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670B1 -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 Google Patents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670B1
KR101559670B1 KR1020140060494A KR20140060494A KR101559670B1 KR 101559670 B1 KR101559670 B1 KR 101559670B1 KR 1020140060494 A KR1020140060494 A KR 1020140060494A KR 20140060494 A KR20140060494 A KR 20140060494A KR 101559670 B1 KR101559670 B1 KR 10155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isplaying
diagram
radially
configura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애
Original Assignee
이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애 filed Critical 이종애
Priority to KR102014006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에 관한 것으로서, 최상위 구성요소인 제1구성요소(1)를 중심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성요소(1) 둘레에 차상위 구성요소인 제2구성요소(2)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성요소(2) 바깥쪽에서 제3구성요소(3)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3구성요소(3) 바깥쪽에서 제4구성요소(4)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3구성요소(3)와, 제4구성요소(4) 사이에 제1특징부(5)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4구성요소(4)의 바깥쪽에 제2특징부(6)를 표시하는 단계로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을 구성하고, 그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을 이용해 상기 제1구성요소(1) 내지 제3구성요소(3)와, 제1특징부(5) 내지 제2특징부(6)를 표시한 메인보드(10)에 제4구성요소(4)를 표시한 회전판(20)을 회전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많은 구성요소에도 불구하고 복잡도가 현저히 낮고 식별이 용이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시각적 정보 전달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How to construct a diagram And Organization board diagram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많고 복잡한 구성요소를 가진 다이어그램의 작도와 식별이 용이하게 한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에 관한 것이다.
'다이어그램(diagram)'이란, 기호, 선, 점 등과 같은 2차원 기하학 심벌을 이용해 정보를 시각화하여 각종 사상의 상호관계나 과정, 구조 등을 이해시키는 설명적인 그림을 말하는 것이다. 다이어그램의 기능과 목적은 전달에 있으며, 강력한 전달력을 활용한 계몽적 측면과 의미를 빠르고 정확하게 알려야 하는 고지적 측면을 갖는 시각 언어이다.
다이어그램은 작도 방식에 따라서 구성요소 간의 상호 작용을 도시하는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Usecase diagram),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클래스 다이어그램 (Class diagram), 구성요소 간의 동적인 면을 시간적 흐름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 구성요소 간의 메시지 흐름과 관계를 도시하는 콜라보레이션 다이어그램(Collaboration diagram), 구성요소 간의 메시지 흐름에 따른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상태 다이어그램(Statechart diagram), 플로우차트와 같이 구성요소 간의 행위와 행위의 분기, 분리하는 조건 등에 따른 구성요소의 상태를 도시하는 액티비티 다이어그램(Activity diagram), 구성요소의 물리적인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디플로이머트 다이어그램(Deploymen diagram)나 컴포넌트 다이어그램(Component diagram) 등 다양한 형태의 다이어그램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즉, 다이어그램은 학교나 연구소, 뿐만 아니라 기업체 등에서 비교, 통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표, 그래프, 통계도표 등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기구나 조직의 계통을 나타내기 위하여 조직도, 계보도, 계통도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특정한 기능이나 해부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상도, 구조도, 해부도 등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일이나 행사 진행의 흐름, 사건 진행 상태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예정표나 일정표, 일람표 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흔히 보는 통계 지도나, 버스 노선도, 지하철 노선도 등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28890호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다이어그램은 비교, 통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표, 그래프나 기구나 조직의 계통을 나타내기 위하여 조직도, 계보도 등인데,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보통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도시할 수 있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이 이용된다.
그런데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종래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도면과 같이 구성요소 간의 관계가 상부에서 하부, 또는 좌측에서 우측 등 일방향으로 표시하는 트리(Tree) 형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관계를 표시해야 할 구성요소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전체 트리 구조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거나 넓어지게 되고, 상위 구성요소의 수는 적으나, 하위 구성요소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다이어그램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간의 관계가 많아질수록 구성이 매우 복잡해져서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쉽게 식별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면과 같이 종래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조직도의 경우에는 표시하는 구성요소가 많아지면,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만으로도 복잡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특성이나, 성질을 같이 표현하기 곤란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시각적 정보 전달이 곤란해지므로 매우 많고 복잡한 구성요소를 가진 조직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할 있는 다이어그램 작도법이나 그러한 작도법을 이용한 조직도를 표시하는 장치 개발이 필요로 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는 상기와 같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가장 높은 지위나 등급에 해당하는 최상위 구성요소인 제1구성요소(1)를 중심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차상위 구성요소인 제2구성요소(2)를 상기 제1구성요소(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성요소(2)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2구성요소(2)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2구성요소(2)와 관계연결선(3a)으로 연결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제3구성요소(3)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3구성요소(3)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3구성요소(3)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3구성요소(3)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고,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4a)를 표시하는 제4구성요소(4)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3구성요소(3)와, 제4구성요소(4) 사이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4구성요소(4)와 같이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5a)를 표시하는 제1특징부(5)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4구성요소(4)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4구성요소(4)와 같이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6a)를 표시하는 제2특징부(6)를 표시하는 단계로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을 구성하고,
가장 높은 지위나 등급에 해당하는 최상위 구성요소인 제1구성요소(1)를 중심부에 표시하고,
차상위 구성요소인 제2구성요소(2)를 상기 제1구성요소(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제2구성요소(2)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2구성요소(2)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2구성요소(2)와 관계연결선(3a)으로 연결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색상을 다르게 제3구성요소(3)를 평면상에 표시하고,
평면상에는 환상의 결합부(101)를 형성하여 결합부(101)의 내경부 둘레에는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5a)를 표시하는 제1특징부(5)를 표시하고, 결합부(101)의 외경부 둘레에는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6a)를 표시하는 제2특징부(6)를 표시하는 메인보드(10)와;
상기 제3구성요소(3)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3구성요소(3)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고,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4a)를 표시하는 제4구성요소(4)를 평면상에 표시하고,
외주면에는 환상의 결합돌부(201)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보드(10)의 평면상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부(101)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101a)에 상기 결합돌부(201)가 끼워져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회전판(20)과;
상기 메인보드(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보드(30)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을 구성하여 많은 구성요소에도 불구하고 복잡도가 높지 않으며, 구성요소가 더 많아질수록 기존 다이어그램에 비해서 복잡도가 현저히 낮아져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목적 달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는 많은 구성 요소에도 불구하고 복잡도가 높지 않으며, 구성요소가 더 많아질수록 기존 다이어그램에 비해서 복잡도가 현저히 낮아져 식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의 각 구성요소의 특징이나 성질을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정보의 시각화적인 측면에서 매우 활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에 따른 조직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의 측면 단면 예시도
도 4, 도 5는 종래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에 따른 조직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은 가장 높은 지위나 등급에 해당하는 제1구성요소(1)를 중심에 표시하고,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제2구성요소(2) 내지 제4구성요소(4)를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제4구성요소(4)의 내측과 외측에는 제4구성요소(4)의 특징을 규정하는 제1특징부(5)와 제2특징부(6)가 표시된다.
상기 제1구성요소(1)는 다이어그램의 가장 중심부에서 특정한 색상을 가진 원형의 이미지로 표시하며, 그 이미지 내부에는 제1구성요소(1)의 특징을 정의하는 문자를 기입한다.
상기 제2구성요소(2)는 상기 제1구성요소(1)보다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1구성요소(1) 둘레에 방사형으로 표시하되, 제1구성요소(1)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색상을 가진 원형의 이미지로 표시하고, 각각의 제2구성요소(2)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며, 각 이미지 내부에는 각각의 제2구성요소(2)의 특징을 정의하는 문자를 기입한다.
상기 제3구성요소(3)는 상기 제2구성요소(2)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2구성요소(2)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되, 제2구성요소(2)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색상을 가진 원형의 이미지로 표시하고, 각 이미지 내부에는 각각의 제3구성요소(3)의 특징을 정의하는 문자를 기입한다.
상기 제3구성요소(3)는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2구성요소(2)와 관계연결선(3a)으로 연결되어 그룹을 형성하되, 그룹을 형성한 제2구성요소(2)와 제3구성요소(3)는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구성요소(4)는 상기 제3구성요소(3)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3구성요소(3)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되, 제3구성요소(3)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색상을 가진 원형의 이미지로 표시하고, 각 이미지 내부에는 각각의 제4구성요소(4)의 특징을 정의하는 문자를 기입하며 일측에는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4a)를 표시한다.
상기 구분마크(4a)는 각각의 제4구성요소(4)에 모두 다르게 표시하거나, 제4구성요소(4)를 몇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마다 같은 구분마크(4a)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특징부(5)는 상기 제3구성요소(3)와, 제4구성요소(4) 사이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4구성요소(4)와 같이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5a)를 표시하되, 상기 제4구성요소(4)의 구분마크(4a)와 제1특징부(5)의 구분마크(5a)의 종류는 동일하게 구성한다.
상기 제2특징부(6)는 상기 제4구성요소(4)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4구성요소(4)와 같이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6a)를 표시하되, 상기 제4구성요소(4)의 구분마크(4a)와 제2특징부(6)의 구분마크(6a)의 종류는 동일하게 구성한다.
한편, 가장 높은 지위나 등급에 해당하는 최상위 구성요소인 제1구성요소(1)를 중심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구성요소(1) 둘레에는 차상위 구성요소인 제2구성요소(2)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제2구성요소(2)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2구성요소(2)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2구성요소(2)와 관계연결선(3a)으로 연결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색상을 다르게 제3구성요소(3)를 평면상에 표시하고, 평면상에는 환상의 결합부(101)를 형성하여 결합부(101)의 내경부 둘레에는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5a)를 표시하는 제1특징부(5)를 표시하고, 결합부(101)의 외경부 둘레에는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6a)를 표시하는 제2특징부(6)를 표시하는 메인보드(10)는 견고성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면서도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구성요소(3)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3구성요소(3)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고,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4a)를 표시하는 제4구성요소(4)를 평면상에 표시하고, 외주면에는 환상의 결합돌부(201)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보드(10)의 평면상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부(101)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101a)에 상기 결합돌부(201)가 끼워져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회전판(20)은 상기 메인보드(10)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보드(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보드(30)의 소재는 제한하지 않으면, 메인보드(10)와 백보드(30)의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은 볼트 너트와 같이 분해 조립이 가능케 한 결합수단(4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에 따른 기업의 조직도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다이어그램의 중심부에는 가장 높은 지위나 등급에 해당하는 최상위 구성요소인 제1구성요소(1)로서 회사의 상호를 표시한다.
회사 상호가 표시된 상기 제1구성요소(1) 둘레에는 차상위구성요소인 제2구성요소(2)로서, 회사 내 조직에서 대별되는 주요 부서를 각각 다른 색상의 원형 이미지로 표시하고, 원형 이미지 내부에 부서명을 표시함으로써 회사의 주요 부서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2구성요소(2)의 바깥쪽에는 제2구성요소(2)의 하위 구성요소인 제3구성요소(3)로서 주요 부서에 속하는 서로 다른 업무팀을 각각 다른 색상의 원형 이미지로 표시하고, 원형 이미지 내부에 업무팀의 이름을 표시함으로써 주요 부서내 주요 업무팀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주요 부서를 표시한 상기 제2구성요소(2)와 해당 부서 하위의 업무팀을 표시하는 제3구성요소(3)를 관계연결선(3a)으로 연결하여 그룹으로 형성하고, 각 그룹 내의 모든 구성요소는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부서별 업무팀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3구성요소(3)의 바깥쪽에는 제3구성요소(3)의 하위 구성요소인 제4구성요소(4)로서 각 업무팀에 속한 직원을 각각 다른 색상의 원형 이미지로 표시하고, 원형 이미지 내부에 직원의 이름을 표시하며, 서로 구별되는 구분마크(4a)를 표시한다.
이때, 제4구성요소(4)의 원형 이미지의 색상은 해당 직원이 속한 업무팀을 표시한 제3구성요소(3)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특정 직원이 속한 업무팀과, 그 업무팀이 속한 부서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구성요소(3)와, 제4구성요소(4) 사이에는 제1특징부(5)에 해당하는 회사 내 주요 업무의 종류를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되, 서로 구별되는 구분마크(5a)를 표시한다. 이때 구분마크(5a)의 종류는 상기 제4구성요소(4)에 표시된 구분마크(4a)의 종류와 동일한 종류로 표시함으로써 구분마크(4a, 5a)를 통해서 제4구성요소(4)에 해당하는 특정 직원이 수행하는 업무의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구성요소(4)의 바깥쪽에는 상기 제1특징부(5)와 마찬가지로 제2특징부(6)로서 회사 내 주요 업무의 종류를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고, 서로 구별되는 구분마크(6a)를 표시한다. 이때 구분마크(6a)의 종류는 상기 제4구성요소(4)에 표시된 구분마크(4a)의 종류와 동일한 종류로 표시함으로써 구분마크(4a, 6a)를 통해서 제4구성요소(4)에 해당하는 특정 직원이 수행하는 업무의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특징부(5)는 고객서비스와 같이 업무팀별로 이루어지는 주요업무로 구성하고, 상기 제2특징부(6)는 특정 직원에게 배정된 개별업무로 구성함으로써 특정 직원이 수행하는 다양한 업무의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을 이용하여 다이어그램의 작도가 이루어진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은 제1구성요소(1)에 해당하는 회사의 상호와, 제2구성요소(2)에 해당하는 주요 부서와, 제3구성요소(3)에 해당하는 주여 업무팀이 메인보드(10)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부(101) 내부에 표시됨으로써 회사 내 주요 조식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101) 내부에는 환상의 결합홈(101a)을 형성하여 외주면에 환상의 결합돌부(201)를 형성한 회전판(20)을 상기 결합부(101) 내부에 끼워서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메인보드(10)의 저면에는 백보드(30)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판(20)의 회전이 가능케 되는데, 회전판(20)의 평면상에는 제4구성요소(4)로서 각 업무팀에 속한 직원을 표시함으로써 가장 많은 수로 구성되는 제4구성요소(4)에 해당하는 직원의 이름을 찾을 때, 회전판(20)을 회전시키면서 직원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단계로 구성되는 조직도를 수직, 수평의 트리 구조가 아닌 방사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조직도 내의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많은 구성요소에도 불구하고 복잡도가 높지 않아서 식별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메인보드 101: 결합부
101a: 결합홈 20: 회전판
201: 결합돌부 30: 백보드
40: 결합수단 1: 제1구성요소
2: 제2구성요소 3: 제3구성요소
3a: 관계연결선 4: 제4구성요소
5: 제1특징부 6: 제2특징부
4a, 5a, 6a: 구분마크

Claims (2)

  1. 가장 높은 지위나 등급에 해당하는 최상위 구성요소인 제1구성요소(1)를 중심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차상위 구성요소인 제2구성요소(2)를 상기 제1구성요소(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성요소(2)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2구성요소(2)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2구성요소(2)와 관계연결선(3a)으로 연결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제3구성요소(3)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3구성요소(3)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3구성요소(3)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3구성요소(3)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고,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4a)를 표시하는 제4구성요소(4)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3구성요소(3)와, 제4구성요소(4) 사이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4구성요소(4)와 같이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5a)를 표시하는 제1특징부(5)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4구성요소(4)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4구성요소(4)와 같이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6a)를 표시하는 제2특징부(6)를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색상을 통해 제2구성요소(2) 내지 제4구성요소(4)의 관계를 식별하고, 구분마크(4a, 5a, 6a)를 통해 각각의 제4구성요소(4)에 해당하는 제1특징부(5)와 제2특징부(6)를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2. 가장 높은 지위나 등급에 해당하는 최상위 구성요소인 제1구성요소(1)를 중심부에 표시하고,
    차상위 구성요소인 제2구성요소(2)를 상기 제1구성요소(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제2구성요소(2)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제2구성요소(2)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2구성요소(2)와 관계연결선(3a)으로 연결되어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색상을 다르게 제3구성요소(3)를 평면상에 표시하고,
    평면상에는 환상의 결합부(101)를 형성하여 결합부(101)의 내경부 둘레에는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5a)를 표시하는 제1특징부(5)를 표시하고, 결합부(101)의 외경부 둘레에는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6a)를 표시하는 제2특징부(6)를 표시하는 메인보드(10)와;
    상기 제3구성요소(3)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구성요소(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표시하며, 특정된 어느 하나의 제3구성요소(3)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고, 서로 구별되게 구분마크(4a)를 표시하는 제4구성요소(4)를 평면상에 표시하고,
    외주면에는 환상의 결합돌부(201)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보드(10)의 평면상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부(101)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101a)에 상기 결합돌부(201)가 끼워져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회전판(20)과;
    상기 메인보드(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보드(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KR1020140060494A 2014-05-20 2014-05-20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KR10155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94A KR101559670B1 (ko) 2014-05-20 2014-05-20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94A KR101559670B1 (ko) 2014-05-20 2014-05-20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670B1 true KR101559670B1 (ko) 2015-10-13

Family

ID=5434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494A KR101559670B1 (ko) 2014-05-20 2014-05-20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9253A (zh) * 2019-09-20 2020-01-14 深圳市第五空间网络科技有限公司 组织关系差异化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90B1 (ko) 2001-12-21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페트리네트를 이용한 래더다이어그램작도방법
JP2008176758A (ja) 2006-12-20 2008-07-31 Nec Corp グループ関係性表示システム、グループ関係性表示方法およびグループ関係性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90B1 (ko) 2001-12-21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페트리네트를 이용한 래더다이어그램작도방법
JP2008176758A (ja) 2006-12-20 2008-07-31 Nec Corp グループ関係性表示システム、グループ関係性表示方法およびグループ関係性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9253A (zh) * 2019-09-20 2020-01-14 深圳市第五空间网络科技有限公司 组织关系差异化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892B2 (ja) 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
Midgley Systemic intervention for public health
Tezel et al. The functions of visual management
Bilalis et al. Visual factory: Basic principles and the'zoning'approach
CN100481965C (zh) 体三维显示中体素均匀分布的实现方法
WO2017188704A3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inter-device connectivity
WO2006074266A3 (en) Scaling and layout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one-to-many objects
KR101559670B1 (ko) 다이어그램 작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조직도 판
Leung et al. RadialViz: an orientation-free frequent pattern visualizer
Brandalise et al.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Visual Management best practices in construction sites
KR100919604B1 (ko) 시각장애자를 위한 칼라인식점자시스템
Kavitha et al. Dominator coloring on star and double star graph families
CA2972218C (en) Labe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bolts.
WO2014153321A3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CN107194466A (zh) 一种概念间知识可视化方法及系统
Wang Ship machinery detection and diagnosis technology based on wireless sensors
CN205375528U (zh) 一种具有可变二维码和验证码的饮料标签
WO2017144924A1 (en) Tactile relief symbols for color recognition intended for the blind or the visually impaired, and persons who are color blind - lunas spectrum
Giskeødegård O Organization, Where Art Thou? Tracing the multiple layers of ambiguous and shifting boundary processes in a formal organization
US4364586A (en) Status record system
KR200408506Y1 (ko) 조감도 편집구조
JP7410375B2 (ja) ラベル識別装置、ラベル識別方法、学習装置、識別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187801A1 (en) Children's organizational notebooks
US9171242B2 (en) Coded information bearing identification tags for cables
JP4424004B2 (ja) グラフ表示方法、グラ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グラフ表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