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640B1 -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640B1
KR101554640B1 KR1020140048303A KR20140048303A KR101554640B1 KR 101554640 B1 KR101554640 B1 KR 101554640B1 KR 1020140048303 A KR1020140048303 A KR 1020140048303A KR 20140048303 A KR20140048303 A KR 20140048303A KR 101554640 B1 KR101554640 B1 KR 10155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dlna
network
related data
interoper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현
최정헌
정용만
오승욱
배현섭
Original Assignee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640B1/ko
Priority to PCT/KR2015/001013 priority patent/WO20151635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은 시험대상장치;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 상기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상기 시험의 결과를 분석하는 시험장치;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시험 절차에 따라 상기 시험을 수행하고, 상기 시험의 결과를 분석하는 시험서버; 상기 시험대상장치 및 상기 시험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연동대상장치 및 상기 시험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는 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서로 송수신되며, 상기 시험장치와 상기 시험서버는 상기 DLNA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The system for testing interoperability among DLNA devices spaced at a long distance}
실시 형태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LNA는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약자로서 DLNA 인증을 통한 제품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조사와 제품 종류에 관계 없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음악/사진/동영상)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규약을 정의하는 단체이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조사와 제품 종류에 관계 없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하는 기능을 DLNA 기능이라고 하며,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를 DLNA 장치라고도 한다.
이론적으로,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들은 서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DLNA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를 사용하여 DLNA 기능이 탑재된 다른 장치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수행하고자 하나, 다른 장치와 콘텐츠 공유가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중의 하나로 두 장치들 사이의 동작 방법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인은 여러가지 원인들 중 하나의 예시적 원인일 뿐이므로, 정확한 원인이 아닐 수 있다.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들 간의 콘텐츠 공유가 되지 않는 현상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두 장치들 중 어떤 장치에 원인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며, 두 장치들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실시 형태는 적은 비용으로 DLNA 장치의 시험 수행이 가능한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 내에 DLNA 장치의 시험 수행이 가능한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LNA 장치 시험 수행의 실패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LNA 장치 시험 수행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DLNA 장치의 시험 수행이 가능한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은 시험대상장치;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모듈과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시험장치; 상기 웹 브라우저의 상호운용성 시험 절차에 따라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는 서버모듈과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상기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시험서버; 상기 시험대상장치 및 상기 시험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연동대상장치 및 상기 시험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는 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에서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연동대상장치로 직접 송수신되며,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시험대상장치로 직접 송수신되며,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 또는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발생하는 상기 DLNA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캡쳐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상기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시험대상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장한 후, 상기 가상 사설망을 통해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서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포장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포장된 메시지에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IP를 포함시킨 후, 상기 연동대상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제 2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는 상기 DLNA 관련 규약을 따르는 DLNA 관련 데이터 또는 상기 시험장치와 상기 시험서버가 각각 보유한 DLNA 관련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 또는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 또는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상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로부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의 결과는 실패로 판단하고, 상기 연동대상장치로부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의 결과에 대해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시험대상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장한 후, 상기 가상 사설망을 통해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포장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포장된 메시지에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IP를 포함시킨 후, 상기 연동대상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시험장치는, 시험대상장치,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 네트워크 장치,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장치,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서버를 포함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장치로서,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모듈; 및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각각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캡쳐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상기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시험서버는, 시험대상장치,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 네트워크 장치,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장치,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를 포함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서버로서,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상호운용성 시험 절차에 따라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는 서버모듈; 및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각각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캡쳐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상기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적은 비용으로 DLNA 장치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 내에 DLNA 장치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DLNA 장치 시험 수행의 실패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DLNA 장치 시험 수행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DLNA 장치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이 구현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이 구현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형태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이 구현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10)은 제 1 망(A)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한 장치들(100, 110, 120, 130)과 제 2 망(B)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한 장치들(200, 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 망(A)과 제 2 망(B)을 나타내었으나, 추가적으로 다른 망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망(A)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영역에는 시험장치(100), 시험대상장치(110), 제 1 네트워크 장치(120) 및 제 1 서버(130)가 존재할 수 있다.
시험장치(100)는 DLNA 장치의 "상호운용성 시험"(이하, "시험"이라고 한다.)을 수행할 사용자가 존재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시험장치(100)는 제 1 네트워크 장치(120)를 통해, 시험대상장치(110) 및 제 1 서버(1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시험대상장치(110)는 DLNA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시험대상장치(110)는 DLNA 기능이 탑재되었다고 보여지는 장치로서,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TV, 컴퓨터, 노트북, PDA, 카메라 등이 될 수도 있다.
제 1 네트워크 장치(120)로는 시험장치(100), 시험대상장치(110) 및 제 1 서버(130) 사이에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험장치(100), 시험대상장치(110) 및 제 1 서버(130)는 제 1 네트워크 장치(12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제 1 망(A)으로 볼 수 있으며, "원격지"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 2 망(B)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영역에는 시험서버(200), 연동대상장치 세트(210), 제 2 네트워크 장치(220) 및 제 2 서버(230)가 존재할 수 있다.
시험서버(200)는 시험대상장치(110)가 시험을 수행하고자하는 장치들의 집합(이하, "연동대상장치 세트"라고 한다.)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존재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는 DLNA 기능을 수행하는 DLNA 장치가 될 수 있다.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로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TV, 컴퓨터, 노트북, PDA,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에서는 4 종류의 연동대상장치들(211, 212, 213, 214)을 하나의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로 나타내었으나,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를 구성하는 연동대상장치들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험서버(200)는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를 통해, 연동대상장치 세트(210) 및 제 2 서버(2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로는 시험서버(200)와 연동대상장치 세트(210) 사이에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시험서버(200), 연동대상장치 세트(210) 및 제 2 서버(230)는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제 2 망(B)으로 볼 수 있으며, "시험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 1 네트워크 장치(120)와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망(A)과 제 2 망(B)은 VPN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시험대상장치(110)과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는 VPN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대상장치(110)와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는 주변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 DLNA 관련 데이터 및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시험대상장치(110)는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시험대상장치(110)는 이러한 주변 장치 검색을 위해,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시험대상장치(110)가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면, 제 1 서버(130)는 제 1 네트워크 장치(120)를 통해 멀티캐스트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서버(130)는 수신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VPN을 통해, 다른 망(제 2 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서버(130)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다른 망으로 전달할 때,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장할 수 있다. 제 1 서버(130)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장한 후, 포장된 메시지를 다른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망에 위치한 제 2 서버(230)는 제 1 망으로부터 전달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전송자 IP 부분을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처음 전송한 장치인 시험대상장치(110)의 IP로 변경한 후, 제 2 망에 존재하는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대상장치(110)의 IP가 (192.168.1.2)이면, 디스커버리 메시지는 시험대상장치(110)의 IP인 (192.168.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대상장치 세트(210)에 속하는 연동대상장치들(211, 212, 213, 214)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연동대상장치들(211, 212, 213, 214) 중 어느 하나가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시험대상장치(110)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한 연동대상장치와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대상장치(110)와 연동대상장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시험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모듈(106) 및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험서버(200)는 서버모듈(202) 및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203)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모듈(106) 및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시험장치(100)의 내부에 저장될 수도 있고, 펌웨어(Firmmware)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이는 서버모듈(202) 및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20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모듈(106)은 DLNA 장치의 시험 수행을 위한 환경을 시험장치(100)에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BT(Computer Based Test)와 같이 상호 작용이 가능한 웹 브라우저를 생성하고, 생성된 웹 브라우저를 표시부(103)를 통해 시험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는 시험서버(200)의 서버모듈(202)에 의해 생성되고, 클라이언트 모듈(106)에 의해 시험장치(1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시험 수행 절차를 포함하는 다수의 웹 페이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시험 수행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시험 수행 절차의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표시부(103)에 표시된 웹 브라우저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입출력부(104)를 통해 입력함으로서, 시험대상장치(110)에 관한 시험 수행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입출력부(104)로는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스타일러스, 터치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버모듈(202)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수행되는 시험 수행 절차에 따라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모듈(202)은 시험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시험 항목 및 절차를 시험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시험 수행 결과의 판단 보고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10)에 의하면, 시험대상장치(110)와 연동대상장치 세트(210)가 물리적으로 먼 거리에 존재하더라도,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험소"는 여러 종류의 연동대상장치들(211, 212, 213, 214)를 포함하는 연동대상장치 세트(21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시험대상장치(110)와 시험 수행을 위한 연동대상장치들(211, 212, 213, 214)을 구매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저비용으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VPN을 통해 시험을 수행하므로, 빠른 속도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시험대상장치(110)가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검색을 완료하면, 시험대상장치(110)는 검색된 연동대상장치(211)와 DLNA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DLNA 관련 데이터는 제 1 네트워크 장치(120)와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시험장치(100)와 시험서버(200)는 이러한 DLNA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제 1 네트워크 장치(120)와 제 2 네트워크 장치(220)을 통해 송수신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험대상장치(110) 또는 연동대상장치(211)가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험장치(100)는 DLNA 관련 규약에 따르는 일련의 DLNA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부(102)에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다.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시험대상장치(110)로부터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시험대상장치(110)로부터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가 DLNA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제 1 네트워크 장치(120)와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를 통해 송수신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캡쳐하여 시험대상장치(110)로부터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DLNA 관련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을 비교하여, DLNA 관련 데이터의 DLNA 규약 준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 결과, DLNA 관련 데이터들이 일치하면, 시험대상장치(110)에서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는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판별 결과는 표시부(103)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험대상장치(110)에 관한 시험을 마치고, 시험 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비교 결과, DLNA 관련 데이터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시험대상장치(110)에서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가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03)를 통해 시험 판별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험 결과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원인은 시험대상장치(110)에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험대상장치(110)에서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 중, 오류가 발생한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오류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수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연동대상장치(211)로부터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연동대상장치(211)로부터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가 DLNA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제 1 네트워크 장치(120)와 제 2 네트워크 장치(220)를 통해 송수신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캡쳐하여 연동대상장치(211)로부터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DLNA 관련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을 비교하여, DLNA 관련 데이터의 DLNA 규약 준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은 시험장치(100)와 시험서버(200)가 보유한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DLNA 관련 데이터 송수신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험장치(100)와 시험서버(200)가 보유한 DLNA 관련 데이터가 서로 다르면, 인터넷을 통한 DLNA 관련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험장치(100)와 시험서버(200)는 시험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시험서버(200)의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203)도 제 1 네트워크 장치(120)와 제 2 네트워크 장치(220)을 통해 송수신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험대상장치(110) 또는 연동대상장치(211)가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험서버(200)는 DLNA 관련 규약에 따르는 일련의 DLNA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부(205)에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다.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203)은 연동대상장치(211)부터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의 오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10)에 의하면, DLNA 장치 시험 수행의 실패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107)을 통해 실패 원인을 분석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실패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도 3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이 구현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20)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20)과 다르게, 제 1 서버 및 제 2 서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제 1 네트워크 장치(320) 및 제 2 네트워크 장치(420)는 각각 제 1 서버 및 제 2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모듈(Agent module)(330a, 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20)에서, 제 1 네트워크 장치(320)는 수신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제 2 망으로 전송할 때, TCP/IP 패킷으로 포장한 후, 전송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장치(320)의 에이전트 모듈(330a)은 망 내부로부터 수신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제 2 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망에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네트워크 장치(420)는 제 2 네트워크 장치(420)가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함에도 불구하고,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전송 장치의 IP를 시험대상장치(310)의 IP로 변경한 후, 제 2 망 내에서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을 통해, 시험대상장치(310)가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검색을 완료하면, 시험대상장치(310)는 검색된 연동대상장치(311)와 DLNA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DLNA 관련 데이터는 제 1 네트워크 장치(320)와 제 2 네트워크 장치(420)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시험장치(300)와 시험서버(400)는 이러한 DLNA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시험 수행 동작 및 분석 동작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20)에 의하면, 시험대상장치(310)와 연동대상장치(411)가 물리적으로 먼 거리에 존재하더라도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어떤 상황에서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험 수행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VPN을 통해 시험대상장치(310)와 연동대상장치(4110)가 직접 시험을 위한 DLNA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빠른 속도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10, 20: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100, 300: 시험장치
106, 306: 클라이언트 모듈
107, 307: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
110, 310: 시험대상장치
120, 320: 제 1 네트워크 장치
130: 제 1 서버
200, 400: 시험서버
202, 402: 서버모듈
203, 403: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
210, 410: 연동대상장치 세트
220, 420: 제 2 네트워크 장치
230: 제 2 서버

Claims (15)

  1. 시험대상장치;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모듈과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시험장치;
    상기 웹 브라우저의 상호운용성 시험 절차에 따라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는 서버모듈과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상기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시험서버;
    상기 시험대상장치 및 상기 시험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연동대상장치 및 상기 시험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는 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에서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연동대상장치로 직접 송수신되며,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시험대상장치로 직접 송수신되며,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 또는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발생하는 상기 DLNA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캡쳐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상기 DLNA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시험대상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장한 후, 상기 가상 사설망을 통해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서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포장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포장된 메시지에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IP를 포함시킨 후, 상기 연동대상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제 2 서버;를 더 포함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는 상기 DLNA 관련 규약을 따르는 DLNA 관련 데이터 또는 상기 시험장치와 상기 시험서버가 각각 보유한 DLNA 관련 데이터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 또는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 또는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상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다시 수행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로부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의 결과는 실패로 판단하고,
    상기 연동대상장치로부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의 결과에 대해 판단하지 않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시험대상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장한 후, 상기 가상 사설망을 통해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포장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포장된 메시지에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IP를 포함시킨 후, 상기 연동대상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12. 시험대상장치,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 네트워크 장치,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장치,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서버를 포함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모듈; 및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각각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캡쳐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상기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시험장치.
  14. 시험대상장치,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 네트워크 장치,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장치, 상기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가상 사설망을 통해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대상장치를 포함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된 시험서버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상호운용성 시험 절차에 따라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하는 서버모듈; 및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가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시험대상장치 또는 상기 연동대상장치에서 각각 발생하는 DLNA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캡쳐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상기 DLAN 관련 규약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험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프로토콜 분석모듈은,
    상기 획득된 DLNA 관련 데이터와 상기 미리 저장된 DLNA 관련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상호운용성 시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시험서버.
KR1020140048303A 2014-04-22 2014-04-22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KR10155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303A KR101554640B1 (ko) 2014-04-22 2014-04-22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PCT/KR2015/001013 WO2015163566A1 (ko) 2014-04-22 2015-01-30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303A KR101554640B1 (ko) 2014-04-22 2014-04-22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640B1 true KR101554640B1 (ko) 2015-09-21

Family

ID=5424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303A KR101554640B1 (ko) 2014-04-22 2014-04-22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4640B1 (ko)
WO (1) WO20151635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320B1 (ko) 2013-04-30 2014-01-10 ㈜스파이카 패킷 분석을 이용한 원격지 dlna 단말의 호환성 테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115B1 (ko) * 2010-02-16 2011-11-21 아이유미디어 주식회사 디엘엔에이 기반의 인터넷 가상 홈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320B1 (ko) 2013-04-30 2014-01-10 ㈜스파이카 패킷 분석을 이용한 원격지 dlna 단말의 호환성 테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3566A1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602B2 (en) Transferring application data between devices
US10455005B2 (en) Detecting virtual private network usage
US20170187831A1 (en) Universal Abstraction Layer and Management of Resource Devices
US20160088064A1 (en) Storing and transferring application data between devices
CN104915296A (zh) 埋点测试方法、数据的查询方法及装置
CN105323247A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入侵检测系统
US20170168881A1 (en) Process chain discovery across communication channels
US11706648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WI-FI media streaming using an alternate access point
CN109510738B (zh) 一种通信链路的测试方法及设备
US201503817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files over p2p
Ray et al.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security testing framework
US20130054829A1 (en) Discovering a server device, by a non-dlna device, within a home network
Girish et al. In the Room Where It Happens: Characterizing Local Communication and Threats in Smart Homes
US20240040473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redirect internet clients for media monitoring
KR101554640B1 (ko)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US8964567B2 (en) Wireless synchronization testing
CN104184565A (zh) 一种处理重传信息的方法及装置
TWI538441B (zh) 用以建構網路結構部署圖之處理系統及其方法與內儲網路結構部署分析程式之電腦程式產品
US20140344568A1 (en) Server node discovery mechanism applied in cloud envionment capable of searching server node within cloud service cluster
Peng et al. A novel vulnerability detection method for ZigBee MAC layer
US202201168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sensing analysis with a non-cooperative recipient device
KR101424197B1 (ko)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WO2023024928A1 (zh) 应用程序的检测方法、装置及设备
Larsson Are modern smart cameras vulnerable to yesterday’s vulnerabilities?: A security evaluation of a smart home camera
KR101424196B1 (ko) Dlna 장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시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