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548B1 -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548B1
KR101557548B1 KR1020130057238A KR20130057238A KR101557548B1 KR 101557548 B1 KR101557548 B1 KR 101557548B1 KR 1020130057238 A KR1020130057238 A KR 1020130057238A KR 20130057238 A KR20130057238 A KR 20130057238A KR 101557548 B1 KR101557548 B1 KR 101557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ard
partition
partition body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6756A (en
Inventor
육선미
Original Assignee
육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선미 filed Critical 육선미
Priority to KR102013005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548B1/en
Publication of KR2014013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으로,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1 파티션 본체(110a); 식물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2 파티션 본체(11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1 보드 구조체(120a);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2 보드 구조체(12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 및 제2 파티션 본체를 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접이부(130);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제1 이동부(140a); 및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1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partition main body (110a)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grown as a plant; A first board structure 120a coupled to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the plants being planted and grown; A second board structure 120b coupled to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the plants being planted and grown; A folding part 130 composed of at least one foldabl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first partition body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to be foldable; A first moving part 140a constituted by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 second moving part 140b formed of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Description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파티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실내 장식용 파티션 시스템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partition system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and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capable of moving and folding.

최근 실내 환경위 개선에 대한 관심 및 욕구가 증대되면서, 건물 내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植栽)하여 건물 실내를 녹화(綠化)하는 실내 녹화가 보편화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terest in and desire for improvement in the indoor environment has increased, and indoor greening, in which a variety of plants in the building are planted an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vigorously shrunk, is becoming popular.

이를 위하여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 건물 내 특정 위치 또는 벽면에 화분을 설치하여 여기에 식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벽돌 등이 사용되고 있다.For this purpose, the most traditional method is to plant pots on a specific location or wall surface in a building, and in this case, a brick or the like, which can be planted, is used in some cases.

또한, 최근 건물 내 식물을 식재하는 녹화의 방법으로, 벽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구조체 및 보드 등을 이용하여 특정 벽면상에 식물을 식재하여 특정 벽면 전체 또는 일부가 녹화되도록 하는 벽면 녹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recently, a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a building, a method of planting plants on a specific wall surface using various structures and board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lanting plants perpendicularly to the wall, A wall-surface recording method is used.

그러나, 이러한, 벽면 녹화 방식은 일반적으로 특정 건물의 벽면에 고정적으로 시공되어, 특정 실내, 예를 들어 예식장 등 행사장에 일시적으로 실내 녹화가 필요한 경우나, 벽면이 아닌 실내 구획 별 녹화가 요구되는 상황에는 대처하지 못하므로, 이를 위해서 통상 이동할 수 있는 화환이나, 화분 등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such a wall-screen recording system is generally applied to a wall of a specific building, and is required to be installed in a specific room, for example, a venue where a room is required to be temporarily recorded at a venue such as a wedding hall, It is not possible to cope with such a situation. For this purpose, a wreath or a flowerpot which can be usually moved is used.

또한, 특허1과 같이, 벽면 녹화를 위하여 탄화코르크 재질의 보드 형식의 재료가 공급되어 시공되고 있다.In addition, as in patent 1, a board-shaped material made of carbonized cork is supplied for wall surface recording.

이에 따라, 벽면 녹화의 기본 장점을 살리면서도 이동이 가능하고, 실내 환경 또는 녹화 공간에 따라, 그 형태가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실내 녹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new type of indoor recording method that can move while utilizing the basic advantages of wall surface recording, and can change its shape adaptively according to an indoor environment or a recording spac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4787호 (2009년12월31일 공고,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Korean Patent No. 10-0934787 (published on Dec. 31, 2009, "vegetation boar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natural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은 벽면 녹화의 기본 장점을 살리면서도 이동이 가능하고, 실내 환경 또는 녹화 공간에 따라, 그 형태가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실내 녹화 방식의 구현이 가능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실내 장식용 파티션 시스템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apable of cultivating a plant capable of moving indoor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basic advantages of wall surface recording, realizing an indoor recording method in which its shape can be adaptively changed according to an indoor environment or a recording spa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which is movable and can be fol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으로,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1 파티션 본체(110a); 식물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2 파티션 본체(11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1 보드 구조체(120a);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2 보드 구조체(12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 및 제2 파티션 본체를 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접이부(130);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제1 이동부(140a); 및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1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partition body (110a)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A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grown as a plant; A first board structure 120a coupled to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the plants being planted and grown; A second board structure 120b coupled to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the plants being planted and grown; A folding part 130 composed of at least one foldabl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first partition body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to be foldable; A first moving part 140a constituted by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 second moving part 140b formed of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하단에는 제1 배수 저장부(111a)가 형성되고,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는 제2 배수 저장부(11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partition main body 110a may have a first drainage storage portion 111a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econd drainage storage portion 111b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보드 구조체를 이격시켜 결합하는 제1 이격부재(112a)가 설치되고,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보드 구조체를 이격시켜 결합하는 제2 이격부재(112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is provided with a first spacing member 112a for separating the first board structur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nd a second spacing member (112b)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the second board structure.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제1 보드 구조체(120a) 및 제2 보드 구조체(120b)는 식물을 식재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타공된 타공보드(121) 및 상기 보드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 지지판(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oard structure 120a and the second board structure 120b may include at least one perforated board 121 having at least one hole formed therein for planting the plant and a back support plate 122 provided at the back surface of the board .

여기서, 제1 보드 구조체(120a) 및 제2 보드 구조체(120b)는, 상기 타공보드(121)의 상부를 통하여 타공보드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oard structure 120a and the second board structure 120b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123 for supplying water to plants planted on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board 121 desirable.

한편, 상기 타공보드(121)의 상부에는 상기 타공보드(1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상부 급수조(1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water supply tank 124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121.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수 저장부(111a) 및 제2 배수 저장부(111b)의 하나 이상에는 상기 타공보드(1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하부 저수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first drainage storage unit 111a and the second drainage storage unit 111b is provided with a lower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또한, 상기 제1 배수 저장부(111a) 및 제2 배수 저장부(111b)의 하나 이상은 상기 타공보드(1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하부 저수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drainage storage unit 111a and the second drainage storage unit 111b may be a lower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

여기서, 상기 하부 저수조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 상기 저수조의 물을 빨아들여 배관을 통하여 타공보드의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하여 타공보드의 상부로 공급된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 filter for filtering the water of the lower reservoir, a pump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the pipe by sucking the water of the reservoir, and a valve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water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board by the pump And further comprising:

한편, 상기 타공보드(121)의 배면에 홀을 지나도록 밀착 결합되어 각 홀에 상부 급수부로부터의 공급되는 물을 각 홀로 공급하는 직물 재질의 스트랩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trap of a fabric material which is tight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121 through a hole and supplies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water supply portion to each hole is provided in each hol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 녹화의 기본 장점을 살리면서도 이동이 가능하고, 실내 환경 또는 녹화 공간에 따라, 그 형태가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실내 녹화 방식의 구현이 가능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실내 장식용 파티션 시스템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indoor recording method in which the shape can adaptively change according to the indoor environment or the recording space, while being able to move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basic advantages of wall surface record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with a movable structure and a foldable structure.

이에 따라, 이동성이 강화되어, 실내 녹화가 요구되는 장소에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한시적인 설치 및 즉시 철거가 가능하므로, 종래의 고정식 벽면 녹화와 같은 실내 녹화방식 또는 배달 화환 등과 같이 소모적인 실내 녹화방식을 대체하여, 새로운 녹화 방식 및 이를 통한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mobility can be enhanced,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o a place where indoor recording is required, and temporary installation and demoli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new recording method and a new business model based on the new recording method can be provided.

즉,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은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실내 녹화 또는 실내 장식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can be used repeatedly, thereby providing eco-friendly products that can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indoor recording or interior decoration, and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아울러, 그 형태가 실내 환경 또는 공간에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식재되는 식물을 용이하게 변경 식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실내 녹화가 요구되는 실내 환경 또는 녹화 공간을 효율적으로 녹화 또는 장식하는 것이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can be adaptively changed to the indoor environment or the spac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plant the plant to be pla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cord or decorate the indoor environment or the recording space required for indoor recording There is a losing effect.

나아가,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은 특징적인 급수 구조가 채택되어, 식재된 식물에 적절히 물을 공급하게 되므로, 파티션 시스템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with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dopts a characteristic water supply structure and properly supplies the water to the planted plants, so that the effect of allowing plants to grow even in a limited space of the partition system have.

도 1은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보드 구조체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보드 구조체의 구성도.
도 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급수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설치 예를 설명하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oom recording and partitioning system with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 structure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ructural view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 structure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and 8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omit descriptions of portions that can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re a section includes a constitu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that may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filing.

도 1은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with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은 2개의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1 파티션 본체, 상기 파티션 본체 각각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2개의 보드 구조체, 상기 2개의 파티션 본체를 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접이부와 각각의 파티션 본체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rtitio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in which two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and is housed in a storage space and is planted And a moving part composed of a folding part composed of at least two folding coupling members for coupling the two partitioning bodies so as to be foldable and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each partitioning body .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사용되는 실내 환경 또는 조건에 따라, 펼쳐져 단면의 넓은 평면 형태로 사용되거나, 접혀져 양면 형태로 사용되거나, 반 정도만 펼쳐져 벽면의 모서리 형태로 사용되는 등 그 형태가 식재되는 식물과 함께 실내 환경 또는 공간에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바퀴의 설치로 이동시 접혀진 상태로 형태를 변경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it can be used as a wide flat surface of an unfolded, folded, double-sided form or unfolded as a corner of a wall, Can be adaptively changed to the indoor environment or space together with the plant in which the form is pla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folded state when the wheel is moved and move i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구조도이다.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보드 구조체의 구성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 structure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은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1 파티션 본체(110a), 식물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2 파티션 본체(11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1 보드 구조체(120a),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2 보드 구조체(12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 및 제2 파티션 본체를 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접이부(130),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제1 이동부(140a) 및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1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4, the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rtition body 110a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grown as a plant, A first board structure 120a coupled to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and grown by planting the plants, and a second board body 120a coupled to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 folding part 130 composed of a second board structure 120b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grown by planting and planting, at least one folding / coupling member for foldably coupling the first partition body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A first moving part 140a constituted by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t least one rotatable ba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2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portion (140b) made of a.

제1 파티션 본체(110a) 및 제2 파티션 본체(110b)는, 통상 동일한 직사각형 형태로,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된다. 목판, 집성판 등 목질 판형 자재 또는 알루미늄 등 금속자재 프레임으로 제작된다.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re generally formed in the same rectangular shape and have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Such as a wooden plate or a laminated board, or a metal material frame such as aluminum.

하부에는 각각 배수 저장부(111a, 111b)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 저장부(111a, 111b)는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120a, 120b)로부터 떨어지는 유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적절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내부 처리가 되거나, 구조를 갖는다. 배수 저장부(111a, 111b)의 하단에는 유수의 처리를 위한 배수구가 설치될 수 있다. And drainage storage units 111a and 111b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structure 120a and the drainage storage units 111a and 111b are provided to prevent water leakage from the board structures 120a and 120b, Or has a structure. A drain for draining water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storage units 111a and 111b.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배수 저장부(111a, 111b)의 각각에는 보드 구조체(120a, 120b)에 식물의 생장을 위하여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하부 저수조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연결 배관 등이 설치되어 하나의 하부 저수조에서 두 보드 구조체 모두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하부 저수조가 상기 배수 저장부(111a, 111b) 중의 하나에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each of the drain storages 111a and 111b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reservoir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for the growth of plants in the board structures 120a and 120b, In the embodiment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both the board structures in one lower reservoir, one lower reservoir is installed in one of the drain reservoirs 111a and 111b.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별도의 하부 저수조가 제작되어 설치되지 않고, 상기 배수 저장부(111a, 111b)가 보드 구조체로부터 떨어지는 유수를 저장하는 동시에 식물의 생장을 위하여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하부 저수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eparate lower water storage tank is not manufactured and installed, and the water storage units 111a and 111b store the water water falling from the boar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 하부 저수조는 배수 저장부(111a, 111b)와 무관한 외부 물탱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수 저장부에 착탈 가능한 물탱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ower reservoir may be realized as an external water tank irrespective of the drain reservoirs 111a and 111b, or may be implemented as a water tank detachable from the drain reservoir.

제1 파티션 본체(110a) 및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수납공간의 내측면에는 각 보드 구조체를 이격시켜 결합하는 이격부재(112a, 112b)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이격 부재와의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상기 보드 구조체(120a, 120b)가 제1 파티션 본체(110a) 및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수납공간에 고정결합하게 된다. Separating members 112a and 112b are provided on inner side surfaces of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to separate the board structures from each other. The board structures 120a and 120b are fixed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s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through screwing or the like with the spacing members.

또한, 상기 이격부재(112a, 112b)와 수납공간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식물의 생장을 위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하부 저수조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 펌프, 압력 조절기,타이머 등 급수부(123)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spacing members 112a and 112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pipe for supplying water for plant growth, a filter for filtering water in the lower storage tank, a pump, a pressure regulator,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123 may be provided.

제1 보드 구조체(120a) 및 제2 보드 구조체(120b)는 각각 제1 파티션 본체(110a) 및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수납공간에 고정결합되며, 기본적으로 식물을 식재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타공된 타공보드(121) 및 상기 타공보드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 지지판(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타공보드(121)의 상부를 통하여 타공보드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board structure 120a and the second board structure 120b are fixed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s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respectively and basically have one or more holes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plants planted on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board 121, 123 may be further included.

타공보드(121)에는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타공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홀 각각에 생장될 식물이 식재되며, 식물의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또한, 식물의 뿌리를 지지할 수 있고, 수분저장능력을 가지는 구성 내지 재료인 식물고정재(미도시)가 식물과 함께 삽입되며, 식물 고정재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유기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배양토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ated board 1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 planting the plants, planting the plants to be grow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making the plant roots large enough to support the roots. In addition, a plant fixing material (not shown), which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roots of plants and has moisture storage ability,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plant, and the plant fixing material is a component capable of providing organic components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may include included culture soil.

타공보드(121)는 식물의 식재를 위한 용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조체로서 강도를 가지면서도, 재료 자체로는 발수성이 좋은 재료가 선택되어, 미감이 좋고, 구조적으로 식물의 뿌리의 활착과 같이 생장에 적합한 표면 및 내부 구조를 가지도록 가동되어 사용되며, 실내 사용특성을 고려하여 항균성, 내 부폐성 등을 가진 재료가 사용된다. 타공보드(121)의 재료로서 본 명세서에서 앞서 기재된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34787호에서와 같은 탄화코르크 재질의 보드가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perforated board 121 has a strength as a structure to serve as a container for planting plants, and a material having good water repellency is selected as the material itself, , And material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abrasion resistance are used in consideration of indoor use characteristics. As the material of the perforated board 121, a board made of carbonized cork such as the Korean Patent No. 10-0934787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specification can be processed and used.

배면 지지판(122)은 식물의 뿌리가 투과하지 못하고, 방수 기능을 가지는, 필름 또는 판 형태의 재질이 사용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아크릴 판과 같이 판 형태의 재료가 배면 지지판(122)으로 사용되는 경우, 타공보드(121)는 배면 지지판(122)을 통하여 이격부재(112a, 112b)에 결합되고, 배면 지지판(122)은 타공보드(121)의 이격부재(112a, 112b)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 매개체로서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3, a plate-like material, such as an acrylic plate, is used as the back support plate 122, as shown in FIG. 3, and the back support plate 122 is made of a film or plate- The bare board 121 is coupled to the spacing members 112a and 112b through the rear support plate 122 and the back support plate 122 is coupled to the spacing members 112a and 112b of the perforated board 121 And serves as a binding mediator that augments it.

배면 지지판(122)은 통상 타공보드(121)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도 3에서와 같이 급수부(123)의 구조에 따라, 급수부(123)에서 공급되는 물이 뒷쪽으로 넘치지 않고, 타공보드(121)의 상단 절단부와 함께 여분의 물을 저장하는 상부 저수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그 높이가 조절되어 제작된다. 3,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23 does not overflow to the rear,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23 does not overflow to the back, The height of the board 121 is adjusted so as to serve as an upper reservoir for storing extra water together with the upper cut portion.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타공보드(121)의 배면에 홀을 지나도록 밀착 결합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의 물을 흡수하여 각 홀에 공급하는 직물 재질의 스트랩이 설치된 경우, 상기 배면 지지판(122)은 타공보드(121)의 배면과 밀착결합되어 직물 재질의 스트랩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3, when a strap made of a fabric material is provided, which is tight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121 so as to pass through the hole, and which absorbs water from the upper portion and supplies the holes to the holes, And the back support plate 122 is tight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121 to fix the strap of the fabric material.

급수부(123)는 기본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 하나 이상의 밸브부로 구성된다. 급수부(123)는 상기 하부 저수조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 상기 저수조의 물을 빨아들여 배관을 통하여 타공보드의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 및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부는 하부 펌프에 의하여 제공되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된 밸브, 예컨데 점적 버튼식 밸브와 이를 위한 점적 호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 펌프의 종류에 따라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급수를 조절하는 압력조절기, 타이머, 솔레노이드 벨브 등의 부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123 basically comprises a pipe for supplying water and at least one valve unit. The water supply unit 123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water in the lower water tank, a pump for suck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the pipe, and the at least one valve, For example, a drip-operated valve, and a drip hose for supplying water intermittently or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devic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DC or AC pow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ump, a pressure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water supply, a timer, and a solenoid valve.

이 경우 각 밸브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스트랩의 끝단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물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실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의 조절이 가능한 효율적인 급수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each valve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water and enabling efficient water supply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actual plants.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타공보드(121) 상부 또는 상부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급수부는 생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user is configured to directly supply water to the upper or upper water storage tank 121,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omitted.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또는 급수부로부터의 제공되는 물을 흡수하여 각 홀에 공급하는 직물 재질의 스트랩이 설치되며, 직물 재질의 스트랩은 물을 가이드 및 분배하는 배관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유속을 조절하여 각 홀에 식재된 식물 또는 식물고정재가 물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Also, as shown in FIG. 4, a strap of a fabric material is provided which absorb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r the water supply portion and supplies the water to each hole, and the strap of the fabric material serves as a pipe for guiding and distributing the water In addition, the flow rate is adjusted to ensure that the plant or plant fixture planted in each hole has enough time to absorb the water.

타공보드(121), 배면 지지판(122) 및 이격부재(112a, 112b)간의 결합은 도 3에서와 같이 나사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며, 실시예에 따라서 접착 등 다양한 결합방법이 사용되어 타공보드(121), 배면 지지판(122) 및 이격부재(112a, 112b)간의 결합에 의하여, 보드 구조체가 파티션 본체의 내측 면에 결합된다.3,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rforated board 121 and the rear support plate 122 and the spacing members 112a and 112b is fixed by screws, and various bonding methods such as bonding are used to connect the perforated board 121 The back support plate 122 and the spacing members 112a and 112b, the board structure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접이부(130)는 제1 파티션 본체(110a)와 제2 파티션 본체(110b)를 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 결합부재로 구성되며, 통상의 접철 부재가 파티션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종류와 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folding part 130 is constituted by one or more folding and coupling members for coupling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folded, Number can be selected and used.

이동부(140a, 140b)는 제1 파티션 본체(110a)와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며, 제1 파티션 본체(110a)와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이동과 접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면에서 독립적으로 방향 회전 가능한 형태의 바퀴가 선택되어 지지에 필요한 수로 설치된다.The moving parts 140a and 140b are formed of a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t least one wheel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nd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 wheel of a type capable of independently rotating in a horizontal plane is selected and installed in a number required for the support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and folding of the whee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단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보드 구조체의 구성도이다.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and fol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 structure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제2 실시예는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1 파티션 본체(110a), 식물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2 파티션 본체(11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1 보드 구조체(120a),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2 보드 구조체(12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 및 제2 파티션 본체를 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접이부(130),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제1 이동부(140a) 및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 설치된 수평면에서 독립적으로 방향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140b)를 포함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rtition body 110a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a second partition body 110b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grown as a plant, A first board structure 120a coupled to the main body 110a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and being planted and grown; a second board structure 120a coupled to the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 folding part 130 composed of at least one folding and engaging member for foldably coupling the first partition body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to each other, A first moving part 140a composed of one or more wheels and a second moving part made of one or more wheels independently rotatable in a horizontal plan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Include (140b) and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살펴보면,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보드 구조체의 상기 타공보드(121)의 상단에 상부 급수조(124)가 별도로 설치된다. 상술한 급수부(123)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급수부(123)의 밸브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상부 급수조(124)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부 급수조(1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급수조(124)에 물을 공급하게 되고, 상부 급수조(124)는 타공보드(1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게 된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forated board 121 of the board structure in the second embodiment. 5 to 7, the valve of the water supply unit 12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or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supplies water to 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and 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store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한편, 급수부(123)는 사용자가 직접 물을 공급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여, 타공보드(121)에 일정시간 물을 공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where the user directly supplies water, the water supply unit 123 stores water supplied from the user and supplies water to the perforated board 121 for a predetermined time.

상부 급수조(124)는 파티션 본체의 크기, 사용환경, 식물 특성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제작되며, 하부에는 상기 물을 흡수하여 각 홀에 공급하는 직물 재질의 스트랩의 끝단이 노출되어 물을 흡수하도록 각 스트랩의 노출 부분에 홀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된다.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is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ition body, the use environment, and the plant characteristics, and the lower portion absorbs the water and exposes the end of the strap of the fabric material supplied to each hole, Holes or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in exposed portions of each strap.

상부 급수조(124)는 배면 지지판(12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사용자가 분리 급수 후 설치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upper water supply tank 12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pport plate 122, or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form so that the user can install the water after separate water supply.

특히, 급수부(123) 없이 사용자가 직접 물을 공급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여, 타공보드(121)에 일정시간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이에 필요한 크기와 사용자가 물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구조 예를 들어, 보드의 전면부로 돌출하여 상부 개방부가 노출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directly supplies the water without the water supply unit 123, sinc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user is stored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following,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open portion is exposed by projecting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oard.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급수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급수부(123)가 포함된 실시예에 적용된다. 급수구조의 실시예를 통하여 급수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Figs. 8A and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pplied to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water supply portion 123. Fig.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process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structure.

도 8a는 하부 저수조(물탱크)를 이용하는 급수 설비도로서, 도 8a를 참조하면, 하부 저수조 또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먼저, 펌프(820)의 작동에 따라 여과기(810)을 통하여 필터링되어 불순물이 제거되며, 배관(840)을 통해, 급수부(123)의 점적 밸브부를 구성하는 타공보드(121) 상부의 점적 호스(841) 및 점적 버튼식 밸브(842)을 통해 타공보드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A,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reservoir or the water tank is first filtered through the filter 8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820 to remove impurities (water) And a plant planted on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the drop hose 841 and the drop button valve 842 on the perforated board 121 constituting the drop valve section of the water feed section 123 through the pipe 840 Water is supplied.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점적 버튼식 밸브(142)의 설치 위치는 상기 스트랩의 끝단 상부로 함으로써, 물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실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의 조절이 가능한 효율적인 급수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drop button valve 142 is set 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water loss can be minimized, and efficient water supply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actual plants becomes possible.

전체 물의 공급 시간 및 양과 점적 버튼식 밸브의 물의 간헐적 공급의 제어는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830) 및 압력 조절기(82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The control of the intermittent supply of the water of the tap water valve and the supply time and quantity of the whole water is performed by the timer 830 and the pressure controller 821 which control the operation time of the pump.

또한, 수위 조절기(850) 및 수위 조절기의 전기적 신호 또는 별도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860)가 설치되어 하부 저수조(물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제어하여 하부 저수조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 solenoid valve 860, which is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of the water level controller 850 and a water level controller, or a separate control signal, is provided to control the water supply to the lower water tank (water tank)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in the lower water tank .

도 8b는 상수도관 등으로부터 직접 급수를 위한 설비도로서, 직접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기(821)이 솔레노이드 밸브(860)의 후단에 설치되며, 압력이 조절된 물은 여과기(810) 및 타이머(830)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급수부(123)의 점적 밸브부를 구성하는 타공보드(121) 상부의 점적 호스(841) 및 점적 버튼식 밸브(842)을 통해 타공보드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8B is a view for directly supplying water from a water pipe or the like. A pressure regulator 821 for regulating the pressure of the water to be directly supplied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olenoid valve 860, and the regul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810 ) And a plant (830) planted on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the drop hose (841) and the drop button valve (842) above the perforated board (121) constituting the drop valve portion of the water feed section (123) Water is supplied.

도 9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의 설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은 이동이 가능하고 접이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시 전면, 코너면, 양면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실내 환경 또는 녹화 공간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Referring to FIG. 9, the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able and foldable, and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the corner surface, and both sides when installed,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It is possible to instal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의 특별한 조합들이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범위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specific combinations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the above embodiments, other combinations of such configurations are likewis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such other combinations are incorporated in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00: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110a: 제1 파티션 본체 110b: 제2 파티션 본체
120a: 제1 보드 구조체 120b: 제2 보드 구조체
130: 접이부 140a: 제1 이동부
140b: 제2 이동부
100: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110a: first partition body 110b: second partition body
120a: first board structure 120b: second board structure
130: folding portion 140a: first moving portion
140b:

Claims (10)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에 있어서,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1 파티션 본체(110a);
식물 식재되어 생장되는 보드 구조체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제2 파티션 본체(11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1 보드 구조체(120a);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제2 보드 구조체(120b);
상기 제1 파티션 본체 및 제2 파티션 본체를 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접철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접이부(130);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제1 이동부(140a); 및
상기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부(140b)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이동부는 제1 파티션 본체의 하단의 네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고 수평면에서 방향 회전이 가능한 4개의 바퀴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이동부는 제2 파티션 본체의 하단의 네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고 수평면에서 방향 회전이 가능한 4개의 바퀴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파티션 본체 및 제2 파티션 본체의 접이 동작에 따라 상기 바퀴가 수평면에서 방향 회전하며,
상기 제1 보드 구조체(120a) 및 제2 보드 구조체(120b)는, 식물을 식재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타공된 타공보드(121), 상기 타공보드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 지지판(122), 및 상기 타공보드(121)의 상부를 통하여 타공보드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23)를 포함하여,
상기 타공보드(121)의 배면에 홀을 지나도록 밀착 결합되어 급수부(123)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각 홀로 공급하는 직물 재질의 스트랩이 설치되며, 상기 배면 지지판(122)은 방수 기능을 가지는 재질의 판 형태로 상기 타공보드(121)의 배면과 밀착 결합되어 상기 타공보드(121)의 배면에 홀을 지나도록 밀착 결합되어 급수부(123)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여 각 홀에 공급하는 직물 재질의 스트랩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In an indoor recording partition system,
A first partition body (110a)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A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having a storage space for a board structure grown as a plant;
A first board structure 120a coupled to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the plants being planted and grown;
A second board structure 120b coupled to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and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the plants being planted and grown;
A folding part 130 composed of at least one foldabl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first partition body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to be foldable;
A first moving part 140a constituted by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And a second moving part 140b formed of at least one rotatable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ody 110b,
The first moving part is composed of four wheels which are installed near four corner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ody and ar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moving part is installed near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ody, Wherein the wheel is rotated in a horizontal plane according to a folding operation of the first partition body and the second partition body,
The first board structure 120a and the second board structure 120b may include at least one perforated board 121 having at least one hole formed therein for planting plants, a back supporting plate 122 provided at the back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And a water supply unit 123 for supplying water to plants planted on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board 121,
A strap made of a fabric material which is tight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121 so as to pass through the hole and absorb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23 and supplies the water to each hole is installed and the back support plate 122 has a waterproof function The horseshoe board 121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121 in the form of a plate of material and tight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erforated board 121 through the holes to absorb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23, Wherein the strap of the fabric material is fixed to the str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하단에는 제1 배수 저장부(111a)가 형성되고,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하단에는 제2 배수 저장부(11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ition main body 110a is formed with a first drainage storage unit 111a and the second partition main body 110b is provided with a second drainage storage unit 111b.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 본체(110a)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보드 구조체를 이격시켜 결합하는 제1 이격부재(112a)가 설치되고, 제2 파티션 본체(110b)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보드 구조체를 이격시켜 결합하는 제2 이격부재(112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is provided with a first spacing member 112a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body 110a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ard structure 110b. And a second spacing member (112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ac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보드(121)의 상부에는 상기 타공보드(1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상부 급수조(1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water tank (124)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board (1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 저장부(111a) 및 제2 배수 저장부(111b)의 하나 이상에는 상기 타공보드(1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하부 저수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rainage storage unit (111a) and the second drainage storage unit (111b) is provided with a lower water reservoir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 저장부(111a) 및 제2 배수 저장부(111b)의 하나 이상은 상기 타공보드(1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하부 저수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rainage storage unit (111a) and the second drainage storage unit (111b) is a lower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erforated board (12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수조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810),
상기 저수조의 물을 빨아들여 배관을 통하여 타공보드의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820), 및
상기 펌프에 의하여 타공보드의 상부로 공급된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밸브(8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녹화 파티션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A filter 810 for filtering the water of the lower water tank,
A pump 820 for sucking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board through a pipe,
And a valve (842)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water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board by the pump.
삭제delete
KR1020130057238A 2013-05-21 2013-05-21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KR101557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238A KR101557548B1 (en) 2013-05-21 2013-05-21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238A KR101557548B1 (en) 2013-05-21 2013-05-21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56A KR20140136756A (en) 2014-12-01
KR101557548B1 true KR101557548B1 (en) 2015-10-07

Family

ID=5245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238A KR101557548B1 (en) 2013-05-21 2013-05-21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5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70B1 (en) * 2015-04-30 2016-10-04 (주)남영산업 Wall panel assembly with fixed bracket
KR102266017B1 (en) * 2020-12-21 2021-06-17 (주) 사랑모아도건 modular tree-planting system
KR102320687B1 (en) * 2021-02-10 2021-11-02 한양석 Partition structure for beautiful scen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67Y1 (en) 2002-07-08 2002-10-25 이준한 The partition assembly combination notice board of movement fold and unfold
JP2012120517A (en) * 2010-12-07 2012-06-28 Kiyoshi Inao Portable ready-to-assemble greening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67Y1 (en) 2002-07-08 2002-10-25 이준한 The partition assembly combination notice board of movement fold and unfold
JP2012120517A (en) * 2010-12-07 2012-06-28 Kiyoshi Inao Portable ready-to-assemble greening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56A (en)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870B2 (en)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CN103476244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ixed to wall
KR101557548B1 (en) Interior vegetation partition system with moving and folding structure
JP2006280285A (en) Greening structure and water-supply mat each for rising surface such as vertical surface
KR200474733Y1 (en) Air filter using plants
CN201919384U (en) Stereoscopic plant cultivation system
CN203575200U (en) Multifunctional vertical greening frame
USD572625S1 (en) Flower vase stake
CN104255398A (en) Household automatic irrigating system
KR20110101630A (en) Moveable flower bed
KR20150103390A (en) A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CN201286259Y (en) Automatic water-drawing flowerpot
KR101012174B1 (en) Wreath box for alter
KR200465181Y1 (en) Flowerpot Combination table
CN205623413U (en) Pergola is decorated in indoor intelligence decoration
CN202095327U (en) Cultivation box and combined rack using same
CN201718247U (en) Flower pot
KR101576540B1 (en) Flowerpot assembly
KR20080101533A (en) Planting apparatus for decoration
KR101683750B1 (en) Vertical vegetation device
KR101502840B1 (en) A hanger of flower pot for wall decoration
KR200465179Y1 (en) Removable Partitions Flower Pot Combination Cabinets
CN217445972U (en) Multifunctional green plant pot
CN211228853U (en) Modern decoration balcony watertight fittings
CN215074145U (en) Multilayer three-dimensional planting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