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685B1 -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685B1
KR101550685B1 KR1020140018752A KR20140018752A KR101550685B1 KR 101550685 B1 KR101550685 B1 KR 101550685B1 KR 1020140018752 A KR1020140018752 A KR 1020140018752A KR 20140018752 A KR20140018752 A KR 20140018752A KR 101550685 B1 KR101550685 B1 KR 10155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call
terminal
stat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7343A (en
Inventor
조진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685B1/en
Publication of KR2015009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6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근접센서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애플리케이션 및 외부기기 연결상태에 근거하여 통화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근접센서가 오프 상태 유지 또는 온 상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근접센서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A proximity sensor control method and an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are disclosed.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to be in the OFF state or the ON state while the communication state is maintained based on the applic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state when the call is received to the terminal, and an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Description

근접센서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ximity sensor control method,

본 실시예는 근접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근접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and a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senso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근접센서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근접센서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근접센서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통화 중 멀티태스킹으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다가 귀에 대고 받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화면에 터치 입력이 되어 사용자가 원치않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Generally, the terminal prevents the proximity sensor from operating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operating, and allows the proximity sensor to operate when a call is connected. Since the proximity sensor is set not to operate in a multitasking state,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to receive and receive an e-mail while using another application by multi-tasking during a call, May cause unwanted malfunctions.

또한, 스마트폰이 일반화되고, 외부 기기(예컨대, 무선 이어폰, 무선 헤드셋, 무선 스피커 등)와의 연결을 통한 통화사용이 증가함으로 인해 통화 상태에서 근접센서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로 통화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통화 중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지 혹은 통화만을 이용하고 있는지에 근거하여 근접센서로 인한 오동작 및 화면 꺼짐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 In addition, since a smart phone is generalized and the use of a call through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e.g., a wireless earphone, a wireless headset, a wireless speaker, etc.) increases, have. Accordingly, the terminal needs to control a malfunction due to the proximity sensor, a screen off, and the like, based on whether the user uses another application during the communication or only uses the communication. .

본 실시예는,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애플리케이션 및 외부기기 연결상태에 근거하여 통화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근접센서가 오프 상태 유지 또는 온 상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근접센서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proximity sensor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sensor to be in the OFF state or the ON state while the communication state is maintained based on the applic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state when a call is received to the terminal,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There is a main purpose in doing this.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근접센서;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통화 모드를 출력하는 통화모드 제어부; 및 상기 통화 모드 상에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근접센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근접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is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touch sensitive display compri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Proximity sensor; Communication circuit; A call mod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all mode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And a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sensor to be in an off state when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자 장치에, 호가 착신되는 경우, 통화 모드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모드 상에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근접센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call mode when a call is incoming;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sensor to be in an off state when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로 호가 착신되면, 애플리케이션 및 외부기기 연결상태에 근거하여 통화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근접센서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의도에 부합하도록 선택적으로 근접센서가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귀에 대고 통화를 하기 위한 화면상의 터치인 경우는 화면을 끄고, 통화 중 화면상에서 다른 동작을 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화면이 꺼지지 않고 터치입력을 입력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를 제어함으로써, 멀티태스킹(Multitasking)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통화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the on / off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is controlled while the communication state is maintained based on the applic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st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ximity sensor can be selectively operated.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for talking on the ear and turns off the screen and performs an operation for performing another operation on the screen during a call, the proximity sensor is controlled so that the touch input can be input without turning off the screen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communication in the multitasking stat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외부출력을 기초로 근접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니통화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ximity sens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based on audio external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A to 4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ini talk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n on or off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단말기(110)는 메모리(202), 메모리 제어기(204), 프로세서(206), 주변 인터페이스(208), 통신 회로(212), 근접센서(213), 오디오 회로(214), 스피커(216), 마이크로폰(218), 입출력(I/O) 서브시스템(220), 터치 스크린(226),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228) 및 외부 포트(24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210)을 통하여 통신한다. 단말기(110)는 도 2에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110 includes a memory 202, a memory controller 204, a processor 206, a peripheral interface 208, a communication circuit 212, a proximity sensor 213, an audio circuit 214, a speaker 216, A microphone 218, an input / output (I / O) subsystem 220, a touchscreen 226, other input or control devices 228 and an external port 248. These components communicate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210. The terminal 110 may configure more or fewer components or different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The various components shown in FIG. 2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메모리(2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2)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02)는 프로세서(206)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통신 회로(212), 외부 포트(248),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6) 및 주변 인터페이스(208)와 같은 단말기(11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202)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20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memory 202 may comprise a high speed random access memory. The memory 202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 some embodiments, the memory 202 may be a storage device that is located remotely from the processor 206, for example, a communication circuit 212, an external port 248, the Internet, an intranet, a LAN (Local Area Network) Wide LAN, Wide Area Network (LAN), Storage Area Network (SAN), or the like, via a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Access to the memory 202 by other components of the terminal 110, such as the processor 206 and the peripheral interface 208, may be controlled by the memory controller 204.

주변 인터페이스(208)는 단말기(11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206) 및 메모리(202)와 연결시킨다. 프로세서(206)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메모리(202)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기(11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The peripheral interface 208 couples the input / output peripheral of the terminal 110 to the processor 206 and the memory 202. The processor 206 executes various software programs or a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202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terminal 110 and processes the data.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인터페이스(208), 프로세서(206) 및 메모리 제어기(204)는 칩(211)과 같은 단일 칩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peripheral interface 208, processor 206, and memory controller 204 may be implemented on a single chip, such as chip 211.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se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통신 회로(212)는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통신 회로(212)는 전기 신호를 전자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통신 회로(212)는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12)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과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에 의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예를 들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또는 IEEE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단문 문자 서비스(SMS)용 프로토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212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omagnetic waves. The communication circuit 212 converts electrical signals to electromagnetic waves and vice versa a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the electromagnetic waves. The communication circuitry 212 may include,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But are not limited to, well known circuits for performing such functions. The communication circuitry 212 may be implemented within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nd a network, referred to as the World Wide Web,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a wireless LAN or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Wi-Fi (e. G.,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or IEEE 802.11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Wi-MAX, e-mail, instant messaging ), A protocol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the like.

근접센서(213)는 물리적인 접촉없이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물체의 존재여부, 이동 여부 등을 판단하여 터치 스크린(112)이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도록 한다. 예컨대, 근접 센서(213)는 단말기(110)가 전화 통화를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귀 근처에 위치되는 경우, 근접한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 스크린(226)을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The proximity sensor 213 uses the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without physical contact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s present or not, and allows the touch screen 112 to operate on or off.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10 is located near the user's ear while performing a telephone conversation, the proximity sensor 213 determines that a nearby object exists and causes the touch screen 226 to be turned off.

일부 실시예에서, 근접 센서(213)는 단말기(110)가 사용자의 주머니, 지갑 또는 다른 어두운 영역에 있는 경우, 터치 스크린(112)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proximity sensor 213 may keep the touch screen 112 off to prevent unnecessary battery drain if the terminal 110 is in a user's pocket, purse, or other dark area.

한편, 근접센서(213)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중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근접센서(213)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터치 스크린(112)을 오프 상태가 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213)는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형, 광전형, 초음파형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ses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while performing the telephone conversation, the proximity sensor 213 turns off the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213 and turns off the touch screen 112 . The proximity sensor 213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a capacitance type, a magnetic type, a photoelectric type, and an ultrasonic type.

오디오 회로(214), 스피커(216) 및 마이크로폰(218)은 사용자와 단말기(110)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회로(214)는 주변 인터페이스(20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전기 신호를 스피커(216)로 전송한다. 스피커는 전기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한다. 오디오 회로(214)는 음파로부터 마이크로폰(116)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오디오 회로(214)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고 이를 주변 인터페이스(208)로 전송하여 처리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주변 인터페이스(208)에 의하여 메모리(202) 또는 통신 회로(212)로부터 검색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회로(214)는 또한 헤드셋 잭(Jack)(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 잭은 오디오 회로(214)와 제거 가능한 입출력 주변장치, 예를 들어 출력 전용 헤드폰 또는 출력과 입력(마이크로폰) 모두를 갖는 헤드셋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Audio circuitry 214, speaker 216 and microphone 218 provide an audio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erminal 110. The audio circuitry 214 receives data from the peripheral interface 208, converts the data data to electrical signals,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s to the speaker 216. Speakers convert electrical signals into sound waves that can be heard by humans. The audio circuit 214 receive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from the microphone 116 from the sound wave. The audio circuit 214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udio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peripheral interface 208 for processing. Audio data may be retrieved or transmitted from the memory 202 or communication circuitry 212 by the peripheral interface 208. In some embodiments, the audio circuitry 214 may also include a headset jack (not shown). The headset jack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audio circuit 214 and a removable input / output peripheral device, e.g., an output-only headphone or a headset having both an output and an input (microphone).

I/O 서브시스템(220)은 터치 스크린(226)과 기타 입력/제어 장치(228)와 같은 단말기(110)의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208)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 서브시스템(22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222)와 다른 입력 또는 제어 장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기(22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기(224)는 전기 신호를 다른 입력 또는 제어 장치(228)와 송수신한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228)는 물리적인 버튼(예컨대, 푸쉬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스틱(St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 / O subsystem 220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input / output peripheral of the terminal 110 and the peripheral interface 208, such as the touch screen 226 and other input / The I / O subsystem 220 includes one or more input controllers 224 for the touch screen controller 222 and other input or control devices. One or more input controllers 224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al signals to and / or from another input or control device 228. Other input / control devices 228 may include physical buttons (e.g., push buttons), dials, slider switches, sticks, and the like.

터치 스크린(226)은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기(222)는 전기 신호를 터치 스크린(226)과 송수신한다. 터치 스크린(226)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한다.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touch screen 226 provides an output interface and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The touch screen controller 222 sends and receives electrical signals to and from the touch screen 226. The touch screen 226 displays a visual output to the user. The visual output may include text, graphics, video, and combinations thereof. Some or all of the visual output may correspond to a user interface object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터치 스크린(226)은 햅틱(Haptic) 또는 택타일(Tactile)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용한다. 터치 스크린(226)은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형성한다. 터치 스크린(226)과 터치 스크린 제어기(222)(관련 모듈 또는 메모리(202)에서의 명령어 세트와 함께)는 터치 스크린(226) 상의 접촉을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을, 터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 키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과의 상호 작용(Interaction)으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226)과 사용자 사이의 접촉 지점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손가락의 폭(Digit)에 대응한다. 터치 스크린(226)은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이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26)과 터치 스크린 제어기(222)는 용량형(Capacitive), 저항형(Resistive), 적외선형(Infrared) 및 표면 음파 기술과 같은 복수의 터치 감지 기술뿐만 아니라 근접 감지기 어레이(Proximity Sensor Array) 또는 터치 스크린(226)과의 접촉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요소를 이용하여, 접촉과 이동 또는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Stylus), 손가락 등과 같이 적절한 사물이나 부속물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226)과 접촉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226 accepts input from a user based on a haptic or tactile contact. The touch screen 226 forms a touch sensitive surface that accepts user input. The touch screen 226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222 (along with the instruction set in the associated module or memory 202) detect the contact on the touch screen 226 and detect the detected contact on one or more Into an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object such as a soft key.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ouch screen 226 and the user corresponds to the width (Digit) of one or more user fingers. The touch screen 226 may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echnology or a 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LPD) technology, although other display technologie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The touchscreen 226 and the touchscreen controller 222 may be implemented using a variety of touch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Capacitive, Resistive, Infrared and Surface acoustic wave technologies as well as proximity sensor arrays ), Or other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226. [0031] The user may contact the touch screen 226 using a suitable object such as a stylus, a finger, or the like.

단말기(110)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시스템(230)을 또한 포함한다. 전원 시스템(230)은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전원(예컨대, 배터리, 교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오류 검출 회로, 전력 컨버터(Converter) 또는 인버터(Inverter), 전력 상태 표시기(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전력 생성, 전력 관리 및 전력 분배와 관련된 기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10 also includes a power system 230 that powers various components. The power system 23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e.g., battery, ac power),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 Power generation, power management, and other components associated with power distribution.

일부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232), 통신 모듈(또는 명령어 세트)(234), 그래픽 모듈(또는 명령어 세트)(240), 텍스트 입력 모듈(242)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명령어 세트)(250)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software components include an operating system 232, a communication module (or instruction set) 234, a graphics module (or instruction set) 240, a text input module 242,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 ≪ / RTI >

운영 체제(232)(예컨대,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Task)(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The operating system 232 (e.g., an embedded operating system such as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or VxWorks) provides general system tasks (e.g., memory management, storage control, Management, etc.),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통신 모듈(234)은 하나 이상의 외부 포트(248)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촉진시키고 통신 회로(212)와 외부 포트(248)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외부 포트(248)(예를 들어, USB, FIREWIRE 등)는 다른 장치로의 직접 연결이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무선 LAN 등)를 통한 간접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Communication module 234 also includes various software component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via one or more external ports 248 and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by communication circuitry 212 and external port 248 . The external port 248 (e.g., USB, FIREWIRE, etc.) is used for direct connection to another device or for indirect connection via a network (e.g., Internet, wireless LAN, etc.).

그래픽 모듈(240)은 터치 스크린(226)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주지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디지털 이미지,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Graphics module 240 includes a number of well known software components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graphics on touch screen 226. The term "Graphics" includes, without limitation, text, web pages, icons (e.g., user interface objects including soft keys), digital images, video, animations, .

텍스트 입력 모듈(234)은 (연락처, 이메일, IM, 블로깅, 브라우저 및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한다.The text input module 234 provides a soft keyboard for entering text in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contacts, email, IM, blogging, browsers, and any other applications that require text input).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50)은 브라우저,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 이메일, 즉석 메시지,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위젯(Widget), JAVA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부호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GPS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은), 음악 플레이어(MP3 또는 AAC 파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기록된 음악을 재생하는)를 제한없이 포함하여 단말기(110)에 설치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applications 250 may include a browser, an Address Book, a contact list, an email, an instant message, Word Processing, a Keyboard Emulation, a Widget, a JAVA enabled application,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voice recognition, voice reproduction, positioning functions (such as those provided by GPS), music players (playing music recorded in one or more files such as MP3 or AAC files) And may include any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rminal 110.

애플리케이션(250)은 통화모드 제어부(252) 및 근접센서 제어부(254)를 포함한다. The application 250 includes a call mode control unit 252 and a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

통화모드 제어부(252)는 통신 회로(121)로 호가 착신되면,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통화모드 제어부(252)는 통신 회로(121)로 호가 착신될 때, 게임, 인터넷, 뉴스, 쇼핑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기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When the cal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121, the call mode control unit 252 checks whether there is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For example,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121, the call mode control unit 252 confirms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such as a game, the Internet, news, or shopping is currently being executed.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모드 제어부(252)는 착신되는 호를 연결하기 위한 통화 모드가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통화 모드는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출력화면(400)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출력되는 미니통화 모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226) 전체에 출력되는 일반통화 모드일 수도 있다.The call mode control unit 2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utputs a call mode for connecting the incoming call. Here,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a mini-communication mode in which an output is overlaid on an output screen 400 for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However, the communication mod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ini-communication mode, It is possible.

통화모드 제어부(252)는 미니통화 모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226) 상에 출력된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출력화면(400)에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미니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미니통화 알림영역이 출력되도록 한다. When the mini-phone mode is to be output, the call mode control unit 252 controls the mini-phone mode so that it is overlaid on the output screen 400 for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output on the touch screen 226, The notification area is output.

미니통화 알림영역은 호 연결영역(412), 호 차단영역(414), 알람 중지영역(미도시), 착신호 정보 알림영역(416, 417) 및 모드 전환영역(4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미니통화 알림영역은 통신 회로(121)로 착신된 착신 호에 대응하는 호 연결을 시도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호 연결영역(412) 및 착신 호에 대응하는 호 연결을 차단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호 차단영역(414)을 포함하며,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출력화면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된다. The mini call alert area may include a call connection area 412, a call blocking area 414, an alarm stop area (not shown), incoming call information notification areas 416 and 417, and a mode switching area 418 . More specifically, the mini-call notification area includes a call connection area 412 indicating a menu for attempting call connection cor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received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21, and a menu for blocking a call connection cor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 And is overlaid on the output screen of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and output.

또한, 미니통화 알림영역은 착신 호에 대응하는 알람을 중지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알람 중지영역, 착신 호에 대한 전화번호, 착신자 이름, 착신자 이미지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착신호 정보 알림영역(416, 417) 및 미니통화 모드에서 일반통화 모드로 전환을 시도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모드 전환영역(418)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ni call notification area includes incoming call information notification areas 416 and 417 indicating information such as an alarm stop area indicating a menu for stopping an alarm cor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a telephone number for an incoming call, a called party name, And a mode switching area 418 indicating a menu for switching from the mini-phone mode to the general phone mode, and the like.

통화모드 제어부(252)는 터치 스크린(226) 상에 기 설정된 크기로 미니통화 알림영역이 표시되도록 하며,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출력화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미니통화 알림영역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ll mode control unit 252 displays a mini call announcement area on the touch screen 226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implements a mini call announcement area with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utput screen of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

통화모드 제어부(252)는 미니통화 알림영역의 이동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로 미니통화 알림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미니통화 알림영역의 이동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은 터치 스크린(226) 상에서 검출되는 터치정보를 의미하며, 터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미니통화 알림영역이 이동될 수 있다. The call mode control unit 252 can move the mini call notification area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and drag input when there is a touch or a drag input for moving the mini call notification area. Here, the touch or drag input for the movement of the mini call notification area means touch information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226, and the mini call announcement area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formation.

한편, 통화모드 제어부(252)는 일반통화 모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226) 전체에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일반통화모드에 대응하는 알림영역이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일반통화 모드는 단말기(110)에서 기본설정(Default)에 따라 알림영역이 출력되는 것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eneral call mode is outputted, the call mode control unit 252 outputs a notification area corresponding to a general call mode for performing a call on the entire touch screen 226. [ Here, in the general call mode, the notification area may be output according to the default setting in the terminal 110. [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통화 모드 상에서 단말기(110)의 오디오 외부출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여 근접센서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by confirming whether the audio external output of the terminal 110 is activ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통화 모드 상에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in the off state when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turns on the proximity sensor 213 when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State.

이하, 근접센서 제어부(254)가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in which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in the OFF state will be described.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단말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호 연결 상태, 이어폰 연결 상태, 스피커폰 동작 상태, 무선기기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오디오 외부출력의 활성화는 이어폰 연결 활성화, 스피커폰 동작 활성화, 무선 오디오기기 연결 활성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이어폰, 스피커폰 및 무선 오디오기기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오디오 외부출력을 활성화로 판단한다.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checks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ff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based on the confirmed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turns off the proximity sensor 2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which confirmed the call connection state, the earphone connection state, the speakerphone operation state, . Here, the activation of the audio external output includes any one of activation of an earphone connection, activation of a speakerphone activation, and activation of a wireless audio device connection. That is, the proximity sensor controller 254 determines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when any one of the earphone, the speakerphone, and the wireless audio device is activated.

예를 들어,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이어폰, 스피커폰, 무선 오디오 기기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in an off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of the earphone, the speakerphone, and the wireless audio device is activat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단말기(110)의 기본설정(Default)에 따른 근접센서(213)의 오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중 근접센서의 동작에 의해 터치 스크린(226)이 오프되는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maintains the off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213 according to the default setting of the terminal 110 so that the touch screen 226 is activ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operation to be turned off can be prevented.

이하, 근접센서 제어부(254)가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to control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in the ON state will be described.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단말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호 연결 상태, 이어폰 연결 상태, 스피커폰 동작 상태, 무선기기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오디오 외부출력의 비활성화는 이어폰 연결 비활성화, 스피커폰 동작 비활성화, 무선 오디오기기 연결 비활성화를 포함한다. The proximity sensor controller 254 checks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based on the confirmed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turns on the proximity sensor 2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at confirmed the call connection state, the earphone connection state, the speakerphone operation state, . Here, deactivation of audio external output includes deactivation of earphone connection, deactivation of speakerphone operation, and deactivation of wireless audio device connection.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이어폰, 스피커폰 및 무선 오디오기기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오디오 외부출력을 비활성화로 판단한다.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determines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when the earphone, the speakerphone, and the wireless audio equipment are inactivated.

예를 들어,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이어폰, 스피커폰 및 무선 오디오 기기가 모두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 중 단말기(110)를 귀에 대는 것과 같이 근접센서(213)에 감지되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터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226)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the speakerphone, and the wireless audio equipment are all disabl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Here,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switches the proximity sensor 213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so that when an object to be sensed by the proximity sensor 213 exists, such as a user putting the terminal 110 in communication on the ear , The touch screen 226 may be turned off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touch.

근접센서 제어부(254)는 호가 연결된 상태 즉, 통화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근접센서(21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호 연결이 종료되어 통화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기본설정에 따라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254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213 only when the call is connected, that is, while the call mode is maintained, and when the call connection is terminated and the call mode is ended, the proximity sensor 213 ) Is turned off.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ximity sens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단말기(110)는 네트워크로부터 호가 착신되면(S210),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network (S210), the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exists (S220).

단계 S220에서 확인한 결과, 단말기(110)에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10)는 미니통화 모드를 출력한다(S23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출력화면(400)에 오버레이되도록 통화 모드에 대응하는 통화 알림영역을 출력한다. 통화 알림영역은 호 연결영역(412), 호 차단영역(414), 알람 중지영역(미도시), 착신호 정보 알림영역(416, 417) 및 모드 전환영역(418) 등을 포함한다.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220, if there is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terminal 110, the terminal 110 outputs a mini talk mode (S230). More specifically, if there is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the terminal 110 outputs a call notific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so as to be overlaid on the output screen 400 for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The call notification area includes a call connection area 412, a call blocking area 414, an alarm stop area (not shown), incoming call information notification areas 416 and 417, and a mode switching area 418.

한편, 단계 S220에서 확인한 결과, 단말기(110)에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110)는 멀티태스킹으로 일반통화 모드를 실행한다(S222). 여기서, 단말기(110)는 일반통화 모드에서 호가 연결되는 경우 일반 통화화면에서 통화를 수행하고, 호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re is no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on the terminal 110, the terminal 110 executes the normal call mode by multitasking (S222). Here, when the call is connected in the normal call mode, the terminal 110 performs the call on the general call screen and terminates the phone application when the call is not connected.

단말기(110)는 미니통화 모드 상에서 호가 연결에 대한 통화 모드인 경우(S240), 통화 모드 상에서 단말기(110)의 오디오 외부출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여 근접센서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S250).In operation S240, the terminal 110 checks whether the external audio output of the terminal 110 is activ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in operation S250.

단계 S250에 근거하여 단말기(110)는 통화 모드 상에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S260), 통화를 수행한다(S27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단말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예컨대, 단말기(110)는 호 연결 상태, 이어폰 연결 상태, 스피커폰 동작 상태, 무선기기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오디오 외부출력의 활성화는 이어폰 연결 활성화, 스피커폰 동작 활성화, 무선 오디오기기 연결 활성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In step S250, the terminal 110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in the off state when the external audio output is activ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S260), and performs the communication (S270).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110 checks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ff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based on the confirmed terminal status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terminal 110 determines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at confirmed the call connection status, the earphone connection status, the speakerphone operation status, the wireless device connection status, and the like, the proximity sensor 213 is turned off . Here, the activation of the audio external output includes any one of activation of an earphone connection, activation of a speakerphone activation, and activation of a wireless audio device connection.

단계 S250에 근거하여 단말기(110)는 통화 모드 상에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S262), 통화를 수행한다(S27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단말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단말기(110)는 호 연결 상태, 이어폰 연결 상태, 스피커폰 동작 상태, 무선기기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오디오 외부출력의 비활성화는 이어폰 연결 비활성화, 스피커폰 동작 비활성화, 무선 오디오기기 연결 비활성화를 포함한다. In step S250, the terminal 110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n (S262) if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S270).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110 checks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based on the confirmed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e terminal 110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onfirming the call connection state, the earphone connection state, the speakerphone operation state, the wireless device connection state, . Here, deactivation of audio external output includes deactivation of earphone connection, deactivation of speakerphone operation, and deactivation of wireless audio device connection.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외부출력을 기초로 근접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based on audio external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단말기(110)는 네트워크로부터 호가 착신될 때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를 확인하고, 통화 모드를 출력한다. 단말기(110)는 통화 모드 상에서 착신호가 연결되고(S310), 스피커 폰이 오프 상태이고(S320), 무선 오디오기기 및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S330, S340),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한다(S350). 단말기(110)는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통화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S360).The terminal 110 confirms that there is a running application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network, and outputs a call mode.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an incoming call in the call mode in step S310 and the speaker phone is off in step S320 and the wireless audio device and the earphone are not connected in step S330 and S340. And switches the proximity sensor 213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S3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on the basis of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e terminal 110 determines that the user performs only the call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in the on state and performs the call (S360) .

한편, 단말기(110)는 통화 모드 상에서 착신호가 연결되지 않거나(S310), 스피커 폰이 온 상태이거나(S320), 무선 오디오기기가 연결되거나(S330), 이어폰이 연결된 상태이면(S340),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S352). 단말기(110)는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통화 중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S360).If the incoming call is not connected (S310), the speaker phone is on (S320), the wireless audio device is connected (S330), and the earphone is connected (S340)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is inactivated and the proximity sensor 213 is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S35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e terminal 110 determines that the user uses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during the call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off, (S360).

단말기(110)는 통화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근접센서(213)의 상태를 제어하고, 통화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S370),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S380).The terminal 110 controls the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213 only while maintaining the communication mode and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turned off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s terminated at step S370 at step S380.

한편, 단말기(110)는 통화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110)에 외부기기 연결상태를 반복하여 확인한다. 예컨대, 단말기(110)는 통화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이어폰이 새롭게 연결되거나 연결된 무선 오디오기기의 연결상태가 변화하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근접센서(21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mmunication mode is not terminated, the terminal 110 repeatedly check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terminal 110. [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s not terminated, the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state of the wireless audio equipment newly connected or connected is chang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213.

도 4a 내지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니통화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4A to 4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ini talk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a는 단말기(110)로 호가 착신되고,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출력화면(400) 상의 일측에 미니통화 모드가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면 그 어떤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4A shows a screen in which a mini-call mode is output to one side of the output screen 400 for a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when a call is terminated to the terminal 110 and there is a running application. Here, although the running application is shown as being a video applicatio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any application as long as it i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cept for the call applica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터치 스크린(226) 상에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출력화면(400)을 표시하고, 출력화면(400)에 오버레이되도록 미니통화 알림영역이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미니통화 알림영역은 호 연결영역(412), 호 차단영역(414), 알람 중지영역(미도시), 착신호 정보 알림영역(416, 417) 및 모드 전환영역(4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연결영역(412)은 통신 회로(121)로 착신된 착신 호에 대응하는 호 연결을 시도하는 메뉴를 나타내고, 호 차단영역(414)은 착신 호에 대응하는 호 연결을 차단하는 메뉴를 나타내고, 알람 중지영역(미도시)은 착신 호에 대응하는 알람을 중지하는 메뉴를 나타내고, 착신호 정보 알림영역(416, 417)은 착신 호에 대한 전화번호, 착신자 이름, 착신자 이미지 등의 정보를 나타내고, 모드 전환영역(418)은 미니통화 모드에서 일반통화 모드로 전환을 시도하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러한 미니통화 모드는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 스크린(226)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4A, the terminal 110 displays an output screen 400 for a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on the touch screen 226, and outputs a mini call notification area to be overlaid on the output screen 400 do. Here, the mini call notification area includes a call connection area 412, a call blocking area 414, an alarm stop area (not shown), incoming call information notification areas 416 and 417, and a mode switching area 418 . Herein, the call connection area 412 indicates a menu for attempting call connection cor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121, and the call blocking area 414 indicates a menu for blocking a call connection cor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And an alarm stop area (not shown) indicates a menu for stopping an alarm cor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Incoming call information notification areas 416 and 417 indicate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a called party name, and a called party image for an incoming call And the mode switching area 418 indicates a menu for attempting to switch from the mini-phone mode to the normal call mode. The mini-phone mode is movable on the touch screen 226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and drag inputs.

도 4b는 단말기(110)로 호가 착신될 때, 착신된 호를 연결하는 시도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호 정보 알림영역(416)으로부터 호 연결 영역(412)이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통화 모드 상에서 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여 착신된 호에 대응하는 호 연결을 시도한다. 4B shows an attempt to connect an incoming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to the terminal 110. As shown in FIG. 4B, when the call connection area 412 is touched from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notification area 416, And if there is a drag input, the call application is executed on the mini talk mode to attempt a call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도 4c는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출력화면(400)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된 미니통화 모드 상에서 호가 연결된 화면을 나타내고, 미니통화 모드는 통화 중 상태를 나타내는 호 연결 알림영역(420) 및 연결된 호에 대한 전화번호, 통화시간 등을 나타내는 호 연결정보 알림영역(422)를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미니통화 모드는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로 터치 스크린(226)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4C shows a screen to which a call is connected in a mini-call mode overlaid on an output screen 400 for a running application, and the mini-call mode includes a call connection notification area 420 indicating a busy state, A call conn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area 422 indicating a telephone number, a talk time, and the like. The mini-phone mode is movable on the touch screen 226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and drag inputs.

도 5a 내지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의 ON/OFF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A and 5B illustrate ON / OFF operations of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a는 통화 모드 상에서 호의 연결을 위한 터치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되어 근접센서(213)가 온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기(11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A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110 in which the external sensor output is inactivated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and the proximity sensor 213 is operated in an ON state when touch information for connection of a call is detected in a communication mod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호 연결 상태, 이어폰 연결 상태, 스피커폰 동작 상태, 무선기기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이어폰 연결 비활성화, 스피커폰 동작 비활성화, 무선 오디오기기 연결 비활성화를 포함하여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As shown in FIG. 5A, the terminal 110 may be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earphone connection, deactivate the speakerphone operation, connect the wireless audio device, or the like,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call connection state, the earphone connection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including the inactivation, the proximity sensor 213 is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도 5b는 통화 모드 상에서 호의 연결을 위한 터치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근접센서(213)가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기(11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5B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110 in which, when touch information for connection of a call is detected in a call mode, an external audio output is activated based on terminal status information and the proximity sensor 213 operates in an off state.

도 5b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호 연결 상태, 이어폰 연결 상태, 스피커폰 동작 상태, 무선기기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한 단말 상태정보를 기초로 이어폰 연결 활성화, 스피커폰 동작 활성화, 무선 오디오기기 연결 활성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근접센서(21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As shown in FIG. 5B, the terminal 110 may be configured to activate the earphone connection, activate the speakerphone, activate the wireless audio device, and activate the earphone connection based on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call connection status, the earphone connection status,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proximity sensor 213 to be in the off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activated.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사용의도에 부합하도록 선택적으로 근접센서가 동작할 수 있고, 멀티태스킹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통화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eld of using the proximity sensor, so that the proximity sensor can selectively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tention to use, and the user's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in the multitasking state can be increase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produces an effect.

110: 단말기 112: 전화 애플리케이션
252: 통화모드 제어부 254: 근접센서 제어부
110: terminal 112: telephone application
252: communication mode control unit 254: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Claims (6)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근접센서;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통화 모드를 출력하는 통화모드 제어부; 및
상기 통화 모드 상에서 이어폰, 스피커폰 및 무선 오디오기기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근접센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근접센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ouch-sensitive display;
Proximity sensor;
Communication circuit;
A call mod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all mode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And
A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sensor to be in an off state when audio external output of the earphone, speakerphone,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 제어부는,
상기 통화 모드 상에서 오디오 외부출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근접센서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comprises:
And switches the proximity sensor to the on state when audio external output is disabled in the communication m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상기 스피커폰 및 상기 무선 오디오기기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외부출력을 비활성화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comprises:
And determines that the audio external output is inactivated when the earphone, the speakerphone, and the wireless audio device are inactiv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 제어부는,
상기 통화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에만 상기 근접센서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ximity sensor control unit comprises: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ximity sensor only while the communication mode is maintai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모드 제어부는,
상기 호가 착신될 때 상기 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출력화면 일측에 미니통화 모드를 오버레이(Overlay)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 mode control unit,
Wherein when the calling application is present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overlays the mini-speaking mode on one side of the output screen of the touch-sensitive display.
전자 장치에,
호가 착신되는 경우, 통화 모드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통화 모드 상에서 이어폰, 스피커폰 및 무선 오디오기기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외부출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근접센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과정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In an electronic device,
Outputting a call mode when a call is incoming; And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proximity sensor to be in the OFF state when audio external output of any one of the earphone, the speakerphone, and the wireless audio device is activated in the call mode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program.
KR1020140018752A 2014-02-18 2014-02-18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 KR1015506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52A KR101550685B1 (en) 2014-02-18 2014-02-18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52A KR101550685B1 (en) 2014-02-18 2014-02-18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43A KR20150097343A (en) 2015-08-26
KR101550685B1 true KR101550685B1 (en) 2015-09-18

Family

ID=5405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752A KR101550685B1 (en) 2014-02-18 2014-02-18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68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43A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3688B2 (en) Unlocking a device by making a gesture on the unlock image
US7649526B2 (en) Soft key interaction indicator
US9596340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10044952A1 (en) Bluetooth-based playback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1412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touch sensing
KR1019105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creen off dur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KR20130101632A (en) Contents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820258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3677624A (en) Method of processing touch input for mobile device
CN107332984B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55068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and Electric Apparatus Therefor
CN108377298B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answering mode,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311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Receipt Fail Call
JP592246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5405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te Mode for Use in Electronic Device
CN111357280A (en) Video call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14103536A (en) Mobile terminal device
CN104461361B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of operation pop-up dummy keyboard
KR20140065286A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verting a setting according to a plurality of the touch modes in an electronic device
CN108595103A (en) Close control method,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application program
TW201429213A (en) Mode swi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30101630A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firmware updating
KR20120063351A (en) Method for receiv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al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JP2017004107A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