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405B1 - 임펠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임펠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405B1
KR101557405B1 KR1020140043822A KR20140043822A KR101557405B1 KR 101557405 B1 KR101557405 B1 KR 101557405B1 KR 1020140043822 A KR1020140043822 A KR 1020140043822A KR 20140043822 A KR20140043822 A KR 20140043822A KR 101557405 B1 KR101557405 B1 KR 10155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weight
balancing
assembly
impe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교상
전병렬
이동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characterised by having means for functioning alternatively as pumps or turbines
    • F03B3/106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characterised by having means for functioning alternatively as pumps or turbines the turbine wheel and the pumps wheel being mounted in adjacent positions on the same shaft in a singl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4Antivibr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02Blade-carrying members, e.g.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원제품인 임펠러나 임펠러 축의 추가적인 가공없이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정확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밸런싱 플러그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임펠러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은 인해 임펠러 조립체 회전에 따른 밸런스 수단에 의한 저항을 방지함은 물론 변형발생없이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는 물론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조립작업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임펠러 조립체{The impeller assembly}
본 발명은 임펠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원제품인 임펠러나 임펠러 축의 추가적인 가공없이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정확하게 밸런스(balance)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임펠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펠러 조립체라 함은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밸런스(balance)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와,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면에 회전력으로 인해 추진력을 갖도록 장착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임펠러 회전에 따른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임펠러를 보호하기 위해 장착되는 페어링 콘(fairing con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임펠러 조립체는 통상 선박의 추진 용도나 워터젯 추진기 등에 고속기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되는 회전체이다.
상기와 같이 임펠러 조립체는 각 부품을 가공작업 등을 통하여 제작한 후 조립작업을 거쳐 정확하게 밸런스(balance)가 이루어지는 지를 테스트(test)한다.
이렇게, 임펠러 조립체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밸런싱 플러그가 장착되기는 하나, 가공시 미세한 오차 또는 비교적 길이가 긴 중공된 임펠러 축 등의 조건 상 정확한 밸런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다.
그에 따라 임펠러 조립체의 정확한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통상 임펠러 또는 임펠러 축의 임의의 부분을 절삭 가공 등을 통하여 정확하게 밸런스가 유지될 때까지 테스트와 병행 작업을 통하여 밸런싱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일본 공개특허 제2010-174807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임펠러의 허브 또는 블레이드를 가공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제7,251,887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 축을 그라인딩(grinding)하여 밸런스를 유지하는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 제2014-20255호(이하 '선행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주위에 언밸런스를 갖는 터빈 임펠러와 압력 임펠러, 상기 터빈 임펠러와 압력 임펠러를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어느 부분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터빈 임펠러, 압력 임펠러 및 샤프트를 포함한 전체의 언밸런스가 감소하도록 소성변형 되는 것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0-174807호 미국 등록특허 제7,251,887호 일본 공개특허 제2014-20255호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 가공된 원제품인 임펠러 축이나 임펠러를 재차 절삭 가공 등을 통하여 밸런싱함에 따라 밸런스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사용 중 가공 처리된 부분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선행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밸런서 유지를 위한 소형 변형시킨 너트 형태의 연결부재를 샤프트의 외측면에 체결하는 것으로, 이는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회전시 저항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고 매번 다른 위치로 설정하여 체결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연결부재는 소형 변형의 특성상 재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써, 원제품인 회전축, 터빈 임펠러, 압력 임펠러 및 샤프트 등의 가공에 따른 작은 오차나 조립 공차가 발생할 경우, 그 작은 가공 오차나 특히 조립 공차로 인해 밸런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원제품인 임펠러나 임펠러 축의 추가적인 가공없이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정확하게 밸런스(balance)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임펠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런스를 더욱더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런스 유지를 위해 번거롭지 않고 더욱더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페어링 콘에 결합되는 퍼티(Putty)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 및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임펠러로 구성되는 임펠러 조립체로서, 상기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weight)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밸런싱 플러그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일면에는 절삭에 따른 중량을 표시하기 위한 중량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절삭 가공에 의해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이 이루어진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는 언밸런싱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홀,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는 복수의 중량체이다.
상기 중량체는 동일한 중량 또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의 허브에는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하중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허브에서의 중량 조절은 상기 허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동일한 중량을 같거나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체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홀에 하중체의 결합은 상기 하중체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결합홀로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 및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임펠러로 구성되는 임펠러 조립체로서, 상기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weight) 조절부이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절부는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 및 상기 복수의 웨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트는 동일한 중량 또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진다.
상기 체결부는 밸런싱 플러그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홈, 상기 웨이트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으로 웨이트를 고정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 및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장착되는 페어링 콘으로 구성되는 임펠러 조립체로서, 상기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weight); 및 상기 페어링 콘에 형성된 복수의 조립홀로 충진 고정되는 복수의 퍼티(Putty);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홀의 내주면에는 충진 고정된 퍼티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나선부, 요철부 또는 스크래치부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은 원제품인 임펠러나 임펠러 축 가공없이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정확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임펠러 조립체 회전에 따른 밸런스 수단에 의한 저항을 방지함은 물론 변형발생없이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는 물론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조립작업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밸런스를 더욱더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밸러스 유지를 위해 번거롭지 않고 더욱더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스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페어링 콘에 결합되는 퍼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임펠러 조립체의 회전시 캐비티 현상없이 더욱더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분해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단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110)과, 상기 임펠러 축(1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120) 및 상기 임펠러 축(110)의 외측면에 회전력으로 인해 추진력을 갖도록 장착되는 임펠러(130)로 구성되는 임펠러 조립체(100)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원제품인 임펠러나 임펠러 축의 추가적인 가공없이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정확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임펠러 조립체(100)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120)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10)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0)는 밸런싱 플러그(120)를 제작시 가공작업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밸런스 조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임펠러 축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된 부분으로 삽입되게 구비됨에 따라 회전에 따른 저항 등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가진다.
밸런스 웨이트(10)는 임펠러 축(110)의 중공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밸런싱 플러그(12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돌출 형성되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10)는 임펠러 축(110)의 중공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밸런스 플러그(120)의 반직경이나 반직경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임펠러 축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함에 따라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유리한 조건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밸런스 웨이트(10)의 일면에는 절삭에 따른 중량을 표시하기 위한 중량 표시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 표시부는 눈금 등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중량 표시부(12)는 절삭되는 밸런스 웨이트 부분의 중량이 대략 몇 그램(g)으로부터 몇 킬로 그램(kg)으로 표시함으로써, 절삭시 임의의 중량이 아닌 정확한 중량으로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10)는 밸런싱 플러그(120) 제작시 적정 중량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 중량을 갖도록 제작한 후 임펠러 조립체(100)의 회전시키면서 일정 중량을 절삭 가공 등을 통하여 정확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량 표시부를 통하여 정확한 중량으로 절삭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밸런싱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임펠러 축에 형성된 중공된 부분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시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저항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임펠러 조립체를 구성하는 원제품인 각 부품의 원형을 유지함은 물론 정확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임펠러 축의 중공 부분으로 삽입되는 밸런스 수단을 절삭 가공을 통하여 밸런스를 더욱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펠러 조립체의 회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밸런싱 플러그에 구비된 밸런스 웨이트와 더블어 더욱더 정교하게 밸런싱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밸런스 웨이트(10)에는 언밸런싱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홀(22)과, 상기 체결홀(22)에 결합되는 복수의 중량체(20)이다. 상기 체결홀로의 중량체의 결합은 통상적인 억지끼움 방식은 물론 나사 결합방식 또는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20)는 동일한 중량 또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중량체(20)는 체결홀(12)에 결합되는 결합부(20a)와 상기 결합부(20a)에 결합 또는 일체로 중량을 가지는 중량부(20b)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밸런스 웨이트에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별도의 추가적인 복수의 중량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보다 정교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밸런싱 플러그에 구비되는 밸런스 웨이트와 더블어 밸런스 유지를 보다 정교하면서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임펠러(130)의 허브(132)에는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하중체(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허브(132)에서의 중량 조절은 상기 허브(132)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홀(32)과, 상기 결합홀(32)에 결합되는 동일한 중량을 같거나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체(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체(30)는 전술한 중량체와 같은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결합홀(32)에 하중체(30)의 결합은 통상적인 결합방식으로 상기 하중체(30)에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홀로 체결되는 통상의 볼트 형태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하중체를 복수 개로 구비하여 필요로 하는 무게만큼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밸런싱 플러그에 구비되는 밸런스 웨이트와 함께 상기한 임펠러 허브에 결합되는 하중체에 의하여 임펠러 조립체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보다 정교하고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분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밸런싱 플러그에 구비되어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수단을 절삭 가공 등을 통하여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중량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110)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120)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 조절부(40)를 구비한다.
밸런스 웨이트 조절부(40)는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42), 및 상기 복수의 웨이트(4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45)를 포함한다.
웨이트(42)는 동일한 중량 또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진다.
체결부(45)는 밸런싱 플러그(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홈(46)과, 상기 웨이트(42)에 형성되는 삽입홀(47) 및 상기 삽입홀(47)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46)으로 웨이트(42)를 고정하는 통상의 스크류나 볼트 등과 같은 형태인 복수의 결합부재(4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웨이트를 체결부에 의해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인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밸런싱 플러그에 밸런스를 위해 구비되는 수단을 전술한 밸런스 웨이트를 절삭 가공 등을 통하여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조립방식이나 결합방식에 의해 정확한 중량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스를 더욱더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스를 탈부착되는 방식에 의해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펠러 조립체의 용량 등에도 상관없이 어떠한 조건에서도 정확하게 밸런싱할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임펠러 조립체를 구성하는 임펠러 또는 임펠러 축에 결합되는 페어링 콘를 포함하다. 상기 페어링 콘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밸런싱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임펠러 축(110)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120)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10); 및 상기 임펠러 축(110)에 임펠러 회전에 따른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면서 상기 임펠러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되는 페어링 콘(140)에 형성된 복수의 조립홀(142)로 충진 고정되는 복수의 퍼티(144);를 포함하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립홀(142)의 내주면에는 충진 고정된 퍼티(144)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홀은 페어링 콘을 임펠러 축 또는 임펠러에 조립하기 위해 형성되는 조립홀로 이를 메우지 않을 경우 임펠러 회전에 따른 캐비티(cavity)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퍼티를 충진시켜 메우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부(50)는 넓은 접촉면적으로 가지면서 충진 후 경화된 상태에서 고속회전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통상의 나선부나 요철부 또는 스크래치부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탈방지부 중에서도 나선부는 간단한 탭 가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요철부나 스크래치부에 비해 비교적 가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조립홀에 충진되어 경화되어 고정되는 퍼티는 상기 조립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에 의해 고속회전에도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 : 밸런스 웨이트 12 : 중량표시부
20 : 중량체 20a : 결합부
20b : 중량부 22 : 체결홀
30 : 하중체 32 : 결합홀
40 : 밸런스 웨이트 조절부 42 : 웨이트
45 : 조절부 46 : 결합홈
47 : 삽입홀 48 : 결합부재
50 : 이탈방지부 100 : 임펠러 조립체
110 : 임펠러 축 120 : 밸런싱 플러그
130 : 임펠러 132 : 허브
140 : 페어링 콘 142 : 조립홀

Claims (16)

  1.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 및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임펠러로 구성되는 임펠러 조립체로서,
    상기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임펠러 축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일면에는 절삭에 따른 중량을 표시하기 위한 중량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밸런싱 플러그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절삭 가공에 의해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는 언밸런싱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홀,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는 복수의 중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동일한 중량 또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허브에는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하중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서의 중량 조절은 상기 허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동일한 중량을 같거나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에 하중체의 결합은 상기 하중체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결합홀로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10.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 및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임펠러로 구성되는 임펠러 조립체로서,
    상기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절부는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 및 상기 복수의 웨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밸런싱 플러그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홈, 상기 웨이트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으로 웨이트를 고정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동일한 중량 또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13. 삭제
  14. 내부가 중공된 임펠러 축과, 상기 임펠러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체결 고정되는 밸런싱 플러그 및 상기 임펠러 축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장착되는 페어링 콘으로 구성되는 임펠러 조립체로서,
    상기 임펠러 조립체의 밸런싱을 위해 상기 임펠러 축의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밸런싱 플러그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 및 상기 페어링 콘에 형성된 복수의 조립홀로 충진 고정되는 복수의 퍼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홀의 내주면에는 충진 고정된 퍼티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나선부, 요철부 또는 스크래치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조립체.
KR1020140043822A 2014-04-11 2014-04-11 임펠러 조립체 KR10155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22A KR101557405B1 (ko) 2014-04-11 2014-04-11 임펠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22A KR101557405B1 (ko) 2014-04-11 2014-04-11 임펠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405B1 true KR101557405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822A KR101557405B1 (ko) 2014-04-11 2014-04-11 임펠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62B1 (ko) 2019-03-28 2020-06-23 유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송풍기 소음 저감을 위한 무게 가변화 장치 및 무게 가변화를 위한 용접 장치
CN114851047A (zh) * 2022-05-10 2022-08-05 岳阳大陆激光技术有限公司 一种风机叶轮修复方法及复型检测工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0255A (ja) * 2012-07-17 2014-02-03 Asano Gear Co Ltd インペラ回転体およびインペラ回転体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0255A (ja) * 2012-07-17 2014-02-03 Asano Gear Co Ltd インペラ回転体およびインペラ回転体の組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62B1 (ko) 2019-03-28 2020-06-23 유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송풍기 소음 저감을 위한 무게 가변화 장치 및 무게 가변화를 위한 용접 장치
CN114851047A (zh) * 2022-05-10 2022-08-05 岳阳大陆激光技术有限公司 一种风机叶轮修复方法及复型检测工装
CN114851047B (zh) * 2022-05-10 2024-03-26 岳阳大陆激光技术有限公司 一种风机叶轮修复方法及复型检测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338B2 (en) Method for balancing a propulsive system having non-hull contra-rotating propellers
JP5829812B2 (ja) 複合タービン動翼組立体
EP174091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balancing a shaft of an aircraft engine
US9039378B2 (en) Marine propeller structure
KR101557405B1 (ko) 임펠러 조립체
US20110274550A1 (en) Yoke and Bearing Fitting Assembly for Rotors
CA2905140A1 (en) Method of balancing a gas turbine engine rotor
EP2920073B1 (en) Rotor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rotational position of a rotor
CN104742645B (zh) 具有可拆卸凸缘的飞机轮辋
US10732072B2 (en) Devices and methods of applying one or more testing forces to a rotor blade
JP6302511B2 (ja) ハブアセンブリ及びプロペラアセンブリ
US9724572B2 (en) Golf club
US20170335896A1 (en) Accessory assembly of a turbine engine
US20160228749A1 (en) Golf club
US5304038A (en) Built-up marine propeller blade balancing
US20220018357A1 (en) Blade pivot of adjustable orientation and of reduced bulk for a turbomachine fan hub
US9550555B2 (en) Propeller arrangement for marine vehicles
US1026733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impeller with positional repeatability
EP3756994B1 (fr) Helice d'avancement munie de pales interchangeables et procede de montage de pales interchangeables sur une helice d'avancement
CN205891208U (zh) 一种用于多轴飞行器的可拼装机架
CN110206646A (zh) 一种航空发动机轴承支承组件及航空发动机
US9802698B2 (en) Rotor hub for rotary wing aircraft
US2317629A (en) Aircraft propeller hub
CN108856762A (zh) 机加工刀柄
US1885487A (en) Prope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