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405B1 - 창문 자동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자동 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405B1
KR101552405B1 KR1020130160133A KR20130160133A KR101552405B1 KR 101552405 B1 KR101552405 B1 KR 101552405B1 KR 1020130160133 A KR1020130160133 A KR 1020130160133A KR 20130160133 A KR20130160133 A KR 20130160133A KR 101552405 B1 KR101552405 B1 KR 101552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terminal
unit
window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941A (ko
Inventor
신지영
김규명
김래진
하재범
이행신
김성호
강지훈
김민정
최수원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4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3/00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자동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릴경우 자동으로 창문을 폐쇄하여 우수가 실내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유리창(10)의 테두리를 감싸는 창틀(30)의 왕복운동을 통해서 실내가 개폐되도록 하는 창틀프레임(50)의 외면에 배치되어 전류가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하는 단자유닛(100); 상기 창틀프레임(50)과 창틀(30)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단자유닛(100)에 의해 전류가 연결됨에 따라 그 전류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에서 유동되어 실내가 폐쇄되도록 하는 폐쇄유닛(200); 및 상기 창틀프레임(50)에 형성되어 상기 창틀(30)이 상기 상기 폐쇄유닛(200)에 의해 실내를 폐쇄할 경우, 상기 창틀(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폐쇄유닛(2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유닛(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 자동 폐쇄장치{AUTOMATIC CLOSING APP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 자동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릴경우 자동으로 창문을 폐쇄하여 우수가 실내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문을 구성하는 창문틀은 장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에 결합 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창문틀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되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창문틀에는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틀을 개폐하는 창문이 배치된다.
즉, 건축물의 벽체에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창문틀이 설치되고 그 창문틀의 내부에 다수 개의 창문이 다중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실외의 공기가 실내와 소통될 수 있도록 실내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창문에는 실내 측으로 블라인드 또는 커텐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볼 수 없도록 하여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창문틀에는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틀을 개폐하는 미닫이문은 대부분의 건축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닫이문은 건축물 벽체에 대부분 직사각형 형태로 문틀이 설치되고, 창문틀의 내부에 다수개의 문이 다중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공동주택(APT)이나 고층의 건물의 경우 창문의 면적이 넓어 창문의 전면으로 비바람이 강하게 몰아치면, 창문이 열려져 있는 경우 빗물이 실내로 진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바람이 강하게 부는 상태에서 창문이 열려진 상태가 되면, 외부의 먼지 등의 오염물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이러한 비바람과 눈보라가 강하게 발생 될 경우, 실내의 공기가 실외의 공기에 영향을 받게 되어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공개특허공보 10-2004-002763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갑작스런 소나기나 예상치 못한 비 또는 눈이 올경우 개방되어있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우수가 실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비바람이나 눈보라가 발생 될 경우, 실외의 먼지 등의 오염물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비바람과 눈보라가 강하게 발생 되면서 실외의 공기에 영향을 받아 실내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유리창(10)의 테두리를 감싸는 창틀(30)의 왕복운동을 통해서 실내가 개폐되도록 하는 창틀프레임(50)의 외면에 배치되어 전류가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하는 단자유닛(100); 상기 창틀프레임(50)과 창틀(30)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단자유닛(100)에 의해 전류가 연결됨에 따라 그 전류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에서 유동되어 실내가 폐쇄되도록 하는 폐쇄유닛(200); 및 상기 창틀프레임(50)에 형성되어 상기 창틀(30)이 상기 상기 폐쇄유닛(200)에 의해 실내를 폐쇄할 경우, 상기 창틀(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폐쇄유닛(2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유닛(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구된 채로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는 수용체(110)와, 상기 수용체(110)의 상부에 고정된 채로 상기 폐쇄유닛(200)과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단자(120)와, 상기 수용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단자(120)와 이격배치되는 제2단자(130)와, 상기 제2단자(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110) 외부에서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제2단자(130)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단자(130)가 제1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체(140)와, 상기 수용체(110) 상부의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어 우수가 내릴경우 그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우수유도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우수유도기(150)는,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호퍼(152)와, 상기 호퍼(152)에 집수된 우수가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동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154)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체(110)는, 상기 제2단자(130)가 부력체(140)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1단자(120)와 연결된 후에, 상기 수용체(110)로 유입되는 우수가 수용체(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체(110)의 측면에 천공 형성되는 넘침홀(112)을 포함한다.
상기 폐쇄유닛(200)은, 상기 단자유닛(100)과 연결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220)와, 상기 피니언기어(22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창틀(30)의 상면에 고정되는 렉기어(230)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유닛(300)은,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는 스위치몸체(310)와, 상기 스위치몸체(310)에 배치되어 상기 창틀(30)이 폐쇄시 그 창틀(30)에 가압되어 유동되는 레바(320)와, 상기 레바(320)의 유동에 의해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330)와, 상기 레바(320)가 리미트스위치(330)에 접촉시 발생 되는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폐쇄유닛(200)에 전기신호를 보내 폐쇄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틱(34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30)에는, 상기 창틀(30)에 배치되어 상기 창틀(30)이 반복적으로 레바(320)에 충돌되어 레바(32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범퍼(350)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상태에서 갑작스런 소나기가 예상치 못한 비 또는 눈이 올경우, 개방되었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실내로 우수가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사용자가 실내에 없는 상태에서도 비바람이나 눈보라에 의해 실외의 오염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깨끗한 실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사용자가 실내에 없거나 비바람과 눈보라가 발생된 것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개방되었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실외의 공기에 영향을 받아 실내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그에 따른 보일러의 에너지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의 폐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의 요부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찬문 자동 폐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릴경우 자동으로 창문을 폐쇄하여 우수가 실내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특히, 단자유닛, 폐쇄유닛, 정지유닛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의 폐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전류가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단자유닛(100)과, 상기 단자유닛(100)의 전류에 의해 작동되어 창틀(30)으로 실내를 폐쇄할 수 있는 폐쇄유닛(200)과, 상기 폐쇄유닛(200)을 통해 창틀(30)이 실내를 폐쇄되면 폐쇄유닛(2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유닛(100)은, 유리창(10)의 테두리를 감싸는 창틀(30)의 왕복운동을 통해서 실내가 개폐되도록 하는 창틀프레임(50)의 외면에 배치되어 전류가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자유닛(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구된 채로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는 수용체(110)와, 상기 수용체(110)의 상부에 고정된 채로 상기 폐쇄유닛(200)과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단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유닛(100)은, 상기 수용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단자(120)와 이격배치되는 제2단자(130)와, 상기 제2단자(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110) 외부에서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제2단자(130)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단자(130)가 제1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자유닛(100)은, 상기 수용체(110) 상부의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어 우수가 내릴경우 그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우수유도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 및 부력체(140)는 상기 수용체(110) 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상호 전류가 단전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수용체(110)의 상부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제2단자(130)는 상기 부력체(140)의 상부에 구비된 채로 상기 수용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체가 사용되고, 전도체의 금속이라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에는 각각 전선(70)이 별도로 구비되어 그 전선(70)은 상기 폐쇄유닛(2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140)는, 물에 부력을 갖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140)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것은 일 실시 예일뿐, 상기 부력체(140)가 물에 부력을 갖고 수면상으로 떠오를 수 있다면, 합성수지 발포폼이나 나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우수유도기(150)는, 상기 창틀프레임(50)의 외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비 또는 눈이 올경우, 그 비와 눈인 우수가 상기 우수유도기(150)를 통해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수유도기(150)를 통해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게되면 상기 부력체(140)가 부력에 의해 우수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면서 상기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가 상호 밀착되면서 전류가 흐를 수 있게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 및 부력체(140)가 상기 우수유도기(150)를 통해 물이유입되어 동작되는 것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우수유도기(150)는,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호퍼(152)와, 상기 호퍼(152)에 집수된 우수가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동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152)는,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채로 상부가 하부보다 넓고 하부는 상기 안내관(154)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호퍼(152)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상기 안내관(154)을 통해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154)은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 실시 예일뿐, 상기 호퍼(152)로 집수된 우수가 상기 안내관(154)을 통해 상기 수용체(11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면 상기 호퍼(152)와 안내관(154)의 형태와 크기 및 재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쇄유닛(200)은, 상기 창틀프레임(50)과 창틀(30)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단자유닛(100)에 의해 전류가 연결됨에 따라 그 전류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에서 유동되어 실내가 폐쇄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폐쇄유닛(200)은, 상기 단자유닛(100)과 연결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220)와, 상기 피니언기어(22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창틀(30)의 상면에 고정되는 렉기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가 연결되어 상호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모터(210)가 구동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2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렉기어(2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렉기어(230)가 고정된 상기 창틀(30) 또한 유동되면서 창틀프레임(50)을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폐쇄유닛(200)을 통해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을 폐쇄한 후, 상기 모터(210)는 상기 정지유닛(300)을 통해 그 구동이 정지되게 된다.
즉, 상기 정지유닛(300)은, 상기 창틀프레임(50)에 형성되어 상기 창틀(30)이 상기 상기 폐쇄유닛(200)에 의해 실내를 폐쇄할 경우, 상기 창틀(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폐쇄유닛(2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지유닛(300)은, 리미트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창틀(30)이 상기 상기 폐쇄유닛(200)에 의해 실내를 폐쇄할 경우, 상기 창틀(30)이 리미트스위치를 가압하여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상기 모터(210)의 구동은 정지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유닛(3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의 요부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 폐쇄장치는, 단자유닛(100)과, 폐쇄유닛(200) 및 정지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유닛(100)은, 수용체(110) 상부에 고정되는 제1단자(120)와 상기 제1단자(120)와 이격배치되면서 상기 수용체(110) 하부에 배치되는 제2단자(130)와, 상기 수용체(110) 외부에서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제2단자(130)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단자(130)가 제1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유닛(100)은, 상기 수용체(110) 상부의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어 우수가 내릴경우 그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우수유도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수유도기(150)는,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호퍼(152)와, 상기 호퍼(152)에 집수된 우수가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동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에는 각각 전선(70)이 별도로 구비되어 그 전선(70)은 상기 폐쇄유닛(200)의 모터(2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 우수유도기(150)를 통해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 및 부력체(14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 및 부력체(140)는 상기 수용체(110) 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상호 전류가 단전된 상태로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 각각에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전선(70)이 상기 모터(210)연결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자(120)는 상기 수용체(110)의 상부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제2단자(130)는 상기 부력체(140)의 상부에 구비된 채로 상기 수용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우수유도기(150)의 상기 호퍼(152)로 비 또는 눈인 우수가 유입되게 되면, 그 우수는 상기 호퍼(152)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안내관(154)을 통해 상기 수용체(110)로 진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용체(110)에 우수가 진입되면 상기 부력체(140)는 우수의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의 거리는 상호 가까워 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부력체(140)가 우수의 수면위로 떠오르다가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가 상호 연결되게 되면 상기 전선(70)으로 연결된 상기 모터(210)가 구동되게 된다.
상기 폐쇄유닛(200) 모터(210)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을 폐쇄하게 되면서, 상기 창틀(30)이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는 정지유닛(300)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정지유닛(300)에 의해 상기 모터(210)의 구동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체(110)는, 상기 제2단자(130)가 부력체(140)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1단자(120)와 연결된 후에, 상기 수용체(110)로 유입되는 우수가 수용체(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체(110)의 측면에 천공 형성되는 넘침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1단자(120)와 제2단자(130)가 상호 연결된 이후에, 상기 우수유도기(150)를 통해 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는 상기 넘침홀(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창틀(30)이 상기 창틀프레임(50)을 폐쇄하면, 상기 창틀(30)은 상기 창틀프레임(50)을 폐쇄한 상태로 고정되게 되고, 상기 수용체(110) 내부에 남아있는 우수는 증발 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수용체(11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임의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체(110) 내부의 우수가 모두 증발되거나 배출되게 되면 상기 부력체(140)가 다시 상기 수용체(11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단자(130) 또한 상기 제1단자(120)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30)은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창틀프레임(50)에서 개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에서 폐쇄된 상태일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폐쇄유닛(200)의 전원을 꺼 놓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찬문 자동 폐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유닛(300)은, 상기 창틀프레임(50)에 형성되어 상기 창틀(30)이 상기 상기 폐쇄유닛(200)에 의해 실내를 폐쇄할 경우, 상기 창틀(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폐쇄유닛(2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정지유닛(300)은,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는 스위치몸체(310)와, 상기 스위치몸체(310)에 배치되어 상기 창틀(30)이 폐쇄시 그 창틀(30)에 가압되어 유동되는 레바(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유닛(300)은, 상기 레바(320)의 유동에 의해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330)와, 상기 레바(320)가 리미트스위치(330)에 접촉시 발생 되는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폐쇄유닛(200)에 전기신호를 보내 폐쇄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틱(3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레바(320)가 상기 리미트스위치(330)에 접촉하게 되면 전기신호가 발생 되고, 그 전기신호가 상기 마그네틱(340)으로 전달되면 상기 마그네틱(340)은 그 전기신호를 상기 모터(210)로 전달하여 상기 모터(21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창틀(30)에는, 상기 창틀(30)에 배치되어 상기 창틀(30)이 반복적으로 레바(320)에 충돌되어 레바(32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범퍼(35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범퍼(350)는, 상기 레바(320)가 상기 창틀(30)의 반복적 가압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범퍼(350)는 스폰지 또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력을 갖으면서 연질로 이루어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지유닛(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을 폐쇄하면서 유동 되면 상기 스위치몸체(310)는 상기 창틀(30)에 배치되는 상기 범퍼(350)와 닿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범퍼(350)가 상기 스위치몸체(310)와 닿게 되면, 상기 스위치몸체(3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창틀(30)에 구비되는 범퍼(350)의 가압에 의해 유동 되는 상기 레바(320)가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레바(320)가 유동 되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330)와 접촉되면 전기신호가 발생 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330)는 그 전기신호를 상기 마그네틱(340)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340)은 그 전기신호를 상기 모터(210)로 보내 상기 모터(210)의 동작이 멈추도록 하여 상기 모터(21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바(230)는, 상기 범퍼(250) 또는 창틀(30)이 상기 스위치몸체(310)에 부딪힐 때에만 유동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모터(210)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상태에서 갑작스런 소나기가 예상치 못한 비 또는 눈이 올경우, 개방되었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실내로 우수가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내에 없는 상태에서도 비바람이나 눈보라에 의해 실외의 오염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깨끗한 실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사용자가 실내에 없거나 비바람과 눈보라가 발생된 것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개방되었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실외의 공기에 영향을 받아 실내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그에 따른 보일러의 에너지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유리창 30 : 창틀
50 : 창틀프레임 70 : 전선
100 : 단자유닛 110 : 수용체
120 : 제1단자 130 : 제2단자
140 : 부력체 150 : 우수유도기
152 : 호퍼 154 : 안내관
200 : 폐쇄유닛 210 : 모터
220 : 피니언기어 230 : 렉기어
300 : 정지유닛 310 : 스위치몸체
320 : 레바 330 : 리미트스위치
340 : 마그네틱 350 : 범퍼

Claims (7)

  1. 유리창(10)의 테두리를 감싸는 창틀(30)의 왕복운동을 통해서 실내가 개폐되도록 하는 창틀프레임(50)의 외면에 배치되어 전류가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하는 단자유닛(100);
    상기 창틀프레임(50)과 창틀(30)에 연결배치되어 상기 단자유닛(100)에 의해 전류가 연결됨에 따라 그 전류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창틀(30)이 창틀프레임(50)에서 유동되어 실내가 폐쇄되도록 하는 폐쇄유닛(200); 및
    상기 창틀프레임(50)에 형성되어 상기 창틀(30)이 상기 상기 폐쇄유닛(200)에 의해 실내를 폐쇄할 경우, 상기 창틀(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폐쇄유닛(2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유닛(300);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유닛(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구된 채로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는 수용체(110)와,
    상기 수용체(110)의 상부에 고정된 채로 상기 폐쇄유닛(200)과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단자(120)와,
    상기 수용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단자(120)와 이격배치되는 제2단자(130)와,
    상기 제2단자(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110) 외부에서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제2단자(130)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단자(130)가 제1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체(140)와,
    상기 수용체(110) 상부의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어 우수가 내릴경우 그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우수유도기(150)를 포함하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유도기(150)는,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는 호퍼(152)와,
    상기 호퍼(152)에 집수된 우수가 상기 수용체(110) 내부로 유동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154)을 포함하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10)는,
    상기 제2단자(130)가 부력체(140)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1단자(120)와 연결된 후에, 상기 수용체(110)로 유입되는 우수가 수용체(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체(110)의 측면에 천공 형성되는 넘침홀(112)을 포함하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유닛(200)은,
    상기 단자유닛(100)과 연결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220)와,
    상기 피니언기어(22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창틀(30)의 상면에 고정되는 렉기어(230)를 포함하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유닛(300)은,
    상기 창틀프레임(50)에 배치되는 스위치몸체(310)와,
    상기 스위치몸체(310)에 배치되어 상기 창틀(30)이 폐쇄시 그 창틀(30)에 가압되어 유동되는 레바(320)와,
    상기 레바(320)의 유동에 의해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330)와,
    상기 레바(320)가 리미트스위치(330)에 접촉시 발생 되는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폐쇄유닛(200)에 전기신호를 보내 폐쇄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그네틱(340)을 포함하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30)에는,
    상기 창틀(30)에 배치되어 상기 창틀(30)이 반복적으로 레바(320)에 충돌되어 레바(32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범퍼(350)가 포함되는 창문 자동 폐쇄장치.
KR1020130160133A 2013-12-20 2013-12-20 창문 자동 폐쇄장치 KR10155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133A KR101552405B1 (ko) 2013-12-20 2013-12-20 창문 자동 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133A KR101552405B1 (ko) 2013-12-20 2013-12-20 창문 자동 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41A KR20150080941A (ko) 2015-07-13
KR101552405B1 true KR101552405B1 (ko) 2015-09-10

Family

ID=5379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133A KR101552405B1 (ko) 2013-12-20 2013-12-20 창문 자동 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4083A (zh) * 2016-07-20 2016-10-12 成都广迈科技有限公司 一种浴室安防系统
KR101973643B1 (ko) * 2018-07-30 2019-04-29 (주)도래샘 진입로 출입 통제용 게이트장치
KR102097243B1 (ko) * 2019-07-26 2020-04-03 곽대성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CN110397367B (zh) * 2019-08-14 2024-05-14 王加进 一种楼宇雨天自动开关窗户
CN111561241B (zh) * 2020-05-28 2020-12-18 杭州竺沁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雨水与风速自动关闭清洗活动窗的智能家居装置
CN114893094A (zh) * 2022-05-25 2022-08-12 浙江普威新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开窗器的智能控制系统及过载保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67A (ja) * 1999-08-18 2001-02-27 Kiichi Hatano 折り畳み障子の自動閉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67A (ja) * 1999-08-18 2001-02-27 Kiichi Hatano 折り畳み障子の自動閉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41A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405B1 (ko) 창문 자동 폐쇄장치
KR20180002997U (ko) 자동 청결 감시 카메라
KR101060484B1 (ko) 창문개폐장치
CN204531852U (zh) 一种防儿童跌落及防盗的智能安全窗
CN208918147U (zh) 一种用于激光雷达观测的智能天窗装置
WO2021196567A1 (zh) 一种根据传感器判断气象条件的装置及方法
KR101717483B1 (ko) 미닫이창 자동 닫힘 장치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KR101060499B1 (ko) 창문개폐장치
US20050166613A1 (en) Drain pan overflow safety switch
CN103938979A (zh) 一种多功能自动关窗系统
CN211126757U (zh) 防水箱式变电站
CN202926083U (zh) 一种自动防风窗
KR101028141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CN212027491U (zh) 一种下雨自动关闭的高楼窗户
CN211081457U (zh) 一种感应式自动关闭智能窗
CN212958201U (zh) 一种雨水感应自动闭合智能静音门窗
CN209510138U (zh) 通风防水百叶窗
CN108978845B (zh) 一种在雨天能自动开关排除杂物的雨水篦子装置
CN213742891U (zh) 一种降雨自动关闭窗
KR101060500B1 (ko) 창문개폐장치
CN103277000A (zh) 一种外开电动窗
CN109025647B (zh) 一种风雨天智能感应窗户
CN203729271U (zh) 刚性板自动阻水机
CN202299846U (zh) 感应式自动开关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