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564B1 - 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 - Google Patents

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564B1
KR101551564B1 KR1020140017558A KR20140017558A KR101551564B1 KR 101551564 B1 KR101551564 B1 KR 101551564B1 KR 1020140017558 A KR1020140017558 A KR 1020140017558A KR 20140017558 A KR20140017558 A KR 20140017558A KR 101551564 B1 KR101551564 B1 KR 10155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ear
user
earphon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6599A (en
Inventor
이준민
Original Assignee
이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민 filed Critical 이준민
Priority to KR102014001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564B1/en
Publication of KR2015009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스피커통에 개방구를 설치하여 소음성 난청장애 발생을 없애고, 밀폐감을 줄여 보청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폰 스피커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피커가 내장된 헤드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구를 구성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speaker case which is provided with an opening in an earphone speaker case to eliminate the occurrence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to provide a comfort to the user even when the earphone speaker case is used for a long time, An earphone speaker consisting of a built-in head portion,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ead portion contacting the user's ear, and a cable connecting a jack connected to the acoustic device to the speaker, Wherein the earphone speaker cradle includes at least one opening for ensuring openness by connecting an inner air passage from the coupling portion contacting the user's ear to the end of the head portion not contacting the user's ear .

Description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speaker box,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청 장애 없는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speaker box provided with an opening without a hearing loss.

일반적으로 이어폰(earphone)은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로서, 이어폰 리시버의 약칭이다.In general, an earphone is a handset designed to be small enough to be mounted on an ear, and is an abbreviation of an earphone receiver.

종래의 이어폰의 구조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스피커가 장착된 헤드부(100)와, 라디오 등의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헤드부(100)의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3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로 귀에 지지되면서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도 귀가 아프지 않도록 편안함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100)의 외주 부분을 탄성력이 있는 고무 소재의 이어팁(200)으로 감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최근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어폰의 밀폐성을 높여 음질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earphone includes a head unit 100 on which a speaker is mounted, a cable 300 connecting a jack connected to a sound device such as a radio to a speaker of the head unit 100, . These earphones should be comfortably supported so that they do not fall out of the user's ear and that they do not hurt their ears during prolonged use. 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 is wrapped with an eartip 200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reb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the earphone more effectively It is continuing.

하지만, 이어폰의 사용으로 인해 난청 장애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난청 장애의 원인이 볼륨의 요소보다도 그 밀폐로 인한 외이와 내이의 압력 역전현상으로 인한 내이의 파괴파장의 도달 곧 내이의 미세압력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에서 모든 이어폰 청취자중 무려 70프로가 소음성 난청 장애로 인한 청력저하 증세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발전할 경우 청소년과 아이들이 중년 노년기에 거의 모두 난청장애 청각장애자가 될 위험에 처하고 있다.However, the use of earphones shows the cause of hearing impairment. The cause of this hearing loss is due to the sealing of the inner ear due to the pressure reversal phenomenon of the inner ear, It is found that the increase in pressure is the cause. In particular,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70% of all earphone listeners have hearing loss due to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when this develops, teenagers and children are almost at risk of becoming hearing-impaired hearing-impaired have.

한편, 보청기에 사용되는 이어폰의 경우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이어폰과 달리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밀폐성이 높은 경우 사용자가 답답함(먹먹함)을 더욱 느끼게 되어 장시간 사용에 큰 부담을 느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earphones used in electronic devices, earphones used in hearing aids are required to be 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when the earphone has high airtightness, the user feels frustration have.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6059호 : 가변 이어팁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36059: 등록특허공보 제10-2010-0125151호 : 형상 가변형 이어폰Patent document 10-2010-0125151: Variable shape earpho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어폰 스피커통에 개방구를 설치하여 소음성 난청장애 발생을 없애고, 밀폐감을 줄여 보청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폰 스피커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phone-speaker cradle which eliminates the occurrence of an audible hearing los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은, 스피커가 내장된 헤드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구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부 중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의 앞단을 이루는 앞단 홀은 그 양측으로 길게 뻗어 바(bar) 형태의 홀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의 뒷단을 이루는 뒷단 홀은 상기 앞단 홀에 비해 크기가 작은 원형의 홀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기 통로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헤드부와의 경계부에서, 상기 헤드부의 외면을 향해 1차 절곡되고, 연이어서 상기 헤드부의 끝단을 향해 2차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내부 공기 통로 중, 상기 2차 절곡된 부분에서 상기 헤드부위 끝단까지는 곡선 형태를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arphone speaker cradle comprising: a head unit having a built-in speaker; a coupling unit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ead unit contacting the user's ear; And an ear tip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upling portion. In this case, the earphone speaker barrel is in contact with a user's ear And a front end hol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facing the user's ear so as to form a front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hole A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rear end hole forming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of a circular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ront end hole and the inner air passage is firstly bent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a curved shape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to the end of the head portion of the inner air passage.

삭제dele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arphone speaker box having the open mou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개방구를 설치하여 오랜 시간동안 이어폰 사용 시에도 소음성 난청장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by installing an open mou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even when the earphone is used for a long time.

둘째, 밀폐감을 줄여 보청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it is effective to provide comfort to the user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like a hearing aid by reducing the feeling of hermeticity.

도 1 은 일반적인 이어폰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이어폰 스피커통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2c는 도 2a의 이어폰 스피커통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earphone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arphone provided with an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front view of the earphone speaker case of FIG. 2A; FIG.
2C is a rear view of the earphone speaker case of FIG. 2A; FIG.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arphone speaker box provided with an op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arphone provided with an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폰은 스피커(110)가 내장된 헤드부(100)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100)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130)와, 라디오 등의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110)와 연결하는 케이블(300)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130)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200)으로 구성된다.2A, the earphone includes a head unit 100 having a built-in speaker 110, a coupling unit 130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ead unit 100 that contacts the user's ear, And a cable 300 connecting a jack connected to an acoustic device such as a speaker 110 and an ear tip 200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upling portion 130.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130)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100)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개방구(120)가 추가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earphone-speaker cradle has an opening 120 for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130, which contacts the user's ear, to the end of the head portion 100,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 .

참고로, 도면에서는 개방구(120)를 한 개만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개방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although only one open mouth 120 i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 mouth 120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open mouths.

또한 상기 개방구(120)가 개방된 헤드부(100)의 끝단 홀(120b)은 헤드부(100)의 뒷단에 구성되고 있지만, 이는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밀폐성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끝단 홀(120b)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끝단 홀(120b)의 구성 위치가 헤드부(100)의 옆면에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기 끝단 홀(120b)이 헤드부(100)의 뒷단에 구성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end hole 120b of the head part 100 in which the opening part 120 is open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part 100. This is for the purpose of avoiding hermeticity when the user uses earphon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the end hole 120b. Therefore,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hole 120b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art 100. [ However, for the sake of easy explanation, it is limited that the end hole 120b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part 100. FIG.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의 개방구(120)는 정면, 즉 결합부(130)의 정면은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결합부(130)의 내부 일 측에 하나의 앞단 홀(120a)로 구성되며, 후면, 즉 헤드부(100)의 후면은 도 2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앞단 홀(120a)과 공기 통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끝단 홀(120b)로 구성된다.The front opening of the earphone speaker barrel 120 is formed as a front hole 120a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30 as shown in FIG. And the rear surface,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part 100 is formed by at least one end hole 120b connected to the front end hole 120a through an air passage, as shown in FIG. 2C.

이때, 상기 앞단 홀(120a)은 바(bar) 형태의 홀로 구성되는데 반해, 상기 끝단 홀(120b)은 앞단 홀(120)에 비해 그 크기가 작은 원형의 홀로 구성되어 귀속의 밀폐된 공기가 외부로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At this time, the front end hole 120a is formed as a bar-shaped hole, while the end hole 120b is formed as a circular hol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ront end hole 120,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more easily.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스피커가 내장된 헤드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구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부 중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의 앞단을 이루는 앞단 홀은 그 양측으로 길게 뻗어 바(bar) 형태의 홀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의 뒷단을 이루는 뒷단 홀은 상기 앞단 홀에 비해 크기가 작은 원형의 홀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기 통로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헤드부와의 경계부에서, 상기 헤드부의 외면을 향해 1차 절곡되고, 연이어서 상기 헤드부의 끝단을 향해 2차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내부 공기 통로 중, 상기 2차 절곡된 부분에서 상기 헤드부위 끝단까지는 곡선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
An earphone speaker comprising a head portion with a built-in speaker,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ead portion contacting the user's ear, and a cable connecting a jack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to the speaker,
And an eartip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gaging portion,
At this time, the earphone-speaker cradle constitutes at least one opening for assuring openness by connecting an inner air passage from an engaging portion contacting the user's ear to an end of the head portion not contacting the user's ear,
A front end hol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facing the user's ear and forming a front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f a bar-
Wherein a rear end hole formed at an end of the head portion and forming a rear end of the opening is formed of a circular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ront end hole,
The internal air passage
Wherein the head portion is bent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toward an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then bent in a second direction toward an end of the head portion,
Wherein a portion of the inner air passage extending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to the end of the head portion has a curved shape
An earphone speaker barrel equipped with an open mouth featuring an ope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17558A 2014-02-15 2014-02-15 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 KR101551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58A KR101551564B1 (en) 2014-02-15 2014-02-15 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58A KR101551564B1 (en) 2014-02-15 2014-02-15 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599A KR20150096599A (en) 2015-08-25
KR101551564B1 true KR101551564B1 (en) 2015-09-08

Family

ID=5405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558A KR101551564B1 (en) 2014-02-15 2014-02-15 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5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342B1 (en) * 2022-02-18 2023-12-15 주식회사 이엠텍 Ear tip mount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7814A (en) 2008-12-26 2010-07-15 Yamaha Corp Earphone structure, insert member, and earphone
KR101091560B1 (en) 2011-11-04 2011-12-13 필스전자 주식회사 Earphone importing outer sound
KR101165663B1 (en) 2011-12-27 2012-07-16 필스전자 주식회사 Earphone with open-close type enclos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7814A (en) 2008-12-26 2010-07-15 Yamaha Corp Earphone structure, insert member, and earphone
KR101091560B1 (en) 2011-11-04 2011-12-13 필스전자 주식회사 Earphone importing outer sound
KR101165663B1 (en) 2011-12-27 2012-07-16 필스전자 주식회사 Earphone with open-close type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599A (en)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168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EP3082347B1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EP2975859B1 (en) Elastomeric component for earbud headphones and headphones including such elastomeric components
CN107950034B (en) Noise reduction for in-ear headphones
JP5531605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and bone conduction headphone device
EP3127347B1 (en) Earpieces having flexible flaps
WO2009153221A3 (en) Hearing system comprising an earpiece
JP2022120049A (en) Earphone and supporter
CN104581483A (en) Open type earphone
CN110710229B (en) Flexible ear piece for hearing aid
CN107172512A (en) Earphone earflap
JP7404735B2 (en) Earphones and earphone supporters
US9071905B2 (en) Seal assembly for an in-ear and in-ear
KR101551564B1 (en) Earphone speaker box having air opening type
KR200457132Y1 (en) Holder-ring for earphone plug
KR101551565B1 (en) Air opening adjustable of the earphone speaker box
KR101102431B1 (en) A earphone
KR101477285B1 (en) The earphones
CN105792045A (en) Earphone
CN204291318U (en) A kind of open earpiece
KR101562129B1 (en) hearing protection apparatus of earphone
KR102219490B1 (en) Semi-canal type wireless earset
KR102315063B1 (en) Semi-canal type wireless earset
KR102163066B1 (en) ear tip and ear phone having the same
KR20190142029A (en) An ear t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