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851B1 - 가방 - Google Patents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851B1
KR101554851B1 KR1020140075137A KR20140075137A KR101554851B1 KR 101554851 B1 KR101554851 B1 KR 101554851B1 KR 1020140075137 A KR1020140075137 A KR 1020140075137A KR 20140075137 A KR20140075137 A KR 20140075137A KR 101554851 B1 KR101554851 B1 KR 101554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ng member
bag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종
김명식
이정훈
한명우
홍영신
Original Assignee
한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우 filed Critical 한명우
Priority to KR102014007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6Ladies' handbags
    • A45C3/08Handbags provided with removable or washable cov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은 몸체와; 상기 몸체가 부착되며, 한 쌍의 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를 탈부착하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고리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끈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람이 많고 좁은 공간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몸체 안의 내용물을 쉽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으며,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자에게 특정한 권한을 부여하고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방 { BAG }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의 몸체를 끈과 분리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가방은 휴대하기 어렵거나 불편한 물건 등을 몸체에 수납하고, 몸체에 적어도 하나의 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들거나 어깨나 등에 메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방은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을 가지며, 한국공개특허 제2011-8390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와 커버를 탈부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가방도 개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가방은 한 쌍의 끈에 의해 사용자의 등에 가방의 몸체가 결합되므로 사람이 많은 곳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줄 우려가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가방의 몸체 안에 있는 내용물을 꺼내거나 넣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람이 많고 좁은 공간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 안의 내용물을 쉽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특정한 권한을 부여하고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몸체와; 상기 몸체가 부착되며, 한 쌍의 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를 탈부착하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고리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끈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는 신축성을 가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광원 또는 출입권한의 확인을 위해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몸체가 부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제1고리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며 한 쌍의 끈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탈부착하는 제2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2고리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와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끈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가방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신축성을 가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의 내측에는 광원 또는 출입권한의 확인을 위해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에 의하면, 사람이 많고 좁은 공간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방에 의하면, 몸체 안의 내용물을 쉽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방에 의하면,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방에 의하면, 작업자에게 특정한 권한을 부여하고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에 포함되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몸체(B)와, 플레이트(10)와, 고리(20)를 포함한다.
몸체(B)는 물건을 수납하고, 플레이트(10)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다. 몸체(B)와 플레이트(10)의 연결은 몸체(B)가 플레이트(10)에 직접 부착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부재(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방(100)의 몸체(B)는 플레이트(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플레이트(10)는 몸체(B)가 부착되며, 몸체(B)는 플레이트(10)와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고리(20)의 결합을 해제한 후 회전에 의해 플레이트(10)와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0)에는 사용자가 어깨에 가방을 맬 수 있도록 몸체(B)가 결합되는 반대측에 한 쌍의 끈(S)이 형성된다.
고리(20)는 몸체(B) 및 플레이트(10)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형성되어 몸체(B)와 플레이트(10)를 탈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20)는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 및 결합의 해제가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은 몸체()와 플레이트(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리(20)의 결합을 해제한 후, 몸체(B)를 플레이트(10)에 형성된 한 쌍의 끈(S) 쪽으로 회전시키고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고리(20a)와 몸체(B)에 형성된 고리(20b)를 결합시키면 사용자의 뒤쪽에 위치한 가방의 몸체(B)를 사용자의 앞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람이 많은 좁은 공간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B)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고, 내용물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200)은 제1플레이트(10)와, 제1고리(20)와, 제2플레이트(30)와, 제2고리(40)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10)는 몸체(B)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10)는 일영역에 형성되어 몸체(B)를 고정시키는 제1고리(20)에 의해 몸체(B)와 결합된다. 이 때, 몸체(B)에는 별도로 형성된 한 쌍의 끈(BS)이 제1고리(20)에 의해 제1플레이트(10)와 고정될 수 있고, 몸체(B)에 제1고리(20)가 결합 후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10)는 한 쌍의 끈(S)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는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의 연결은 제1플레이트(10)가 제2플레이트(30)에 직접 부착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방(200)의 몸체(B)는 제1플레이트(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고리(40)는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를 탈부착한다. 제1플레이트(10)는 제2고리(40)에 의해 제2플레이트(30)와 탈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끈(S) 측으로 회전하여 제2플레이트(30)와 결합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방(200)은 몸체(B)가 고정된 제1플레이트(10)가 제2플레이트(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고리(40)의 결합을 해제한 후, 제1플레이트(10)를 제2플레이트(30)에 형성된 한 쌍의 끈(S) 쪽으로 회전시키고 제1플레이트(10)에 형성된 제2고리(40b)와 제2플레이트(30)에 형성된 제2고리(40a)를 결합시키면 사용자의 뒤쪽에 위치한 가방의 몸체(B)를 사용자의 앞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람이 많은 좁은 공간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B)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고, 내용물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몸체(B)를 전방으로 회전시킨 후 의자에도 편하게 앉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 200)은 몸체(B) 또는 제1플레이트(10)의 내측에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태그는 출입권한의 확인을 위해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 2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작업현장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작업공간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를 출입시스템에 가까이 가져가거나 접촉시킴으로써 출입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출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그는 출입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nnection)나 RFI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 200)은 몸체(B) 또는 제1플레이트(10)의 내측에 광원(미도시)이 부착되어 작업현장에서 어두운 곳을 비추어 작업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방의 일영역에 태양광 모듈이 부착되어 광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 200)의 몸체(B)가 사용자의 앞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광원의 방향을 조정하여 작업현장 등에서 원하는 곳을 비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 200)은 몸체 또는 플레이트의 하단 일영역에 벨트가 형성되고 벨트에는 작업용 도구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수단이 마련되어 작업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에 형성된 벨트에는 작업의 종류별 라벨이 부착되어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를 안내할 수 있고, 라벨이 부착된 지점에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태그가 결합되어 작업현장의 출입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 200)에 포함되는 연결부재(C)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 200)에 포함되는 연결부재(C)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구현되어 몸체(B)가 사용자의 앞쪽으로 회전한 후 플레이트(10)에 손쉽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C)는 제1연결부재(C1)와, 제2연결부재(C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연결부재(C1)는 일단이 몸체(B)의 일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0)에 끈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연결부재(C1)의 일단이 제1플레이트(10)의 일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플레이트(30)에 끈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C2)는 일단이 플레이트(10)의 일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B)의 바깥쪽 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연결부재(C2)는 일단이 제2플레이트(30)의 일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10)의 바깥쪽 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C)는 제1연결부재(C1)와 제2연결부재(C2)가 교번적으로 3개 이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B)가 180° 이상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 플레이트 20 : 고리
30 : 제2플레이트 40 : 제2고리
100, 200 : 가방 B : 몸체
C, C1, C2 : 연결부재 S, BS : 끈

Claims (6)

  1. 몸체와;
    상기 몸체가 부착되며, 한 쌍의 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를 탈부착하는 고리와;
    상기 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한 쌍의 끈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 각각은, 신축성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이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고리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끈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광원 또는 출입권한의 확인을 위해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몸체가 부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제1고리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며 한 쌍의 끈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탈부착하는 제2고리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에 상기 한 쌍의 끈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 각각은, 신축성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띠 형상이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2고리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와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끈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내측에는 광원 또는 출입권한의 확인을 위해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KR1020140075137A 2014-06-19 2014-06-19 가방 KR10155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37A KR101554851B1 (ko) 2014-06-19 2014-06-19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37A KR101554851B1 (ko) 2014-06-19 2014-06-19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851B1 true KR101554851B1 (ko) 2015-09-23

Family

ID=5424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137A KR101554851B1 (ko) 2014-06-19 2014-06-19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4254A (zh) * 2017-07-08 2017-11-10 吕群英 一种用于户外徒步时方便取放物品的背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438A (ja) * 2001-12-19 2003-07-02 Tamurakku:Kk 携帯用収納具の内部照明システム
KR100954496B1 (ko) * 2009-12-21 2010-04-22 김정수 슬라이딩 장치, 아기띠, 배낭, 가방 및 허리띠 배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438A (ja) * 2001-12-19 2003-07-02 Tamurakku:Kk 携帯用収納具の内部照明システム
KR100954496B1 (ko) * 2009-12-21 2010-04-22 김정수 슬라이딩 장치, 아기띠, 배낭, 가방 및 허리띠 배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4254A (zh) * 2017-07-08 2017-11-10 吕群英 一种用于户外徒步时方便取放物品的背包
CN107334254B (zh) * 2017-07-08 2019-11-08 泰州市梦之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户外徒步时方便取放物品的背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36334S1 (en) Convertible strap handbag
USD811729S1 (en) Device holding strap
US9531423B2 (en) Handler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JP3207032U (ja) ネックストラップ構造及びその補助具
US11305443B2 (en) Utility instrument and a method of using same
USD833736S1 (en) Baby changing bag
US8584618B1 (en) Pet carrier
US7761930B2 (en) Cord holding garment
US9954380B2 (en) Decorative charger cable apparatus
TW201325496A (zh) 保全警備背帶護套
KR101554851B1 (ko) 가방
KR101482915B1 (ko) 우산거치대
US20170222196A1 (en) Mobile power supply for garden tools
US11735949B2 (en) Sheath for convenient charging
US8523377B1 (en) Illuminating assembly
US20180368538A1 (en) Assistive Holder
US931409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tore and access tools directly to the palm
US7945969B1 (en) Cord holding garment
KR200483465Y1 (ko) 다기능 벨트
WO2016160603A1 (en) Device cover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KR200480926Y1 (ko) 도구 수납이 가능한 이중 허리띠
EP3096606A1 (en) Pet carrier with geometric-shaped porthole window
JP5737774B1 (ja)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収納ケース
USD834320S1 (en) Retaining strap for MOLLE equipment
JP3154844U (ja) 丸ゴム付クリップバイ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