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133B1 -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 Google Patents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133B1
KR101552133B1 KR1020140022248A KR20140022248A KR101552133B1 KR 101552133 B1 KR101552133 B1 KR 101552133B1 KR 1020140022248 A KR1020140022248 A KR 1020140022248A KR 20140022248 A KR20140022248 A KR 20140022248A KR 101552133 B1 KR101552133 B1 KR 10155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ents
pressing
expand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0434A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바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쉔(주) filed Critical 바쉔(주)
Priority to KR102014002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133B1/en
Priority to PCT/KR2015/001772 priority patent/WO2015130064A1/en
Publication of KR2015010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내용물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내용물 이동판과 하우징의 외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내용물 이동 장치를 제공하여,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며,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필요시 포장용기 상단에 위치하게 하여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moving contents and a contents moving device us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s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s, a contents movement pl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pressing unit having an internal space outside the housing, wherein the contents movement plate is mov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unit A packaging container and a contents moving device used therein,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can be moved to the upper part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obtained and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can b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packaging container when 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take out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Description

포장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내용물 이동 장치{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압부를 갖는 포장용기로서 상기 가압부의 작용으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pressuriz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moving contents in a packaging container by the a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일반적으로, 포장용 내용물(과자, 사탕, 껌, 알약, 분말, 액상 등)을 포장하여 제공하는 포장용기는 용기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양만큼 꺼내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packaging containers for packaging contents (confectionary, candy, gum, pill, powder, liquid, etc.) are provided in containers and lids. When the user tilts the packaging container and pulls out the contents, the contents pour out at the same time,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take out the contents in the packaging container one by one or a necessary amount.

또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 때는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용기를 기울이는 등 사용이 번거롭고 인출되는 내용물이 포장용기 내부의 하부에 있을 때 내용물을 손으로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Also,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packaging container is small, it is troublesome to use the container for withdrawing the content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ackaging container. When the contents to be withdrawn are at the bottom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And so on.

따라서 근래에 들어 용기 내에서 내용물을 낱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기가 제시된 바 있으며, 현재 고안되어 사용 중인, 포장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지지하는 심대가 있고 포장용기 몸체가 위아래 이동하여 상기 심대에 의하여 일부 내용물이 포장용기 상부의 토출구로 나오도록 하는 펌프 용기는, 뚜껑 부분을 포함한 포장용기 몸체 전체를 최대한 상향으로 옮기고 다시 하향 이동해야 해서 작동을 위한 조작 거리가 크고, 내용물 전부를 들었다가 내려놓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proposed a packaging container for allowing contents to be taken out one by one in a container. There is a container for supporting the contents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currently in use, and the packaging container body moves up and down, The pump container in which som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on the upper part of the packaging container must move the entire packaging container body including the lid part upward as much as possible and move it downward again so that the operation distance for the operation is large and the contents are all lifted up and down And the like.

선행 기술로 가압 수단이 용기에 적용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용기를 잡는 과정을 이용하거나 용기의 외부를 가압부로 활용한 포장용기는 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Although the prior art has disclosed the invention in which the pressurizing means is applied to a container, a packaging container using a process of holding the container or utilizing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s a pressurizing portion has not been disclosed.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용기가 시장에 공급되는 상황에서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유희를 제공하는 수단의 필요성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 need for a means of providing entertainment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contents in a situation where containers of various designs are supplied to the market.

KR 등록실용신안공보 Y1 20-0458000호 (2012. 01. 16)KR Registration Practical Newspaper Bulletin Y1 20-0458000 (2012. 01. 16)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용기의 외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제공하여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s moving device and a contents moving device for easily and easily obtaining contents by moving the contents of a packaging container upwards by providing a pressing part having an internal space outside the packaging container. And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기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 pressing portion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space therein; A contents moving plate which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moves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And an inflating portion for inflating the air of the pressing portion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wherein the inflating portion is expanded in volume by the inflow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least one of the moving plate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or integrally formed, and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re formed as a single space or a separated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leased after the air in the press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press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external air flows into the pressing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structure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turned to the outside It may be a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이동판,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하는 재질이고, 상기 공기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할 수 있다.
The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through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is not moved to the pressing portion .
Wherein the spac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nd the expansion unit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and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uni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ement plate moves,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can hold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ping without the pressure and can maintain the stopped state .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the pressurizing unit, and the expand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closely adheres to the housing, and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unit Possibly replaced by other gases.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The expansion unit may include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sion uni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a spring, a support, a spring, and a moto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and at least on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ncludes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swing check valve, a lift check valve, a tilting disc check valve, a wafer disc check valve, an in-line check valve, a stop check valve, and a diaphragm valve.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본 발명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 부피가 작아지며 공기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omprising: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contents mov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contents; And a pressurizing portion having an air sp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contents storage portion for storing contents and an expan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expands in volume, The pressing portion stores air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urface, the air volume inside the pressing portion becomes small, Wherein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to a shape capable of being pressuriz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the constitution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presses the entire or part of the pressurizing portion outer wall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n open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ortion,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duced by an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elastic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moving into the expansion part.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reases in volume by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djacent to the expand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which is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an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Contents with full or partial parts can be moved.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through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infl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ulg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press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side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leased, and the shap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before the pressurization,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outside.
Wherein the spac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nd the expansion unit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and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uni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ement plate moves,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can hold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ping without the pressure and can maintain the stopped state .

상기 내용물 이동판,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하는 재질이고, 상기 공기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the pressurizing unit, and the expand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closely adheres to the housing, and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unit It may be possible to substitute for other possible gase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expand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after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duced and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repeatedly moves into the inflating portion by the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pressing portion have.
The expansion unit may include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sion uni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a spring, a support, a spring, and a moto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and at least on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ncludes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swing check valve, a lift check valve, a tilting disc check valve, a wafer disc check valve, an in-line check valve, a stop check valve, and a diaphragm valve.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이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될 수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 contents mov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contents; And a pressing portion having an air space inside, whi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the contents moving plate being moved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the housing including a contents storage portion for storing contents, And an expan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expands in volume,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re formed as a single space.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reases in volume by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djacent to the expand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which is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an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Contents with full or partial parts can be moved.
The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through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urg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infl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portion is not moved to the pressing portion,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leased and the shap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stored before the pressing, The air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may flow into the pressing portion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may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outside.
The spac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nd the expansion unit may be divid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and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uni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may b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ement plate moves .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기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pressing portion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space therein; A contents moving plate which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moves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And an inflating portion for inflating the air of the pressing portion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wherein the inflating portion is expanded in volume by the inflow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least one of the moving plate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or integrally formed, and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re formed as a single space or a separated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leased after the air in the press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press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external air flows into the pressing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structure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turned to the outside It may be a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The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through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is not moved to the pressing portion .
Wherein the spac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nd the expansion unit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and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uni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ement plate moves,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can hold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ping without the pressure and can maintain the stopped state .
The expansion unit may include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sion uni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a spring, a support, a spring, and a moto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and at least on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ncludes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swing check valve, a lift check valve, a tilting disc check valve, a wafer disc check valve, an in-line check valve, a stop check valve, and a diaphragm valve.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 부피가 작아지며 공기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contents mov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contents; And a pressurizing portion having an air sp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contents storage portion for storing contents and an expan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expands in volume, The pressing portion stores air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surface, the air volume inside the pressing portion becomes small, Wherein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to a shape capable of being pressuriz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the constitution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presses the entire or part of the pressurizing portion outer wall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n open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ortion,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duced by an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elastic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expansion unit.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reases in volume by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djacent to the expand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which is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an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Contents with full or partial parts can be move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through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infl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flat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ulg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press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side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leased, and the shap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before the pressurization,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outside.
The expansion unit may include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sion uni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Wherein the spac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nd the expansion unit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and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uni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ement plate moves,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can hold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ping without the pressure and can maintain the stopped state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expand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after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duced, and air in the pressing portion can be repeatedly moved into the inside of the expanding portion by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pressing portio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삭제delete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외부에 가압부를 제공하여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필요 시 포장용기 상단에 위치하게 하여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conveniently acquire contents by providing a pressing portion on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to move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upward. This allows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to b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packaging container when 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take out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용물 잔류량이 적을 때에도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깊게 손으로 집거나 기울임 없이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투명재질로 제작 시에는 시각적으로도 유희를 즐길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conveniently take out the contents without deeply handing or tilting the contents of the lower part of the packaging container eve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packaging container is small, In the city, you can enjoy playfully.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도면임.
도 1은 개념도임.
도 2는 분해도임.
도 3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임.
도 4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전 단면도임.
도 5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후 단면도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도면임.
도 6은 단면도임.
도 7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도면임.
도 8은 사시도임.
도 9는 단면도임.
도 10은 분해 단면도임.
도 11은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임.
1 to 5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onceptual diagram.
2 is an exploded view.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after operation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ig.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Fig. 7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ig.
8 to 11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9 is a cross-sectional view.
10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며, 도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포장용기가 세워졌을 때 뚜껑이 개폐되는 쪽을 상부(또는 상측)로 설명한다.
FIGS. 1 to 5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1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Hereinafter, the side where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is erected will be described as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ide).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내용물 이동 장치는 내용물 보관부(111a)를 갖는 하우징(110)에 적용되며, 상기 내용물 보관부(111a)에 위치되는 내용물 이동판(120)과; 상기 하우징(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P)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P)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이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는 일반적인 기체이나, 본 발명의 범주는 공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ents m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ousing 110 having a contents storage unit 111a and includes a contents movement plate 120 positioned in the contents storage unit 111a; And a pressing portion P for transmitt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housing 110. The content moving plate 120 is mov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P.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is a general ga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ir.

상기 하우징(110)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상기 내용물 보관부(111a)와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111b)로 구분된다.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은 상기 내용물 보관부(111a)와 상기 팽창부(111b)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의 위치가 변할 때, 상기 팽창부(111b)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111a)의 공간 크기가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하는 하는 수단이다.The housing 110 is divided into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111a for storing contents and the expansion portion 111b for expanding the volume. The contents moving plate 120 divides a space between the contents storage part 111a and the expansion part 111b and changes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part 111b when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movement plate 120 changes,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111a are changed together wit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movement plate 120. [

상기 팽창부(111b)가 상기 내용물 보관부(111a)의 위치 방향으로 팽창하며,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을 상기 팽창부(111b)의 팽창 방향과 같이 이동시키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은 상기 내용물 보관부(111a) 내의 내용물을 지지하며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의 작동 내용이다.The expanding portion 111b expands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111a and moves the contents moving plate 120 along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111b, Is the contents of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contents are supported and moved together in the contents storage part 111a.

상기 팽창부(111b)는 후술하는 상기 포장용기 하우징 벽과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형성하는 공간이거나 별도의 팽창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expansion portion 111b may be a space form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housing wall and the contents moving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may include a separate expansion means.

이 경우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의 외주는 고무재질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벽과 밀착되어 상기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튜브(140)가 내장되고, 상기 튜브(140)는 주름관일 수 있다. 제1 실시 예는 상기 팽창부(111b)가 상기 튜브(140)를 팽창 수단으로 포함하는 것이며, 제2 실시 예는 상기 팽창부(111b)가 상기 하우징 벽(112)과 내용물 이동판(150)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In this cas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ent moving plate 120 may be formed of a flat plate of rubber material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wall to form the space. A tube 140 is built in, and the tube 140 may be a corrugated tube hav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xpansion portion 111b includes the tube 140 as an expansion mean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expansion portion 111b includes the housing wall 112 and the content movement plate 150,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11은 모두 포장용기를 도시한 것인데,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이동 장치를 포함한 포장용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 이동 장치의 주된 구성요소는 상기 팽창부(111b)인데, 상기 팽창부(111b)와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1 to 11 show a packaging container, which is a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the contents mov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mponent of the contents movement apparatus is the expansion unit 111b, and the expansion unit 111b and the contents movement plate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또한, 도 2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들은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완성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믈 이동판,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도록 부품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예의 경우 도 3의 좌측 중앙에 별도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의 바닥판과 측벽을 끼움 결합하였는데, 이를 분리하면 팽창부(111b) 내부의 상기 튜브(140)과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이 분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10,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a finished product by assembling components, and at least one of the content transfer plate,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wall of the packaging container are fit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a separately enlarged center in the center of the left side of FIG. 3. When the bottom plate is separated from the tube 140, The moving plate 120 can be separat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인 포장용기(100)는 뚜껑(101)과, 상기 뚜껑(101)으로 개폐되며 내용물이 보관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내용물 이동판(120)과;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이동시키는 가압부(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packag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 101, a housing 110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101 and storing contents therein, A contents moving plate 12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a pressing portion P for moving the contents moving plate.

상기 하우징(110) 안쪽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내용물 보관부(111a)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뚜껑(101)이 나사 결합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Inside the housing 110, a contents storage part 111a for storing contents is formed.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0 is opened, and the lid 101 is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screwing.

상기 가압부(P)는 상기 포장용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P)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P)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111b)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인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P)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P)은 전부 또는 그 일부가 탄성을 가지는 연성 재질이어서 압력이 가하여지면 상기 가압부(P)의 부피가 적어지며 상기 가압부(P) 내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111b)로 전달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이 이동하게 되며,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에 의하여 원상으로 회복된다.The pressurizing portion P is provided outside the packaging container and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P is mov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111b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P More specifically,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using wall 112 of the housing 110 and the pressing portion P, and the pressing portion P is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whole or in part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he volume of the pressing portion P is reduced and the air in the pressing portion P is transmitted to the expanding portion 111b, the content moving plate 120 is moved, The elasticity restores to the original state.

즉, 상기 가압부(P)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우징 벽(112)을 일면으로 하고, 가압부의 가압부(P)을 다른 일면으로 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하우징(100)와 별도로 결합 가능한 가압부 자체의 이중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에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한 공기 주입으로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sing portion P may be constituted by one side of the housing wall 112 of the housing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P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ntents moving plate 120 is moved upward by air injection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상기 이동판(120)은 평판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111a)의 하단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ving plate 1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ents storage part 111a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contents can be moved.

제1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압부(P)는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P)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밸브와,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팽창하는 팽창 수단인 튜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가압부(P) 외부면 압박을 통해서 상기 튜브(140)가 팽창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판(120)을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튜브(140)는 주름관에 국한되지 않으며,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어느 구조여도 무방하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surizing portion P includes an air valve installed in the housing wall 112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P, and a tube (not shown) which is expan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120 140). The tube 140 is inflated through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surface P of the housing 110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1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e tube 140 is not limited to the corrugated tube, and may be any structure that is deployed in a folded state.

상기 공기밸브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가압부 공기 유입부(130)와 상기 팽창부(111b)에 공기를 주입하는 팽창부 공기 주입부(130A)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하우징 벽과 가압부 사이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130A)를 통해 상기 팽창부(111b)로 주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가압부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가압부(P)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130)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 벽과 가압부 외벽 사이로 유입된다.The air valve includes a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130 into which external air flows and an expanding portion air injecting portion 130A that injects air into the expanding portion 111b, The air between the wall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111b through the inflating portion air injecting portion 130A and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of the housing is release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130. [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130)와 팽창부 공기 주입부(130A)는 일 방향으로 압력에 의하여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는 구조인데(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의 경우 상기 가압부(P)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 이는 상기 하우징 벽과 가압부 외벽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덮는 탄성을 가지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 외벽(113)에는 가압부 통공(113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벽(112)에는 하우징 벽 통공(112a)이 형성된다.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130 and the expanding portion air injecting portion 130A have a structure in which air is allowed to pass by pressure in one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P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having elasticity covering the through hole, thereby achieving its function. A pressing portion through hole 113a is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outer wall 113 and a housing wall through hole 112a is formed in the housing wall 112. [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밸브는 외부 공기 유입에 따라 열리는 고무 덮개판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하우징 벽(112)과 상기 가압부(P)에 부착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하우징 벽(112)과 상기 가압부(P)에는 공기 통로 역할을 하는 통공(112a)(1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112a)(113a)은 상기 공기밸브(130)(130A)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air valve is attached to the housing wall 112 and the pressing portion P of the housing 110 with a rubber lid plate that opens according to the inflow of outside air. The housing wall 112 and the pressing portion P of the housing 110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112a and 113a serving as air passages.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s 112a and 113a ar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ir valves 130 and 130A.

상기 하우징(110) 가압부(P)의 가압부(P)에 압력을 가할 시에는 상기 팽창부(111b)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이며, 상기 가압부(P)이 탄성에 의하여 다시 원상 복귀 될 쯤에는 상기 가압부(P)의 통공(113a)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된다.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P of the pressing portion P of the housing 110,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111b, and the pressing portion P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Air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 113a of the pressing portion P.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130A)는 상기 하우징 벽(112)의 통공(112a)을 막아 주입된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팽창부(111b)는 상기 가압부(P)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가압부(P)의 팽창부 공기 주입부(130A)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130A)는 상기 팽창부(111b)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P)로 다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하는 제2 실시 예와는 구별되는 특징이다.The inflating unit air injection unit 130A may block the through hole 112a of the housing wall 112 to prevent the injected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expansion portion 111b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portion air injection portion 130A of the pressing portion P into which the air of the pressing portion P is introduced, and the expansion portion air injection portion 130A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111b is prevented from moving back to the pressing portion P. This structure is distinguished from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튜브(140)의 바닥에는 관통되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공(114a)과;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114)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114a)을 개폐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마개(14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An air discharge hole 114a for discharging air through the bottom of the tube 140; And an air discharge plug 141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114 of the housing 110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114a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작동 전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작동 후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본 실시 예의 포장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잡을 수 있는 부위가 용기의 상부 높이까지 올라와 주는 형태(막대 과자나 필기구 등)에도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use,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after us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the contents to be pack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various forms, and can be conveniently applied to a form (a stick cake, a writing instrument, etc.) in which a portion where a user can catch contents reaches up to an upper level of the container.

먼저, 사용자가 포장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 하우징(110)와 결합된 뚜껑(101)을 열고 용기 상단에서부터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First, when the user wants to take out the contents in the packaging container 100, the user may open the lid 101 coupled with the housing 110 and take out the contents from the top of the container.

한편 일정 양의 내용물 소진 후에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인출할 경우 포장용기의 내용물은 줄어들어 용기의 입구 상단에서 일정 깊이만큼 수량이나 길이가 줄어들어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손을 포장용기 내에 집어넣어 내용물을 인출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막대 형태의 내용물은 내용물의 소진으로 잔여 내용물은 기울어져 용기의 상단에 미치지 못하고 용기 안쪽에 기울어져 있을 수밖에 없다.Meanwhile, when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are taken out by the user after a certain amount of contents have been exhausted,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are reduced, and the quantity or length of the container is reduced by a certain depth at the top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In this case, the user had to put his / her hand into the container and take out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rod-shaped contents are exhausted and the remaining contents are tilt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and til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압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면)을 압박하여 하우징 내부의 팽창부(111b)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용기 내부의 내용물 이동판을 상승시켜 편리하게 상시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easily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outer surface) and injects air into the expanding portion 111b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contents moving plate inside the container can be simply rais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t any time can be taken out from a desired position.

먼저 사용자가 내용물의 줄어듦을 인지하고 가압부(P)를 손으로 잡고 쥐면서 압력을 가할 수 있다.First, the user recognizes the reduction of the contents and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P) while grasping it by hand.

다음, 상기 가압부(P)의 가압에 의해 연성재질이면서 탄성력을 가진 가압부(P)의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이중 구조인 상기 가압부 사이에서 있던 공기가 하우징 벽(112)에 형성된 통공(112a)을 경유하여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130A)를 개방시키면서 상기 튜브(1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Next, as a result of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P, the pressing portion P,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n elastic force, is pressed in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12a formed in the housing wall 112, And then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tube 140 while opening the expansion unit air injection unit 130A.

다음으로, 상기 튜브(140)에 유입된 공기는 튜브(140)를 상부로 팽창시킨다. 이때 팽창부(111b)는 튜브(140) 이외에도 팽창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Nex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ube 140 expands the tube 140 upward. At this time, the expanding portion 111b may take various forms that can expand in addition to the tube 140. [

끝으로, 상기 튜브(140)의 팽창에 의해 튜브의 상부에 위치한 내용물 이동판(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111a)를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써, 하우징에서 내용물을 쉽게 습득할 수 있다.Finally, the contents moving plate 12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ube is lifted along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111a of the housing 110 by the expansion of the tube 140,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obtained in the housing .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가압부(P)이 탄성에 의하여 원상 복귀 될 쯤에 상기 가압부(P)의 가압부 통공(113a)을 통하여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130)를 열어 공기 유입이 되도록 하여 다음 번 작동 시에 재 공기 주입이 가능토록 한다.Meanwhile, when the pressing portion P of the housing 1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elasticity, the press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130 is opened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through hole 113a of the pressing portion P, So that re-air can be injected at the next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압부 압력에 의한 내용물 이동판을 갖는 포장용기는 포장용기 가압부를 잡는 과정에서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의 상기 튜브(140)을 팽창시켜 내용물 이동판을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쉽게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the contents mov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140 inside the container is inflated by the pressing pressure in the process of holding the container pressing portion so that the contents moving plate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ince it is movable, it is easy to move contents and is very convenient to use.

더불어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114)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마개(141)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다시 튜브를 원 상태로 수축하는 것으로서, 재차 충전되는 용기 내용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stopper 141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14 of the housing 110 to shrink the tube back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to be recharged can be conveniently used in the same manner have.

한편 도 6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구성과 작동이 동일하나,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팽창부(111b)가 별도의 주름관을 가지지 아니하고 내용물 이동판(150)의 외주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포장용기의 하우징 벽과 밀착되어 팽창부(111b)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내용물 보관부에서 내용물을 하우징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6 to 7 show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part 111b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ent moving plate 150 is formed of rubber material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housing wall of the packaging container to form the expanding portion 111b.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contents container can move the content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n the contents container storage part, Is omitted.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포장용기에 따른 작동을 보인 단면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가압부(P)와 상기 팽창부(111b)가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통공(112a)에 제1 실시 예와 달리 별도의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of FIG. 6. As shown in FIG. 6, The portion P and the expanding portion 111b are formed as a single space. That is, a separate valve is not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12a, unlike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이 하우징 벽에 밸브를 구성하지 않으면서 상기 가압부(P)와 상기 팽창부(111b)를 단일 공간을 형성하면서 별도의 팽창 수단을 갖지 않는 구성이 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판(150)의 외주가 팽창부(111b)에서 밀어주는 힘이 주어졌을 때 이동 가능하게 미끄러지지만, 정지 시 또는 당기는 힘이 주어졌을 때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150)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면서, 상기 내용물 이동판(150)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밀착재질의 평판으로 형성될 때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동판(150)의 아랫면이 지지되되 상방향 이동 시에는 넘어가지는 다수의 단턱이 하우징 벽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pressurizing unit P and the expanding unit 111b form a single space without forming a valve on the wall of the housing and have no separate expansion means,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ents movement plate 150 When the stopper 111b is in a state of being push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expanding portion 111b, the pushing force of the pushing force of the pushing force of the pushing force When the flat plate 150 is formed of a flat plate of an adhesive material that maintains the stationary state. Further,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wall, such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150 is supported while the upper surface moves.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구성과 작동이 동일하나,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가압부는 압력공이 위치한 가압부와 탄성부로 구성된다. 또한, 팽창부 공기 주입부와 가압부 공기 유입부가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8 to 11 show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surizing portion has a pressing portion and a resilient portion, . Fur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inflator air inlet portion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are formed below.

제3 실시 예의 경우에도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뚜껑(210)과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200)로서, 하우징 벽(240), 밸브 및 통공(222) 및 내용물 이동판(250)을 포함한다. 내, 외벽의 형태상의 차이는 상기 하우징 벽(240)과 가압부의 상부(241)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마감되나, 포장용기의 바닥도 이중 구조라는 차이와 내, 외벽 밸브 및 통공(222)이 하부에 형성되었다는 것인데, 이는 단순히 용기의 디자인의 차이에 따른 것이며, 제1 실시 예와 그 기능과 작동은 동일하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은 전체 사시도, 도 9는 전체 단면도, 도 10은 분리 단면도, 도 11은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The third embodiment also includes a housing wall 240, a valve and a through hole 222, and a contents moving plate 250 as a packaging container 200 made up of a lid 210 and a housing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is such that the housing wall 240 and the upper portion 241 of the pressing portion are clo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 Is formed at the bottom, which is simp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sign of the container, and its function and opera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Fig. 9 is an overall sectional view, Fig. 10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제3 실시 예가 가지는 특징은 상기 가압부(220)는 상기 가압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연성 재질의 탄성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230)에 접한 가압부(220)에 압력공(221)인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부(230)에 가하는 외부 압력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20) 내부의 공기를 내용물 보관부(221a)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팽창부(221b) 내부로 이동시킨다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의 상기 가압부가 제3 실시 예의 경우 압력공(221)과 탄성부(230)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1 실시 예가 가압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외부에 의한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인 반면에 제3 실시 예는 상기 가압부(220)에 압력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공(221)을 덮는 연성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230)에 의하여 외부에 가하여 지는 압력이 내부로 전달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를 사용하는 자는 상기 탄성부(230)로 덮어진 상기 압력공(221) 부위를 누름으로써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220 includes an elastic portion 230 of a soft material covering the entire or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220 contacting the elastic portion 230 The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221a by the external pressure and the restoring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portion 230 located in the opening portion with the opening portion being the pressure hole 221 And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ulge portion 221b. That is, the press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cludes the pressure hole 221 and the elastic portion 230 in the third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a part or the whole of the pressing portion can transmit the pressure by the outside as a material having soft elasticity, where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pressure hole 221 is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22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portion 230 having elasticity covering the pressure hole 221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The user of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y pressing the portion of the pressure hole 221 covered with the elastic portion 230. [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specific reference may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nd that the invention can include all elements contempl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들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 연결, 물리적 연결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상기 연결들로 나타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Also, connecting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illustrate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resented in the actual device as replaceable or additional various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 importantly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포장용기
101: 뚜껑
110: 하우징
111a: 내용물 보관부
111b: 팽창부
P: 가압부
112: 하우징 벽
112a: 하우징 벽 통공
113: 가압부 외벽
113a: 가압부 통공
114: 바닥면
114a: 배출공
120: 내용물 이동판
130: 가압부 공기 유입부
130A: 팽창부 공기 주입부
140: 튜브
141: 공기배출마개
150: 내용물 이동판
210: 뚜껑
220: 가압부
221: 압력공
221a: 내용물 보관부
221b: 팽창부
222: 밸브 및 통공
230: 탄성부
240: 하우징 벽
241: 상부
250: 내용물 이동판
100: Packaging container
101: Lid
110: Housing
111a:
111b:
P:
112: housing wall
112a: housing wall opening
113: pressurized portion outer wall
113a: Pressurized portion through hole
114:
114a: Exhaust hole
120: contents moving plate
130: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130A: Expansion unit air injection unit
140: tube
141: Air discharge plug
150:
210: lid
220:
221: Pressure ball
221a: Contents storage section
221b:
222: Valve and through hole
230: elastic part
240: housing wall
241:
250: contents moving plate

Claims (38)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기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pressing portion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space therein;
A contents moving plate which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moves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And
And an inflating unit for injecting the air of the pressing unit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s expanded in volume by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content moving plate,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or integrally provided,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re formed as a single space or a separate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leased after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bulg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constitution, Is restored to the pre-pressurized shape as far as possible,
Wherein the air in the out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flows into the pressing portion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air inlet portion does not mov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portion to the outside.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side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through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ush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Wherein the inflating unit air introducing unit is configured to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inflating unit from moving to the press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the space of the expansion portion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par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par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ing plate is moved,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keeps the state of stopping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 without the pressure Features a packaging contai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판,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하는 재질이고,
상기 공기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the pressing unit, and the expand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Wherein an outer periphery of the content moving plate closely contacts the housing,
Said air being replaceable by another gas capable of being injected into said expand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ludes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ding portion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a spring, a support, a spring, and a moto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and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ncludes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check valve, a swing check valve, a lift check valve, a tilting disc check valve, a wafer disc check valve, , A stop check valve, and a diaphragm val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 부피가 작아지며 공기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contents mov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contents; And a pressing portion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space therein,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contents storage portion for storing contents and an expan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expanding in volume, and the pressing portion stores air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air volume inside the pressing portion becomes smaller,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Lt; / RTI >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to a shape that can be pressuriz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the constitution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 portion that covers all or a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and includes an opening por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ortion so that an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elastic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The space is reduced, and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moves into the inside of the expansion por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reases in volume with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djacent to the expand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storing portion which is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Wherein the contents are moved in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movement plat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ir inside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through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ush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Wherein the expa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air injection portion,
Wherein the inflating unit air introducing unit is configured to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inflating unit from moving to the pressing uni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he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leased and the shap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before pressurization,
The air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flows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outsid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the space of the expansion portion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par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par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ing plate is moved,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keeps the state of stopping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 without the pressure Features a packaging contain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판,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하는 재질이고,
상기 공기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moving plate, the pressing unit, and the expand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Wherein an outer periphery of the content moving plate closely contacts the housing,
Said air being replaceable by another gas capable of being injected into said expanding por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expand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after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duced and air in the pressing portion repeatedly moves into the inside of the expanding portion by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pressing portion Vesse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ludes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ding portion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a spring, a support, a spring, and a moto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and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ncludes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check valve, a swing check valve, a lift check valve, a tilting disc check valve, a wafer disc check valve, , A stop check valve, and a diaphragm valv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contents mov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contents; And
And a pressing portion contacting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space therein,
The contents moving plate is mov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contents storage portion for storing contents and an expan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expands in volume,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re formed as a single spac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reases in volume with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djacent to the expand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storing portion which is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Wherein the contents are moved in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movement plat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이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air inside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through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ush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Wherein the expa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air injection portion,
Wherein the inflating air introducing por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flat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pressing portion,
After the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leased and the shap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before pressurization,
The air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flows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outsid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the space of the expansion portion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Wherein a space size of the expansion part and a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par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a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ing plate is moved.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기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pressing portion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space therein;
A contents moving plate which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moves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And
And an inflating unit for injecting the air of the pressing unit by a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s expanded in volume by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content moving plate,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or integrally provided,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are formed as a single space or a separated space.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n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leased after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bulging portion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constitution, Is restored to the pre-pressurized shape as far as possible,
Where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outside. Device.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air inside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through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ush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Wherein the inflating unit air introducing unit is configured to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inflating unit from moving to the pressing unit.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the space of the expansion portion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par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par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ing plate is moved,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keeps the state of stopping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 without the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movement device.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ludes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ding portion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제25 항 또는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5 or 26,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a spring, a support, a spring, and a moto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let and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ncludes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check valve, a swing check valve, a lift check valve, a tilting disc check valve, a wafer disc check valve, , A stop check valve, and a diaphragm valve.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내용물 이동판;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공기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 부피가 작아지며 공기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A housing opened to both sides; A contents mov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contents; And a pressing portion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space therein,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contents storage portion for storing contents and an expan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expanding in volume, and the pressing portion stores air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air volume inside the pressing portion becomes smaller,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Lt; / RTI >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to a shape that can be pressuriz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or the constitution of the pressurizing portion,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 portion that covers all or a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and includes an opening por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press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ortion so that an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elastic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The space is reduced, and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moves into the expansion portion.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공기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내용물 이동판을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reases in volume with the introduced air to move the contents moving plate adjacent to the expand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s storing portion which is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Wherein the contents are moved to the contents storage uni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movement plate.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팽창부 공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공기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air inside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through the expand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by the push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Wherein the expa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air injection portion,
Wherein the inflating unit air introducing unit is configured to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inflating unit from moving to the pressing unit.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공기가 가압부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 공기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34. The method of claim 33,
After the air in the pressurizing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expanding portion, the press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leased and the shap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s restored before pressurization,
The air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flows into the pressurizing por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flow portion,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air introducing por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portion from moving to the outside.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ncludes expansion means provided in the expanding portion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of the air.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내용물 이동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판은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판이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and the space of the expansion portion are partitioned by the contents movement plate,
The space size of the expansion part and the space size of the contents storage part are determined by cha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contents moving plate is moved,
The contents moving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storage portion of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expanding portion, but keeps the state of stopping the load of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contents moving plate at the time of stop without the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movement device.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expand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after the space of the pressing portion is reduced and the air inside the pressing portion repeatedly moves into the expanding portion by the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pressing portion Mobile device.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이동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xpand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KR1020140022248A 2014-02-25 2014-02-25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KR101552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248A KR101552133B1 (en) 2014-02-25 2014-02-25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PCT/KR2015/001772 WO2015130064A1 (en) 2014-02-25 2015-02-24 Container and moving device used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248A KR101552133B1 (en) 2014-02-25 2014-02-25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514A Division KR20150100474A (en) 2014-02-25 2014-10-27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434A KR20150100434A (en) 2015-09-02
KR101552133B1 true KR101552133B1 (en) 2015-09-10

Family

ID=5424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248A KR101552133B1 (en) 2014-02-25 2014-02-25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1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57B1 (en) * 2018-12-07 2019-11-14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Warmer for portable gas ca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342B1 (en) * 2007-02-16 2007-12-17 김상훈 Device for economically extruding toothpas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342B1 (en) * 2007-02-16 2007-12-17 김상훈 Device for economically extruding toothpas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457B1 (en) * 2018-12-07 2019-11-14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Warmer for portable gas c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434A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499B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JP5299697B2 (en) Blow molded housing with extraction cap
JP6147206B2 (en) Double container
KR101552133B1 (en)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KR20170027528A (en)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device thereof
KR20190075829A (en) Liquid Stor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KR20150100474A (en)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JP2011098768A (en) Quantifying discharge cap
KR20170025591A (en)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KR20170025592A (en)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KR20160049421A (en) Packing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mechanism thereof
JP4975585B2 (en) Foam ejection container
JP6173892B2 (en) Double container
KR101662803B1 (en) Vacuum vessel with vacuum pressure kit possible of attaching and separating
KR101711900B1 (en)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device thereof
JP6816325B1 (en) Fluid dispenser
KR200393943Y1 (en) A vessel
KR101707120B1 (en) Pumping type cosmetic vessel having a side button
KR200393325Y1 (en) A vessel
KR100591268B1 (en) Cosmetics container and a pumping device used for the same
KR20170027531A (en)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device thereof
KR200319259Y1 (en) Powder dispenser
KR200467361Y1 (en) Tube type container which has th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plug
KR20160124641A (en) 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device thereof
JP5656714B2 (en) Contents extrus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