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002B1 - Box for packing - Google Patents

Box for pa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002B1
KR101554002B1 KR1020140013660A KR20140013660A KR101554002B1 KR 101554002 B1 KR101554002 B1 KR 101554002B1 KR 1020140013660 A KR1020140013660 A KR 1020140013660A KR 20140013660 A KR20140013660 A KR 20140013660A KR 101554002 B1 KR101554002 B1 KR 10155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x
opening
st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2976A (en
Inventor
유지혁
이도행
홍지연
Original Assignee
유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혁 filed Critical 유지혁
Priority to KR102014001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002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9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한 덮개가 상자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형성된 포장용 상자로서, 하부면과 복수의 측면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일단부가 결합형성되어 폐쇄 상태 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을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을 폐쇄하기 위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폐쇄 상태 시 일정 길이만큼 접혀 중첩된 구간을 갖고 개방 상태 시 상기 중첩된 구간이 펼쳐진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 제1 덮개; 상기 본체부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상기 제1 덮개의 내측으로 일단부가 결합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의 내측 소정 지점에 타단부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개방 상태 시 수납공간의 입구를 이루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된 제2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의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입구가 결합되며, 상기 폐쇄 상태 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개방 상태 시 상기 제2 덮개와 상기 펼쳐진 상태의 제1 덮개가 상호 이루는 공간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용 상자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cking box, wherein a cover capable of being closed or opened is coupled to one side edge of the box,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a length for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first lid having a folded overlapping sec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figured to have the overlapping section open when in an open state; One end of the first li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lid at an upper end corner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inner side of the first lid, and an opening for establishing an opening of the storage space A second cover formed; And an inlet is coup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lid, and the second lid and the first lid in the unfolded state maintain a folded state in the closed state, Disclosed is a packaging box comprising a storage portion.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Box for packing}Box for packing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덮개가 상자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덮개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로서, 덮개의 폐쇄 시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의 개방 시에는 덮개의 내측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Provided is a box for packing, comprising a box that is openable and closable and integrally joined to one side of a box so that the cover can be opened or closed.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box is held in a folded state, To a packing box configured to have a separate storage space having a state of being spread out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예를 들어, 치킨이나 족발, 피자 등과 같은 다양한 음식물이 배달이나 포장 판매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들은 일반적으로 종이 재질로 제작된 포장용 상자에 수납된 상태로 배달이나 포장 판매된다. A wide variety of foods, such as chicken, paws, pizza, etc., are sold or delivered in the form of a package or sale. These foods are usually delivered or packaged in a packaging box made of paper.

음식물 포장에 사용되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상자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서로 다른 음식물(예, 치킨과 샐러드, 양념 치킨과 프라이드 치킨 등)을 하나의 상자 내에 구분하여 수납하고 포장이 가능한 형태로 개량 되어왔다. Conventional packaging boxes used for food packaging are divided into box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s stored in the box, and different foods (eg, chicken and salad, spiced chicken, fried chicken, etc.) And has been improved in a form that can be stored and packag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포장이나 배달 대상 음식물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서 내부의 수납 공간을 구분할 뿐이며, 치킨이나 족발 등 잔여물(예, 뼈)이 있는 음식물이나 부산되는 쓰레기가 있는 음식물의 경우에 그 잔여물들을 별도로 보관할 장소가 마땅치 않았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packing box distinguishes the internal storage spac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food to be packed or to be delivered. In the case of a food having a residue such as a chicken or a pair of foot (for example, bone) There was no place to store the residues separately.

치킨을 예로 들면, 음식물을 먹는 도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뼈나 껍데기 등을 원래 음식이 수납되었던 포장용 상자 내에 버리는 것은 시각적임 불쾌함을 유발하였고, 이러한 점으로 인해 별도의 용기에 음식물 부산물을 보관하거나 불쾌함을 감수하고 음식물을 다 먹은 뒤에 이를 처리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icken, it is visually unpleasant to dispose of bones or shells of byproducts in the packaging box in which the food was originally housed during the eating of the food, which causes the food containers to be stored in a separate container or uncomfortabl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we had to deal with it after eating and eating.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1972호 (2003년07월22일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21972 (registered on July 22, 20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덮개가 상자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덮개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로서, 덮개의 폐쇄 시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의 개방 시에는 덮개의 내측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ing box which can be opened or closed by integrally connecting a cove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of a box,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ing box configured to have a separate storage space having a state of being opened from the inside of the lid when the lid is open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한 덮개가 상자의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결합형성된 포장용 상자로서, 하부면과 복수의 측면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폐쇄 상태 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을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을 폐쇄하기 위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폐쇄 상태 시 일정 길이만큼 접혀 중첩된 구간을 갖고 개방 상태 시 상기 중첩된 구간이 펼쳐진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 제1 덮개; 상기 본체부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상기 제1 덮개의 내측으로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의 내측 소정 지점에 타단부가 일체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개방 상태 시 수납공간의 입구를 이루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된 제2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의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입구가 결합되며, 상기 폐쇄 상태 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개방 상태 시 상기 제2 덮개와 상기 펼쳐진 상태의 제1 덮개가 상호 이루는 공간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용 상자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cking box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edge of a box, the cover being capable of being closed or opened,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Wherein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at one upper end edg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able to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in a closed state and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a length for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first cover having a folded and overlapped s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tate and configured to have a state in which the overlapped section is unfolded in an open state; A first cover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with one end thereof inwardly of the first cover, a second end integr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ner point of the first cover, A second cover having an opening for the opening; And an inlet is coup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lid, the second lid and the first lid in the unfolded state maintaining a folded state in the closed state, Disclosed is a packaging box comprising a storag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상자는 종이 재질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box is made of paper.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부는 비닐 또는 종이 재질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vinyl or paper.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덮개의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 상기 수납부의 입구 부분은, 외력에 의한 분리 제거가 용이하도록 분리 처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inlet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which is coup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cover, is formed with a separation processing portion for facilitating separation and removal by an external forc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치킨이나 족발 등 잔여물(예, 뼈)이 있는 음식물이나 부산되는 쓰레기가 있는 음식물의 경우, 음식물을 먹는 도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뼈나 껍데기 등을 별도의 수납공간에 분리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잔여물에 따른 시각적임 불쾌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food having a residue such as a chicken or a foot, such as a chicken or a foot, or a food having burnt garbag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store bones and shells, etc.,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visual unpleasantness due to the residue can be reduced.

특히, 이러한 수납공간이 덮개의 폐쇄 시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의 개방 시에는 덮개의 내측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도록 구성되므로, 포장용 상자의 보관이나 배달 시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storage space is configured to hold the folded state when the lid is closed and to open the lid inside the lid when the lid is ope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e utilization at the time of storage and delivery of the packing box can be enhanced .

또한, 본 발명은 제2 덮개의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 수납부의 입구 부분이 외력에 의한 분리 제거가 용이하도록 분리 처리부가 형성됨으로써, 분리 수납된 음식물 잔여물의 수거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ion portion is formed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removal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inlet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cove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llection process of the separated food residue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폐쇄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수납부가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 각각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closed perspective view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n perspective view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folded state and an unfolded state, respectively, of a receiving portion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상자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덮개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덮개의 폐쇄 시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의 개방 시에는 덮개의 내측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such that a cove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x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n or close the cover. When the cover is closed, it is held in a folded state, And a separate receiving space having a stat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폐쇄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1 is a closed perspective view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n perspective view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포장용 상자(B)는,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한 덮개가 상자(B)의 일측 모서리(12)에 일체로 결합형성된다. In the packaging box B of this embodiment, a lid capable of being closed or opened is integrally joined to one side edge 12 of the box B. [

본 실시예의 포장용 상자(B)는 하부면과 복수의 측면(본 실시예의 경우는 전후좌우측 측면)을 갖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 모서리(12)에 본체부(10)의 상부면(10a)을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 덮개(20)가 구비된 다면체의 형상으로 이뤄진다. The packaging box B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main body portion 10 having a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this embodiment) (20) configured to be able to close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housing (10).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육면체의 형상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하부면과 복수의 측면을 갖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 모서리(12)에 본체부(10)의 상부면(10a)을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 덮개(20)가 구비된 다면체의 형상을 갖는 상자라면, 반드시 육면체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면체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hape of a hexahedr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hexahedron shap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hexahedron but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polyhedrons if it is a box having a polyhedron shape provided with a cover 20 configured to be able to close the opening 10a.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본체부(10)는 하부면과 복수의 측면을 가지면 되며, 미적 또는 기능적 목적을 위해 일부 면이 육면체와 다른 다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거나 변형된 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하부면 또는 측면이 반드시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으로 형성될 필요도 없으며, 예를 들어, 일부 측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거나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o this end,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some surfaces may be bent or deformed to have a polyhedron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xahedron for aesthetic or functional purposes. Also,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a square or a rectangle, or it need not be formed in a square. For example, some sides may be formed in a trapezoid or a hexagon.

또한, 덮개(20)도 본체부(10)의 일측 상단 모서리(12)에 본체부(10)의 상부면(10a)을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 형태로 구비되기만 한다면, 그 형상이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id 20 is also limited in shape to a specific shape as long as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body 10 is configured to be closeable to the upper end edge 12 at one side of the body 10 It is not.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육면체 형상으로 예시된 포장용 상자(B)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ckaging box B exemplified as a hexahedron will be used as a reference.

본 실시예의 포장용 상자(B)는, 바람직하게는 종이 재질(예, 골판지, 하드보드지 등)로 이뤄지며, 종이 재질과 유사하게 얇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소재라면 공지의 다른 소재로 이뤄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포장용 상자(B)의 다면체(본 실시예의 경우 육면체)의 형상은 예를 들어, 적절하게 절단된 판상의 원소재를 준비하고,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필요한 모서리부를 접어서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끼움 방식 이외에 공지의 접착 방식, 테이핑 방식 등이 다면체 구성을 위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제1 덮개 또는 제2 덮개)와 상자(B)의 결합은 접착제를 사용한 부착, 공지의 끼움 방식에 의한 결합, 테이프를 통한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The packaging box B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made of a paper material (e.g., corrugated cardboard, hard board paper, etc.), and does not exclude that it is made of other materials known in the art as a material having a thin and constant rigidity similar to that of paper. The shape of the polyhedron (the hexahedron in this embodiment) of the packaging box B can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for example, a suitably cut plate-like raw material is prepared and the corner portions necessary for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re folded and sandwiched, A known bonding method, a taping method,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applied for the polyhedral structure. In addi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first cover or second cover) and the box (B) can be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ttachment using an adhesive, coupling using a known fitting method, or coupling using a tape.

본 실시예의 포장용 상자(B)를 보다 상세하게 보면, 하부면과 전후좌우측 측면을 적어도 갖는 본체부(10)가 구비된다. In more detail, the packaging box B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10 having at least a lower surface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 모서리(12)에 일단부(25)가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폐쇄 상태 시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면(10a)을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덮개(20)가 구비된다. A first lid 20 which is integrally formed at one upper end edge 12 of the main body 1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lid 20 so as to be able to close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ain body 10 in a closed state, .

제1 덮개(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면(10a)을 폐쇄하기 위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폐쇄 상태 시 일정 길이만큼 접혀 중첩된 구간(23)을 갖고 개방 상태 시 상기 중첩된 구간(23)이 펼쳐진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첩된 구간(23)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덮개(20)는 "ㄷ" 자와 유사한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갖게 된다. The first lid 20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length for closing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has a section 23 folded and overlapp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losed state And the overlapping section 23 is configured to have an unfolded state in the open state. The first lid 20 is bent in a shape similar to a " C "in a state in which the overlapped section 23 is unfolded.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 모서리(12)에 상기 제1 덮개(20)의 내측으로 일단부(35)가 일체로 결합형성된 제2 덮개(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덮개(30)의 일단부(35)의 결합은, 예를 들어 공지의 접착제, 열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A second lid 30 is integrally formed at one upper end edge 12 of the main body 10 and has one end 35 integr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lid 20. The connection of the one end 35 of the second lid 30 may be accomplished using, for example, a known adhesive, thermal bonding, tape, or the like.

제2 덮개(30)는, 상기 제1 덮개(20)의 내측 소정 지점에 타단부(37)가 일체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개방 상태 시 수납공간의 입구를 이루기 위한 개방구(32)가 형성된다. The second lid 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37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lid 20 and an opening 32 for forming the inlet of the storage space in the open state is formed do.

상기 제2 덮개(30)의 개방구(32)의 둘레를 따라 입구(42)가 결합된 수납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40)의 입구(42)의 결합은, 예를 들어 공지의 접착제, 열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A housing 40 having an inlet 42 coupled to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ver 30 is provided. The coupling of the inlet 42 of the storage portion 40 may be accomplished using, for example, a known adhesive, thermal bonding, tape, or the like.

수납부(40)는, 상기 폐쇄 상태 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개방 상태 시 상기 제2 덮개(30)와 상기 펼쳐진 상태의 제1 덮개(20)가 상호 이루는 공간("ㄷ" 자와 유사한 형태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뤄진 공간)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는다. The accommodating portion 40 maintains the folded state in the closed state, an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lid 30 and the first lid 20 in the unfolded state (a shape similar to " A space formed by a bent shape).

상기 수납부(40)는 바람직하게, 비닐 또는 종이 재질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뤄진다. The receiving portion 4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vinyl or paper material.

본 실시예의 수납부(40)는,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며, 비닐 또는 종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폐쇄 상태 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 상태 시 펼쳐진 상태를 가질 수만 있다면, 주머니 또는 작은 상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납부(40)가 종이 재질로 이뤄지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접힘부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vinyl or paper so as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in the clos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in the open state, A small box, or the like. When the storage portion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paper, a folded structure may be suitably applied.

한편, 본 실시예의 수납부(40)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30)의 개방구(32)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 상기 수납부(40)의 입구(42) 부분은, 외력에 의한 분리 제거가 용이하도록 분리 처리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let 42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0 coupled with the opening of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lid 30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42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0 by the external force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not shown) is formed to facilitate removal.

분리 처리부(부호 미도시)는 특별한 구조나 처리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납부(40)가 비닐 또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수납부(40)의 입구(42) 부분이 외력(예, 사용자가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한 분리 제거가 용이하도록 주머니 또는 작은 상자 형태로 형성된 수납부(40)의 입구(42) 부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미세 구멍이 형성되거나 점선과 유사한 형태로 미세한 절단 처리가 이뤄지는 등의 형태로 분리 처리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ousing portion 40 is made of vinyl or paper, the portion of the inlet 42 of the housing portion 40 may be exposed to external force (not shown) Fine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let 42 of the housing part 40 formed in the form of a bag or a small box so as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removal by a user's pulling force,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form such as a fine cutting process.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치킨이나 족발 등 잔여물(예, 뼈)이 있는 음식물이나 부산되는 쓰레기가 있는 음식물을 먹는 도중에는 부산물로 나오는 뼈나 껍데기 등을 별도의 수납공간에 분리 수납하고, 음식을 다 먹고 난 후에는 상기 수납부를 포장용 박스의 덮개로부터 잡아 당겨 제거하는 방식으로 분리 수납된 음식물 잔여물을 용이하게 수거 처리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eparate and store bones and shells, which are by-products, in a separate storage space while eating foods with residue (eg, bones), such as chicken or paws, or foods with burnt garbage. The food waste can be easily collected and collected by pulling out the container from the lid of the packaging box.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수납부가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 각각의 측단면도이다. FIGS. 3A and 3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folded state and an unfolded state, respectively, of a receiving portion of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 상자의 덮개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덮개(20)의 중첩된 구간(23)은 나머지 구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중첩되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납부(40)는 제1 덮개(20)의 중첩된 구간(23)이 이루는 틈새 또는 제2 덮개(30)의 개방구(32)가 이루는 틈새 공간 내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3A, the overlapped section 23 of the first lid 20 is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remaining section, while the lid of the packing box is close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accommodating portion 40 is folded in a space defined by the overlapping section 23 of the first lid 20 or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lid 30 .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 상자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부(40)를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을 하면, 상기 제1 덮개(20)의 중첩된 구간(23)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환되어, "ㄷ" 자와 유사한 형태로 제1 덮개(20)가 펼쳐진다. 이때, 수납부(40)는 제1 덮개(20)의 중첩된 구간(23)이 이루는 "ㄷ" 자와 유사한 형태로 절곡된 형상과 제2 덮개(30)의 개방구(32)가 이루는 공간 내에 펼쳐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음식물을 먹는 도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뼈나 껍데기 등을 수납부(40)에 분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presses the storage compartment 40 with the cover in the opened state, the overlapping section 23 of the first cover 20 is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and the first lid 20 is unfolded in a form similar to the "c" character.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portion 4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bent in a shape similar to a "C" character formed by the overlapping section 23 of the first cover 20 and a space formed by the opening &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user can separate and store bones, shells, and the like, which are produced as by-products during storage of the food in the storage section 4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B: 포장용 상자
10: 본체부
20: 제1 덮개
30: 제2 덮개
32: 개방구
40: 수납부
B: Packing box
10:
20: First cover
30: Second cover
32: Open mouth
40:

Claims (4)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한 덮개가 상자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형성된 포장용 상자(B)로서,
하부면과 복수의 측면을 갖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 모서리(12)에 일단부(25)가 결합형성되어 폐쇄 상태 시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면(10a)을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면(10a)을 폐쇄하기 위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폐쇄 상태 시 일정 길이만큼 접혀 중첩된 구간(23)을 갖고 개방 상태 시 상기 중첩된 구간(23)이 펼쳐진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 제1 덮개(20);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 모서리(12)에 상기 제1 덮개(20)의 내측으로 일단부(35)가 결합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20)의 내측 소정 지점에 타단부(37)가 결합형성되며, 상기 개방 상태 시 수납공간의 입구를 이루기 위한 개방구(32)가 형성된 제2 덮개(30); 및
상기 제2 덮개(30)의 개방구(32)의 둘레를 따라 입구(42)가 결합되며, 상기 폐쇄 상태 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개방 상태 시 상기 제2 덮개(30)와 상기 펼쳐진 상태의 제1 덮개(20)가 상호 이루는 공간에서 펼쳐진 상태를 갖는 수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용 상자.
CLAIMS 1. A packaging box (B) in which a cover capable of being closed or opened is coupled to one side edge of a box,
A body portion (10) having a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 upper end portion 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0 can be closed when the upper end portion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edge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0, (23) folded and fol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losed state, and in the open state, the overlapped section (23) is in the unfolded state A first cover (20) configured to hold the first cover (20);
One end 35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lid 20 at one upper end edge 12 of the main body 10 and a second end 35 at a predetermined inner side of the first lid 20 A second lid 30 formed with an opening 32 for forming an opening of the storage space in the opened state; And
An inlet 42 is coupled along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lid 30 so that the second lid 30 and the second lid 30 are in the unfolded state, (40) hav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d (20) is spread out in a mutual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B)는 종이 재질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ox (B) is made of pap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0)는 비닐 또는 종이 재질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part (40) is made of plastic or pap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30)의 개방구(32)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 상기 수납부(40)의 입구(42) 부분은, 외력에 의한 분리 제거가 용이하도록 분리 처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opening (42)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0) coupled along the opening of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lid (30) is formed with a separation processing portion for facilitating separation and removal by external force Box.
KR1020140013660A 2014-02-06 2014-02-06 Box for packing KR101554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660A KR101554002B1 (en) 2014-02-06 2014-02-06 Box for pac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660A KR101554002B1 (en) 2014-02-06 2014-02-06 Box for pac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976A KR20150092976A (en) 2015-08-17
KR101554002B1 true KR101554002B1 (en) 2015-09-17

Family

ID=540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660A KR101554002B1 (en) 2014-02-06 2014-02-06 Box for pac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00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976A (en) 201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4949B2 (en) Packaging box and the object to be packaged in the packaging box
CN107000886B (en) Package component, blank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e component
JP6111237B2 (en) container
JP2009286450A (en) Container for packaging
KR101554002B1 (en) Box for packing
KR20200007235A (en) A pizza box re-assemble in small boxes
EP2840033A1 (en) Foldable box
KR101713020B1 (en) Paper Box For Packaging
JP3199075U (en) Sandwich bag
KR20190053053A (en) The disposal paper vessel
CN107089427A (en) Tin can for containing pork luncheon meat
KR20160064708A (en) Chopsticks packaging paper
KR20130029497A (en) Box for packing
KR200488351Y1 (en) Muti-functional packing box
KR20050047064A (en) Packing envelope
JP3199074U (en) Sandwich packaging box
KR101355452B1 (en) Envelope for packaging of fast food
KR101355451B1 (en) Envelope for packaging of fast food
KR101552786B1 (en) Container for merchandise
KR200486076Y1 (en) Package Paper
KR20170001441U (en) a gimbap container
CN206734931U (en) A kind of band cover plate packing box conveniently covered
CN107089428A (en) It is configured with the pork luncheon meat packing box of cutter
KR20140121742A (en) The snack food courage where the spoon is had
JP6388110B2 (en) Pouch packag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