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62B1 -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62B1
KR101550862B1 KR1020150044054A KR20150044054A KR101550862B1 KR 101550862 B1 KR101550862 B1 KR 101550862B1 KR 1020150044054 A KR1020150044054 A KR 1020150044054A KR 20150044054 A KR20150044054 A KR 20150044054A KR 101550862 B1 KR101550862 B1 KR 10155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unit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illumin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덕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스퀘어 filed Critical (주)엘이디스퀘어
Priority to KR102015004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21V29/67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the fans being used for intake
    • F21Y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모듈이 설치되되 상기 코어부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편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조명부 및 제 2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LED light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controlling the angle of lighting}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모듈이 설치되되 상기 코어부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편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조명부 및 제 2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는 발열과 전력 사용량이 비교적 적으며 수명이 길어 기존의 필라멘트식 전구나 형광등을 대체하여 실내나 실외의 조명등, 직부등, 간이 스탠드 등의 조명 장치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직진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가 조명할 수 있는 범위가 다소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조명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에 다양한 형상의 렌즈를 부착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의 배광 범위를 조절하는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13-111858 호의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기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렌즈를 부착시켜 배광 범위를 조절하는 기술은 조명장치가 부착되는 장소에 따라서 다른 형태의 렌즈를 부착하여야 하므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제조 및 관리에 있어서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는, 별도로 구비되는 렌즈 없이 배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발광다이오드가 가지고 있는 광의 직진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제조의 생산성과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구성은, 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모듈이 설치되되 상기 코어부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편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조명부 및 제 2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는, 다양한 각도의 배광 각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의 광의 직진성을 해소하고 광을 일정한 범위내에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키는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는 종래와 같이 광 확산을 위한 별도의 렌즈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명장치 제조상의 생산성과 관리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 의 A-A'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분해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a 는 발광다이오드의 배광을 수렴시킬 경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b 는 발광다이오드의 배광을 확산시킬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각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1)는 중공 상태의 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코어부(10)와, 내부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며 상기 코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편(13)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10)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와, 상기 코어부(10)와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상부를 마감하는 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는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가 코어부(10)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되면 각 조명부(20,30) 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의 광이 코어부(10)의 전방 중심을 향하여 수렴하는 방향으로 배광되게 된다.
반면,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가 코어부(10)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각 조명부(20,30) 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의 광이 코어부(10)의 전방 중심으로부터 멀어져 확산되는 방향으로 배광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도 1 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분해상태 단면도이다.
각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코어부(10)는 속이 빈 중공 상태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양측의 측면(11)들과 정면(15) 및 후방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어부(10)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각 측면(11)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평판 형상의 삽입편(1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13)의 말단은 구체 또는 타원체 형상의 보스(boss)(1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코어부(10)의 삽입편(13)과 보스(14)는 후술할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의 각 채널(25,35)로 내삽되어 보스(14)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tilting)된다.
또한,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는 상호 좌우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각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조명부(20)는 중공 상태인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발광다이오드모듈(21)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21)은 배광면(22)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21)은 다수개의 통상의 발광다이오드들이 프린트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색상과 수량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와 조명 요구 사항에 의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부(20)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모듈(21)로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회로와 발광다이오드모듈(21)과 연결되는 각종 배전선 및 모듈(21)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하면 되므로 본 발명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조명부(20)는 속이 빈 중공 상태의 몸체를 가지되 정면에 발광다이오드모듈(21)의 광을 배광시키는 배광면(22)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10)의 측면(11)의 외주면과 치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면(23)과 상기 내측면(23)과 이격되어 대향하는 외측면(2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조명부(20)의 내측면(23)에는 상기 코어부(10)의 삽입편(13)과 보스(14)가 내삽되는 채널(25)이 제 1 조명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명부(20)의 내측면(23)의 후방측 일방 말단은 외측면(24)의 후방 말단과 접합되어 수렴되면서 뾰족한 첨단 형상의 후방스토퍼(26)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23)의 전방측 타방 말단은 상기 배광면(22)의 일측과 상호 접합되면서 코어부(10)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전방스토퍼(27)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스토퍼(26)는 제 1 조명부(20)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상기 후방스토퍼(26)가 코어부(1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12)에 걸려짐으로써 제 1 조명부(20)가 설정된 범위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방스토퍼(27)는 제 1 조명부(20)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상기 전방스토퍼(27)의 돌출 부분이 상기 코어부(10)의 정면(15)에 인접한 측면(11) 부분에 걸려짐으로써 제 1 조명부(20)가 설정된 범위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조명부(30)도 상술한 제 1 조명부(20)와 좌우 대칭의 형태로서 제 1 조명부(20)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제 2 조명부(30)는 중공 상태인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발광다이오드모듈(31)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31)은 배광면(32)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명부(30)는 속이 빈 중공 상태의 몸체를 가지되 정면에 발광다이오드모듈(31)의 광을 배광시키는 배광면(32)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10)의 측면(11)의 외주면과 치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면(33)과 상기 내측면(33)과 이격되어 대향하는 외측면(3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조명부(30)의 내측면(33)에는 상기 코어부(10)의 삽입편(13)과 보스(14)가 내삽되는 채널(35)이 제 2 조명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명부(30)의 내측면(33)의 후방측 일방 말단은 외측면(34)의 후방 말단과 접합되어 수렴되면서 뾰족한 첨단 형상의 후방스토퍼(36)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33)의 전방측 타방 말단은 상기 배광면(32)의 일측과 상호 접합되면서 코어부(30)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전방스토퍼(37)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방스토퍼(36)는 전술한 제 1 조명부(20)의 그것과 같이, 제 2 조명부(30)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상기 후방스토퍼(36)가 코어부(1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12)에 걸려짐으로써 제 2 조명부(30)가 설정된 범위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제 2 조명부(30)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전방스토퍼(37)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코어부(10)의 정면(15)에 인접한 측면(11) 부분에 걸려짐으로써 제 2 조명부(30)가 설정된 범위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부(10)의 재질은 경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재질은 경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재질은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모듈(21,31)의 방열을 위하여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는 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모듈(2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외주에 방열구 또는 요철면이나 주름진 형상의 방열면을 형성하거나 방열팬을 부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a 는 발광다이오드의 배광을 수렴시킬 경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b 는 발광다이오드의 배광을 확산시킬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전술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는 그들의 내측면(23,33)에 각각 형성된 채널(25,35)의 내부에 코어부(10)의 각 측면(11)에 형성된 삽입편(13)과 보스(14)가 내삽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모듈(21,31)들에 전력이 인가되면 모듈(21,31)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들이 발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를 채널(25,35)에 삽입된 보스(14)를 중심축으로 코어부(10)의 측면(11)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틸팅시키면,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의 배광면(22,32)들이 코어부(10)의 전방 중심을 향하여 수렴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들 배광면(22,32)들을 통하여 조명부 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모듈(21,31)의 광이 배광됨으로써 광을 일정한 지점으로 집중시키는 조명 효과를 연출한다.
또한,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를 채널(25,35)에 삽입된 보스(14)를 중심축으로 코어부(10)의 측면(11)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틸팅시키면,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의 배광면(22,32)들이 코어부(10)의 전방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들 배광면(22,32)들을 통하여 조명부 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모듈(21,31)의 광이 배광됨으로써 광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조명 효과를 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는, 코어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배광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광을 일정한 범위내로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키는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광 확산을 위한 별도의 렌즈를 구비할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조명장치의 제조상의 생산성과 관리면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수득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될 경우, 전방 틸팅시 전방스토퍼(27,37)에 의하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후방 틸팅시 후방스토퍼(26,36)에 의하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10; 코어부
11; 측면 12; 걸림턱
13; 삽입편 14; 보스
15; 정면
20; 제 1 조명부
21; 발광다이오드 모듈
22; 배광면 23; 내측면
24; 외측면 25; 채널
26; 후방스토퍼 27; 전방스토퍼
30; 제 2 조명부
31; 발광다이오드 모듈
32; 배광면 33; 내측면
34; 외측면 35; 채널
36; 후방스토퍼 37; 전방스토퍼
40; 캡

Claims (4)

  1.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에 있어서,
    파이프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코어부(10);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모듈(21)이 설치되되 상기 코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편(13)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10)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광을 일정한 범위 내에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키도록, 코어부(10)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10)는, 양측의 측면(11)들과 정면(15) 및 후방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부(10)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각 측면(11)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평판 형상의 삽입편(1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13)의 말단에 구체 또는 타원체 형상의 보스(1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는,
    중공 상태의 몸체를 가지되 정면에 발광다이오드모듈(21, 31)의 광을 배광시키는 배광면(22, 33)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10)의 측면(11)의 외주면과 치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면(23, 33)과 상기 내측면(23, 33)과 이격되어 대향하는 외측면(24, 34)을 가지며,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상기 제 2 조명부(30)의 내측면(23, 33)에 상기 코어부(10)의 삽입편(13)과 보스(14)가 내삽되는 채널(25, 35)이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명부(20)와 제 2 조명부(30)의 내측면(23,33)의 후방측 일방 말단은 외측면(24,34)의 후방 말단과 접합되어 수렴되면서 후방스토퍼(26,36)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23,33)의 전방측 타방 말단은 상기 배광면(22,32)의 일측과 상호 접합되면서 코어부(10)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전방스토퍼(27,37)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10)와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상부를 마감하는 캡(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21,31)은 배광면(22,32)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는,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외주면에 방열구 또는 요철면이나 주름진 형상의 방열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는,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외주면에 방열팬을 부설하며,
    상기 코어부(10)와 제 1 조명부(20) 및 제 2 조명부(30)의 상부를 마감하는 캡(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20150044054A 2015-03-30 2015-03-30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155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054A KR101550862B1 (ko) 2015-03-30 2015-03-30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054A KR101550862B1 (ko) 2015-03-30 2015-03-30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862B1 true KR101550862B1 (ko) 2015-09-11

Family

ID=5424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054A KR101550862B1 (ko) 2015-03-30 2015-03-30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8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00B1 (ko) 2009-09-11 2010-02-12 (주)이지스테크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282121B1 (ko) 2011-09-09 2013-07-04 유종관 방수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00B1 (ko) 2009-09-11 2010-02-12 (주)이지스테크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282121B1 (ko) 2011-09-09 2013-07-04 유종관 방수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473B (zh) 適用於半導體燈的光學裝置
KR101260910B1 (ko) 고체 상태 광원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램프 시스템
JP2020074313A (ja) 傾斜した外壁を有するledベースの光源
US8696156B2 (en) LED light bulb with light scattering optics structure
CN101936479A (zh) 发光二极管灯具
KR101533709B1 (ko) 차량용 led 램프 모듈
JP5296236B2 (ja) Led蛍光照明装置
JP5016587B2 (ja) Ledランプ
JP6425066B2 (ja) 照明器具
JP5401576B2 (ja) Ledランプ
US20130163240A1 (en) Led street lamp
JP3163443U (ja) Led式照明装置
CN104676462B (zh) 透镜及照明装置
JP2012256595A (ja) 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US9371975B2 (en) Light source device
KR101375094B1 (ko) 초점 조절이 가능한 손전등
KR101696367B1 (ko)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
KR101550862B1 (ko) 배광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0969167B1 (ko) 엘이디 조명기기
JP2016201210A (ja) ランプ
KR101577999B1 (ko) 차량용 led 램프 모듈
KR101191406B1 (ko) 백열등의 배광 패턴을 갖는 led 등기구
KR101682676B1 (ko) 산란기능이 부가된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
US20150354757A1 (en) Led lamp
KR20170038517A (ko) 엘이디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