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327B1 -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 Google Patents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327B1
KR101554327B1 KR1020140059180A KR20140059180A KR101554327B1 KR 101554327 B1 KR101554327 B1 KR 101554327B1 KR 1020140059180 A KR1020140059180 A KR 1020140059180A KR 20140059180 A KR20140059180 A KR 20140059180A KR 101554327 B1 KR101554327 B1 KR 10155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ntainer
coupled
container
link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순규
Original Assignee
오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순규 filed Critical 오순규
Priority to KR102014005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3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25Closure members opened by lever action and maintained closed by spr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Abstract

A multi-stage airtight container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tage airtight container comprises: a first outer container with an open top; a second outer container with an open top to be laid on the top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 lid for closing the open top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a first column of which the bottom is join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which is inserted into a first through-hole penetrating the second outer container in a vertical direction; a fastening part joined to the first column to be detached to pressurize the top of the lid downward; and a rotation prevention part join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er containers to be detached.

Description

다단식 밀폐용기{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0001]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0002]

본 발명은 다단식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최근 등산, 캠핑 등 레저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야외에서 식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As recreational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and camping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eating outdoors frequently occurs.

야외에서 식사하는 경우, 미리 준비한 음식을 음식 종류별로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는 복수의 수납용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복수의 수납용기에는 보온밥통 외에 반찬용기가 포함될 수 있다.When eating outdoors, it is necessary to have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capabl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prepared food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he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may include a container for side dishes in addition to a thermos bottle.

반찬용기는 반찬 종류별로 복수로 준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찬용기는 개별적으로 뚜껑을 구비하고, 뚜껑은 각각의 반찬용기에 나사결합 되거나 또는 클립 등의 별도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반찬용기는 관리 및 보관이 번거롭기 때문에, 복수의 반찬용기가 상호간에 적층된 찬합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Container containers are generally prepared in plural for each type of side dish. The side dish containers are individually provided with a lid, and the lid can be screwed into each side dish container or can be joined through separate attachment means such as clips. Since the individual dish containers are cumbersome to manage and store, a plurality of side dishes can be used in a stacked form.

하지만, 찬합 형태의 복수의 반찬용기를 사용하더라도, 정작 식사를 할 때는 개별 반찬용기로 분리하여 사용하므로 사용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개별 반찬용기 상호간에 결합이 느슨해져 의도치 않게 분리되거나 밀폐가 되지 않아 음식이 외부로 새어 나오거나 보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a plurality of side dish containers of the form of a confection ar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area is increased because the side dishes are separated and used separately when eating. In additio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ividual side dish containers is loosened and the food is not unintentionally separated or sealed so that the food is leaked to the outside or the heat insulation is deteriorat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7136호(2014. 01. 23, 결합력유지와 분리의 용이성을 갖는 다단적층밀폐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7136 (Apr. 23, 2013, multi-layer laminated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having ease of separation and sepa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호간에 적층된 형태의 복수의 용기를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다단식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stacked containers can be rotat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one rotation ax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제1 외부 용기;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외부 용기;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뚜껑; 하단이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 용기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 홀에 삽입되는 제1 컬럼; 상기 제1 컬럼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뚜껑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 외부 용기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outer container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 second outer container opened on an upper surface and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 lid closing an open top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A first column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at a lower end thereof and inserted into a first through hole formed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cond outer container; A fasten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lumn to press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And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상기 제1 외부 용기와 상기 제2 외부 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패킹;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pack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And a second packing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container and the lid.

상기 제1 컬럼의 상단에는 복수의 제1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홈은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홈 중 어느 하나의 제1 결합 홈에 결합될 수 있다.Wherein a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grooves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and the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grooves are dispos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제1 컬럼은 상기 뚜껑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뚜껑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column may vertically penetrate the lid, and the upper end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외부 측면에 결합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손잡이; 일단이 상기 제1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변 링크; 상기 제1 가변 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1 가압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 first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 first variable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A first press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lexible link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dge of the lid; And a first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frame, the first ring being insertable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상기 제1 가변 링크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variable link may be adjustabl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상기 제1 가변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1 구동 링크; 및 일단 외주면에 상기 제1 구동 링크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종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ariable link includes a first drive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handle to be rotatable and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irst driven link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mate with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first driving link,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en link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frame.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외부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 상기 제2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 일단이 상기 제2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가변 링크; 상기 제2 가변 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2 가압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A second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A second variable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 second pressing frame pivot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exible link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dge of the lid; And a second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the second ring being insertable into the first engaging groove.

상기 제2 가변 링크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cond variable link may be adjustabl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상기 제2 가변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2 구동 링크; 및 일단 외주면에 상기 제2 구동 링크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종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ariable link includes a second drive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and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driven link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emale screw meshing with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second drive link,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en link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상기 제1 컬럼의 상단은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상기 체결부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3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손잡이; 상기 제3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는 만곡 프레임; 일단이 상기 만곡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 가변 링크; 및 상기 제3 가변 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third bracke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id; A third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bracket; A curved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handle and capable of being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top edge of the lid; A third variable link,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urvature frame; And a latch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variable link and insertable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상기 제3 가변 링크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third variable link may be adjustabl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상기 제3 가변 링크는, 일단이 상기 만곡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3 구동 링크; 및 일단 외주면에 상기 제3 구동 링크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걸쇠에 결합되는 제3 종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variable link includes a third drive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urved frame and the other end having an internal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third driven link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third drive link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latch.

상기 만곡 프레임은, 상기 제3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고리; 및 상기 제3 고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3 가변 링크가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urved frame comprises: a third loop pivotally coupled to the third handle; And a rotation frame coupled to the third ring so as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of a shape tha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lid and to which the third variable link is coupled.

상기 제3 고리는 상기 회동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loop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 frame.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수용되는 제1 내부 용기;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에 수용되는 제2 내부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inner container received in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a second inner container received in the second outer container.

상기 제1 내부 용기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상기 제2 내부 용기는 상기 제2 외부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일부 돌출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inner container is partially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while being housed in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may partiall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상기 제1 내부 용기 및 상기 제2 내부 용기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container and the second inner container may be open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외부 저면에는 상기 제1 내부 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밀폐 홈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저면에는 상기 제2 내부 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밀폐 홈이 형성될 수 있다.Wherein a first sealing groove is formed i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to receive an upper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and an upper e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inner container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d A second sealing groove which can be accommodated can be formed.

상기 제1 내부 용기의 상단에는 만곡되어 상기 제1 밀폐 홈의 내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제1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내부 용기의 상단에는 만곡되어 상기 제2 밀폐 홈의 내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제2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a first curved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losed groove and is curv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closed groove The second bend portion can be formed.

상기 제1 외부 용기와 상기 제2 외부 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상기 제2 외부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container and the lid.

상기 회전방지부는, 하단이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 용기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관통 홀에 삽입되는 제2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column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detachably inserted and inserted into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outer container vertically.

상기 체결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체결부 중 하나의 체결부는 상기 제2 컬럼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s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and one fasten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lumn.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결합되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plurality of pedestal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컬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중심의 반대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pedestal may exte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lumn.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 홈에 수용될 수 있다.The pedestal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may be received in a first receiving reces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 홈에 수용될 수 있다.The pedestal may be slid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may be received in a first receiving reces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상기 받침대는, 일단이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서브 받침대; 및 상기 제1 서브 받침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서브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수용 홈에 수용될 수 있는 제2 서브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destal includes: a first sub-pedestal having one e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a second sub-pedestal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b-pedestal so as to be rotatable, the second sub-pedestal being accommodated in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b-pedest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외부 용기가 상호간에 적층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등산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하고, 체결부에 의해 뚜껑의 상면을 하향 가압함으로써 외부 용기 상호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방지부를 분리하면 복수의 외부 용기가 제1 컬럼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펼쳐질 수 있어 복수의 외부 용기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outer containers are formed in a stacked manner, it is easy to store them in a climbing bag or the lik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is pressed downward by the fastening portions, Since the plurality of outer vessels can be deploy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lumn by separating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the plurality of outer vessels can be used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outer vessels,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펼친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도 1의 A - 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펼친 상태에서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에서 체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체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받침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에서 체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체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에서 체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체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anded stat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showing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of the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s are separated. FIG.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astening portion of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edestal.
10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part separated from the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astening portion of Fig.
13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part in a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ploded view of the fastening portion of Fig. 14.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펼친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도 1의 A - 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펼친 상태에서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 - A in FIG. 1; FIG. 4 is a cross- FIG. 6 is a top view of the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10)는 제1 외부 용기(100), 제2 외부 용기(140), 뚜껑(180), 제1 컬럼(200), 체결부(300) 및 회전방지부(400)를 포함한다.
1 to 6,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uter container 100, a second outer container 140, a lid 180, a first column 200 A coupling part 300, and a rotation preventing part 400. [

제1 외부 용기(10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may have an open top surface.

음식물은 제1 외부 용기(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제1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제1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제1 내부 용기(110)의 내부에 수납될 수도 있다.The food may be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or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It may be housed inside.

제1 내부 용기(110)는 제1 외부 용기(100) 외에 별도 구비됨으로써 분리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o facilitate separate cleaning.

제2 외부 용기(14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may have an open top surface.

음식물은 제2 외부 용기(14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제2 외부 용기(14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제2 외부 용기(1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제2 내부 용기(150)의 내부에 수납될 수도 있다.The food may be stored in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or in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that may be received within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It may be housed inside.

제2 내부 용기(150)는 제2 외부 용기(140) 외에 별도 구비됨으로써 분리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to facilitate separate cleaning.

제2 외부 용기(140)는 제1 외부 용기(10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may b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제2 외부 용기(140)는 제1 외부 용기(100)의 상면에 적층됨으로써 제1 외부 용기(10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할 수 있고,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는 상호간에 적층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등산 가방 등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can b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o close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00 140 can be easily stacked in a climbing bag or the like.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 사이에는 제1 패킹(120)이 개재될 수 있다.A first packing 12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제1 패킹(12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first packing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hermeticity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can be improved.

제1 패킹(120)은 제1 외부 용기(100)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1 패킹 홈(10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acking 1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acking groove 101, which is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뚜껑(18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d 18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뚜껑(180)은 제2 외부 용기(140)의 상면에 적층됨으로써 제2 외부 용기(14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The lid 180 may b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to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제2 외부 용기(140)와 뚜껑(180) 사이에는 제2 패킹(160)이 개재될 수 있다.A second packing 16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nd the lid 180.

제2 패킹(16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 외부 용기(140)와 뚜껑(180)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second packing 16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hermeticity between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nd the lid 180 can be improved.

제2 패킹(160)은 제2 외부 용기(140)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2 패킹 홈(141)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packing 16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acking groove 14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제1 컬럼(2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lumn 200 may have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 컬럼(200)은 하단에서 제1 외부 용기(100)와 결합되고, 제2 외부 용기(14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 홀(143)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column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4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lumn 200 and coupled to the first outer vessel 100 through the second outer vessel 140.

예를 들어, 제1 컬럼(200)의 하단은 제1 외부 용기(100)의 측벽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제1 관통 홀(143)은 제2 외부 용기(140)의 측벽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lumn 200 may be inserted and screwed in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first through hole 143 may be formed by vertically moving the side wall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up and down As shown in FIG.

그 결과, 제2 외부 용기(140)는 제1 컬럼(20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can pivot about the first column 200.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는 제1 컬럼(200)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펼쳐짐으로써 상호간에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도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에 수납된 음식물을 꺼낼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4 and 6,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re unfolded at different angles about the first column 200, so that they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1 The food stored in the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can be taken out,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본 실시예에서, 제1 컬럼(200)은 뚜껑(180)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단이 뚜껑(180)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lumn 200 may vertically penetrate the lid 180, and the upper end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제1 컬럼(200)의 상단에는 체결부(300)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결합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210 can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200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300 can be coupled.

복수의 제1 결합 홈(210)은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체결부(300)는 복수의 제1 결합 홈(210) 중 어느 하나의 제1 결합 홈(2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210 may b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ortion 300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210 .

그 결과,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에 경화로 인한 소성 변형이 발생하거나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이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체결부(300)는 복수의 제1 결합 홈(210) 중 보다 아래 쪽의 제1 결합 홈(2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if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undergo plastic deformation due to curing or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are worn to be thinner, 3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lower first coupling groove 210 of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210.

체결부(300)는 제1 컬럼(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뚜껑(18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lumn 200 to press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에서 체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체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part in a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astening part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300)는 제1 브래킷(301), 제1 손잡이(303), 제1 가변 링크(305), 제1 가압 프레임(307) 및 제1 고리(309)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 300 includes a first bracket 301, a first handle 303, a first variable link 305, a first pressing frame 307, And may include a first loop 309.

제1 브래킷(301)은 제1 외부 용기(100)의 외부 측면에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301 can be screw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제1 손잡이(303)는 제1 브래킷(30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handle 303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301. [

이를 위해, 제1 브래킷(301)과 제1 손잡이(303)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1)이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horizontal pin (P1)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bracket (301) and the first handle (303).

제1 가변 링크(305)는 제1 손잡이(303)에 결합되는 일단과 제1 가압 프레임(307)에 결합되는 타단 사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ariable link 305 may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between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handle 303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pressurizing frame 307 can be adjusted.

그 결과,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에 경화로 인한 소성 변형이 발생하거나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이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제1 가변 링크(30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가압 프레임(307)이 뚜껑(18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if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undergo plastic deformation due to curing or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are worn to be thin, the first variabl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ink 305, the first pressurizing frame 307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구체적으로, 제1 가변 링크(305)는 제1 구동 링크(305a) 및 제1 종동 링크(305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variable link 305 may include a first driven link 305a and a first driven link 305b.

제1 구동 링크(305a)의 일단은 제1 손잡이(303)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drive link 305a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303.

이를 위해, 제1 구동 링크(305a)와 제1 손잡이(303)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2)이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a horizontal pin P2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drive link 305a and the first handle 303.

제1 구동 링크(305a)의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e link 305a.

제1 종동 링크(305b)의 일단 외주면에는 제1 구동 링크(305a)의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A male screw that engages with the female screw of the first drive link 305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one end of the first driven link 305b.

제1 종동 링크(305b)는 제1 구동 링크(305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가변 링크(305)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암나사는 제1 구동 링크(305a)에 형성되고, 수나사는 제1 종동 링크(305b)에 형성되었지만, 그 반대도 가능할 것이다.The length of the first variable link 305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first driven link 305b relative to the first driving link 305a.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first drive link 305a and the male screw is formed on the first driven link 305b, and vice versa.

제1 종동 링크(305b)의 타단은 제1 가압 프레임(307)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en link 305b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frame 307. [

이를 위해, 제1 종동 링크(305b)와 제1 가압 프레임(307)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3)이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a horizontal pin P3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driven link 305b and the first pressurizing frame 307. [

제1 가압 프레임(307)은 뚜껑(180)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함으로써, 제1 가압 프레임(307)을 뚜껑(180)의 상면 모서리에 밀착시킨 상태로 제1 손잡이(303)를 제1 브래킷(301)에 대해 하향 회동시켜 잠그면, 제1 가압 프레임(307)은 뚜껑(18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pressing frame 307 has a contact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edge of the lid 180 so that the first pressing frame 307 is in contact with the top edge of the lid 180, The first pressing frame 307 can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downward.

제1 고리(309)는 제1 가압 프레임(307)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고리"라는 용어는 긴 쇠붙이나 줄, 끈 따위를 구부리고 양 끝을 맞붙여 둥글거나 모나게 만든 것뿐만 아니라 양 끝이 맞붙지 않은 것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ing 309 can be pivotably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frame 307.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ring" may include not only a long metal wire, a cord, a string, or both ends rounded or rounded, but not both ends.

즉, 제1 고리(309)의 양 끝은 제1 가압 프레임(307)에 삽입됨으로써, 제1 고리(309)는 제1 가압 프레임(307)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at is, both ends of the first ring 309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ressing frame 307, so that the first ring 309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frame 307.

제1 고리(309)는 제1 결합 홈(210)에 삽입되어 제1 컬럼(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2 외부 용기(140) 또는 뚜껑(180)이 제1 컬럼(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ring 309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lumn 200 so that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or the lid 18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lumn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회전방지부(400)는 제1 외부 용기(100) 및 제2 외부 용기(140)에 동시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anti-rotation part 4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t the same time.

회전방지부(400)는 제1 외부 용기(100) 및 제2 외부 용기(140)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제2 외부 용기(140)가 제1 컬럼(20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400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from rotating about the first column 200 have.

구체적으로, 회전방지부(400)는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가 제1 컬럼(200)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ti-rotation part 400 may prevent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from spreading at different angles about the first column 200.

이와 반대로, 회전방지부(400)는 제1 외부 용기(100) 및 제2 외부 용기(14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2 외부 용기(140)가 제1 컬럼(20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400 is detached from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to allow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to rotate about the first column 200 It is possible.

회전방지부(400)는 제2 컬럼(4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i-rotation part 400 may include a second column 410.

제2 컬럼(4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olumn 410 may have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 컬럼(410)은 하단에서 제1 외부 용기(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외부 용기(140)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2 관통 홀(145)에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column 4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t the lower end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5 passing through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vertically.

본 실시예에서, 제2 컬럼(410)은 뚜껑(180)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단이 뚜껑(180)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lumn 410 may vertically penetrate the lid 180, and the upper end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제2 컬럼(410)은 제1 컬럼(20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lumn 410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first column 200.

그 결과, 제2 컬럼(410)은 제1 컬럼(200)과 협력하여 제2 외부 용기(140)가 제1 컬럼(20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column 410 can prevent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from pivoting about the first column 200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olumn 200.

한편, 체결부(3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30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체결부(300) 중 하나의 체결부(300)는 제1 컬럼(200)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컬럼(410), 구체적으로는 제2 컬럼(4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결합 홈(411) 중 어느 하나의 제2 결합 홈(41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체결부(300)는 제1 외부 용기(100), 제2 외부 용기(140) 및 뚜껑(18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300 are formed, the fastening portions 300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3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lumn 200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41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lumn 410, specifically, the second column 4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s 411, have. As a result, the fastening portion 300 can further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nd the lid 180.

제1 내부 용기(110)는 제1 외부 용기(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외부 용기(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일부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may partiall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내부 용기(150)는 제2 외부 용기(1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외부 용기(14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일부 돌출될 수 있다.Likewise,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may partiall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그 결과, 제1 내부 용기(110) 내지 제2 내부 용기(150)는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잡고 제1 외부 용기(100) 내지 제2 외부 용기(1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to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o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by holding the protruding upper end.

제1 내부 용기(110) 및 제2 내부 용기(15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may have an open top surface.

제1 내부 용기(110) 및 제2 내부 용기(150)가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음식물은 제1 내부 용기(110) 및 제2 내부 용기(15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제1 내부 용기(110) 및 제2 내부 용기(150)의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are formed in an open top shape, the food is supplied to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And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inner vessel 110 and the second inner vessel 150.

제2 외부 용기(140)의 외부 저면에는 제1 밀폐 홈(147)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ealing groove 147 may be form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제1 밀폐 홈(147)은 제1 내부 용기(110)의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수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부 용기(110)의 내부는 제1 밀폐 홈(147)의 내면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groove 147 can receive 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As a result, the inside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can be seal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groove 147.

뚜껑(180)의 외부 저면에는 제2 밀폐 홈(181)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sealing groove 181 may be form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lid 180.

제2 밀폐 홈(181)은 제2 내부 용기(150)의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수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내부 용기(150)의 내부는 제2 밀폐 홈(181)의 내면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groove 181 can receive 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As a result, the inside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can be seal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

제1 내부 용기(110)의 상단에는 제1 만곡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end section 1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제1 만곡부(111)는 제1 내부 용기(110)에서 위로 갈수록 제1 내부 용기(11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만곡되는 영역을 의미한다.The first bend section 111 refers to a region curved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toward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제1 만곡부(111)의 상단은 제1 밀폐 홈(147)의 내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밀폐 홈(147)의 내부 측면과 내부 상면이 협력하여 제1 내부 용기(110)의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bend section 11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groove 147. As a result,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groove 147 and the inner top surface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improve the hermeticity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does not leak.

제2 내부 용기(150)의 상단에는 제2 만곡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bend section 151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제2 만곡부(151)는 제2 내부 용기(150)에서 위로 갈수록 제2 내부 용기(15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만곡되는 영역을 의미한다.The second curve portion 151 refers to a region curved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toward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제2 만곡부(151)의 상단은 제2 밀폐 홈(181)의 내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밀폐 홈(181)의 내부 측면과 내부 상면이 협력하여 제2 내부 용기(150)의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econd curve portion 15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 As a result,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 cooperat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 to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does not leak.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130)이 개재될 수 있다.A first spring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제1 스프링(130)은 이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가 상호간에 상하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spring 13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is removed.

그 결과, 체결부(300)를 분리하여 제1 스프링(130)에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제1 스프링(130)은 제2 외부 용기(140)를 제1 외부 용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킴으로써, 제1 내부 용기(110)의 상단을 제1 밀폐 홈(147)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제2 외부 용기(140)가 제1 외부 용기(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coupling portion 300 is separated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spring 130 is removed, the first spring 130 moves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from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1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aling groove 147 so that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can be easily pivoted relative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

제1 스프링(130)은 제1 외부 용기(100)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1 스프링 홈(103)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pring 1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pring groove 103, which is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제2 외부 용기(140)와 뚜껑(180)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170)이 개재될 수 있다.A second spring 170,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nd the lid 180.

제2 스프링(170)은 이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2 외부 용기(140)와 뚜껑(180)이 상호간에 상하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spring 170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nd the lid 180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is removed.

그 결과, 체결부(300)를 분리하여 제2 스프링(170)에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제2 스프링(170)은 뚜껑(180)을 제2 외부 용기(14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킴으로써, 제2 내부 용기(150)의 상단을 제2 밀폐 홈(181)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뚜껑(180)을 제2 외부 용기(140)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spring 170 is removed by separating the fastening part 300, the second spring 170 moves the lid 180 away from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15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 and the lid 18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

제2 스프링(170)은 제2 외부 용기(140)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2 스프링 홈(149)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pring 17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pring groove 149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제1 외부 용기(100)의 하단에는 복수의 받침대(500)가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edestals 5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복수의 받침대(500)는 제1 외부 용기(100)의 직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edestals 500 may extend radial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복수의 받침대(500)는 제1 외부 용기(100), 제2 외부 용기(140) 및 뚜껑(180)이 적층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pedestals 500 can distribute the load so that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and the lid 180 can be stably erected even in a stacked state.

복수의 받침대(500)는 제1 컬럼(200)을 기준으로 제1 외부 용기(100)의 중심의 반대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edestals 500 may exte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with respect to the first column 200.

그 결과, 복수의 받침대(500)는 제1 외부 용기(100)와 제2 외부 용기(140)가 제1 컬럼(200)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plurality of pedestals 500 disperses the load so that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can be stably erected at different angles about the first column 200 .

일 예시로써, 받침대(500)는 제1 외부 용기(1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edestal 500 may be pivot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이를 위해, 제1 외부 용기(100)와 받침대(500)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4)이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a pin P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pedestal 500.

도 9는 받침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edestal.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예시로써, 받침대(500)는 제1 외부 용기(100)의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s another example, the pedestal 50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이를 위해, 제1 외부 용기(100)와 받침대(500)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4)이 결합될 수 있고, 받침대(500)에는 핀(P4)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가이드 홈(501)이 형성될 수 있다.A horizontal pin P4 can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and the pedestal 500 and a guide groove 501 in which the pin P4 can slide can be formed on the pedestal 500 .

그 결과, 받침대(500)는 회동 또는 슬라이딩 되어 제1 외부 용기(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 홈(105)에 수용됨으로써 돌출 부위를 최소화하여 등산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radle 500 is pivotally or slidably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hereby minimizing the protruding portion and facilitating the storage in the climbing bag or the like.

받침대(500)는 제1 서브 받침대(510) 및 제2 서브 받침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destal 500 may include a first sub-pedestal 510 and a second sub-pedestal 520.

제1 서브 받침대(510)의 일단은 제1 외부 용기(100)의 하단에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sub-pedestal 51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to be rotatable or slidable.

제1 서브 받침대(510)의 타단에는 제2 서브 받침대(52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ub-pedestal 520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b-pedestal 510.

이를 위해, 제1 서브 받침대(510)와 제2 서브 받침대(520)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5)이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horizontal pin (P5)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sub-pedestal (510) and the second sub-pedestal (520).

그 결과, 제2 서브 받침대(520)는 회동 되어 제1 서브 받침대(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수용 홈(511)에 수용됨으로써 제2 외부 용기(1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받침대(5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sub-pedestal 520 is pivoted to be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recess 51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b-pedestal 510, so that the pedestal 500 Can be adjusted.

한편, 제2 외부 용기(140)는 상호간에 적층된 형태로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stacked layers.

제2 외부 용기(140)가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외부 용기(100)는 최 하단에 위치한 제2 외부 용기(140)의 아래에 배치되고, 뚜껑(180)은 최 상단에 위치한 제2 외부 용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외부 용기(140) 사이에도 패킹 및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nd the lid 180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May be disposed above the vessel 140. In this case, a packing and a spring may also b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outer containers 140.

제2 외부 용기(140)의 개수는 수납하여야 할 음식물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제2 외부 용기(140)의 개수에 따라 제1 컬럼(200)을 다른 길이의 컬럼으로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s 14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oods to be stored and the first columns 200 can be replaced with columns having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s 140 .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에서 체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의 체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10)와 비교하여 체결부(300)를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체결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10 to 12, the multi-stage closed containe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multi-stage closed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fastening part 300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astening part 300.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300)는 제2 브래킷(311), 제2 손잡이(313), 제2 가변 링크(315), 제2 가압 프레임(317) 및 제2 고리(3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300 includes the second bracket 311, the second handle 313, the second variable link 315,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and the second ring 319 .

제2 브래킷(311)은 제2 외부 용기(140)의 외부 측면에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racket 311 can be screwed to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한편, 제2 외부 용기(140)가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제2 브래킷(311)은 최 상단에 위치한 제2 외부 용기(140)의 외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s 140 are formed, the second bracket 31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제2 손잡이(313)는 제2 브래킷(31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handle 313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311.

이를 위해, 제2 브래킷(311)과 제2 손잡이(313)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6)이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pin P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coupled between the second bracket 311 and the second handle 313.

제2 가변 링크(315)는 제2 손잡이(313)에 결합되는 일단과 제2 가압 프레임(317)에 결합되는 타단 사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variable link 315 can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between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313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can be adjusted.

그 결과,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에 경화로 인한 소성 변형이 발생하거나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이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제2 가변 링크(31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 가압 프레임(317)이 뚜껑(18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if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undergo plastic deformation due to curing or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are worn to be thin, the second variabl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ink 315,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구체적으로, 제2 가변 링크(315)는 제2 구동 링크(315a) 및 제2 종동 링크(315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variable link 315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link 315a and a second driven link 315b.

제2 구동 링크(315a)의 일단은 제2 손잡이(313)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315a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313 so as to be rotatable.

이를 위해, 제2 구동 링크(315a)와 제2 손잡이(313)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7)이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pin P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coupl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link 315a and the second handle 313.

제2 구동 링크(315a)의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e link 315a.

제2 종동 링크(315b)의 일단 외주면에는 제2 구동 링크(315a)의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A male screw that engages with the female screw of the second drive link 315a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second driven link 315b.

제2 종동 링크(315b)는 제2 구동 링크(315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가변 링크(315)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암나사는 제2 구동 링크(315a)에 형성되고, 수나사는 제2 종동 링크(315b)에 형성되었지만, 그 반대도 가능할 것이다.The second driven link 315b is rotated relative to the second driving link 315a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variable link 315 can be adjust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second drive link 315a and the male screw is formed on the second driven link 315b, and vice versa.

제2 종동 링크(315b)의 타단은 제2 가압 프레임(317)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en link 315b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

이를 위해, 제2 종동 링크(315b)와 제2 가압 프레임(317)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8)이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a pin P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coupled between the second driven link 315b and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

제2 가압 프레임(317)은 뚜껑(180)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함으로써, 제2 가압 프레임(317)을 뚜껑(180)의 상면 모서리에 밀착시킨 상태로 제2 손잡이(313)를 제2 브래킷(311)에 대해 하향 회동시켜 잠그면, 제2 가압 프레임(317)은 뚜껑(18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presser frame 317 has a contact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edge of the lid 180 so that the second presser frame 317 is in contact with the top edge of the lid 180,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can push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The second presser frame 317 can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downward.

제2 고리(319)는 제2 가압 프레임(317)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nd the second loop 319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

제2 고리(319)의 양 끝은 제2 가압 프레임(317)에 삽입됨으로써, 제2 고리(319)는 제2 가압 프레임(317)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second loop 319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so that the second loop 319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317.

제2 고리(319)는 제1 결합 홈(210)에 삽입되어 제1 컬럼(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2 외부 용기(140) 또는 뚜껑(180)이 제1 컬럼(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loop 319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lumn 200 so that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or the lid 18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lumn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300)의 제2 브래킷(311)은 제1 외부 용기(100)가 아닌 제2 외부 용기(140)에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10)와 비교하여, 가변 링크의 길이를 감소시켜 제작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racket 311 of the fasten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rather than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so that the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variable link, thereby facilitating fabrication and handling.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에서 체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체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multi-stag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10)와 비교하여 체결부(300) 및 일부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체결부(300) 및 일부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13 to 15, the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multi-stage her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300 and the part differenc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fastening part 300 and the components having some differences.

본 실시예에서, 제1 컬럼(200)은 뚜껑(180)을 관통하지 않고 제2 외부 용기(140)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그 대신, 제1 컬럼(200)의 상단은 제2 외부 용기(14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 컬럼(200)을 수용하는 제1 관통 홀(143)은 제2 외부 용기(140)의 측면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lumn 200 can extend only up to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without penetrating the lid 180. Instead, the top of the first column 2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That is, the first through-hole 143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olumn 200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그 결과, 제1 컬럼(20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결합 홈(210) 중 일부는 제2 외부 용기(14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s a result,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21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2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한편, 제2 외부 용기(140)가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컬럼(200)의 상단은 최 상단에 위치한 제2 외부 용기(14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s 140 are forme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2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300)는 제3 브래킷(321), 제3 손잡이(323), 만곡 프레임(325), 제3 가변 링크(327) 및 걸쇠(3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third bracket 321, a third handle 323, a curved frame 325, a third variable link 327, and a catch 329. In this embodiment,

제3 브래킷(321)은 뚜껑(180)의 상면에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bracket 321 can be screw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제3 손잡이(323)는 제3 브래킷(32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handle 323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third bracket 321.

이를 위해, 제3 브래킷(321)과 제3 손잡이(323)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9)이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pin P9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coupled between the third bracket 321 and the third handle 323.

만곡 프레임(325)은 제3 손잡이(323)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뚜껑(180)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The curved frame 325 is pivotally coupled to the third handle 323 and may be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edge of the lid 180. [

구체적으로, 만곡 프레임(325)은 제3 고리(325a) 및 회동 프레임(325b)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urved frame 325 may include a third loop 325a and a rotating frame 325b.

제3 고리(325a)는 제3 손잡이(323)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loop 325a may be pivotally coupled to the third handle 323.

제3 고리(325a)의 양 끝은 제3 손잡이(323)에 삽입됨으로써, 제3 고리(325a)는 제3 손잡이(323)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third loop 325a are inserted into the third knob 323 so that the third loop 325a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third knob 323.

회동 프레임(325b)은 뚜껑(18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함으로써, 제3 가변 링크(327)가 뚜껑(180)의 측면에 접촉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ivotal frame 325b has a contact surface tha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id 180 so that the third variable link 327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id 180 and causing interference.

제3 고리(325a)는 회동 프레임(325b)의 상단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영역에 결합됨으로써, 회동 프레임(326b)은 제3 고리(325a)에 대해 회동할 수 있고, 제3 고리(325a)는 회동 프레임(325b)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뚜껑(180)과의 마찰로 마모 가능성이 높은 회동 프레임(325b)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third loop 325a is coupled to the hooked reg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frame 325b so that the rotating frame 326b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loop 325a and the third loop 325a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loop 325a,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pivot frame 325b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abraded by friction with the lid 180 by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 frame 325b.

회동 프레임(325b)의 하단에는 제3 가변 링크(327)가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variable link 327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vot frame 325b.

제3 가변 링크(327)는 만곡 프레임(325)에 결합되는 일단과 걸쇠(329)가 결합되는 타단 사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variable link 327 may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between one end coupled to the curved frame 325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the latch 329 can be adjusted.

그 결과,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에 경화로 인한 소성 변형이 발생하거나 제1 패킹(120) 내지 제2 패킹(160)이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제3 가변 링크(327)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걸쇠(329)가 제2 외부 용기(14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1 결합 홈(2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even if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undergo plastic deformation due to hardening or the first packing 120 to the second packing 160 are worn to be thin, the third variabl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ink 327, the latch 329 can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210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구체적으로, 제3 가변 링크(327)는 제3 구동 링크(327a) 및 제3 종동 링크(327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variable link 327 may include a third driving link 327a and a third driven link 327b.

제3 구동 링크(327a)의 일단은 만곡 프레임(325)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hird drive link 327a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urved frame 325. [

이를 위해, 제3 구동 링크(327a)과 만곡 프레임(325)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핀(P10)이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a horizontal pin P10 may be coupled between the third driving link 327a and the curved frame 325. [

제3 구동 링크(327a)의 타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third drive link 327a.

제3 종동 링크(327b)의 일단 외주면에는 제3 구동 링크(327a)의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third driven link 327b, a male screw that mates with the female screw of the third drive link 327a can be formed.

제3 종동 링크(327b)는 제3 구동 링크(327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제3 가변 링크(327)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암나사는 제3 구동 링크(327a)에 형성되고, 수나사는 제3 종동 링크(327b)에 형성되었지만, 그 반대도 가능할 것이다.The third driven link 327b is rotated relative to the third driving link 327a so that the length of the third variable link 327 can be adjust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male screw is formed in the third drive link 327a and the male screw is formed in the third driven link 327b, and vice versa.

제3 종동 링크(327b)의 타단은 걸쇠(329)에 결합될 수 있다.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driven link 327b may be coupled to the latch 329. [

걸쇠(329)는 제1 결합 홈(210)에 삽입되어 제1 컬럼(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걸쇠(329)를 제1 결합 홈(2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3 손잡이(323)을 제3 브래킷(321)에 대해 회동시켜 잠그면, 제3 브래킷(321)은 뚜껑(18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할 수 있게 된다.The latch 329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lumn 200 so that the third handle 323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0 while the latch 329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0. [ The third bracket 321 can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80 downward.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300)의 제3 브래킷(321)은 제1 외부 용기(100) 또는 제2 외부 용기(140)가 아닌 뚜껑(180)에 결합됨으로써, 뚜껑(180)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외부 용기(100) 또는 제2 외부 용기(140)의 외부 측면에 체결부(300)가 불필요하게 결합되어 있어 미관을 해치거나 음식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체결부(300)에 부딪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hird bracket 321 of the fastening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lid 180 rather than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or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so that the lid 180 is separated The fastening part 300 is unnecessari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or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outer container 100 or the second outer container 140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part 300, It can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밀폐용기(10, 20, 30)는 제1 외부 용기(100) 및 제2 외부 용기(140)의 지름에 따라 찬합 또는 등산용 반찬통 등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ulti-stag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s 10, 20 and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mpartment or a side dish for climbing according to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containers 100 and 140, It is not.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20, 30: 다단식 밀폐용기
100: 제1 외부 용기
101: 제1 패킹 홈
103: 제1 스프링 홈
105: 제1 수용 홈
110: 제1 내부 용기
111: 제1 만곡부
120: 제1 패킹
130: 제1 스프링
140: 제2 외부 용기
141: 제2 패킹 홈
143: 제1 관통 홀
145: 제2 관통 홀
147: 제1 밀폐 홈
149: 제2 스프링 홈
150: 제2 내부 용기
151: 제2 만곡부
160: 제2 패킹
170: 제2 스프링
180: 뚜껑
181: 제2 밀폐 홈
200: 제1 컬럼
210: 제1 결합 홈
300: 체결부
301: 제1 브래킷
303: 제1 손잡이
305: 제1 가변 링크
305a: 제1 구동 링크
305b: 제1 종동 링크
307: 제1 가압 프레임
309: 제1 고리
311: 제2 브래킷
313: 제2 손잡이
315: 제2 가변 링크
315a: 제2 구동 링크
315b: 제2 종동 링크
317: 제2 가압 프레임
319: 제2 고리
321: 제3 브래킷
323: 제3 손잡이
325: 만곡 프레임
325a: 제3 고리
325b: 회동 프레임
327: 제3 가변 링크
327a: 제3 구동 링크
327b: 제3 종동 링크
329: 걸쇠
400: 회전방지부
410: 제2 컬럼
411: 제2 결합 홈
500: 받침대
501: 가이드 홈
510: 제1 서브 받침대
511: 제2 수용 홈
520: 제2 서브 받침대
10, 20, 30: Multistage sealed container
100: a first outer container
101: first packing groove
103: first spring groove
105: first receiving groove
110: first inner container
111: 1st bend section
120: First packing
130: first spring
140: second outer container
141: second packing groove
143: first through hole
145: second through hole
147: first sealing groove
149: second spring groove
150: second inner container
151: 2nd bend section
160: Second packing
170: second spring
180: lid
181: second sealing groove
200: first column
210: first coupling groove
300: fastening part
301: first bracket
303: 1st handle
305: first variable link
305a: first drive link
305b: First working link
307: first press frame
309: 1st ring
311: second bracket
313: second handle
315: second variable link
315a: second driving link
315b: Link to second work
317: Second pressurizing frame
319: Second Ring
321: third bracket
323: Third handle
325: Curved frame
325a: Third Ring
325b: rotation frame
327: third variable link
327a: Third driving link
327b: Link to the Third Movement
329: Clasp
400:
410: second column
411: Second coupling groove
500: Stand
501: Guide groove
510: first sub-pedestal
511: Second accommodating groove
520: second sub-pedestal

Claims (30)

상면이 개방된 제1 외부 용기;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외부 용기;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뚜껑;
하단이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 용기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 홀에 삽입되는 제1 컬럼;
상기 제1 컬럼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뚜껑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 외부 용기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A first outer container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 second outer container opened on an upper surface and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 lid closing an open top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A first column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at a lower end thereof and inserted into a first through hole formed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cond outer container;
A fasten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lumn to press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And
And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와 상기 제2 외부 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패킹;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ack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acking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container and the li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의 상단에는 복수의 제1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홈은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홈 중 어느 하나의 제1 결합 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groove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groov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은 상기 뚜껑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뚜껑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olumn passes through the lid up and down, and the upper end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외부 측면에 결합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손잡이;
일단이 상기 제1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변 링크;
상기 제1 가변 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1 가압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ening portion
A first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 first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 first variable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A first press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lexible link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dge of the lid; And
And a first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ressurizing frame and insertable into the first engaging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링크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variable link is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1 구동 링크; 및
일단 외주면에 상기 제1 구동 링크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종동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variable link includes:
A first driving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and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d a first driven link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male screw formed on the first driving link and having a second end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frame so as to be rotatab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외부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
상기 제2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
일단이 상기 제2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가변 링크;
상기 제2 가변 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하는 제2 가압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ening portion
A second bracke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A second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A second variable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 second pressing frame pivot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exible link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dge of the lid; And
And a second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ressurizing frame and insertable into the first engaging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링크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flexible link is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2 구동 링크; 및
일단 외주면에 상기 제2 구동 링크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종동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variable link includes:
A second driving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nd having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d a second driven link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link, the second driven link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link and engaging with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second driving link so that the other end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ressing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의 상단은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3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손잡이;
상기 제3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상면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는 만곡 프레임;
일단이 상기 만곡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 가변 링크; 및
상기 제3 가변 링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걸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astening portion
A third bracke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id;
A third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bracket;
A curved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handle and capable of being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top edge of the lid;
A third variable link,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urvature frame; And
And a latch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variable link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변 링크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hird variable link is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변 링크는,
일단이 상기 만곡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3 구동 링크; 및
일단 외주면에 상기 제3 구동 링크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걸쇠에 결합되는 제3 종동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hird variable link includes:
A third driving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urved frame and the other end having an internal thread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nd a third driven link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third drive link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latc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프레임은,
상기 제3 손잡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고리; 및
상기 제3 고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의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3 가변 링크가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urvature frame comprises:
A third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handle; And
And a rotating frame coupled to the third loop so as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having a shape tha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lid and to which the third variable link is coupl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리는 상기 회동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third loop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수용되는 제1 내부 용기;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에 수용되는 제2 내부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inner container received in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ner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outer contain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용기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상기 제2 내부 용기는 상기 제2 외부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일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inner container is partially protruded outward through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outer container,
Wherein the second inner container is partially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while being housed in the second outer contain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용기 및 상기 제2 내부 용기는 상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inner container and the second inner container are open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외부 저면에는 상기 제1 내부 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밀폐 홈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저면에는 상기 제2 내부 용기의 외부로 돌출된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밀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 first sealing groove is formed i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outer container to receive an upper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Wherein a second sealing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d to receive an upper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용기의 상단에는 만곡되어 상기 제1 밀폐 홈의 내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제1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내부 용기의 상단에는 만곡되어 상기 제2 밀폐 홈의 내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제2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A first curved portion curv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contain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losed groove is formed,
Wherein a second curved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contain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closed groov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와 상기 제2 외부 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the second outer contain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3. The method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container and the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하단이 상기 제1 외부 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 용기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관통 홀에 삽입되는 제2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And a second column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outer container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container and which is inserted into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econd outer container vertically.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체결부 중 하나의 체결부는 상기 제2 컬럼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And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lum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결합되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edestal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컬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중심의 반대 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pedestal extend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lumn.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 홈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pedestal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is accommodated in a first receiving reces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 홈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pedestal is slid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is received in a first receiving reces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일단이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서브 받침대; 및
상기 제1 서브 받침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서브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수용 홈에 수용될 수 있는 제2 서브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밀폐용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pedestal,
A first sub-base having a first e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ntainer; And
And a second sub-pedestal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b-pedestal so as to be rotatable, the second sub-pedestal being accommodated in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b-pedestal.
KR1020140059180A 2014-05-16 2014-05-16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KR101554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80A KR101554327B1 (en) 2014-05-16 2014-05-16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80A KR101554327B1 (en) 2014-05-16 2014-05-16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327B1 true KR101554327B1 (en) 2015-09-18

Family

ID=5424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180A KR101554327B1 (en) 2014-05-16 2014-05-16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3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8303A (en) * 2020-12-04 2021-04-20 岳松波 Medical instrument protection storage device for department of cosmetology and plastic surgery and medical instrument for department of cosmetology and plastic surg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11Y1 (en) 2001-08-09 2001-11-23 정태은 Packing box for frame of spectacles
JP3087150U (en) 2001-02-14 2002-07-19 文 正 沈 Multi-layer box
JP2006522717A (en) 2003-04-09 2006-10-05 コリア アルファライ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Multi-stage stacked container with intermediate li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150U (en) 2001-02-14 2002-07-19 文 正 沈 Multi-layer box
KR200252111Y1 (en) 2001-08-09 2001-11-23 정태은 Packing box for frame of spectacles
JP2006522717A (en) 2003-04-09 2006-10-05 コリア アルファライ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Multi-stage stacked container with intermediate l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8303A (en) * 2020-12-04 2021-04-20 岳松波 Medical instrument protection storage device for department of cosmetology and plastic surgery and medical instrument for department of cosmetology and plastic surgery
CN112678303B (en) * 2020-12-04 2023-09-29 金达威医疗科技(湖南)有限公司 Medical instrument protection storage device for cosmetic and plastic department and medical instrument for cosmetic and plastic depar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96902S1 (en) Container with a lid
USD828723S1 (en) Beverage vessel with lid
JP6678519B2 (en) Bayonet joint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control member
USD643629S1 (en) Storage container with handle and lid
USD923410S1 (en) Beverage container
US8746498B2 (en) Coolers with storage hooks
USD556037S1 (en) Lids for cups
US8011530B2 (en) Articulating handle for space-saving cookwar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D873616S1 (en) Beverage container
RU2017133550A (en) CONTAINER COVER
US20160135559A1 (en) Cooler having integrated table surface
US20060112721A1 (en)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D528432S1 (en) Round container and lid with utensil
AU2012258850A1 (en) Coolers with storage hooks
BR102013007688A2 (en) Collapsible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a collapsible container
USD917232S1 (en) Beverage container
US9102427B2 (en) Multi-position hinge
USD917233S1 (en) Beverage container
US20210177213A1 (en) Collapsible colander and bowl
USD903425S1 (en) Beverage container
KR101554327B1 (en) Multiple-stage airtight container
KR20180003125U (en) Multi-storied lunchbox set
USD897777S1 (en) Beverage container
USD936429S1 (en) Portable cooler
USD854379S1 (en) Garlic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