테나부는 초음파 프로브(110)(즉, 초음파 프로브(110)의 자기장 발생부를 센싱하는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초음파 프로브(110)가 제2 안테나부의 센싱 영역, 즉 초음파 프로브(110)의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 영역에 감지부(121)의 코일이 포함되는 경우, 감지부(121)(즉, 감지부(121)의 코일)는 유도 전류를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 전류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110)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감지정보를 형성한다. 한편, 초음파 프로브(110)가 제2 안테나부의 센싱 영역, 즉 초음파 프로브(110)의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 영역에 감지부(121)의 코일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감지부(121)는 감지정보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감지부(121)는 초음파 프로브(110)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즉, 초음파 프로브(110)가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만 감지정보를 형성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시스템(100)은 본체(130)를 더 포함한다. 본체(130)는 자동 활성화부(131)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30)는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송신신호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송신부(도시하지 않음), 초음파 프로브(11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신호에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형성하고 디지털 신호에 빔 포밍을 수행하여 수신집속신호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수신부(도시하지 않음), 수신집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에 대응하는 초음파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초음파 데이터 형성부(도시하지 않음),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형성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활성화부(131)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초음파 프로브(110)로서 제1 내지 제6 초음파 프로브(110a 내지 110f)가 본체(130)에 연결되고, 감지부(121)로서 제1 내지 제6 초음파 프로브(110a 내지 110f)에 일대응 대응하는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가 컨트롤 패널(120)에 장착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활성화부(131)는 저장부(310), 제어부(320) 및 릴레이부(330)를 포함한다.
저장부(310)는 초음파 프로브(110)를 자동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정보(이하, 자동 활성 정보라 함)를 저장한다. 일례로서, 저장부(310)는 표 1과 같이 제1 내지 제6 초음파 프로브(110a 내지 110f)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매핑 테이블을 저장한다.
초음파 프로브 식별정보
제1 초음파 프로브(110a) 제1 식별정보
제2 초음파 프로브(110b) 제2 식별정보
제3 초음파 프로브(110c) 제3 식별정보
제4 초음파 프로브(110d) 제4 식별정보
제5 초음파 프로브(110e) 제5 식별정보
제6 초음파 프로브(110f) 제6 식별정보
다른 예로서, 저장부(310)는 표 2와 같이, 제1 내지 제6 초음파 프로브(110a 내지 110f)에 일대응 대응하는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를 제공하는 매핑 테이블을 저장한다.
초음파 프로브 감지부
제1 초음파 프로브(110a) 제1 감지부(121a)
제2 초음파 프로브(110b) 제2 감지부(121b)
제3 초음파 프로브(110c) 제3 감지부(121c)
제4 초음파 프로브(110d) 제4 감지부(121d)
제5 초음파 프로브(110e) 제5 감지부(121e)
제6 초음파 프로브(110f) 제6 감지부(121f)
제어부(320)는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로부터 감지정보 및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 및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110)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20)는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 각각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32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 및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110)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일례로서, 제어부(320)는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식별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감지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제2 감지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20)는 저장부(310)를 조회하여 제2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320)는 수신된 감지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제2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검출한다. 제어부(320)는 릴레이부(330)를 구동하여 검출된 초음파 프로브를 본체(130)에 연결하고, 검출된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한편, 제2 감지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20)는 제어신호를 형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감지부(121a)로부터 제2 감지정보가 제공되고, 제2 내지 제6 감지부(121b 내지 121f)로부터 제1 감지정보가 제공된 경우, 제어부(320)는 제공된 제1 감지정보의 식별정보와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제2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초음파 프로브로서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검출한다. 제어부(320)는 릴레이부(330)를 구동하여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본체(130)에 연결하고,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320)는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로부터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감지정보가 제공되는지 판단한다.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로부터 제1 감지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20)는 제공된 제1 감지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제1 감지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초음파 프로브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320)는 제1 감지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감지부에 해당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검출한다. 제어부(320)는 릴레이부(330)를 구동하여 검출된 초음파 프로브를 본체(130)에 연결하고, 검출된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한편,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 모두로부터 제1 감지정보가 제공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20)는 제어신호를 형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감지부(121a)로부터 제1 감지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제2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로부터 제1 감지정보가 제공된 경우, 제어부(320)는 제공된 제1 감지정보의 식별정보와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제1 감지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초음파 프로브(110a)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320)는 제1 감지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제1 감지부(121a)에 해당하는 초음파 프로브(110a)를 검출한다. 제어부(320)는 릴레이부(330)를 구동하여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본체(130)에 연결하고,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20)는 제1 내지 제6 감지부(121a 내지 121f)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32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 및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110)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1 감지부(121a)로부터 감지정보가 제공되고, 제2 내지 제6 감지부(121b 내지 121f)로부터 감지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20)는 제공된 감지정보와 저장부(31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즉, 매핑 테이블의 감지부)를 비교하여, 감지정보를 제공한 제1 감지부(121a)에 해당하는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초음파 프로브로서 검출한다. 제어부(320)는 릴레이부(330)를 구동하여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본체(130)에 연결하고, 제1 초음파 프로브(110a)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릴레이부(330)는 제어부(3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110)를 본체(310)에 연결시킨다. 릴레이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110)를 본체(130)에 연결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떤 장치라도 무방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본체(130)에서 형성된 초음파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고 예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안테나부(210) 및 초음파 프로브 홀더(220)가 컨트롤 패널(120)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100: 초음파 시스템 110: 초음파 프로브
110a 내지 110f: 제1 내지 제6 초음파 프로브
120: 컨트롤 패널 121: 감지부
121a 내지 121f: 제1 내지 제6 감지부
130: 본체 140: 디스플레이부
210: 안테나부 220: 초음파 프로브 홀더
230: 사용자 입력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 릴레이부

Claims (6)

  1.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구비된 RFID 태그내의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안테나;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독출하도록 상기 RFID 안테나를 제어하는 RFID 리더; 및
    상기 식별 정보의 독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도록 동작하는 자동 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RFID 안테나는, 상기 컨트롤 패널 내의 위치 중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 홀더로부터 기준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RFID 태그는 연결 부재 없이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탈부착 가능한, 링 형태 및 스티커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초음파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초음파 시스템이,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RFID 안테나를 제어함으로써, 초음파 프로브에 구비된 RFID 태그 내의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의 독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FID 안테나는, 상기 초음파 시스템의 컨트롤 패널 내의 위치 중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 홀더로부터 기준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RFID 태그는 연결 부재 없이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탈부착 가능한, 링 형태 및 스티커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초음파 프로브 활성화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40129527A 2014-09-26 2014-09-26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10156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27A KR101560222B1 (ko) 2014-09-26 2014-09-26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27A KR101560222B1 (ko) 2014-09-26 2014-09-26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799A Division KR20140046754A (ko) 2012-10-11 2012-10-11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400A KR20140130400A (ko) 2014-11-10
KR101560222B1 true KR101560222B1 (ko) 2015-10-14

Family

ID=5245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527A KR101560222B1 (ko) 2014-09-26 2014-09-26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632A (ko)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500A (ja) * 2007-04-04 2008-10-2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その制御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超音波プロー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500A (ja) * 2007-04-04 2008-10-2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その制御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超音波プロ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400A (ko) 201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6754A (ko)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CN106662552B (zh) 超声诊断设备和操作超声诊断设备的方法
US201901423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ultrasound probe pairing
CN102525560B (zh) 对无线超声探头自动加载用户设置的方法和系统
JP6465835B2 (ja) 医療診断イメージング超音波プローブバッテリーパック通信機器
KR102618500B1 (ko) 초음파 진단장치 및 그에 따른 초음파 진단 방법
EP2842496B1 (en) Prob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9497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und probe guidance
US20120289830A1 (en) Method and ultrasound imaging system for image-guided procedures
JP2017535345A5 (ko)
CN109069121A (zh) 用于ctg超声换能器的定位支持和胎儿心率配准支持
KR102530174B1 (ko)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3731B1 (ko)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385340B2 (en) Ultrasound imaging system including wireless probe tracking
KR100674513B1 (ko)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초음파 진단 시스템 및방법
US9986977B2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4222532A (zh) 超声波诊断装置及超声波诊断装置的控制方法
US20140316272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KR101560222B1 (ko) 초음파 프로브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0261A (ko) 초음파 영상에 대응하는 참조 영상을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US11911144B2 (en)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interventional medical device for use therewith
KR20150134299A (ko) 초음파 장치 및 초음파 장치의 정보 입력 방법
KR101645377B1 (ko) 초음파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1706574B1 (ko) 무선 전력 전송 단말의 위치 조정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JP2015128474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