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577B1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577B1
KR101558577B1 KR1020090001999A KR20090001999A KR101558577B1 KR 101558577 B1 KR101558577 B1 KR 101558577B1 KR 1020090001999 A KR1020090001999 A KR 1020090001999A KR 20090001999 A KR20090001999 A KR 20090001999A KR 101558577 B1 KR101558577 B1 KR 10155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anel
air
suction 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2622A (en
Inventor
박종찬
최인호
최동환
임남식
최한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577B1/en
Publication of KR2010008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5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류에 위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binet; A fan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forcedly flowing air; A filter positioned upstream of the fan assembly to purify air; A front panel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cabinet; A suction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And a noise reduc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anel and the filter and guiding the indoor air toward the suction port to reduce noise.

실내기 Indoor unit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가정용 공기 조화기와 산업용 공기 조화기로 대별된다. 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heating or cooling air using a refrigerant cycle, and is roughly divided into a domestic air conditioner and an industrial air conditioner.

상세히, 가정용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omestic air conditioner can be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divided into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nd a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re integrally formed.

그리고,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벽에 부착되는 벽걸이형, 바닥에 설치되는 상치형 및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형(또는 카세트형) 실내기로 나뉠 수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can be divided into a wall-mounted type mounted on the wall, a standing type installed on the floor, and a ceiling type (or cassette type) indoor unit attached to the ceiling.

이러한 실내기에서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의 작동 및 공기 유동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In such an indoor unit,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provided therein and air flow. Therefore,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본 실시예의 목적은, 공기의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minimizes noise generated during the inhalation of air.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류에 위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cabinet; A fan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forcedly flowing air; A filter positioned upstream of the fan assembly to purify air; A front panel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cabinet; A suction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And a noise reduc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anel and the filter and guiding the indoor air toward the suction port to reduce noise.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구 측으로 실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흡입 패널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대 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포함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cabinet; A fan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forcedly flowing air; A front panel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cabinet; A suction panel mov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ront panel, the suction panel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guiding the flow of room air toward the suction port side and performing relative movement by the movement of the suction panel.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공기가 소음 저감부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과하므로, 난류 발생이 최소화될 수있 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room air flows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noise reduction unit and the flow direction changes and passes through the intake por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can be minimized.

또한, 난류 발생이 최소화됨에 따라,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고, 공기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Further, as turbulence generation is minimized, the flow rate of air can be increased and air flow noise can be reduced.

또한, 소음 저감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흡입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소음 저감부의 전체 높이가 최대화되어 상기 소음 저감부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공기의 유로가 길어질 수 있고, 상기 흡입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상기 필터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guide sections constituting the noise reduction section are provided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the overall height of the noise reduction section is maximized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panel opens the suction port, and the air flow path guided by the noise reduction section So that the first guide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filter while the suction panel is clos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로서, 도 2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고, 도 3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닫은 상태가 도시된다. 2 and 3 are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In FIG. 2, the state in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indoor unit is opened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nel closes the suction port.

도 1에는 공기 조화기의 종류로서 일 례로 천정형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다. 1 shows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s one type of the air condition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에는, 외관을 이루며 하측이 개구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프런트 패널(12)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패널(13)과,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열교환기(17)와, 상기 열교환기(17)의 내측 공간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14)와,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팬 어 셈블리(14)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쉬라우드(16)와, 상기 팬 어셈블리(14)의 상류에 위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5)가 포함된다. 1 to 3, the indoor unit 1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11 having an outer appearance and opening downward, and a front panel (not shown)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11 A suction panel 13 coupled to the front panel 12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 heat exchanger 17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 A shroud 16 provided at an upstream side of the fan assembly 14 on the basis of the flow of air to guide a flow of air to be sucked, And a filter 15 for purifying air to be sucked.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복수의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프런트 패널(12)에는 토출 베인(123)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In detail,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2 are formed at edge portions of the front panel 12. A discharge vane 123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2.

따라서, 상기 토출 베인(123)의 회전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절된다.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vane 123.

또한,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1)는 상기 흡입 패널(1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상기 실내기(10)가 온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실내기(10)가 오프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흡입구(121)를 닫는다. A suction port 121 for sucking indoor air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12 and the suction port 121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suction panel 13. That is, when the indoor unit 10 is turned on, the suction panel 13 opens the suction port 121, and when the indoor unit 10 is turned off, the suction panel 13 closes the suction port 121 .

그리고, 상기 흡입구(121) 주위에는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124)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15)는 상기 오리피스(124)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24)는 상기 프런트 패널(12)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14)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된다.An orifice 124 for guiding an air flow is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121 and the filter 15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rifice 124. The orifice 124 extends roundly from the front panel 12 toward the fan assembly 14.

그리고,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측에는 랙(18)이 구비되고,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상측부에는 상기 랙(18)과 결합되는 피니언(미도시)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A rack 18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anel 13 and a pinion (not shown) coupled to the rack 18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2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따라서,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 로 움직이고, 상기 흡입 패널(1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21)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방으로 움직여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구(121)를 커버하므로, 상기 흡입 패널(13)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21)의 노출이 최소화된다. Accordingly, the suction panel 13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suction port 121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suction panel 13. Since the suction panel 13 covers the suction port 12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ort 121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panel 13 moves downward to open the suction port 121, Exposure of the suction port 121 is minimized by the suction panel 13.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패널(13)의 승강 수단은 상기에서 제시된 랙/피니언 구조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 둔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lifting means of the suction panel 13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rack / pinion structure shown above.

또한, 상기 흡입구(1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15)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에, 상기 팬 어셈블리(14) 측으로 유동된다. 상세히, 상기 팬 어셈블리(14)는 축방향 흡입/반경 방향 토출 방식의 원심팬(142)과, 상기 원심팬(142)을 구동하는 팬 모터(14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14)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를 통과한 다음 상기 토출구(122)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21 flows through the filter 15 to the fan assembly 14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In detail, the fan assembly 14 includes a centrifugal fan 142 in an axial suction / radial direction and a fan motor 141 for driving the centrifugal fan 142.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an assembly 14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7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2.

한편, 상기 흡입 패널(13)과 상기 필터(15) 사에는 상기 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19)가 구비된다. The suction panel 13 and the filter 15 are provided with a noise reduction unit 19 for reducing noise by guiding the flow of air to be sucked into the cabinet 11.

상세히, 상기 소음 저감부(19)에는, 상기 흡입 패널(13)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대 운동 가능하며, 상기 필터(15)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195)가 포함된다. The noise reduction unit 19 includes a first guide unit 191 coupled to the suction panel 13 and a second guide unit 191 that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unit 191,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is provided.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는 수직 단면이 일 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는, 중공을 가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first guide portion 191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vertical cross section.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191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e or polygonal prism shape having a hollow shap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portion 191 is not limited.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측면(192)은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중심 측을 향하여 경사진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측면(192)이 이루는 각을 θ1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ide surface 192 of the first guide portion 191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uide portion 191. 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13 (the surface facing the suction port) and the side surface 192 of the first guide portion 191 may be defined as? 1.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는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에 일 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198)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흡입 패널(13)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first guide portion 191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13 by a fastening member 198 such as a screw.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guide portion 191 and the suction panel 13. [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부(195)는 수직 단면이 일 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부(195)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Meanwhile, the second guide part 195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vertical section. That is, the second guide part 195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or a polygonal prism shap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 측을 향하여 경사진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이 이루는 각을 θ2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ide surface 196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13 (the surface facing the suction port) and the side surface 196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may be? 2.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193)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θ2는 θ1 보다 크게 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하면 길이는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상기 공간(193)의 개구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guide part 195 is positioned in a space 193 formed inside the first guide part 191. The angle? 2 is larger than? 1.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art 195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opening of the space 193 of the first guide part 191.

그러면, 상기 흡입 패널(13)의 완전한 하강 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이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Since the side surface 196 of the second guide part 195 is caught by the first guide part 191 when the suction panel 13 is completely lowered, The portion 195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 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guide portion 191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is unnecessary.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에는, 상기 필터(15)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9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97)는 일 례로 후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와 상기 필터(15)의 결합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second guide part 195 is formed with a coupling part 197 to be coupled to the filter 15. The coupling part 197 may be a hook, for example.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method of coupling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and the filter 15 in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측면(192)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은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면이므로, 이들을 가이드면이라 이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de surface 192 of the first guide portion 191 and the side surface 196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are surfaces for guiding the flow of air, so they can be referred to as guide surfaces.

상기 소음 저감부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noise reduction unit will be described.

상기 실내기(10)의 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서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원심팬(142)이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ON signal of the indoor unit 10 is inputted, the suction panel 13 is lowered by the driving motor, and the centrifugal fan 142 is rotated.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상기 필터(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흡입 패널(13)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상대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소음 저감 부(19)의 전체 높이는 증가하게 된다. When the suction panel 13 is lowered, the first guide part 191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suction panel 13 while the second guide part 195 is fixed to the filter 15 .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191 and the second guide part 195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s the first guide portion 191 descends, the total height of the noise reduction portion 19 increases.

그리고,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하면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S)을 실내 공기가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는 유동 방향이 변화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21)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된다. When the suction panel 13 is lowered, a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1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 do. The air flowing in the space S is sucked into the cabinet 11 through the suction port 121 in a state where the flow direction is changed.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므로, 실내 공기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공간(S)을 유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1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 are substantially horizontal, the room air flows in the space S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만약 상기 소음 저감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는 상기 흡입 패널(13)의 중앙부에서 모인 상태에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므로,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 중앙부 측에서 난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난류가 발생하게 되면, 공기의 흡입이 원활해지지 않고, 공기의 유동 소음이 발생된다. If the noise reduction unit is not provided, the air flowing in the space S changes in the flow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air is collec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panel 13, . When the turbulence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suction of the air is not smooth and the flow noise of the air is generated.

그러나, 본 실시예 처럼 상기 흡입 패널(13)과 상기 필터(15) 사이에 소음 저감부(19)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가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흡입구(121)를 통과하므로, 난류 발생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난류 발생이 최소화됨에 따라,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고, 공기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noise reduction unit 19 is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anel 13 and the filter 15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that has flowed through the space S flows into the side of the noise reduction unit 19 The flow direction changes and passes through the suction port 121, so tha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is minimized. And, as the turbulence generation is minimized, the flow rate of the air can be increased and the air flow noise can be reduced.

즉, 상기 소음 저감부(19)에 의해서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 중앙부 측에서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가 모이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흡입 패널(13)의 중앙부 측에서의 난류 형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noise reducing unit 19 minimizes the gathering of the air that has flowed in the space S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13, turbulence formation at the center side of the suction panel 13 is minimized It can be.

실질적으로 상기 필터(15)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상단부까지 공기가 유동될 때 까지는 공기가 모이지 않게 된다. Since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is substantially fixed to the filter 15, the air is not collected until the air flows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한편, 상기 실내기(10)의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외측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상기 오리피스(124) 내측에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ff signal of the indoor unit 10 is inputted, the suction panel 13 is raised by the driving motor. When the suction panel 13 is lifted up, the first guide part 191 is lift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guide part 195 and positioned inside the orifice 124.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공간(193)으로 인입되는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체적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필터(15)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volume of the second guide part 195 introduced into the space 193 of the first guide part 191 is increased and the first guide part 191 and the filter 15 are interfered .

즉,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전체 높이가 최대화될 수 있고,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필터(15)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first guide part 191 and the second guide part 195 can be relatively moved, the suction panel 13 can move the noise reduction part 19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ort 121 is opened, So that the first guide part 191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filter 15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panel 13 closes the suction port 121. [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전체 높이가 증가되는 것은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거리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전체 높이가 증가될 수록 난류 발생은 감소될 수 있다. The increase in the total height of the noise reduction unit 19 means that the distance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side of the noise reduction unit 19 is increased. Therefore, the total height of the noise reduction unit 19 is increased The more turbulent generation can be reduc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흡입 패널(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흡입 패널(13)과 일 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191)의 공간(193)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삽입되기 위하여, θ1과 θ2 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191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panel 13 while the first guide portion 19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anel 13 Do. However, in this case,? 1 and? 2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for inserting the second guide portion 195 into the space 193 of the first guide portion 191.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가이드부의 결합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ortions, but is different i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s.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부(29)에는, 상기 흡입 패널(13)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부(291)와,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295)가 포함된다. 4, the noise reduction unit 2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291 coupled to the suction panel 13, a second guide portion 291 coupled to the front panel 12, (295).

상세히, 상기 프런프 패널(12)에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124)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124)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295)를 지지하는 지지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5)는 일 례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5)는 상기 지지부(125)에 안착될 수 있다.An orifice 124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12 and a support 125 for supporting the second guide part 295 is formed at an end of the orifice 124 . The support portion 125 may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for example. The filter 15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part 125.

상기 제 2 가이드부(295)에는 상기 지지부(125)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9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96)에는 결합 돌기(29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5)에는 상기 결합 돌기(297)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126)가 형성된다. The second guide portion 295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296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portion 125. The engaging portion 296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97. The supporting portion 15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26 for inse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297. [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가이드부(295)가 상기 지지부(125)에 결합되 고, 상기 필터(15)가 상기 지지부(125)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15)의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guide portion 295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25 and the filter 15 can be seated on the support portion 125, the sag of the filter 15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가이드부(295)가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 2 가이드부(295)가 상기 프런트 패널(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의 공간에 상기 제 2 가이드부가 삽입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θ1과 θ2 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ortion 29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anel 12 while the second guide portion 295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Do. However, in this case, in order to insert the second guide portion into the sp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1 and? 2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음 저감부가 두 개의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소음 저감부 세 개 이상의 가이드부로 구성되어 상대 움직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noise reduction portion is composed of two guide portions. Alternatively, the noise reduction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three or more guide portions and relatively movable.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로서, 도 2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고, 도 3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닫은 상태가 도시된다.2 and 3 are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nel opens the suction port, and FIG. 3 shows the suction panel in which the suction port is closed.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Claims (10)

캐비닛; cabinet;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A fan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forcedly flowing air;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류에 위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A filter positioned upstream of the fan assembly to purify air;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A front panel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cabinet;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A suction panel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And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되며,A noise reduc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anel and the filter and guiding the indoor air toward the suction port to reduce noise, 상기 소음 저감부에는, In the noise reduction unit, 상기 흡입 패널에 위치가 고정되는 제 1 가이드부와, A first guide part fixed to the suction panel,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대 운동 가능한 제 2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nd a second guide portion that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흡입 패널은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며, Wherein the suction panel is movable relative to the front panel, 상기 흡입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 사이를 유동하고, The indoor air flows between the suction panel and the front panel while the suction panel opens the suction port,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 사이를 유동하는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Wherein the noise reducing unit changes a direction of flow of room air flowing between the suction panel and the front pane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프런트 패널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각 가이드부는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포함되며, Wherein each of the guide portions includes a guide surface for guiding air flow,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흡입 패널의 일면과 경사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inclined with one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facing the suction port. 캐비닛; cabinet;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A fan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forcedly flowing air;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A front panel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cabinet;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A suction panel mov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ront panel, the suction panel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And 상기 흡입구 측으로 실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흡입 패널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대 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nd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guiding the flow of room air toward the suction port side and performing relative movement by movement of the suction panel. 제 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흡입 패널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guide portions is coupl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anel.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더 포함되며, And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프런트 패널 또는 필터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nd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guide portions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or the filter. 제 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각 가이드부는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포함되며, Wherein each of the guide portions includes a guide surface for guiding air flow,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흡입 패널의 일면과 경사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inclined with one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facing the suction port.
KR1020090001999A 2009-01-09 2009-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5585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99A KR101558577B1 (en) 2009-01-09 2009-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99A KR101558577B1 (en) 2009-01-09 2009-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22A KR20100082622A (en) 2010-07-19
KR101558577B1 true KR101558577B1 (en) 2015-10-07

Family

ID=4264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999A KR101558577B1 (en) 2009-01-09 2009-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5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9787B (en) * 2016-10-25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Wind guiding component and air-conditioner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outdoor unit
KR102372484B1 (en) * 2019-11-13 2022-03-10 (주)에스엔 Outdoor unit and cleaning system for fine dust
CN113048602A (en) * 2021-04-14 2021-06-29 苏州贝昂科技有限公司 Purifier air duct system with noise reduction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928A (en)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2008241143A (en) * 2007-03-27 2008-10-09 Daikin Ind Ltd Air conditioner
JP2008261519A (en) 2007-04-10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928A (en)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2008241143A (en) * 2007-03-27 2008-10-09 Daikin Ind Ltd Air conditioner
JP2008261519A (en) 2007-04-10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22A (en)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74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55857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94929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O2018072599A1 (en) Enclosed-type housing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2000499B1 (en) Range hood
KR10155857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1442312A (en) Fume exhaust fan
KR20100081845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174509B1 (en)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and air inlet sstructure of the same
KR101253233B1 (en) Air conditioner
JP2008180484A (en) Air conditioner
CN207407408U (en) A kind of range hood
KR101269461B1 (en) air conditioner
KR100829191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55857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9550616U (en) Fume exhauster
KR102262738B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3777830U (en) Fume exhaust fan
CN211551812U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1063526B1 (en) Ceiling air conditioners
CN106091066A (en) Lampblack absorber
KR101271058B1 (en) Air conditioner
JP4715154B2 (en) Fan coil unit
CN111076289A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116906956A (en) Lifting type fume exhaust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