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838B1 -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838B1
KR101552838B1 KR1020090009538A KR20090009538A KR101552838B1 KR 101552838 B1 KR101552838 B1 KR 101552838B1 KR 1020090009538 A KR1020090009538 A KR 1020090009538A KR 20090009538 A KR20090009538 A KR 20090009538A KR 101552838 B1 KR101552838 B1 KR 10155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ight
base station
transmission
weigh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337A (ko
Inventor
이주미
이상민
김영수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838B1/ko
Priority to EP10738758.1A priority patent/EP2394482B1/en
Priority to PCT/KR2010/000720 priority patent/WO2010090474A2/en
Priority to US12/701,961 priority patent/US8432930B2/en
Publication of KR2010009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8Autonomous allocation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8Allocation of resources per group of connections, e.g. per group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이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비교하여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특정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가중치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통신 단말기가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통신 단말기가 결정된 전송 대역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들이 대역 결합된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고려하여,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기 때문에, 특정 전송 대역에 자원이 편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송 대역, 대역 결합, 기지국, 통신 단말기, 접속

Description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BANDWIDTH AGGREG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TION BAND}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4G)의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전송 속도 및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갖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때 통신 시스템은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시스템으로서, 대표적으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 시스템 및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advanced 시스템 등이 있다. 여기서, IEEE 802.16m 시스템 및 3GPP LTE advanced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OFDMA) 방식의 시스템이 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대역 결합을 통해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로 형성되는 광대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고속의 전송 속도 및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갖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는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신 단말기에서 선택된 전송 대역에 대응하여 매핑된 전송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들이 임의로 전송 대역을 선택하여 기지국에 접속하기 때문에, 특정 전송 대역에 자원이 편중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통신 단말기들의 신호들이 충돌할 확률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대역 결정 방법은, 기지국이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비교하여 상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특정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가중치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통신 단말기가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전송 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대역 결정 방법은, 기지국이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에 따라 상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대역 별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과정과,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대역 에서 상기 접속 허용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은,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비교하여 상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특정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가중치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은,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비교하여 상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대역 별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기지국과,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대역에서 상기 접속 허용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은, 통신 단말기들에서 대역 결합된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고려하여,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접속하기 때문에, 특정 전송 대역에 자원이 편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 운용하는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 다. 이로 인하여,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통신 단말기들의 신호들이 충돌할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 단말기 간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대역 결합 시스템은 IEEE 802.16m 시스템 또는 3GPP LTE advanced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대역 결합 시스템은 다수개의 셀(cell; 10)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대역 결합 시스템은 각각의 셀(10)을 관리하고, 해당 셀(1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100)들과, 셀(10)들 간 이동이 가능하며, 특정 셀(10)에서 기지국(1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기(200)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역 결합 시스템은 대역 결합을 통해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IEEE 802.16m 시스템은 IEEE 802.16e 시스템의 10㎒의 FA(Frequecy Assignment)와 같은 전송 대역들이 결합되어 20㎒ 이상의 광대역을 통해 통신ㅇ르 수행한다. 즉 특정 셀(10)에서, 기지국(100)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200)들이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100)은 해당 기지국(100)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전송 대역 별로 해당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200)들의 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자원 분포에 따라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weight)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과 통신 단말기(200)는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전송 대역을 선택하여 상호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전송 대역은 기지국(100)과 통신 단말기(200) 간 접속에 이용하기 위한 접속 허용 채널을 갖는다. 이로 인하여,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별 자원 분포를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대역 결합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대역 결합 시스템은 기지국(100)과 통신 단말기(200)로 이루어진다. 즉 특정 셀(10)에서, 기지국(100)은 각각의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100)은 기지국 통신부(110), 기지국 메모리(120) 및 기지국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기지국 통신부(110)는 기지국(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지국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기지국 메모리(1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기지국(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 때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의 대역 결합을 수행하고, 전송 대역들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부(130)는 기지국(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부(13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지국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역 결합을 통해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파악하여,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중치 정보에 따라 전송 대역들을 운용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부(130)는 특정 채널, 예컨대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BCH)을 통해 가중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 제어부(130)는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대역 별로 해당 기지국(100)과 통신 단말기(200)간 접속에 이용하기 위한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200)는 단말 통신부(210), 단말 메모리(220), 단말 제어부(230), 오디오 처리부(240), 표시부(250) 및 키 입력부(260)를 구비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통신 단말기(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말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단말 메모리(2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 때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역 결합을 통해 결합된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에서 어느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제어부(230)는 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 및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이러한 단말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100)에 접속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4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50)는 단말 제어부(23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19)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25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2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송 대역 결정 절차는, 기지국 제어부(130)가 311단계에서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부(130)는 대역 결합을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전송 대역들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는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파악하여,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부(130)는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가중치 인덱스(weight vector index)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메모리(120)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가중치 벡터 테이블(weight vector table)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표 1>은 두 개의 전송 대역들이 결합된 경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나타내는 가중치 인덱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표 2>는 세 개의 전송 대역들이 결합된 경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나타내는 가중치 인덱스로 이루어져 있다.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00000 0 1 10000 16/30 14/30
00001 1/30 29/30 10001 17/30 13/30
00010 2/30 28/30 10010 18/30 12/30
00011 3/30 27/30 10011 19/30 11/30
00100 4/30 26/30 10100 20/30 10/30
00101 5/30 25/30 10101 21/30 9/30
00110 6/30 24/30 10110 22/30 8/30
00111 7/30 23/30 10111 23/30 7/30
01000 8/30 22/30 11000 24/30 6/30
01001 9/30 21/30 11001 25/30 5/30
01010 10/30 20/30 11010 26/30 4/30
01011 11/30 19/30 11011 27/30 3/30
01100 12/30 18/30 11100 28/30 2/30
01101 13/30 17/30 11101 29/30 1/30
01110 14/30 16/30 11110 30/30 0
01111 15/30 15/30 11111 0 0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Band 3 weight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Band 3 weight
00000 0 0 0 10000 2/6 0 4/6
00001 1 0 0 10001 2/6 1/6 3/6
00010 0 1 0 10010 2/6 2/6 2/6
00011 0 0 1 10011 2/6 3/6 1/6
00100 0.33 0.33 0.33 10100 2/6 4/6 0
00101 0 1/6 5/6 10101 3/6 0 3/6
00110 0 2/6 4/6 10110 3/6 1/6 2/6
00111 0 3/6 3/6 10111 3/6 2/6 1/6
01000 0 4/6 2/6 11000 3/6 3/6 0
01001 0 5/6 1/6 11001 4/6 0 2/6
01010 1/6 0 5/6 11010 4/6 1/6 1/6
01011 1/6 1/6 4/6 11011 4/6 2/6 0
01100 1/6 2/6 3/6 11100 5/6 0 1/6
01101 1/6 3/6 2/6 11101 5/6 1/6 0
01110 1/6 4/6 1/6 11110 reserved reserved reserved
01111 1/6 5/6 0 11111 reserved reserved reserved
예를 들면, 두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및 Band 2)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및 제 2 전송 대역(Band 2)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5/30' 및 '25/30'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가중치 인덱스로 '00101'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세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Band 2 및 Band 3)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제 2 전송 대역(Band 2) 및 제 3 전송 대역(Band 3)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0', '1/6' 및 '5/6'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가중치 인덱스로 '00101'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 제어부(130)는 313단계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프리앰블(preamble) 및 방송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방송 정보는 해당 기지국(100)에서 운용하기 위한 전송 대역들에 대한 대역 정보, 전송 대역 별 자원 할당 구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부(130)는 프리앰블 전송 시, 현재의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나타내는 가중치 인덱스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대역 정보를 나타내는 대역 비트맵(aggregation band bitmap) 및 가중치 인덱스를 연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및 Band 2)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및 제 2 전송 대역(Band 2)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5/30' 및 '25/30'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방송 정보에서 '0101 00101'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세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Band 2 및 Band 3)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제 2 전송 대역(Band 2), 제 3 전송 대역(Band 3)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0', '1/6' 및 '5/6'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방송 정보에서 '0111 00101'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프리앰블 및 방송 정보 수신 시, 단말 제어부(230)는 315단계에서 프리앰블을 통해 초기 동기를 획득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셀(10)을 탐색하여, 접속하기 위한 기지국(100)을 결정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230)는 대역 정보, 자원 할당 구조, 가중치 정보 등을 파악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방송 정보에서 가중치 인덱스를 확인하고, 가중치 인덱스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가중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메모리(220)와 마찬가지로, 단말 메모리(220)는 하기 <표 3> 및 <표 4>와 같이 가중치 벡터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표 3>은 두 개의 전송 대역들이 결합된 경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나타내는 가중치 인덱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표 4>는 세 개의 전송 대역들이 결합된 경우,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나타내는 가중치 인덱스로 이루어져 있다.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00000 0 1 10000 16/30 14/30
00001 1/30 29/30 10001 17/30 13/30
00010 2/30 28/30 10010 18/30 12/30
00011 3/30 27/30 10011 19/30 11/30
00100 4/30 26/30 10100 20/30 10/30
00101 5/30 25/30 10101 21/30 9/30
00110 6/30 24/30 10110 22/30 8/30
00111 7/30 23/30 10111 23/30 7/30
01000 8/30 22/30 11000 24/30 6/30
01001 9/30 21/30 11001 25/30 5/30
01010 10/30 20/30 11010 26/30 4/30
01011 11/30 19/30 11011 27/30 3/30
01100 12/30 18/30 11100 28/30 2/30
01101 13/30 17/30 11101 29/30 1/30
01110 14/30 16/30 11110 30/30 0
01111 15/30 15/30 11111 0 0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Band 3 weight Vector index Band 1 weight Band 2 weight Band 3 weight
00000 0 0 0 10000 2/6 0 4/6
00001 1 0 0 10001 2/6 1/6 3/6
00010 0 1 0 10010 2/6 2/6 2/6
00011 0 0 1 10011 2/6 3/6 1/6
00100 0.33 0.33 0.33 10100 2/6 4/6 0
00101 0 1/6 5/6 10101 3/6 0 3/6
00110 0 2/6 4/6 10110 3/6 1/6 2/6
00111 0 3/6 3/6 10111 3/6 2/6 1/6
01000 0 4/6 2/6 11000 3/6 3/6 0
01001 0 5/6 1/6 11001 4/6 0 2/6
01010 1/6 0 5/6 11010 4/6 1/6 1/6
01011 1/6 1/6 4/6 11011 4/6 2/6 0
01100 1/6 2/6 3/6 11100 5/6 0 1/6
01101 1/6 3/6 2/6 11101 5/6 1/6 0
01110 1/6 4/6 1/6 11110 reserved reserved reserved
01111 1/6 5/6 0 11111 reserved reserved reserved
예를 들면, 방송 정보에서 대역 정보 및 가중치 인덱스로 '0101 00101' 확인 시, 단말 제어부(230)는 두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및 Band 2)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및 제 2 전송 대역(Band 2)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5/30' 및 '25/30'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는 방송 정보에서 대역 정보 및 가중치 인덱스로 '0101 00101' 확인 시, 단말 제어부(230)는 세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Band 2 및 Band 3)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제 2 전송 대역(Band 2) 및 제 3 전송 대역(Band 3)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0', '1/6' 및 '5/6'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230)는 317단계에서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기지국(100)에 접속하기 위한 우선 대역(primary band)으로 결정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의 숫자들을 가중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숫자를 임의로 발생하여, 우선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및 Band 2)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및 제 2 전송 대역(Band 2)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5/30' 및 '25/30'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의 숫자들을 0 내지 5/30에 상응하는 영역과 5/30 내지 1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의 어느 하나의 숫자를 임의로 발생한다. 여기서, 해당 숫자가 0 내지 5/30에 상응하는 영역에 해당하면, 단말 제어부(230)는 제 1 전송 대역을 우선 대역으로 결정한다. 또는 해당 숫자가 5/30 내지 1에 상응하는 영역에 해당하면, 단말 제어부(230)는 제 2 전송 대역을 우선 대역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단말 제어부(230)는 319단계에서 우선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에 접속을 요청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기지국(100)에 등록하여 통신을 위한 식별 정보(Connection IDentifier; CID)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이니셜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
계속해서, 우선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 감지 시, 기지국 제어부(130)는 321단계에서 우선 대역에 대응하는 매핑 대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는 323단계에서 매핑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에 응답한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으로 응답한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으로 응답한다.
마지막으로, 접속 요청 응답 감지 시, 단말 제어부(230)는 325단계에서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부(1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데이터 전송 용량 요청(bandwidth request)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지국(100) 및 통신 단말기(200)가 가중치 인덱스를 송신함으로써, 통신 단말기(200)가 가중치 정보를 파악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기지국(100) 및 통신 단말기(200)는 물리 계층 신호 전달(PHY signalling) 방식으로 가중치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지국(100) 및 통신 단말기(200)는 가중치 벡터 테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그러한 예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즉 도 5는 기지국(100) 및 통신 단말기(200)에서 물리 계층 신호 전달 방식으로 가중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송 대역 결정 절차는, 기지국 제어부(130)가 411단계에서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부(130)는 대역 결합을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전송 대역들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는 해당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파악하여,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제어부(130)는 413단계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프리앰블 및 방송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방송 정보는 해당 기지국(100)에서 운용하기 위한 전송 대역들에 대한 대역 정보, 전송 대역 별 자원 할당 구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는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정보를 전송한다. 즉 기지국 제어부(130)는 가중치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로 변환하여,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위치의 채널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전송 대역들이 결합되어 있으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A1', 'A2', 'A3', 'A4', 'A5', 'A6', 'A7' 및 'A8'을 통해 제 1 전송 대역의 가중치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기지국 제어부(130)는 'B1', 'B2', 'B3', 'B4', 'B5', 'B6', 'B7' 및 'B8'을 통해 제 2 전송 대역의 가중치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프리앰블 및 방송 정보 수신 시, 단말 제어부(230)는 415단계에서 프리앰블을 통해 초기 동기를 획득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셀(10)을 탐색하여, 접속하기 위한 기지국(100)을 결정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대역 정보, 자원 할당 구조 등을 파악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230)는 417단계에서 방송 채널의 위치를 근거로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여 가중치 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전송 대역들이 결합되어 있으면, 단말 제어부(230)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제 1 전송 대역 및 제 2 전송 대역의 가중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2
은 제 1 전송 대역의 가중치 정보를 나타내고,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3
는 제 2 전송 대역의 가중치 정보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4
은 제 1 전송 대역의 가중치 정보 및 제 2 전송 대역의 가중치 정보 간 비를 나타낸다. 그리고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5
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6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7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8
Figure 112009007366016-pat00009
Figure 112009007366016-pat00010
여기서,
Figure 112009007366016-pat00011
는 아날로그 신호의 신호 세기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230)는 419단계에서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기지국(100)에 접속하기 위한 우선 대역으로 결정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의 숫자들을 가중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숫자를 임의로 발생하여, 우선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전송 대역들(Band 1 및 Band 2)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송 대역(Band 1) 및 제 2 전송 대역(Band 2)의 가중치 정보가 각각 '5/30' 및 '25/30'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의 숫자들을 0 내지 5/30에 상응하는 영역과 5/30 내지 1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의 어느 하나의 숫자를 임의로 발생한다. 여기서, 해당 숫자가 0 내 지 5/30에 상응하는 영역에 해당하면, 단말 제어부(230)는 제 1 전송 대역을 우선 대역으로 결정한다. 또는 해당 숫자가 5/30 내지 1에 상응하는 영역에 해당하면, 단말 제어부(230)는 제 2 전송 대역을 우선 대역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단말 제어부(230)는 421단계에서 우선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에 접속을 요청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기지국(100)에 등록하여 통신을 위한 식별 정보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이니셜 레인징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
계속해서, 우선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 감지 시, 기지국 제어부(130)는 423단계에서 우선 대역에 대응하는 매핑 대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는 425단계에서 매핑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에 응답한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레인징 응답으로 응답한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랜덤 액세스 응답으로 응답한다.
마지막으로, 접속 요청 응답 감지 시, 단말 제어부(230)는 427단계에서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부(1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대역 결 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데이터 전송 용량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스케줄링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통신 단말기(200)가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 대역을 결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기지국(100)이 전송 대역 별 자원 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전송 대역들을 운용함으로써, 통신 단말기(200)에서 임의로 우선 대역을 결정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6은 그러한 예로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송 대역 결정 절차는, 기지국 제어부(130)가 511단계에서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부(130)는 대역 결합을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전송 대역들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는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파악하여,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제어부(130)는 513단계에서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대역 별로 해당 기지국(100)과 통신 단말기(200) 간 접속에 이용하기 위한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변경한다. 즉 기지국 제어부(130)는 전송 대역 별 가중치 정보가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전송 대역 별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변경한다. 이 후 기지국 제어부(130)는 515단계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프리앰블 및 방송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방송 정보는 해당 기지국(100)에서 운용하기 위한 전송 대역들에 대한 대역 정보, 전송 대역 별 자원 할당 구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 정보는 전송 대역 별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프리앰블 및 방송 정보 수신 시, 단말 제어부(230)는 517단계에서 프리앰블을 통해 초기 동기를 획득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셀(10)을 탐색하여, 접속하기 위한 기지국(100)을 결정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230)는 대역 정보, 자원 할당 구조 등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230)는 519단계에서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기지국(100)에 접속하기 위한 우선 대역으로 결정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1 내지 1 사이의 숫자들을 전송 대역들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30)는 0 내지 1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숫자를 임의로 발생하여, 해당 숫자가 해당하는 영역에 따라 우선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 제어부(230)는 521단계에서 우선 대역의 접속 허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100)에 접속을 요청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기지국(100)에 등록하여 통신을 위한 식별 정보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이니셜 레인징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
계속해서, 우선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 감지 시, 기지국 제어부(130)는 523단계에서 우선 대역에 대응하는 매핑 대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부(130) 는 525단계에서 매핑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에 응답한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레인징 응답으로 응답한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 이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랜덤 액세스 응답으로 응답한다.
마지막으로, 접속 요청 응답 감지 시, 단말 제어부(230)는 527단계에서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2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부(1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데이터 전송 용량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스케줄링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기지국(100)과 통신 단말기(200)가 우선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단말기(200)는 우선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에 접속한 다음, 우선 대역을 변경하여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그러한 예로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송 대역 결정 절차에서, 611단계 내지 623단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송 대역 결정 절차의 311단계 내지 323단계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전송 대역 절차에 있어서, 623단계에서 매핑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에 응답한 다음, 기지국 제어부(130)는 625단계에서 우선 대역이 해당 기지국(100)과 통신 단말기(200) 간 통신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우선 대역의 자원 분포 등을 기준으로 우선 대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625단계에서 우선 대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631단계에서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부(1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통신 단말기(200)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230)는 우선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매핑 대역을 통해 기지국(100)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데이터 전송 용량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스케줄링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625단계에서 우선 대역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 제어부(130)는 627단계에서 통신 단말기(200)에 우선 대역의 변경을 지시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부(130)는 매핑 대역을 통해 우선 대역의 변경을 지시한다. 그리고 우선 대역의 변경 지시 감지 시, 단말 제어부(230)는 629단계에서 우선 대역을 전송 대역들 중 우선 대역과 다른 어느 하나로 변경한다. 이 후 단말 제어부(230)는 631단계에서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대역 결합 시스템이 IEEE 802. 16m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데이터 전송 용량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대역 결합 시스템이 3GPP LTE advanced이면, 단말 제어부(230)는 스케줄링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100)이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 다음, 우선 대역의 변경을 지시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매핑 대역을 결정한 다음, 우선 대역이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우선 대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100)은 매핑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우선 대역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100)은 매핑 대역을 통해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우선 대역의 변경 지시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들이 대역 결합된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고려하여,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접속하기 때문에, 특정 전송 대역에 자원이 편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 운용하는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를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다수개의 통신 단말기들의 신호들이 충돌할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 단말기 간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결정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6)

  1.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비교하여 상기 전송 대역 별 자원 분포에 따라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는 가중치 인덱스를 포함하는 가중치 벡터 테이블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가중치 인덱스를 검출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정보를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가중치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대역 별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접속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방법.
  6.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에 따른 가중치 정보 수신 시,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는 가중치 인덱스를 포함하는 가중치 벡터 테이블은 상기 기지국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가중치 인덱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정보는,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중치 벡터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가중치 인덱스 또는 상기 가중치 정보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로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방법.
  8.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송 대역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비교하여 상기 전송 대역 별 자원 분포에 따라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는 가중치 인덱스를 포함하는 가중치 벡터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가중치 인덱스를 검출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중치 정보를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장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중치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대역 별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접속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 허용 채널의 사이즈를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장치.
  13.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을 결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대역 결합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전송 대역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송 대역들의 자원 분포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가중치 정보 수신 시,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는 가중치 인덱스를 포함하는 가중치 벡터 테이블은 상기 기지국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가중치 인덱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 인덱스를 포함하는 상기 가중치 벡터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중치 인덱스 수신 시, 상기 가중치 인덱스로 상기 가중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대역 결정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정보는 상기 가중치 정보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로 수신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 수신 시,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가중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송 대역 결정 장치.
  16. 삭제
KR1020090009538A 2009-02-06 2009-02-06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 KR10155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538A KR101552838B1 (ko) 2009-02-06 2009-02-06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
EP10738758.1A EP2394482B1 (en) 2009-02-06 2010-02-05 Transmission band determination method for bandwidth aggregation system
PCT/KR2010/000720 WO2010090474A2 (en) 2009-02-06 2010-02-05 Transmission band determination method for bandwidth aggregation system
US12/701,961 US8432930B2 (en) 2009-02-06 2010-02-08 Transmission band determination method for bandwidth aggreg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538A KR101552838B1 (ko) 2009-02-06 2009-02-06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337A KR20100090337A (ko) 2010-08-16
KR101552838B1 true KR101552838B1 (ko) 2015-09-14

Family

ID=4254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538A KR101552838B1 (ko) 2009-02-06 2009-02-06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32930B2 (ko)
EP (1) EP2394482B1 (ko)
KR (1) KR101552838B1 (ko)
WO (1) WO20100904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0289B1 (en) * 2008-02-01 2011-11-01 Zenverge, Inc. Media transmission using aggregated bandwidth of disparate communication channels
US8832266B2 (en) 2010-02-26 2014-09-09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bandwidth of multiple active physical interfaces on application layer
US8737429B2 (en) * 2010-04-16 2014-05-2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Bandwidth recycling in networks
US8892113B2 (en) * 2012-12-06 2014-11-18 Nokia Siemens Networks Oy Coordinated evacuation of spectrum
EP2953395B1 (en) * 2013-02-28 2021-11-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0264597B2 (en) * 2015-07-17 2019-04-16 Ondas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best effort scheduling for a point to multipoint broadband wireless system
TWI638577B (zh) * 2017-02-17 2018-10-11 四零四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網路的環境配置系統及其方法
KR102394225B1 (ko) 2017-07-25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470121B1 (en) * 2018-12-10 2019-11-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Energy-efficient idle listening schemes
KR102413190B1 (ko) * 2019-01-08 2022-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명시적 메모리 사용 신경망 기반의 패션 코디네이션 지식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1536A (en) * 1997-06-20 2000-06-27 Tantivy Communications, Inc.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to transmit a wireless protocol acros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radio link
US20030032433A1 (en) * 2001-07-26 2003-02-13 Yoaz Daniel Resource management in cellular networks
US20050063330A1 (en) * 2003-09-20 200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uplink bandwidth request and allocation based on a quality of service class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I20055687A0 (fi) 2005-12-21 2005-12-21 Nokia Corp Radiokanavajako ja siirtoyhteyden sovitus solukkojärjestelmässä
KR100946902B1 (ko) * 2006-05-06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운용 장치 및 방법
US7796605B2 (en) * 2006-07-28 2010-09-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radio sub-system selection in a packet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438216B1 (ko) * 2007-03-30 2014-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7948962B2 (en) * 2007-08-31 2011-05-24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backhaul resources
US8050289B1 (en) * 2008-02-01 2011-11-01 Zenverge, Inc. Media transmission using aggregated bandwidth of disparate communication channels
US8971354B2 (en) * 2008-07-08 2015-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enerating a carrier group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rrier group information
US8583170B2 (en) * 2009-02-16 2013-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band aggregated spectrum receiver employing frequency source reuse
KR101707867B1 (ko) * 2009-07-28 2017-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반송파 지원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관리 절차 수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4482A2 (en) 2011-12-14
WO2010090474A3 (en) 2010-10-28
EP2394482B1 (en) 2014-03-26
KR20100090337A (ko) 2010-08-16
US8432930B2 (en) 2013-04-30
US20100202310A1 (en) 2010-08-12
EP2394482A4 (en) 2013-02-13
WO2010090474A2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838B1 (ko) 대역 결합 시스템 및 그의 전송 대역 결정 방법
US11985640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US11109411B2 (en) Channel sense method, network side device, and terminal
US2018019232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mmunication in conjunction with cellular communication
CN107820723B (zh) 频率选择方法、随机接入方法和装置
US88250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multiple frequency band modes
US20210258957A1 (en) Electronic device, user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015590A1 (zh) 一种传输方法及其装置
KR101645984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기반의 시스템에서 연속적인 자원 할당 지시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70865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30065373A (ko) D2d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101813822B1 (ko) D2d 발견 신호의 송신 방법과 송신 장치
CN110958692B (zh) 副链路传输资源的选择方法、配置方法及设备
CN109151883B (zh)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22520466A (ja) 伝送リソース検出方法、伝送リソース決定方法と通信機器
US11678239B2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CN111512685A (zh) 信道状态信息测量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836378B (zh) 一种频域资源分配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CN111800802B (zh) 一种参数修改方法及设备
TWI755583B (zh) 資訊發送方法及終端
CN109803437B (zh) 一种随机接入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17166389A1 (zh) 一种资源分配指示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6208296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2019169753A (ja) ユーザ装置及び信号送信方法
WO2018177298A1 (zh) 一种负载均衡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