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553B1 -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553B1
KR101557553B1 KR1020130110057A KR20130110057A KR101557553B1 KR 101557553 B1 KR101557553 B1 KR 101557553B1 KR 1020130110057 A KR1020130110057 A KR 1020130110057A KR 20130110057 A KR20130110057 A KR 20130110057A KR 101557553 B1 KR101557553 B1 KR 10155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hole
stack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843A (ko
Inventor
신안철
Original Assignee
신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안철 filed Critical 신안철
Priority to KR102013011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5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 화초나 채소 등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식재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 및 수량에 크게 제한받지 않아 가정이나 실내에서 매우 편리하게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재배중이던 식물의 변경시에도 간편하게 화분의 탈거 교체가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게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양액을 공급함에 있어, 자동으로 공급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부로부터 하부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관리상의 편리함과 고른 양액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대량생산하는 농가에서는 사전 모종의 사전식재와 관리가 용이하게 하고, 재배할 수 있는 높이가 토양 수준이 아닌 작업자 관리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적층화 시킴으로써 대량 생산시 용기들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하며,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실내 공기 청정, 정화 작업 및 채소나 과일재배를 사계절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가습역할을 수행하면서 직물재배의 생산성을 구축하게 하며,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하며, 또한, 재배장치를 보관시에도 적층식으로 하나의 본체 내부에 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샐러드바를 운용하는 음식점의 경우 재배한 채소나 과일의 공급이 가능하여 상품의 품질 향상과 조경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Tow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raising and keeping vegetable and fruits}
본 발명은 가정에서 채소나 과일 등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량에서 대량까지 다양하게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면서도 영양소를 포함한 수분(이하, 양액이라 함)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 그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하며, 특히 재배물의 상시 저장과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구조를 갖는 수조 형태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냉장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초나 채소, 과일 등과 같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영양분이 포함된 흙에 식물의 뿌리를 식재함으로 토양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식물의 재배방법으로는 대량 재배의 경우 야외나 비닐하우스 등에서 토양에 식재하여 재배하였으며, 가정에서의 경우에는 별도의 화분에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정에서 식물을 재배하고자 할 시에는 화분을 이용하되, 다양한 종류의 화초 및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화분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화분은 배란다 등에 나열하여 재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분 재배 방식은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것인바, 많은 종류의 및 수량의 식물을 재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토양을 이용한 재배방식으로 인해 토양이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등 주변 환경을 좋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양액을 공급시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수경재배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경재배 방식으로는 특허출원등록 제10-0798142호와 같이 양액이 충전 및 공급되는 본체와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단열부재로 된 화분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화분은 단열부재에 식물을 식재함과 동시에 본체로부터 양액을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분은, 실내에서도 수경재배가 가능한 이점은 있으나, 그 단열부재에 식물을 식재하기에는 그 수량면에서 한계가 있으며, 대량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본체를 구비하여야 하였으며, 이에 따른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배중이던 식물의 종류를 변경하고자 할 시에는 식물이 식재된 단열부재를 본체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변경하여야 하는바, 번거로움과 자칫 타 식물 재배에 좋지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량생산을 하는 농장의 재배방식에서 식재하는 방법은 작업자의 불편한 자세를 이용하여 식재하고, 재배할 식물을 별도의 모종컵에서 모종을 식재하고 추후 재배장치에 옮겨 심어야 하는 등 모종 관리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채소의 재배는 화분에서 이루어지고 보관은 다른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등 재배와 보관에 따른 별도의 구성품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어 채소나 과일 등의 재배를 기피시 하였으며, 재배를 위해 대량의 흙이나 토양을 사용하게 됨으로 수시로 청소를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상당한 부피 및 무게에 따른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조경 및 습기 조절장치로써의 화분의 기능은 대부분 공간을 차지하는 화분이나 전기가전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채소나 과일재배를 동시에 할 수 없었던 문제로 각 기기와 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화분 및 재배장치들은 수평형태로 펼쳐서 보관하여야 하는 등 상당한 공간을 차지함으로 재배장치를 보관시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7981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수직으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식재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 및 수량에 크게 제한받지 않아 가정이나 실내에서 매우 편리하게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하는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재배중이던 식물의 변경시에도 간편하게 화분의 탈거 교체가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게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하는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양액을 공급함에 있어, 자동으로 공급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부로부터 하부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관리상의 편리함과 고른 양액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대량생산하는 농가에서는 사전 모종의 사전식재와 관리가 용이하게 하고, 재배할 수 있는 높이가 토양 수준이 아닌 작업자 관리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적층화 시킴으로써 대량 생산시 용기들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한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실내 공기 청정, 정화 작업 및 채소나 과일재배를 사계절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가습역할을 수행하면서 직물재배의 생산성을 구축하게 하며,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재배장치를 보관시에도 적층식으로 하나의 본체 내부에 보관이 가능하게 하여 보관시 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샐러드바를 운용하는 음식점의 경우 재배한 채소나 과일의 공급이 가능하여 상품의 품질 향상과 조경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는 양액이 충전되는 한편, 수중펌프가 내장되는 본체와, 공급관 인출공 및 양액 수거공을 갖는 적층함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어 본체를 마감하는 본체 덮개로 된 수조 컨테이너;
상기 수중펌프에 연결되는 한편 본체 덮개의 공급관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수직 설치되어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관;
상기 수조 컨테이너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며 저면 둘레에는 돌출턱이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은 중앙으로부터 둘레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게 하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양액 공급관이 관통되는 공급관 관통공이 형성되고 공급관 관통공의 주변에는 양액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상부 개방형 재배컵 설치홈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으로 구성하되, 다수개가 적층 가능한 적층함;
상기 적층함의 재배컵 설치홈에 설치되며, 외둘레에는 양액 유입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양액 배출공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컵 형태의 하나 이상의 원형 재배컵; 및
상기 적층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함몰 형성되고 저면 둘레에는 상기 최상단 적층함에 끼움 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중앙에 상기 양액 공급관이 관통되는 공급관 관통공이 형성되고 공급관 관통공의 주변에는 양액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모듈 설치관이 형성되고, 상부는 공급함 덮개에 의해 마감되는 양액 공급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는, 양액의 충전 및 공급이 가능한 수조 컨테이너의 상부에 다수층으로 적층함의 적층 설치가 가능하고, 특히 각각의 적층함에는 다수의 재배컵의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도 수직으로 대량의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각 층별로 다양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식물의 변경시 간편하게 재배컵 만을 교체하면 됨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매우 편리한 식물 재배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으로 양액의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최상단의 적층함 상부에서 공급 및 하부로 흘러내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각각의 재배컵에 식재된 식물에 고른 양액의 공급이 가능하며, 특히 공급되는 양액의 량과 시간의 조절이 가능하여 관리가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량생산하는 농가에서는 사전 모종의 사전식재와 관리가 용이하고, 재배할 수 있는 높이가 토양 수준이 아닌 작업자 관리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이를 적층화 시킴으로써 대량 생산시 용기들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실내 공기 청정, 정화 작업 및 채소나 과일재배의 사계절 사용이 가능하고, 가습역할을 수행하면서 직물재배의 생산성이 구축되며,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재배장치를 보관시에도 적층식으로 하나의 본체 내부에 보관이 가능하여 보관시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샐러드바를 운용하는 음식점의 경우 재배한 채소나 과일의 공급이 가능하여 상품의 품질 향상과 조경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양액 공급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냉장 보관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야간 수경재배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보관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1)는, 수조 컨테이너(100)와, 양액 공급관(200)과, 적층함(300)과, 재배컵(400),과 양액 공급함(5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 컨테이너(100)는, 본체(110)와 본체 덮개(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는 양액(영양분을 포함한 수분)이 충전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10) 내부에는 수중펌프(111)가 설치되게 구성된 것인데, 수중펌프(111)는 본체(110) 내부의 양액을 외부로 배출키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 덮개(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 개방부를 마감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상부면에는 중앙이 함몰 형성되어 적층함 안착홈(121)이 마련된 것이며, 그 적층함 안착홈(121)에는 중앙에 공급관 인출공(12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주변부에는 다수의 양액 수거공(12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양액 공급관(200)은, 통상의 중공형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 덮개(120)의 공급관 인출공(122)을 관통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수중펌프(111)에 결합되게 수직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양액 공급관(200)의 상단에는 나선관 형태의 양액 유도관(21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함(3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조 컨테이너(100)의 본체 덮개(120) 상부에 형성된 적층함 안착홈(121)에 안착 설치되며, 다수개로 구성되어 적층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적층함(300)의 저면 둘레에는 돌출턱(310)이 형성되고, 바닥면은 중앙으로부터 외둘레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바닥면의 중앙에는 상기 양액 공급관(200)이 관통되는 공급관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그 공급관 관통공(320)의 주변부에는 다수의 양액 배출공(33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적층함(300)의 외둘레에는 절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재배컵 설치홈(340)(340')이 형성된 것인데, 재배컵 설치홈(340)(340')은 다수개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층함(300)의 4면에 각각 한개씩 형성된다.
한편, 도 4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적층함(300) 상부 개방부를 마감하는 투명의 적층함 덮개(36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적층함(300)을 하나의 용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적층함 덮개(360)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외둘레에 적층함(300)의 재배컵 설치홈(340)(340')을 마감하는 한편 탄력을 가지면서 내측 하단부에 걸림돌기(362)를 갖는 탄력편(361)이 하방 돌출 형성되고, 상부면에 손잡이(3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층함(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력편(361)의 걸림돌기(362)가 걸림되는 걸림홈(370)에 형성된다.
상기 재배컵(400)은, 통상의 상부 개방형 원형 컵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적층함(300)의 각각의 재배컵 설치홈(340)(340')에 슬라이딩 설치되는 것으로, 외둘레에는 다수의 양액 유입공(410)이 관통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양액 배출공(420)이 형성된다.
이때, 재배컵(400)의 외주면에는 대항되는 형태로 적어도 45° 이상의 경사를 이루게 장공 형태의 걸림공(430)이 관통형성되며, 이때 상기 양액 유입공(410)은 상기 대항되는 걸림공(430)을 기준으로 외주면을 2분할시 일면에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재배컵(400)은 적층함(300)의 재배컵 설치홈(340)(340')에 설치시 경사상으로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공(430)이 재배컵 설치홈(340)(340')의 양단에 걸림 지지되어 재배컵(400)의 개방부가 상부를 이루게 경사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양액 유입공(410)은 상부를 향하게 구성된다.
상기 양액 공급함(5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저면 둘레에는 상기 최상단의 적층함(300)에 끼움되는 돌출턱(510)이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양액 공급관(200)이 관통되는 공급관 관통공(520)이 형성되며, 그 공급관 관통공(520)의 주변부에는 다수의 양액 배출공(53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양액 공급함(500)의 외둘레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모듈 설치관(54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양액 공급함(500)의 상부 개방부는 공급함 덮개(550)에 의해 마감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재배컵(400)이 설치시 적층함(300)의 양액 배출공(330)과 양액 공급함(500)의 양액 배출공(530)은 재배컵(400)의 양액 유입공(410)과 동일 수직선상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양액 공급함(500)의 공급함 덮개(550) 상부에, 태양광의 집광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600)의 저면에는 태양광 모듈(60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점등이 가능한 LED 조명광(6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모듈(600)에는 상기 양액 공급함(500)의 모듈 설치관(540)에 삽입될 수 있는 모듈 설치봉(610)을 형성함으로써, 양액 공급함(500)에 태양광 모듈(600)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가정용 식물재배장치(1)는, 가정에서 장소의 활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종류 및 많은 식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수조 컨테이너(100)가 먼저 설치된다.
이때, 수조 컨테이너(100)의 본체(110) 내부에는 양액이 충전되는 한편, 수중펌프(111)가 설치되고, 수중펌프(111)에는 양액 공급관(200)이 설치되며, 본체(110)의 상부는 본체 덮개(120)에 의해 마감 및 양액 공급관(200)이 공급관 인출공(122)을 통과하여 수직 상태를 이루게 설치된다.
이후, 수조 컨테이너(100)의 상부에는 적층함(300)이 적층 설치되는 것으로, 먼저 최하단의 적층함(300)은 공급관 관통공(320)에 양액 공급관(200)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덮개(120)의 적층함 안착홈(121)에 안착 설치되며, 이때 저면에 형성된 돌출턱(310)에 의해 적층함 안착홈(121)의 상부면과 소정 이격되게 된다.
이후, 상기 최하단층의 적층함(300)의 상부에는 다른 적층함(300)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것으로, 적층함(300)은, 공급관 관통공(320)에 양액 공급관(200)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저면에 형성된 돌출턱(310)이 하부에 위치한 적층함(300)의 상부에 끼움 결합하면 된다.
이후, 최상단의 적층함(300) 상부는 양액 공급함(500)으로 마감하면 되는 것으로, 양액 공급함(500)은, 공급관 관통공(520)에 양액 공급관(200)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저면에 형성된 돌출턱(510)이 최상단의 적층함(300) 상단에 끼움 결합하면 되며, 양액 공급함(500)의 상단은 공급함 덮개(550)로 마감하면 된다.
여기서, 양액 공급관(200)의 상단은 양액 공급함(500)을 벗어나지 않을 정도가 되는 것이며, 그 양액 공급관(200)의 상단에는 나선관 형태의 양액 유도관(210)이 결합된다.
이후, 상기 적층함(300)에는 식물이 식재된 재배컵(400)이 설치되는 것으로, 재배컵(400)은 양액 유입공(410)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재배컵 설치홈(340)(340')에 끼움 및 걸림공(430)이 재배컵 설치홈(340)(340')에 걸림 고정되는 것으로, 재배컵(400)은 그 상부 개방부가 상부를 향하는 경사상으로 설치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설치된 식물재배장치(1)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양액을 자동으로 순환 공급하면서 수경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먼저, 수중펌프(111)를 작동하게 되면 그 수중펌프의 작동에 의해 본체(110) 내부의 양액은 양액 공급관(200)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후, 배출된 양액은 양액 공급관(200)의 상단으로 이동 및 양액 유도관(210)을 선회하면서 양액 공급함(5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유입된 양액은 그 양액 공급함(500)의 바닥에 형성된 양액 배출공(530)을 통해 하부로 자유낙하 되는 것으로, 낙하되는 양액은 그 양액 배출공(530)이 재배컵(400)의 양액 유입공(41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자연스럽게 양액 유입공(410)으로 낙하 및 재배컵(4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물의 뿌리를 적셔주면서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후, 식물의 뿌리를 적셔주고 남은 양액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는 재배컵(400)의 양액 배출공(420)을 통해 이루어지며, 배출된 양액은 적층함(300) 내부로 낙하 및 적층함(300)의 바닥에 형성된 양액 배출공(330)을 통해 하단층의 적층함(300)에 설치된 재배컵(400)으로 낙하 및 재배컵(4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물의 뿌리를 적셔주면서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즉, 양액은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흐름에 의해 최상단의 적층함(300)으로부터 최하단의 적층함(300)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며, 최하단층의 적층함(300)에 유입된 양액은 양액 배출공(330)을 통해 하부로 배출 및 덮개의 적층함 안착홈(121)에 형성된 양액 수거공(123)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식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한 것이며, 재배된 식물 중 섭취가 가능한 채소나 과일류의 경우에는 그 신선 보관이 요구되는 것인바, 이때, 그 신선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재배가 완료된 채소나 과일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용기를 구비할 필요없이 재배가 완료된 적층함(300)의 내부에 채소나 과일을 수용시키면 된다.
이후, 재배컵(400)이 수용된 적층함의 상부는 적층함 덮개(360)로 마감하면 되는 것으로, 적층함 덮개(360)는 그 둘레에 형성된 탄력편(361)에 의해 재배컵 설치홈(340)(340')을 마감 및 걸림돌기(362)가 걸림홈(370)에 탄력 걸리게 하면 되는 것으로, 하나의 용기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재배된 채소나 과일은 적층함(300)에 보관되는 것이며, 이를 냉장고 등에 보관시 양액 배출공(330)을 통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여 그 신선도를 최대화하면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층함(300)에 보관된 채소나 과일을 세척시에도 별도의 세척용기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적층함(300) 내에서 가능한 것으로, 세척후 양액 배출공(330)을 통한 배수 기능까지 가능하다.
또한,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야간에도 그 식물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양액 공급함(500)에 태양광 모듈(600) 및 LED 조명광(620)을 설치함으로 가능하다.
즉, 태양광 모듈(600)은 모듈 설치봉(610)을 이용하여 양액 공급함(500)의 모듈 설치관(540)에 끼움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태양광 모듈(600)이 설치되게 되면, 주간에 태양으로부터 광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발전 및 전기 에너지로 저장하는 것이며, 그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LED 조명광(620)을 점등시켜, 야간에 식물의 성장에 가능한 조명의 부여로 식물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점등되는 조명은 야간에 실내 인테리어 조명으로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교체를 요할시에는 간단하게 재배컵(400)만을 교체 사용하면 됨으로 그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식물의 재배가 완료된 상태에서 식물재배장치(1)를 보관하고자 할 시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수조 컨테이너(100)의 본체(110) 내부에 각각의 구성품을 수용시켜 보관하면 되는 것으로, 그 본관이 매우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는 실내에서도 다양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하되, 최소한의 공간에서 최대의 식물 재배와 그 관리가 편리하여 식물재배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100 : 수조 컨테이너 110 : 본체
111 : 수중펌프 120 : 본체 덮개
121 : 적층함 안착홈 122 : 공급관 인출공
123 : 양액 수거공
200 : 양액 공급관 210 : 양액 유도관
300 : 적층함 310 : 돌출턱
320 : 공급관 관통홀
330 : 양액 배출공 340,340' : 재배컵 설치홈
360 : 적층함 덮개 361 : 탄력편
362 : 걸림돌기 363 : 손잡이
370 : 걸림홈
400 : 재배컵 410 : 양액 유입공
420 : 양액 배출공 430 : 걸림공
500 : 양액 공급함 510 : 돌출턱
520 : 공급관 관통공 530 : 양액 배출공
540 : 모듈 설치관 550 : 공급함 덮개
600 : 태양광 모듈 610 : 모듈 설치봉
620 : LED 조명광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는 양액이 충전되는 한편, 수중펌프(111)가 내장되는 본체(110)와, 공급관 인출공(122) 및 양액 수거공(123)을 갖는 적층함 안착홈(121)이 함몰 형성되어 본체(110)를 마감하는 덮개(120)로 된 수조 컨테이너(100);
    상기 수중펌프(111)에 연결되는 한편 덮개(120)의 공급관 인출공(12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수직 설치되어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관(200);
    상기 수조 컨테이너(10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며 저면 둘레에는 돌출턱(310)이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은 중앙으로부터 둘레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게 하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양액 공급관(200)이 관통되는 공급관 관통공(320)이 형성되고 공급관 관통공(320)의 주변에는 양액 배출공(330)이 형성되며, 외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상부 개방형 재배컵 설치홈(340)(340')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으로 구성하되, 다수개가 적층 가능한 적층함(300);
    상기 적층함(300)의 재배컵 설치홈(340)(340')에 설치되며, 외둘레에는 양액 유입공(410)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양액 배출공(420)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원형 컵 형태의 하나 이상의 재배컵(400); 및
    상기 적층함(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함몰 형성되고 저면 둘레에는 상기 최상단 적층함(300)에 끼움 되는 돌출턱(510)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중앙에 상기 양액 공급관(200)이 관통되는 공급관 관통공(520)이 형성되고 공급관 관통공(520)의 주변에는 양액 배출공(530)이 형성되며, 외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모듈 설치관(540)이 형성되고, 상부는 공급함 덮개(550)에 의해 마감되는 양액 공급함(5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공급관(200)의 상단에는, 나선관 형태의 양액 유도관(21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컵(400)은,
    외주면에 대항되는 형태로 적어도 45°이상의 경사를 이루게 걸림공(43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양액 유입공(410)은 다수 통공으로 구성하며, 상기 대항되는 걸림공(430)의 사이 일면에 형성되게 구성하되,
    재배컵(400)이 재배컵 설치홈(340)(340')에 설치시 상기 걸림공(430)이 재배컵 설치홈(340)(340')의 양단에 걸림 지지되는 한편 적어도 45°이상의 경사를 이루게 설치되며,
    상기 적층함(300)의 양액 배출공(330)과 양액 공급함(500)의 양액 배출공(530)은, 재배컵(400)의 양액 유입공(410)과 동일 수직선상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함(300)의 상부를 마감하는 투명의 적층함 덮개(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적층함 덮개(360)는, 외둘레에 적층함(300)의 재배컵 설치홈(340)(340')을 마감하는 한편 탄력을 가지면서 내측 하단부에 걸림돌기(362)를 갖는 탄력편(361)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손잡이(363)가 형성되며,
    상기 적층함(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력편(361)의 걸림돌기(362)가 걸림되는 걸림홈(370)에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태양광의 집광 발전에 의해 전기의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태양광 모듈(600)에는, 모듈 설치봉(610)과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점등 가능한 LED 조명광(62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태양광 모듈(600)이 모듈 설치봉(610)을 통해 양액 공급함(500)의 모듈 설치관(540)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KR1020130110057A 2013-09-13 2013-09-13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KR10155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057A KR101557553B1 (ko) 2013-09-13 2013-09-13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057A KR101557553B1 (ko) 2013-09-13 2013-09-13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843A KR20150030843A (ko) 2015-03-23
KR101557553B1 true KR101557553B1 (ko) 2015-10-07

Family

ID=5302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057A KR101557553B1 (ko) 2013-09-13 2013-09-13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5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78B1 (ko) 2018-10-17 2019-05-29 변경호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68469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도구다 작물 재배 장치
KR20210148738A (ko) * 2020-06-01 2021-12-08 조영재 Led 조사방식을 이용한 식물재배대
KR20220057890A (ko) * 2020-10-30 2022-05-09 (주)아세아엠텍 포트 밀집 화분
US11723326B2 (en) 2021-09-02 2023-08-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Pod mounting interface for an indoor garden ce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659B1 (ko) 2017-11-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N109618909A (zh) * 2018-06-04 2019-04-16 昆山绿手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植物墙水循环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040Y1 (ko) 2003-11-21 2004-02-11 임선호 적층식 양액재배포트
KR101190139B1 (ko) 2009-11-11 2012-10-11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양액식물 재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040Y1 (ko) 2003-11-21 2004-02-11 임선호 적층식 양액재배포트
KR101190139B1 (ko) 2009-11-11 2012-10-11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양액식물 재배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78B1 (ko) 2018-10-17 2019-05-29 변경호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68469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도구다 작물 재배 장치
KR102214775B1 (ko) * 2018-12-05 2021-02-10 주식회사 도구다 작물 재배 장치
KR20210148738A (ko) * 2020-06-01 2021-12-08 조영재 Led 조사방식을 이용한 식물재배대
WO2021246614A1 (ko) * 2020-06-01 2021-12-09 조영재 Led 조사방식을 이용한 식물재배대
KR102414749B1 (ko) * 2020-06-01 2022-06-30 조영재 Led 조사방식을 이용한 식물재배대
KR20220057890A (ko) * 2020-10-30 2022-05-09 (주)아세아엠텍 포트 밀집 화분
KR102580157B1 (ko) * 2020-10-30 2023-09-20 (주)아세아엠텍 포트 밀집 화분
US11723326B2 (en) 2021-09-02 2023-08-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Pod mounting interface for an indoor garden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843A (ko)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553B1 (ko) 타워식 채소 및 과일 재배구조와 재배물의 상시저장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재배장치
US20190261589A1 (en) Smart cabinet for home gardening
KR200467246Y1 (ko) 가정용 식물 공장
KR101423127B1 (ko) 수경재배장치
CN201624046U (zh) 模块式室内垂直绿化装置
KR101893196B1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101192139B1 (ko) 수경재배용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CN203505235U (zh) 一种阳台种植装置和组件
KR101408932B1 (ko) 디지털 기반의 가전형 식물재배장치
CN202310800U (zh) 智能新型多层式多段密植栽培装置
CN102972280B (zh) 一种无土水培蔬菜架
KR20130059044A (ko) 회전 다단식재배장치
CN108738935B (zh) 一种装备化多功能光照种植工厂
KR101582388B1 (ko) 식물 재배 장치
CN208509729U (zh) 装备化多功能光照种植工厂
KR20110010141A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101249978B1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101176761B1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101464487B1 (ko)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CN210406552U (zh) 一种植物立体栽培装置
CN206024775U (zh) 一种室内箱柜式四季蔬菜种植机
CN201957545U (zh) 家庭立柱式蔬菜栽培系统
KR20130005040U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00015299A (ko) 스마트 자립형 모종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종 배양 방법
CN203801507U (zh) 水培花瓶式鱼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