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16B1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Google Patent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16B1
KR101550216B1 KR1020150061791A KR20150061791A KR101550216B1 KR 101550216 B1 KR101550216 B1 KR 101550216B1 KR 1020150061791 A KR1020150061791 A KR 1020150061791A KR 20150061791 A KR20150061791 A KR 20150061791A KR 101550216 B1 KR101550216 B1 KR 101550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tank
shaped hollow
membran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현철
권태옥
문용훈
배준일
최태승
김귀용
장상엽
박보배
조근환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죽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죽암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죽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a lower frame which has an open top and an open bottom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ated bars mounted at intervals thereon; a plurality of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which are mounted on the fixated bars at intervals and have open upper ends; a fixated header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allow the upper ends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to penetrate the same; and a water collection header which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xated header and includes a treated water outlet which discharges treated water filtrated by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Description

중공사막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막분리 생물반응장치{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us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막여과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중공사막에 오염물질이 침적되는 것을 제어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중공사막모듈에 관한 것이고, 이를 이용하여 에너지효율이 우수하며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우수한 막분리 생물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enhancing the membrane filtration efficiency and controlling the deposition of contaminants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prolong its service lif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excellent energy efficiency, And a separation bioreactor.

최근 인구의 증가 및 도시의 집중화,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급속히 진행되어 수질환경의 훼손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하천, 호소 등으로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가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유발시킴으로써 어폐류의 폐사로 인한 수중 생태계의 파괴, 수자원 활용가치의 하락, 상수처리 비용의 상승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Recently, due to population increase, urbanization and rapid development of industry, environmental pollution has rapidly progressed and damage to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Furthermore,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are introduced into rivers and lakes, causing eutrophication,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of aquatic ecosystem due to the death of fish species, decrease in water utilization value, and increase in water treatment c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단위 공정에 의해 유기물을 비롯하여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devices for simultaneously treating nitrogen and phosphorus, including organic matter, by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unit processes have been developed.

대표적인 것으로는 막분리 생물반응장치(Membrane bio reactor; MBR) 등이 제시되고 있다. Membrane bio reactors (MBRs) have been proposed as typical ones.

한편 이러한 장치들에는 막분리조에 중공사막모듈이 사용되는 예가 다수 제시된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examples of such devices in which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used in a membrane separation vessel.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24264호에서는 시트 형상의 평형(flat) 중공사 모듈의 하방에 설치한 산기판의 산기공으로부터 공급되는 기포에 의해 중공사에 대하여 에어 버블링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행하면서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트면이 수직 방향으로, 중공사가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막 모듈을 배치하고, 중공사막만을 에어 버블링에 의해 진동시켜 선회류(swirling flow)를 일으키는 여과방법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7-24264, air bubbling is continuously or continuously applied to hollow fibers by bubbles supplied from the acid pores of the acid substrate provided below the sheet-shaped flat hollow fiber module A method of filtrating a liquid while intermittently performing a filtration process in which a membrane module is disposed such that a sheet surface i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llow fiber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vibrated by air bubbling to cause a swirling flow Method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더라도 충분한 여교효율을 기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중공사 상단에 침적되는 오염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중공사의 내구연한이 짧은 문제가 있다.
However, even with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achieve sufficient microfibers efficiency, and it is not easy to remov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low fiber yarn,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hollow fibers is short.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24264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2426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과효율이 우수하면서도 막오염을 제어할 수 있는 중공사막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막분리 생물반응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membrane contamination with excellent filtration efficiency, and a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중공사막모듈은 상,하가 개구되며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바가 장착된 하부틀; 상기 고정바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며 장착되고 상단이 개구된 복수의 U자형 중공사막; 상기 U자형 중공사막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헤더; 상기 고정헤더 상부에 장착되며 U자형 중공사막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된 집수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frame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plurality of fixing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moun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ixed bar and having open tops; A fixed header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And a collecting header formed on the fixed header and having a treated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하나의 예로 상기 U자형 중공사막은 다공을 형성하는 고분자수지에 셀룰로스아세테이트가 전체중량 대비 0.5 내지 4중량부, 망간산화물이 전체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부, 카테킨이 전체중량 대비 1 내지 3중량부가 배합된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may be formed by adding 0.5 to 4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acetate, 1 to 5 parts by weight of manganese oxide, 1 to 3 parts by weight of catechin to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resin,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나의 예로 상기 고정헤더 외측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U자형 중공사막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의 포집구가 구성되어 U자형 중공사막 상단부에 버블이 포집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a collection por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ed header to extend downward to surround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from the outside, and the bubble is collected at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하나의 예로 상기 집수헤더는 내부에 중앙에서 상기 처리수배출구와 연통하도록 원뿔형의 유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헤더는 상기 고정헤더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or example, a conical guide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head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rocess water outlet, and the collecting header slides up and down in the fixed head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헤더는 상,하단에 상,하단플랜지가 형성되며 상,하단플랜지 사이에는 슬라이드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헤더는 하단이 개구되며 상기 유도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슬라이드기둥부 외주연을 감싸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부보다 직경이 작아지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집수헤더의 상,하 연동시 상기 걸림테두리가 상기 상,하단플랜지에 각각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fixed header has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a slide colum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header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space, And the lower end of the slide portion is formed with a hooking edge which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slide portion, and the hooking edge of the catching header is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anges when the water collecting header is interlock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anges, respectively. do.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플랜지와 상기 걸림테두리에는 상호 대향하는 톱니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upper flange and the engaging rim are formed with teeth facing each oth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플랜지에는 복수의 스프링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upper flang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prings.

한편 본 발명의 막분리 생물반응장치는,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수용하고 혐기 환경이 유지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와 인접하며 혐기와 호기 환경을 반복 조성하는 공유조와; 상기 공유조와 인접하며 유입수의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중공사막모듈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처리수를 방류시키는 막분리조; 상기 혐기조, 상기 공유조 및 상기 막분리조를 모니터링 하고 운전을 제어하는 자동운전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aerobic tank for receiving raw wate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and maintaining the anaerobic environment; A shared tank which is adjacent to the anaerobic tank and which repeatedly forms anaerobic and aerobic environments; A membrane separation tank adjacent to the common tank and hav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removing solid matter of the influent water and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n automatic operation control panel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anaerobic tank, the common tank,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하나의 예로 상기 공유조의 처리수를 상기 혐기조로 반송시키기 위한 제 1반송수단과, 상기 막분리조의 처리수를 상기 공유조로 반송시키기 위한 제 2반송수단이 포함되되, 상기 제 1반송수단은 상기 혐기조와 공유조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양 조가 개폐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제 1반송배관, 상기 제1반송배관과 연결되는 제1반송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 2반송수단은 상기 공유조와 막분리조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양 조가 개폐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제 2반송배관, 상기 제 2반송배관과 연결되는 제 2반송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st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treated water of the sharing tank to the anaerobic tank as an example and a second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treated water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the shared tank, And a first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pipe so that both the first transfer pipe and the second transfer pip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 second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pipe, the second transfer pip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pipe and the second transfer pipe so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ipes can be opened and closed.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사막모듈은 여과효율이 우수하고 오염물질의 침적을 제어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filtration efficiency and has an advantage of extending the service life by controlling deposition of contaminants.

또한 본 발명의 막분리 생물반응장치는 상기 중공사막모듈을 이용함으로써 막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membrane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공사막모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중공사막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공사막모듈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중공사막모듈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막분리 생물반응장치의 전체구성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막분리 생물반응장치의 다른 실시예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hown in FIG. 1,
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hown in FIG. 4,
FIG.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hown in FIG. 4,
FIG. 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mbrane-separation bio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mbrane-separation bio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중공사막모듈(10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가 개구되며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바(111)가 장착된 하부틀(110); 상기 고정바(111)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며 장착되고 상단이 개구된 복수의 U자형 중공사막(120); 상기 U자형 중공사막(120)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관통공(131)이 형성된 고정헤더(130); 상기 고정헤더(130) 상부에 장착되며 U자형 중공사막(120)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배출구(141)가 형성된 집수헤더(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and 2,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110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plurality of fixing bars 111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120) moun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ixed bar (111) and having open tops; A fixed header 130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And a collecting header 140 mounted on the fixed header 130 and formed with a treated water outlet 141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본 발명의 중공사막모듈(100)은 도 1 등에서 전체적으로 사각관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원형관 형상 기타 설치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tube shape as a whole in FIG. 1 and the like, it is natural that the shap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 circular tube shape or other installation conditions.

상기 하부틀(110)은 상,하가 개구되도록 하여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기관(160) 등에 의해 하부에서 버블이 토출되도록 하여 버블이 상기 하부틀(110)을 관통하면서 U자형 중공사막(120)에 침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6 and 7,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by the air diffuser 160 or the like so that the bubbles penetrate through the lower frame 110, So that contaminants deposit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120 are removed.

또한 상기 하부틀(110)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고정바(111)가 장착되어 U자형 중공사막(120)이 하부에서 상기 고정바(111)에 걸려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1 and 2,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hooked to the fixing bar 111 at the lower part by mounting a fixing bar 111 parallel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fixed.

상기 U자형 중공사막(12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그 재질자체를 다공이 형성된 재질로 구성하여 하,폐수가 상기 U자형 중공사막(120)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지면서 그 처리수가 중공을 통해 상부로 유동토록 하는 것이다.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has hollows formed therein, and the material itself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The waste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To the top.

상기 U자형 중공사막(120)은 상기 고정바(111)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며 장착되되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지지틀이 구성되어 U자형 중공사막(120) 자체의 간격 및 U자형 중공사막(120)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mounted on the fixing bar 1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 support frame is formed to define a gap between the U- It is proper to keep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0.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U자형 중공사막(120)을 제조함에 있어 다공을 형성하는 고분자수지가 사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manufactured using a porous polymer resin.

여기서 고분자수지는 공지의 재질로서 PVDF 또는 PTFE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고분자수지에는 셀룰로스아세테이트가 전체중량 대비 0.5 내지 4중량부, 망간산화물이 전체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부, 카테킨이 전체중량 대비 1 내지 3중량부가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olymer resin, 0.5 to 4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acetate, 1 to 5 parts by weight of manganese oxide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catechin are contained in the polymer resin, 1 to 3 parts by weight are added.

상기 셀룰로스아세테이트는 친수화제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PVDF 등 고분자수지로 구성된 U자형 중공사막(120)의 막오염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그 기능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분자수지와 상용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The cellulose acetate is added as a hydrophilic agent to improve the membrane fouling resistance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made of a polymer resin such as PVDF. The reason for limiting the above range is that if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s functionality can not be expected,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compatibility with the polymer resin is lowered.

한편 이와 같이 고분자수지에 셀룰로스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친수성이 부여된 U자형 중공사막(120)라고 하더라도 하수처리장에는 생물학적 처리에 이용되는 미생물, 즉 고농도의 MLSS(mixed liquer suspended solid)와 같은 고형물질에 의해 노출되어 있어 막 오염을 일으켜 막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made hydrophilic by adding cellulose acetate to the polymer resin, the microorganism used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such as a high concentration MLSS (mixed liquer suspended solid) And the film is exposed to cause contamination of the film, thereby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m.

특히 MLSS의 구성요소인 미생물의 세포, 콜로이드성 물질인 EPS, SMP, 단백질 등은 매질 내의 음이온 특히 수산화이온의 선택적 흡착에 의해 약한 음전하를 띄고 있는데, PTFE 등 고분자수지에 의한 U자형 중공사막(120)은 MLSS와 반대로 약한 양전하를 띄게 되므로 전기적인 응력에 의해 약한 양전하를 띄고 있는 막 표면에 음전하를 띠고 있는 MLSS 구성물질이 부착되어 막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U자형 중공사막(120)에는 망간산화물이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microbial cells, colloidal materials EPS, SMP, and proteins, which are components of MLSS, have a weak negative charge due to the selective adsorption of anions, especially hydroxyl ions, in the medium. However,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 Has a weak positive charge as opposed to MLSS,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LSS constituent material which is negatively 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which is weakly positively charged due to an electrical stress adheres to the membrane, thereby increasing the membrane contamination. Accordingly, manganese oxide is added to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상기 망간산화물은 pH 6∼8에 음전하를 나타내어 MLSS와 척력을 발생시키므로 막오염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망간산화물을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그 기능성을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음전하를 과도하게 나타내어 오히려 금속성분의 흡착에 의해 막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The manganese oxide exhibits a negative charge at pH 6 to 8 and generates MLSS and repulsive force, so that the membrane contamination can be controlled. The reason for limiting the manganese oxide to the above range is that if it is below the above range, its functionality can not be expecte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negative charge is excessively exhibited and rather the film contamination can be caused by adsorption of the metal component. .

또한 상기 카테킨은 산화방지제로서 첨가되어 U자형 중공사막(120)에 침적된 오염물질에 의해 U자형 중공사막(120) 자체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기하기 위함이다. Also, the catechin is added as an antioxidant to prevent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tself from being oxidized by the contaminants deposited in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so as to ensure durability.

상기 고정헤더(130)는 상기 U자형 중공사막(120)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U자형 중공사막(120)을 상단에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fixed header 130 corresponds to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to fix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at the upper end.

상기 집수헤더(140)는 상기 고정헤더(130) 상부에 장착되며 U자형 중공사막(120)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배출구(141)가 형성되되 U자형 중공사막(120)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를 집수하면서 상기 처리수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water collecting header 140 is installed on the fixed header 130 and has a treated water outlet 141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So that the treated water is collected through the treated water outlet 141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eated water outlet 141.

이와 같은 구성의 중공사막모듈(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처리수배출구(141)에 연결된 펌프로부터 작용되는 흡입력이 각각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각각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 하,폐수가 여과가 되면서 흡입되도록 한다. The suction force acting from a pump connected to the treated water outlet 141 is transmitted to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uction force of each U 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and the waste water is filtered and sucked.

이렇게 각각 U자형 중공사막(120) 내부로 흡입된 처리수는 상기 집수헤더(140)로 유도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treated water sucked into each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guided to the collecting header 14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port 141.

한편 상기와 같은 중공사막모듈(100)은 각각 U자형 중공사막(120)의 상단부에 오염물질의 침적에 의한 폐색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6에서 각각의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Meanwhil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may be exposed to the problem of clogging due to deposition of contaminants on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respective embodiments in FIGS. 3 to 6. FIG.

도 3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시 예는 상기 고정헤더(130) 외측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U자형 중공사막(120)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의 포집구(170)가 구성되어 U자형 중공사막(120) 상단부에 버블이 포집되도록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3, a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ed header 130 to form a collecting hole 170 extending downward and surrounding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from the outside. And the bubble is captured at the upper end.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헤더(130) 외측으로 고정되되 상기 고정헤더(130)에서 하방향으로 U자형 중공사막(120)을 감싸는 테두리가 갓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포집구(170)가 더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collector 170 is fixed outside the fixed header 130 and has a frame that covers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downward from the fixed header 130, .

이와 같이 포집구(170)가 구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틀(110) 하부에서 산기관(160)에 의해 상부의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 버블을 토출시 상승하는 버블이 상기 포집구(17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포집공간으로 포집되도록 하여 U자형 중공사막(120)의 상단부에 침적된 이물질과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collecting port 170 is formed is that the bubble is discharged to the upper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by the diffuser 16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bubbles are collected in the trapping space formed by the collecting tool 170 so that the contact time with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prolonged.

상기와 같이 U자형 중공사막(120)의 상단에 침적된 이물질과 버블의 접촉시간을 길게 가져감으로써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산화시켜 분해시키거나 이물질을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부터 분리하여 부유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and the bubble is prolong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rectly oxidized and decomposed or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U- .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구(170)는 상기 고정헤더(130)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하방향으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하여 더욱 많은 버블이 수용되도록 하며 장기간의 접촉을 통해 이물질을 분리해낸 버블이 외측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More preferably, the collecting port 170 is formed so that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xed header 130 has a larger diameter in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more bubbles are received, and a bubble It is reasonable to let it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한편 도 4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시 예의 특징은 집수헤더(140)에 있어 그 내부 중앙에는 상기 처리수배출구(141)와 연통하도록 원뿔형의 유도공간(142)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의 집수헤더(140)는 고정헤더(130)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4, a conical guide space 14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llecting header 1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port 141, and the collecting header 140 Are slid up and down in the fixed header 130. In the example of FIG.

상기 유도공간(142)은 U자형 중공사막(120)을 통해서 유도된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배출구(141)로 유도되도록 집수 및 유도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집수헤더(140)는 고정헤더(130)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이유는 펌핑에 의해 U자형 중공사막(120)을 통해 토출되는 처리수가 원뿔형의 유도공간(142)을 타격하여 상향의 압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이 클 경우 집수헤더(140)는 고정헤더(130)에서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에 의해 집수헤더(140)가 고정헤더(130)를 타격하게 되어 고정헤더(130)에는 타격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다. The guide space 142 serves to collect and guide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to the treated water outlet 141. The water collecting header 140 is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in the fixed header 130 because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by pumping hits the conical guide space 142, The water collecting header 140 is slid upward in the fixed header 130 so that the collecting header 140 strikes the fixed header 130 by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vibration due to the impact is generated in the vibration isolator 130.

이러한 진동에 의해 각각 U자형 중공사막(120) 특히 상단부에 침적된 오염물질이 진동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며 분리된 오염물질은 버블에 의해 분해되거나 부유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se vibrations cause each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120, especially the pollutants deposited at the upper end thereof to be separated by vibration, and the separated pollutants are decomposed or suspended by the bubbles to be removed.

이를 위해 고정헤더(130)에는 상,하단에 상,하단플랜지(132, 133)가 형성되며 상,하단플랜지(132, 133) 사이에는 슬라이드기둥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헤더(140)는 하단이 개구되며 상기 유도공간(142)과 연통하고 상기 슬라이드기둥부(144) 외주연을 감싸는 슬라이드부(143)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143)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부(143)보다 직경이 작아지는 걸림테두리(144)가 형성되어 상기 집수헤더(140)의 상,하 연동시 상기 걸림테두리(144)가 상기 상,하단플랜지(132, 133)에 각각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upper and lower flanges 132 and 13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xed header 130, a slide post 14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32 and 133, Is formed with a slide portion 143 which is opened at the lower end and communicates with the guide space 142 and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ide column portion 144. The slide portion 143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lide portion 143 The lower end flange 132 and the lower flange 133 may be engaged with the catching header 140 when the collecting header 14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32 and 133, respectively.

즉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부터 처리수의 토출압에 의해 집수헤더(140)가 고정헤더(130)에서 상방향 슬라이드시 상기 걸림테두리(144)가 상기 상단플랜지(132)를 타격하여 고정헤더(130)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며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부터 처리수의 토출압이 작아지거나 없는 경우 상승된 집수헤더(140)가 고정헤더(130)에서 하방향 슬라이드 되어 걸림테두리(144)가 하단플랜지(133)를 타격함으로써 고정헤더(130)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collecting header 140 slides upward in the fixed header 130 by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from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the catching rim 144 hits the upper flange 132, And when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from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is small or does not exist, the raised collecting header 140 slides downward from the fixed header 130 so that the engaging rim 144 ) Strikes the lower flange 133 so that the fixed header 130 generates vibration.

이러한 작동기작에 의해 운전과정에서 U자형 중공사막(120) 상단부에 침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운전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오염물질의 침적에 의해 U자형 중공사막(120)의 부식 등 내구성 저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By this operation mechanism,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during the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efficiency. In addition,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can be durab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grada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동기작의 효율을 더욱 배가시키기 위한 구성이 2가지 제시되고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schemes for doubling the efficiency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mechanism are proposed.

첫째가 도 5에 도시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단플랜지(132)와 상기 걸림테두리(144)에 상호 대향하는 톱니(135, 145)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eeth 135 and 145, which are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upper flange 132 and the engaging rim 144, respectively.

이렇게 톱니(135, 145)가 더 구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부터 처리수의 토출압에 의해 집수헤더(140)가 고정헤더(130)에서 상방향 슬라이드시 상기 슬라이드부(134)에서 상기 걸림테두리(144)가 상방향으로 유동하다 걸림테두리(144)의 톱니(145)와 상단플랜지(132)의 톱니(135)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상기 집수헤더(130)는 회전력이 발생되면서 상기 걸림테두리(144)가 상기 상단플랜지(132)를 타격토록 하는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teeth 135 and 145 are further configured is that the collecting head 140 is moved from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to the slide part 134 The rotation of the collecting header 130 in the process of engaging the teeth 145 of the engaging rim 144 with the teeth 135 of the upper flange 132 is generated So that the hooking edge 144 strikes the upper flange 132.

즉 톱니(135, 145)의 작용에 의해 고정헤더(130)에는 종방향진동은 물론 횡방향진동이 동시에 발생되도록 하여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부터 오염물질의 탈리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due to the action of the teeth 135 and 145, longitudinal vibration as well as longitudinal vibration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in the fixed header 130, so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contaminants from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can be further increased .

본 실시 예의 경우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슬라이드부(134), 상기 상단테두리(132), 걸림테두리(144)의 내경, 슬라이드기둥부(144)의 내경, 유도공간(142)의 내경 등의 단면은 원형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즉 고정헤더(130)에서 집수헤더(14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이 되어야 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diameter of the slide portion 134, the upper rim 132, the inner rim of the latching rim 144, the inner diameter of the slide pillar 144,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space 142 The cross section of the back should be circular. That is, it is necessary to mount the collecting header 140 in the fixed header 130 so as to be rotatable.

다른 하나의 예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단플랜지(132)에 복수의 스프링(136)이 장착되는 예를 제시한다. Another example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springs 136 are mounted on the upper flange 132 as shown in FIG.

상기 상단플랜지(132)의 하면에 복수의 스프링(136)이 장착되도록 하여 집수헤더(140)가 고정헤더(130)에서 상방향 슬라이드에 의해 걸림테두리(144)가 상단플랜지(132)를 타격하는 경우 상기 걸림테두리(144)는 상단플랜지(132)에 구성된 복수의 스프링(136)을 타격하게 되어 타격에 의해 형성되는 진동이 스프링(136)을 통해 배가됨으로써 고정헤더(130)에 전달되는 진동이 더욱 배가되는 것이다. 즉 더 커진 진동에너지에 의해 U자형 중공사막(120)으로부터 오염물질의 탈리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 plurality of springs 136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32 so that the catching header 140 hits the upper flange 132 by the upward slider in the fixed header 130,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striking is multiplied through the spring 136 by the plurality of springs 136 formed on the upper flange 132 so that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ixed header 130 It is doubled. In other words, due to the larger vibration energy, the desorption efficiency of contaminants from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120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막분리 생물반응장치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수용하고 혐기 환경이 유지되는 혐기조(20)와; 상기 혐기조(20)와 인접하며 혐기와 호기 환경을 반복 조성하는 공유조와; 상기 공유조(30)와 인접하며 유입수의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중공사막모듈(100)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처리수를 방류시키는 막분리조(40)와; 상기 혐기조(20), 상기 공유조(30) 및 상기 막분리조(40)를 모니터링 하고 운전을 제어하는 자동운전제어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aerobic tank 20 containing raw wate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troduced therein and maintaining the anaerobic environment; A shared tank adjacent to the anaerobic tank (20) for repeatedly forming anaerobic and aerobic environments; A membrane separation tank (40) adjacent to the common tank (30) and provided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to remove solid matter of influent water,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And an automatic operation control panel (80)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anaerobic tank (20), the sharing tank (30),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상기 혐기조(20)와 공유조(30) 또는 공유조(30)와 막분리조(40)는 상기 공유조(30)에서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본 출원인의 기 등록된 특허 제1102536호 등에 기재된 내용으로 상세설명은 생략함)의 작동으로 폭기 여부에 따라 즉, 혐기 또는 호기환경이 조성됨에 의해 처리수의 이송 및 반송을 반복 수행하여 하.폐수가 연속-단계적으로 순환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anaerobic tank 20 and the common tank 30 or the common tank 30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are connected to the aeration, 1102536, etc.),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feeding and returning of the treated water repeated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eration, that is, the anaerobic or aerobic environment, so that the wastewater is circulated continuously .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혐기조(20)와 공유조(30) 또는 공유조(30)와 막분리조(40) 간에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의 순환이 시간상 일련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조 간에 순환수단이 구성되는 바, 상기 순환수단은 유입(액이송)수단으로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가 그 기능을 하며, 반송수단으로 제 1반송수단(50) 및 제 2반송수단(60)이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circulation of the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between the anaerobic tank 20 and the common tank 30 or the common tank 30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is time- The circula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n aeration (liquid transfer) means which functions as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and as the transfer means, the first transfer means 50 and the second transfer means 60).

상기 공유조(30)는 호기시간대에서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의 폭기작용에 기해 막분리조(40)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순환됨으로써 호기 공정을 수행한다. 반대로, 혐기시간대에서는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의 교반작용 시 막분리조(40)와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혐기조(20)와 연통되어 처리수가 순환됨으로써 혐기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sharer 30 communicates with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due to the aeration action of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at the expiration time, and circulates the treated water to perform the exhalation process. Conversely, in the anaerobic time zone, the anaerobic process is interrupted by the stirring operation of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and the anaerobic process is performed by communicating with the anaerobic tank 20 to circulate the process water .

이렇게 혐기조건 및 호기조건에 따라 인접하는 2개의 조가 동시에 혐기조건 및 호기조건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그 반응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anaerobic condition and the expiratory condition, the two adjacent baths are simultaneously subjected to the anaerobic condition and the exhalation condition, so that the reaction treatment time can be shortened.

먼저, 상기 혐기조(20)는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수용하게 되는데, 이는 유입 원수의 수량 및 혐기조(20) 전단에 유량 조정조 설치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하수관거로부터 하수의 유입 지점은 상기 혐기조(20)의 상부가 될 수 있으나, 하수 유입 지점의 높이는 부설되는 하수관거의 깊이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First, the anaerobic tank 20 receives raw wate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which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the influent raw water and whether or not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is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naerobic tank 20. In addition, although the inflow point of the sewage from the sewer pipe can be the upper part of the anaerobic tank 20, it is natural that the height of the sewage inflow point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sewer pipe installed.

상기 혐기조(20)는 상기 공유조(30)가 혐기 환경으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공유조(30)와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와 제 1반송수단(50)에 의해 연통되어 처리수 내에 포함되는 MLSS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anaerobic tank 20 is connected to the common tank 30 and the aeration, mix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and the first transfer means 50 as the common tank 30 is operated in the anaerobic environment, The MLSS included in the MLSS is circulated.

즉 상기 공유조(30)의 하부에 설치되는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의 작용에 의해 상기 혐기조(20)와 상기 공유조(30)가 하부에서 연통하도록 하며, 상기 혐기조(20)와 상기 공유조(3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반송수단(50)으로 제 1반송배관(51) 및 상기 제 1반송배관(5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1반송밸브(52)가 구성되어 상기 혐기조(20)와 상기 공유조(30)가 상부에서 연통하도록 한다. The anoxic tank 20 and the common tank 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bottom by the action of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mmon tank 30, The first conveying pipe 51 and the first conveying valve 5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nveying pipe 51 are constituted by the first conveying means 50 So that the anaerobic tank 20 and the common tank 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upper part.

이때, 상기 제 1반송배관(51)은 배출되는 일측의 내경(D1)이 유입되는 타측의 내경(D2)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공유조(30)의 처리수 반송 시 슬러지의 교반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transfer pipe 51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other side to which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one side to be discharged flows, so that the sludge is stirr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help.

이는, 베르누이 정리에 의한 것으로 일측 내경(D1)의 단면적이 타측 내경(D2)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상기 일측 내경(D1)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고 반송되는 반송액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된다. 이로써 유속이 빠른 반송액에 의해 상기 혐기조(20)로부터 공유조(30)로 이동되는 슬러지의 교반이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와 더불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cross sectional area of one inner diameter D1 is smaller than the other inner diameter D2 due to the Bernoulli theorem and the pressure of the one inner diameter D1 is lowered and the flow rate of the conveyed liquid to be conveyed becomes relatively faster . Thus, the agitation of the sludge, which is moved from the anaerobic tank 20 to the common tank 30,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by the carrier liquid having a high flow rate.

이렇게 상기 혐기조(20)에서는 상기 공유조(30)와 더불어 혐기 환경이 유지되어 유입 원수 내에 포함되는 유기물의 가수분해 및 제거, 유입수 및 반송수 내 질산염의 탈질(NO3 → N2)의 공정을 수행하게 되며 인 제거 미생물에 의한 인 방출을 유도하게 된다. In this manner, in the anaerobic tank 20, the anaerobic environment is maintained together with the common tank 30 to perform hydrolysis and removal of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fluent raw water, and denitrification (NO 3 → N 2) of nitrate in the influent and return water Leading to phosphorus release by phosphorus removal microorganisms.

이러한 혐기 환경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의 작용으로 상기 혐기조(20)에서 상기 공유조(30)로 액이송을 함과 동시에 상기 혐기조(20) 및 공유조(30)는 양조 간의 원활한 슬러지 교반을 위해 교반작용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교반작용에 기해 유기물과 미생물의 접촉 기회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In this anaerobic environ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is transferred from the anaerobic tank 20 to the common tank 30 by the action of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and the liquid is transferred to the anaerobic tank 20 and the shared tank 30 ) Is used for stirring the sludge agitatingly for the sake of brewing, and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chance of contact between organic matter and microorganisms due to the stirring action.

한편, 막분리조(40)는 상기 공유조(30)의 일측면과 접하고 상기 공유조(30)가 호기 환경으로 운전됨에 따라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 및 제 2반송수단(60)에 의해 상기 공유조(30)의 처리수 내에 포함되는 MLSS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 및 제 2반송수단(60)으로서 제 2반송배관(61) 및 제 2반송밸브(62)에 의한 양 조간에 연통은 상기에서 언급한 혐기조(20) 및 공유조(30) 간의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 및 제 1반송수단(50)에 의한 연통과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common tank 30 and is connected to the aeration, mixing and liquid transfer unit 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60 The circulation of the MLSS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of the sharing tank 30 is perform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vessels by the second conveying pipe 61 and the second conveying valve 62 as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conveying device 10 and the second conveying means 60 is performed by the above-mentioned anaerobic tank 20, Liquid transfer device 10 and the first tank 30 between the aeration / liquid transfer device 10 and the first transfer means 50,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막분리조(40)의 기능은 상기 공유조(30)의 호기 환경에 따라 공유조(30)로부터 처리 및 순환되는 처리수를 수용하여 상기 공유조(30)와 함께 호기 공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수 내에 포함된 고형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공유조(30) 및 막분리조(40)의 호기 공정에서는 전 단계인 혐기 공정에서 방출된 인이 인 제거 미생물에 흡수되고 최종 제거는 슬러지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The func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40 is to receive the treated water to be treated and circulated from the sharing tank 30 according to the breath environment of the sharing tank 30 and to perform the breathing process together with the sharing tank 30 The solid material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is removed. At this time, in the exhalation process of the common tank 30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the phosphorus released in the anaerobic process in the previous stage is absorbed by the phosphorus removal microorganisms, and the final remov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sludg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막분리조(40)와 상기 공유조(30)의 순환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을 포함한 잉여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수단(70)을 구비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udge discharging means 70 for discharging surplus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generated in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and the sharing tank 30.

구체적으로,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70)은 슬러지 배출관(7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혐기조로(20)로 유입되는 원수에 미생물의 부하량이 낮은 경우, 미생물을 포함한 잉여 슬러지의 일부를 상기 혐기조(20)로 유입시켜 처리할 수 있는 슬러지 반송관(72)을 더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sludge discharging means 70 includes a sludge discharge pipe 71. When the load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anaerobic tank 20 is low, a part of excess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is discharged to the anaerobic tank 20 20 to the sludge return pipe 72 to be treated.

상기 슬러지 배출관(71)은 상기 공유조(30) 하부와 연통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슬러지 배출펌프에 의해 작동이 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관(71)과 연결되며 공유조(30)의 잉여 슬러지를 흡입하여 상기 슬러지 배출관(71)을 통해 배출시킨다. The sludge discharge pipe 7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mon tank 30 to be opened and closed. The sludge discharge pipe 71 is connected to the sludge discharge pipe 71, 30) and discharges the excess sludge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71).

또한, 상기 슬러지 반송관(72)은 상기 혐기조(20) 하부 슬러지 배출관(71)과 연통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관(71)을 통해 배출되는 미생물을 포함한 잉여 슬러지의 일부를 다시 혐기조(2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혐기조(20)에서 부족한 미생물의 부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sludge return pipe 72 is connected to the lower sludge discharge pipe 71 of the anaerobic tank 2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part of the surplus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discharged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71 is re- 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to be loaded in the anaerobic tank 20.

다시, 상기 막분리조(40)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막분리조(40)는 고액분리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 중공사막모듈(10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막분리조(40)는 상기 중공사막모듈(100)로부터 처리되는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는 방류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performs solid-liquid separation,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is provided. The membrane separator (40) includes a discharge pipe (150) for discharging treated water from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막분리조(40)는 상기 중공사막모듈(10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가 구성되는 바,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에 의해 에어가 용존된 와류가 상기 중공사막모듈(100)의 하부에서부터 비산이 되도록 한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분리조(40)에서는 별도로 산기관(160)이 구성되도록 하여 막힘현상을 제어토록 할 수 있다. 7, in order to prevent clogg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is connected to the aeration / The vortex in which the air is dissolved by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is scatter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air diffuser (40) can separately constitute the air diffuser (160) to control clogging.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조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가 공유조(30)에 구성되는 바, 상기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에 의해 에어가 용존된 와류가 상기 공유조(30)의 하부에서부터 비산이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ation, stirring and liquid transfer device 10 is configured in the shared bath 30 to supply the air necessary for the bath, and the aeration, So that the vortex in which the air is dissolved is scatter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haring tank 30.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동운전제어반(80)을 구성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운전조건을 자동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토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혐기조(20), 상기 공유조(30) 및 상기 막분리조(40)를 모니터링 하고 운전을 자동적으로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operation control panel 80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onitor and control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anaerobic tank 20, the common tank 30,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and automatically controls operation.

예로 상기 자동운전제어반(80)은 막분리조(40)에서 상기 중공사막모듈(100)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압력계와 연동하여 도 7에서는 폭기.교반.액이송 장치(10)의 에어량의 조절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8에서는 산기관(160)의 에어량의 조절 등을 수행토록 하여 원활한 운전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7, the automatic operation control panel 80 is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40 in cooperation with the pressure gauge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0, The control of the amount of air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In FIG. 8, the air amount of the air diffuser 160 is adjusted to perform smooth operation automatically.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중공사막모듈10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laims (9)

상,하가 개구되며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바가 장착된 하부틀;
상기 고정바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며 장착되고 상단이 개구된 복수의 U자형 중공사막;
상기 U자형 중공사막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헤더; 및
상기 고정헤더 상부에 장착되며 U자형 중공사막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배출구가 형성된 집수헤더;를 포함하되,
상기 집수헤더는 내부에 중앙에서 상기 처리수배출구와 연통하도록 원뿔형의 유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헤더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모듈.
A lower frame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bars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moun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ixed bar and having open tops;
A fixed header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And
And a water collecting header mounted on the fixed header and having a treated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header has a conical guide space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process water outlet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slides up and down in the fixed hea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중공사막은 다공을 형성하는 고분자수지에 셀룰로스아세테이트가 전체중량 대비 0.5 내지 4중량부, 망간산화물이 전체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부, 카테킨이 전체중량 대비 1 내지 3중량부가 배합된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is formed by mixing 0.5 to 4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acetate, 1 to 5 parts by weight of manganese oxide, and 1 to 3 parts by weight of catechi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resin forming the porous structure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fabricated from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헤더 외측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U자형 중공사막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의 포집구가 구성되어 U자형 중공사막 상단부에 버블이 포집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ubble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bubbles at the upper end of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has a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헤더는 상,하단에 상,하단플랜지가 형성되며 상,하단플랜지 사이에는 슬라이드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헤더는 하단이 개구되며 상기 유도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슬라이드기둥부 외주연을 감싸는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부보다 직경이 작아지는 걸림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집수헤더의 상,하 연동시 상기 걸림테두리가 상기 상,하단플랜지에 각각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header includes upper and lower flanges at upper and lower ends, a slide post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he water collecting header includes a slide portion having a lower end opened and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space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ide column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slide portion is formed with an engagement protrus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lide portion, And the hooking edge is hooked 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respectivel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플랜지와 상기 걸림테두리에는 상호 대향하는 톱니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And wherein tee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re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upper flange and the hooking ri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플랜지에는 복수의 스프링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lurality of springs are mounted on the upper flange.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수용하고 혐기 환경이 유지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와 인접하며 혐기와 호기 환경을 반복 조성하는 공유조와;
상기 공유조와 인접하며 유입수의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중공사막모듈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처리수를 방류시키는 막분리조; 및
상기 혐기조, 상기 공유조 및 상기 막분리조를 모니터링 하고 운전을 제어하는 자동운전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분리 생물반응장치.
An anaerobic tank for receiv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ly introduced raw water and maintaining the anaerobic environment;
A shared tank which is adjacent to the anaerobic tank and which repeatedly forms anaerobic and aerobic environments;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hared bath to remove solid matter of the influent water,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And an automatic operation control panel for monitoring the anaerobic tank, the common tank,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조의 처리수를 상기 혐기조로 반송시키기 위한 제 1반송수단과, 상기 막분리조의 처리수를 상기 공유조로 반송시키기 위한 제 2반송수단이 포함되되,
상기 제 1반송수단은,
상기 혐기조와 공유조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양 조가 개폐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제 1반송배관, 상기 제1반송배관과 연결되는 제1반송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 2반송수단은,
상기 공유조와 막분리조 상부 측면에 설치되며 양 조가 개폐 가능하도록 연통되는 제 2반송배관, 상기 제 2반송배관과 연결되는 제 2반송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분리 생물반응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transpor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treated water of the sharing tank to the anaerobic tank and a second transpor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treated water of the membrane tank to the sharing tank,
Wherein the first conveying means comprises:
A first conveying pip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ank and connected to the anaerobic tank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 first conveying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pipe,
The second conveying means
A second transfer pip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communicating with both the first transfer pipe and the second transfer pip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a second transfer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pipe.
KR1020150061791A 2015-04-30 2015-04-3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1550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91A KR101550216B1 (en) 2015-04-30 2015-04-3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91A KR101550216B1 (en) 2015-04-30 2015-04-3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216B1 true KR101550216B1 (en) 2015-09-04

Family

ID=5424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791A KR101550216B1 (en) 2015-04-30 2015-04-3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21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978A (en) * 2015-09-24 2017-04-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Membrane module having a good fouling resistance
KR101918934B1 (en) 2018-07-09 2019-02-08 재단법인 한국환경산업연구원 Stainless Steel Filter Module for Contamination
KR20220009138A (en) * 2020-07-15 2022-01-24 유재송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d Filter Apparatus Using The Filter
CN117401818A (en) * 2023-12-13 2024-01-16 苏州苏科环保科技有限公司 Membrane separation filtration system for domestic sewage trea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36B1 (en) 2011-06-21 2012-01-04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Sequencing batch reactor apparatus using aeration-mixing-liq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using thereit
JP2015006653A (en) * 2013-05-30 2015-01-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Filtration module, and filt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36B1 (en) 2011-06-21 2012-01-04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Sequencing batch reactor apparatus using aeration-mixing-liq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using thereit
JP2015006653A (en) * 2013-05-30 2015-01-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Filtration module, and filtration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978A (en) * 2015-09-24 2017-04-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Membrane module having a good fouling resistance
KR101726517B1 (en) * 2015-09-24 2017-04-1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Membrane module having a good fouling resistance
KR101918934B1 (en) 2018-07-09 2019-02-08 재단법인 한국환경산업연구원 Stainless Steel Filter Module for Contamination
KR20220009138A (en) * 2020-07-15 2022-01-24 유재송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d Filter Apparatus Using The Filter
KR102391625B1 (en) * 2020-07-15 2022-04-27 유재송 Filter Apparatus Using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CN117401818A (en) * 2023-12-13 2024-01-16 苏州苏科环保科技有限公司 Membrane separation filtration system for domestic sewage treatment
CN117401818B (en) * 2023-12-13 2024-03-19 苏州苏科环保科技有限公司 Membrane separation filtration system for domestic sewage trea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3413B2 (en) Aerated anoxic membrane bioreactor
US7722769B2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JP5665307B2 (en) Organic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organic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US7481933B2 (en) Proces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membrane filter activated sludge system
US7510655B2 (en) Proces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membrane filter activated sludge system
US20190389754A1 (en) Module, 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KR101550216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 reacto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H07155758A (en) Waste water treating device
CN110431114A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JP5001923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JP5049929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JP5636862B2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CN108996663B (en) Sewage treatment device for dynamically adjusting sewage treatment strategy
KR101550219B1 (en) Plate membrane module and MBR(membrane bio reactor) using the same
JPH09225487A (en) Biological treating device
KR20110059340A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coupled fluidized-bed sequencing batch reactor
CN205099464U (en) Sewage treatment device based on MBR membrane is used
KR20200115384A (en) Vertical structure and an upflow MBR system comprising mechanical cleaning balls for wastewater treatment
JP2004305926A (en) Immersion membrane separation type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CN217556013U (en) Sewage treatment device
KR102477698B1 (e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high efficiency
JP2010172843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10034484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using membrane of immersed type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ced type
CN215365072U (en) Rubbish leachate immersion type membrane method pretreatment equipment
CN217854881U (en) Sewage treatment suspended filler intercep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