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344B1 -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344B1
KR101558344B1 KR1020090116101A KR20090116101A KR101558344B1 KR 101558344 B1 KR101558344 B1 KR 101558344B1 KR 1020090116101 A KR1020090116101 A KR 1020090116101A KR 20090116101 A KR20090116101 A KR 20090116101A KR 101558344 B1 KR101558344 B1 KR 10155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uel cell
spring
cell stack
sp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386A (ko
Inventor
금영범
서정도
정귀성
유정한
김덕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3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는, 연료 전지 스택의 단위 셀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각 단위 셀의 분리판 단자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서 단자 하우징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와, ⅱ)상기 고정부와 일체로서 연결되며, 상기 분리판 단자에 스프링력으로서 접촉되는 스프링부와, ⅲ)상기 고정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을 실질적으로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116101
연료전지, 스택, 셀, 전압, 측정, 단자

Description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APPARATUS FOR MONITORING TERMINAL VOLTAGE FOR FUEL CELL STACK}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전지 스택의 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단자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 전지(Fuel Cell)는 연료와 이 연료와 별도인 산화제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 전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와 연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복수의 단위 셀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스택 어셈블리(stack assembly)로서 구비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이하에서는 "연료 전지용 스택"이라고 한다.)는 단위 셀들에 연료와 산화제를 제공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한편, 종래에는 연료 전지용 스택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각 단위 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데, 스택의 셀 전압 측정은 스택의 운전 시, 각 셀의 성 능 및 특성을 나타내 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 스택이 최적의 상태로 안정적으로 운전되고 갑작스런 성능감소에 따른 운전 정지를 위해선 각 단위 셀의 전압을 정확히 모니터링 해야 하며, 그에 따라 스택 전압 측정장치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스택의 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 전압 측정장치(SVM: Stack Voltage Monitor)는 연료 전지 스택의 단위 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링 단자가 구비되는 바, 이 모니터링 단자를 통해 각 단위 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컴퓨터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자는 스택 전압 측정장치의 바디를 이루는 단자 하우징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데, 판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며, 스프링력으로서 단위 셀들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모니터링 단자가 스프링력으로서 단위 셀들의 단자에 접촉되기 때문에, 모니터링 단자와 셀 단자 간의 접촉력은 셀 전압 측정값의 정확성을 실질적으로 좌우하게 된다.
또한, 단위 셀들의 단자에 대한 모니터링 단자의 접속 시 또는 모니터링 단자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모니터링 단자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셀 단자와의 접촉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셀 단자 및 모니터링 단자의 진동에 따른 탄성 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모니터링 단자의 두께가 얇고, 단면 계수 및 스프 링 강성이 약하므로, 이 또한 셀 단자와 모니터링 단자 간의 접촉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셀 단자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진동에 의한 탄성 변위를 최소활 수 있으면서 단면 계수 및 스프링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는, 연료 전지 스택의 단위 셀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각 단위 셀의 분리판 단자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서 단자 하우징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와, ⅱ)상기 고정부와 일체로서 연결되며, 상기 분리판 단자에 스프링력으로서 접촉되는 스프링부와, ⅲ)상기 고정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을 실질적으로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전체적으로 D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판 단자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부분의 한쪽 단부에서 그 제1 부분과 90°이하의 각을 형성하며 상기 분리판 단자 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분리판 단자와 면 접촉하는 제2 부분에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의 연결 부위 쪽 제1 부분의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의 연결 부위 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제1 부분의 한쪽 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 단자를 기준할 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대하여 양쪽 방향으로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는, 상기 고정부와 스프링부를 연결하는 절곡 부위가 상기 규제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단자 하우징에 구비된 홀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홀에 유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는, 상기 스프링부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이 디귿(ㄷ)자 형상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는, 상기 스프링부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이 씨(C)자 형상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판 단자와 면 접촉하는 스프링부를 형성하므로, 분리판 단자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셀들의 분리판 단자에 대한 스프링부의 접촉 면적 및 접촉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스프링부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위 셀들의 정확한 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와 스프링부의 연결 부분에 스프링부의 탄성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함에 따라, 분리판 단자의 접속 시 또는 그 분리판 단자에 가해지는 진동으로 인한 스프링부의 탄성 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판 단자와 스프링부 간의 접촉력 하락을 줄일 수 있고, 외부 진동에 의한 접촉력 안정성 및 전압 측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의 단면 형상을 개선하여 스프링부에 대한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부의 단면 계수와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전체 단자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기계장치에 의해 연료 전지 스택을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위치에서 연료 전지 스택을 고정 지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서 고정한 상태로, 연료 전지 스택의 전반적인 성능을 평가하고 활성화하는 공정에 적용된다.
이러한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100)는 연료 전지 스택을 평가하고 활성화하는 과정에 단위 셀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스택 전압 모니터링 장치(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SVM" 이라고 한다)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 스택 전압 모니터링 장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자(100)가 연료 전지 스택의 단위 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단위 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컴퓨터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각 단위 셀에는 세퍼레이터(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분리판 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라고도 한다)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며, 단위 셀들에서 생성된 전기류가 통전되는 연결 단자(P)(이하에서는 편의상 "분리판 단자" 라고 한다)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 단자(100)는 스프링 타입의 탄성 변형으로서 단위 셀들의 분리판 단자(P)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바, 각 단위 셀의 분리판 단자(P)에 대하여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그 분리판 단자(P)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자(100)는 연료 스택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바디를 이루는 단자 하우징(H)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그 단자 하우징(H)에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단자(100)가 각 단위 셀의 분리판 단자(P)에 대하여 한 쌍으로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단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모니터링 단자(100)는 분리판 단자(P)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분리판 단자(P)의 접속 시 또는 그 분리판 단자(P)에 가해지는 외력(진동)으로 인한 탄성 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분리판 단자(P)에 대한 단면 계수 등의 스프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100)는 기본적으로, 고정부(10)와, 스프링부(30)와, 규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10)는 단위 셀의 분리판 단자(P)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서 단자 하우징(H)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스프링부(30)는 탄성 변형되며 분리판 단자(P)에 스프링력으로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0)는 단자 하우징(H)에 형성된 장착홀(H1)에 고정되는 바, 분리판 단자(P)를 기준할 때, 스프링부(30)에 대하여 양쪽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며, 단자 하우징(H)의 장착홀(H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부(30)는 분리판 단자(P)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소정 형태로 절곡된 판 스프링으로서 구비되며, 고정부(10)와 일체로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30)는 전체적인 형상이 디(D)자 형태로서 이루어지는데, 분리판 단자(P)와 평행한 제1 부분(31)과, 분리판 단자(P)와 평행한 방향(길이 방향)에서 그 분리판 단자(P) 쪽으로 절곡되는 제2 부분(32)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 부분(32)에는 분리판 단자(P)와 실질적으로 면 접촉하는 접촉면(33)을 형성하고 있으며, 끝 부분이 고정부(10)의 연결 부위 쪽에서 분리판 단자(P)와 평행한 방향(길이 방향)으로 다시 절곡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부(30)는 분리판 단자(P)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부분(31)의 한쪽 단부에서 그 제1 부분(31)과 90°이하의 각을 형성하며 분리판 단자(P) 쪽으로 절곡되고, 분리판 단자(P)와 면 접촉하는 제2 부분(32)에 접촉면(33)을 형성하며 고정부(10)의 연결 부위 쪽 제1 부분(31)의 단부로 연장되어 그 고정부(10)의 연결 부위 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제1 부분(31)의 한쪽 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규제부(50)는 분리판 단자(P)의 접속 시 또는 그 분리판 단자(P)에 가해지는 외력(진동)으로 인한 스프링부(30)의 탄성 변위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규제부(50)는 스프링부(30)의 탄성 변형을 실질적으로 규제하는 것으로서, 고정부(10)에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고정부(10)와 스프링부(30)를 연결하는 절곡 부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규제부(50)는 스프링부(30)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구비되며, 스프링부(30)에 있어 제2 부분(32)의 단부측 절곡 부위를 규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규제부(50)는 고정부(10)와 스프링부(30)를 연결하는 절곡 부위가 제2 부분(32)의 단부측 절곡 부위를 향하여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100)에 의하면, 스프링부(30)의 전체적인 형상 이 디(D)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스프링부(30)의 제2 부분(32)에 분리판 단자(P)와 면 접촉하는 접촉면(3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분리판 단자(P)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셀들의 분리판 단자(P)에 대한 스프링부(30)의 접촉 면적 및 접촉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스프링부(30)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단위 셀들의 정확한 셀 전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와 스프링부(30)의 연결 부분에 그 스프링부(30)의 탄성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50)를 형성함에 따라, 분리판 단자(P)의 접속 시 또는 그 분리판 단자(P)에 가해지는 외력(진동)으로 인한 스프링부(30)의 탄성 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판 단자(P)와 스프링부(30)에 가해지는 힘의 변동에 따른 스프링부(30)의 탄성 변위를 규제부(50)를 통해 최소화시킴으로써, 분리판 단자(P)와 스프링부(30) 간의 접촉력 하락을 줄일 수 있고, 외부 진동에 의한 접촉력 안정성 및 전압 측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단자(200)는 전기 제1 실시예와 달리 분리판 단자(P)에 대해 선 접촉하는 스프링부(130)를 구성하며, 그 스프링부(130)와 일체로 연결된 고정부(110)에 단자 하우징(H)에 끼워지며 스프링부(130)의 탄성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1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프링부(130)는 분리판 단자(P)에 선 접촉할 수 있게 띠 형상에서 분리판 단자(P) 쪽으로 꺽이며 절곡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130)의 단부에는 고정부(110)가 일체로서 연결되는 바, 본 실시예에 의한 규제부(150)는 고정부(110)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 돌기(151)로서의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 돌기(151)는 고정부(110)에 있어 폭 방향에 따른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단자 하우징(H)에 구비된 홀(H2: 이하에서는 편의상 규제홀 이라고 한다)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 돌기(151)는 단자 하우징(H)의 규제홀(H2)에 일정 유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200)에 의하면, 고정부(110)의 결합 돌기(151)가 단자 하우징(H)의 규제홀(H2)에 끼워지는 규제부(150)를 구성하므로, 분리판 단자(P)와 스프링부(130)에 가해지는 힘의 변동에 따른 스프링부(130)의 탄성 변위를 규제부(150)를 통해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규제부(150)를 통하여 분리판 단자(P)와 스프링부(130) 간의 접촉력 하락을 줄일 수 있고, 외부 진동에 의한 접촉력 안정성 및 전압 측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300)는 전기 실시예들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이 디귿(ㄷ)자 형상으로서 이루어진 스프링부(23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부(230)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이 분리판 단자(P)에 대응하여 평면에서 양단 부분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230)의 단면 형상을 디귿(ㄷ)자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그 스프링부(230)에 대한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부(230)의 단면 계수와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전체 단자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3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들과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400)는 전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이 씨(C)자 형상으로서 이루어진 스프링부(33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부(330)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이 분리판 단자(P)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330)의 단면 형상을 씨(C)자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그 스프링부(330)에 대한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프링부(330)의 단면 계수와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전체 단자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4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들과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Claims (7)

  1. 연료 전지 스택의 단위 셀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단위 셀의 분리판 단자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서 단자 하우징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서 연결되며, 상기 분리판 단자에 스프링력으로서 접촉되는 스프링부; 및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단자 하우징에 구비된 홀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로서 구비되는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전체적으로 D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리판 단자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부분의 한쪽 단부에서 그 제1 부분과 90°이하의 각을 형성하며 상기 분리판 단자 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분리판 단자와 면 접촉하는 제2 부분에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의 연결 부위 쪽 제1 부분의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의 연결 부위 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제1 부분의 한쪽 단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 단자를 기준할 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대하여 양쪽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며,
    상기 고정부와 스프링부를 연결하는 절곡 부위가 상기 규제부로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홀에 유격을 두고 결합되는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이 디귿(ㄷ)자 형상으로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이 씨(C)자 형상으로서 이루어지는 연 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KR1020090116101A 2009-11-27 2009-11-27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KR10155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01A KR101558344B1 (ko) 2009-11-27 2009-11-27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01A KR101558344B1 (ko) 2009-11-27 2009-11-27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86A KR20110059386A (ko) 2011-06-02
KR101558344B1 true KR101558344B1 (ko) 2015-10-19

Family

ID=4439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01A KR101558344B1 (ko) 2009-11-27 2009-11-27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49B1 (ko) 2018-11-13 2020-03-06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828B1 (ko) 2014-02-17 2020-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10474074A (zh) * 2019-08-27 2019-11-19 广东国鸿氢能科技有限公司 用于燃料电池石墨双极板检测的连接结构和检测方法
KR20210026947A (ko)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넥터
WO2022086864A1 (en) * 2020-10-19 2022-04-28 Interplex Industries, Inc. Fuel cell voltage pickup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49B1 (ko) 2018-11-13 2020-03-06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86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44B1 (ko)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모니터링 단자
US8865365B2 (en) Connector and fuel cell
US10135101B2 (en) Power storage module
CN112151895B (zh) 电池模组
CN111193124B (zh) 电连接器
US6771041B2 (en) Cell voltage measuring device for fuel cell
JP2002358993A (ja) 積層型燃料電池およびセル電圧の測定方法
CN113049965A (zh) 燃料电池双极板的巡检连接结构及电堆电压的监测系统
US20200099064A1 (en) Plug connector, bipolar plate and combination of a plug connector and a fuel cell stack
CN111933976A (zh) 一种燃料电池双极板
JP5611071B2 (ja) 温度センサ
KR100931212B1 (ko)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JP2007087858A (ja) 積層型燃料電池の端子ユニット
US11450928B2 (en) Cell-contacting device for a battery and battery
JP2002190328A (ja) 電池検査装置
JP2002313399A (ja) セル電圧検出端子
JP4087039B2 (ja) 燃料電池
JP7056542B2 (ja) 燃料電池ユニット
JP3674923B2 (ja) 燃料電池
JP4453424B2 (ja) 燃料電池用配線
JP4453423B2 (ja) 燃料電池用配線
JP3956328B2 (ja) Icソケット
KR101397772B1 (ko)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CN219573293U (zh) 温度监测装置及电池模组
JP4457733B2 (ja) 燃料電池用配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