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335B1 - Mobile passenger boarding bridge - Google Patents
Mobile passenger boarding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335B1 KR101549335B1 KR1020140042745A KR20140042745A KR101549335B1 KR 101549335 B1 KR101549335 B1 KR 101549335B1 KR 1020140042745 A KR1020140042745 A KR 1020140042745A KR 20140042745 A KR20140042745 A KR 20140042745A KR 101549335 B1 KR101549335 B1 KR 101549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nnel
- rotation angle
- cabin
- boarding bridg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탑승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이동식 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oarding bridge in which a tunnel is integrally formed and a step is not generated.
이동식 탑승교는 공항승객이 항공기에 안전한 탑승 및 하기를 위하여 공항 여객터미널의 탑승 게이트와 항공기 사이를 연결해주는 통로로서, 항공기의 계류 여부 및 위치에 따라 안전하게 항공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로 이루어지는 2단 터널 또는 3단 터널 구조로 되어있다. A portable boarding school is a passage that connects the boarding gate of an airport passenger terminal with an aircraft for safe passengers' boarding and carrying on the aircraft. It is an internal tunnel and an external tunnel Stage tunnel or three-stage tunnel structure.
이러한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의 바닥면과 외부터널의 바닥면의 높이가 달라,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에 약 20 cm 내외의 큰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에 발생하는 바닥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장치와 관련하여, 일본 등록특허 제4700643호 보딩 브릿지가 있다. 이는, 외부터널의 이동에 따라 스프로켓을 회전시켜 가변통로를 감아 꺼냄으로써, 가변통로에 의해 외부터널과 내부터널 사이의 단차를 없애는 구성이다. 연결발판의 경사도가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승객의 이동에 불편함을 초래하며, 급격한 경사도로 인해 보행자가 전도하여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객은 자가 이동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unnel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unne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large step difference of about 20 cm occurs between the inner tunnel and the outer tunnel. With respect to a conventional device for reducing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tunnel and the outer tunnel, there is a boarding bridge of Japanese Patent No. 4700643. This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procket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uter tunnel to wind off the variable passage to remove the step between the outer tunnel and the inner tunnel by the variable passage. The inclination of the connection footrest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the passenger to move, and the abrupt inclination leads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the breakage due to the walking of the pedestrian, and the user using the wheelchair has difficulty in self-moving.
바닥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장치인 보딩 브릿지는 가변통로를 구성하는 분할판, 분할판 지지부품 및 가변통로의 이동을 위한 체인, 스프로켓 등 구성 부품의 수가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가져, 고장 발생률도 증가하며, 부품의 고장시 전체 구조물을 분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The boarding bridge, which is a conventional device for reducing the level difference of the floor surface, has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and a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a partition plate constituting a variable passage, a partition plate supporting part, a chain for moving a variable passage and a sprocket, And the entire structure must be disassembled in the event of a component failure, so maintenance is not easy.
또한, 2단 터널 또는 3단 터널 구조로 되어 가변통로가 분할판 구조로 되어 있어, 높은 강성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기 힘들고, 이로 인해 한번에 많은 승객이 이용하기 곤란하고, 이동형 탑승교의 내부터널과 외부터널로 구성되어 있어 상호 이동됨(telescope)에 따라 내부터널과 외부터널에 간극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외부공기 유입이 용이하여 터널내부 냉난방의 효율이 극히 저하된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passageway has a two-stage tunnel or a three-stage tunnel structure and the variable passageway has a partition plate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passenger with a structure having high rigidity, The tunnel is composed of a tunnel and a telescope. As a result,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tunnel and the outer tunnel.
따라서, 단차를 줄이며, 구성이 복잡하지 않은 이동식 터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bile tunnels with less steps and less complicated structures.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 없이 일체형으로 된 이동형 탑승교와 한쪽 끝은 여객터미널에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점을 중심으로 원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각 구현부에 바퀴를 구비하여 2개의 일체형 탑승교 터널이 항공기의 크기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항공기와 연결이 수월한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passenger bridge integrated with an inner tunnel and an outer tunnel and a passenger terminal fixed at one end and having a wheel at a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part for circular motion around the fixed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bile boarding pass which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 aircraft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oarding tunnel can move according to the size of an aircraf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차 및 빗물받이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 승객의 이동시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는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boarding pass which has a tunnel formed integrally and is free from steps and rain gutters, thereby relieving inconveniences when a passenger mov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기와의 통로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져, 터널내부의 냉난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boarding pass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ssage with outside air does not occur and can greatly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inside the tunnel.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는 여객터미널 일측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한 제1회전각 구현부, 제1회전각 구현부에 연결된 제1터널, 제1터널의 타측에 위치하며,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제2터널, 제1터널 및 제2터널을 연결해주며, 제1이동부가 구비되어, 제1회전각 구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각 구현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vable boarding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ssenger terminal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ing section, which is rotatable, the first tunnel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ing section, And a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ing unit connecting the second tunnel, the first tunnel, and the second tunnel in which the step difference does not occur, and having the first moving unit and rotating around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제1이동부와 제2회전각 구현부의 사이에, 기둥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제1이동부는 바퀴가 구비된 것일 수 있으며, 제2회전각 구현부를 중심으로 제2터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터널에 제2이동부 및 상하 구동 가능한 구동형 기둥을 구비될 수 도 있다.A column may be mounted between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ing part. The first mov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In order to move the second tunnel around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ing part, 2 tunnel may have a second moving part and a drive-type column that can be driven up and down.
제2터널의 일측은 제2회전각 구현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캐빈에 장착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1회전각 구현부에 의하여 제1터널이 회전한 각도와 제2회전각 구현부에 의하여 제2터널이 회전한 각도 및 제1터널, 제2터널의 길이에 따라 항공기에 접현 또는 이현되는 캐빈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tunnel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and the other side may be mounted on the cabin. Here,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tunnel by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tunnel by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and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tunnels, The position of the hovering cabin can be determined.
또한, 제2터널의 제2이동부에 바퀴를 구비하여, 제 1 터널 및 제 2 터널이 동시에 방향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part of the second tunnel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so that the first tunnel and the second tunnel can be simultaneously changed in direction.
이동식 탑승교의 캐빈의 위치는 수식= + , =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는 제1회전각 구현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캐빈의 좌표, 는 제1터널의 길이와 제1회전각 구현부의 반지름 및 제2회전각 구현부의 반지름의 합, 는 제2터널의 길이와 제2회전각 구현부의 반지름 및 캐빈의 반지름의 합, 는 x축을 중심으로 제1터널이 회전한 각도, 는 제2회전각 구현부를 중심으로 제2터널이 회전한 각도일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cabin of the portable boarding school is = + , = + . ( , ) Is a coordinate of the cabi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rotational angle implementing portion,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tunnel, the radius of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and the radius of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second tunnel, the radius of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and the radius of the cabin, Is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tunnel is rotated about the x axis, May be an angle at which the second tunnel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ing part.
이동형 탑승교와 한쪽 끝은 여객터미널에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점을 중심으로 원운동할 수 있도록 로툰다 기둥에 제어가 가능한 바퀴를 구비하여 2개의 일체형 탑승교 터널이 소형 및 대형 항공기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항공기와 연결이 수월하며, 터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차 및 빗물받이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 승객의 이동시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
It is equipped with a wheel that can be controlled on the rotunda column so that it can be moved circularly around the fixed point, and the two integral type traffic tunnel can be moved according to small and large aircraft The tunnel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airplane and the tunnel is formed as a unitary structure. Thus, the step and the rain gutters are not provided, so that the inconvenience when the passenger is moved can be alleviated.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 없이 일체형으로 된 이동형 탑승교와 한쪽 끝은 여객터미널에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점을 중심으로 원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각 구현부에 바퀴를 구비하여 2개의 탑승교 터널이 소형 및 대형 항공기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항공기와 연결이 수월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passenger bridge integrated with an inner tunnel and an outer tunnel, one end fixed to a passenger terminal, and a wheel provided at a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section for circular motion around the fixed point, The bridge is easy to connect with aircraft by having structure that can move according to small and large aircraft.
또한, 터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차 및 빗물받이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 승객의 이동시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Further, since the tunnels are integrally forme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tep and a rain gutters, which can alleviate the inconvenience when the passenger moves.
또한, 단순한 구조와 외기와의 통로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져, 터널내부의 냉난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simple structure and a structure in which a passage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outside air is not generated, and the cooling / heating efficiency inside the tunnel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이동식 탑승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이동식 탑승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이동식 탑승교에 대형 항공기가 접현되어 있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동식 탑승교에 소형 항공기가 접현되어 있는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boarding school.
2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boarding platform.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large-sized airplane in a portable boarding school.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mall-sized aircraft in a portable boarding school.
도 1은 이동식 탑승교의 정면도이며, 도 2는 이동식 탑승교의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boarding vehicle,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mobile boarding platform. Referring to FIG.
본 이동식 탑승교는 여객터미널(100) 측에 연결된 제1회전각 구현부(20), 제1터널(110) 및 제2터널(130), 두 터널(110, 130) 사이를 연결하는 제2회전각 구현부(121), 제2회전각 구현부(121)를 지지하는 이동형 기둥(35) 및 이동형 기둥(35)에 연결되는 제1이동부(36)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type cruise bridge comprises a first rotation
여객터미널(100) 측에 구비된 제1회전각 구현부(20)는 고정형 기둥(34)에 지지되며, 두 터널을 연결하는 제2회전각 구현부(121)의 하단에는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이동부(36)가 구비되고, 제1이동부의 상단에는 이동형 기둥(35)이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제1회전각 구현부를 중심으로 제2회전각 구현부가 회전할 수 있으며 제2회전각 구현부에 연결된 제2터널부(200)는 같이 이동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1회전각 구현부, 제2회전각 구현부는 로툰다일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제2터널(130)의 좌측에는 제2회전각 구현부(121)와 연결되고 우측에는 캐빈(150) 과 연결될 수 있다. 제2터널에는 상하로 승강가능한 구동형 기둥(160)이 부착되고, 구동형 기둥(160)은 바퀴가 장착된 제2이동부(37)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여기에서, 제2터널은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원운동의 회전이동을 할 수 있어 제2터널의 측면에 구비된 캐빈(150)의 위치 및 높이에 항공기 출입문에 접현 또는 이현이 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는, 항공기에 접 이현할 수 있도록 제2터널(130)을 이동시킴으로써 승객을 터미널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Here, the second tunnel can be vertically adjusted and can be rotated and moved in a circular motion, so that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제1터널(110)은 여객터미널 측 제1회전각 구현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터널(130)은 다시 두 터널(110, 130)을 연결하는 제2회전각 구현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회전각 구현부에 연결된 캐빈이 장착된 제2터널이 회전함으로써, 항공기와 캐빈은 연결될 수 있다.
The
이하 이동식 탑승교에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portable boarding pa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객터미널(100)은 제1터널(110)을 연결해주는 제1회전각 구현부(20)가 구비되며, 제1터널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터널(130)이 위치하여, 제1터널과 제2터널의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제2회전각 구현부(121)가 장착될 수 있다. 제2회전각 구현부는 제1터널 및 제2터널의 동일한 높이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제1회전각 구현부(20) 및 제2회전각 구현부(121)는 힌지식의 구성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가능한 제1회전각 구현부(20)의 하단부에는 고정된 고정형 기둥(34)이 장착될 수 있다. 고정된 기둥과 제1회전각 구현부(20)의 접합면은 고정면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면의 상단부측에는 회동가능한 제1회전각 구현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제2회전각 구현부(121)의 하단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바퀴로 인해 이동가능한 이동형 기둥(35)이 장착될 수 있다.A wheel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또한, 제2회전각 구현부(121)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캐빈과 연결된 제2터널(130)은 바퀴가 구비된 상하 승강가능한 구동형 기둥(160)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2터널(130) 및 제2회전각 구현부(121)의 하단부에는 바퀴가 구비됨으로써, 제1터널 및 제2터널은 동시에 방향변경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터널(110)과 캐빈(150)이 연결돤 제2터널(130)은 자유자재로 방향변경이 가능함으로써, 항공기와 연결이 쉽게될 수 있다.The first and
이와 같이, 제1터널(110)과 제2터널(130)은 중첩되는 구조가 아닌, 단차가 없이 동일한 높이에, 제2회전각 구현부(121)의 결합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승객과 수하물의 이동이 편리하고 승객이 이동할 시 중첩부분의 경사로에 발이 걸려 넘어질 위험을 없앨 수 있어, 이용객의 다칠 위험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도 3은 이동식 탑승교에 대형 항공기(1)가 접현되어 있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동식 탑승교에 소형 항공기(2)가 접현되어 있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plan view in which the large-size aircraft 1 is folded in the portable boarding school. 4 is a plan view in which the
이동식 탑승교는 정해진 길이의 탑승교 터널을 이용함에 따라 두 터널의 회전 각도에 따라 탑승교 캐빈(150)의 위치가 결정된다. 본 이동식 탑승교 캐빈(150)의 위치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The position of the
= + , = + ,
= + 이 된다. = + .
여기서, (, )는 제1회전각 구현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본 이동식 탑승교 캐빈(150)의 좌표, 는 제1터널(110)의 길이와 제1회전각 구현부(20)의 반지름 및 제2회전각 구현부(121)의 반지름의 합, 는 제2터널(130)의 길이와 제2회전각 구현부(121)의 반지름 및 캐빈(150)의 반지름의 합, 는 도 3에서 도시한 x축을 중심으로 제1터널(110)이 회전한 각도, 는 제2회전각 구현부(121)를 중심으로 제2터널(130)이 회전한 각도를 나타낸다.here, ( , Is a coordinate of the
탑승교가 항공기에 접현시 기준점이 되는 본 이동식 탑승교 캐빈의 위치는 와 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제1회전각 구현부에 의해 제1터널이 회전한 각도 및 제2회전각 구현부에 의하여 제2터널이 회전한 각도에 의하여 캐빈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The location of this mobile boarding cabin, which is the reference point for connecting to the boarding school aircraft, Wow .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abin can be determined by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tunnel by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tunnel by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제1회전각 구현부 34: 고정형기둥
35: 이동형기둥 36: 제1이동부
37: 제2이동부 100: 여객터미널
110: 제1터널 121: 제2회전각 구현부
130: 제2터널 150: 캐빈
160: 구동형기둥 200: 이동식 탑승교20: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ing section 34: fixed column
35: movable column 36: first moving part
37: second moving part 100: passenger terminal
110: first tunnel 121: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section
130: second tunnel 150: cabin
160: Driving column 200: Mobile boarding school
Claims (9)
상기 제1회전각 구현부에 연결된 제1터널;
상기 제1터널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터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제2터널; 및
상기 제1터널 및 제2터널을 연결해주며, 제1이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각 구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각 구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각 구현부에 의하여 상기 제1터널의 회전한 각도 및 상기 제2회전각 구현부에 의하여 상기 제2터널의 회전한 각도에 따라 항공기에 접현 또는 이현되는 캐빈의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제2터널의 일측은 상기 제2회전각 구현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탑승교.A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ssenger terminal and capable of rotating;
A first tunnel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angle implementer;
A second tunnel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unnel and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first tunnel and does not generate a step; And
A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tunnel and the second tunnel and having a first movement unit and rotating about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unit;
Wherein the position of the cabin, which is to be brought into or out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tunnel by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er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tunnel by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er, Wherein one side of the second tunnel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part and the other side is mounted on the cabin.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회전각 구현부의 사이에, 기둥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탑승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illar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ing part.
상기 제1이동부는 바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탑승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oving unit is provided with a wheel.
상기 제2회전각 구현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터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터널에 제2이동부 및 상하 구동 가능한 구동형 기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탑승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tunnel is provided with a second moving part and a vertically drivable drive pillar for moving the second tunnel around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ing part.
상기 제1터널 및 상기 제2터널의 길이에 따라 항공기에 접현 또는 이현되는 상기 캐빈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탑승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of the cabin, which is to be coupled to or reproduced from the aircraf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tunnel and the second tunnel.
상기 제2이동부는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터널 및 상기 제 2 터널이 동시에 방향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탑승교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ving part has a wheel so that the first tunnel and the second tunnel can be changed in direction at the same time,
다음의 수식을 만족하는 이동식 탑승교.
수식= + ,
= + 이 된다.
(, )는 상기 제1회전각 구현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캐빈의 좌표, 는 상기 제1터널의 길이와 상기 제1회전각 구현부의 반지름 및 상기 제2회전각 구현부의 반지름의 합, 는 상기 제2터널의 길이와 상기 제2회전각 구현부의 반지름 및 상기 캐빈의 반지름의 합, 는 x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터널이 회전한 각도, 는 상기 제2회전각 구현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터널이 회전한 각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boarding school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Equation = + ,
= + .
( , Is a coordinate of the cabin on the basis of a center point of the first rotational angle implementation unit,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tunnel, the radius of the first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and the radius of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second tunnel, the radius of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ation and the radius of the cabin, An angle at which the first tunnel is rotated about the x axis, Is an angle at which the second tunnel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ngle implement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2745A KR101549335B1 (en) | 2014-04-10 | 2014-04-10 | Mobile passenger boarding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2745A KR101549335B1 (en) | 2014-04-10 | 2014-04-10 | Mobile passenger boarding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9335B1 true KR101549335B1 (en) | 2015-09-01 |
Family
ID=5424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2745A KR101549335B1 (en) | 2014-04-10 | 2014-04-10 | Mobile passenger boarding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33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3461B1 (en) * | 2016-12-28 | 2018-05-31 | 한국공항공사 | Hydraulic low level passenger boarding bridg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21334B1 (en) * | 1998-08-11 | 2004-07-21 | Klaus Kubatzki | Air passenger bridge |
US6929217B2 (en) * | 1999-06-24 | 2005-08-16 | Gatelink Aircraft Boarding Systems, Inc. | Interstitial regional aircraft boarding pi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
KR101369328B1 (en) * | 2013-06-07 | 2014-03-06 | 에이지이(주) | Height adjustable rotunda type boarding bridge |
-
2014
- 2014-04-10 KR KR1020140042745A patent/KR1015493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21334B1 (en) * | 1998-08-11 | 2004-07-21 | Klaus Kubatzki | Air passenger bridge |
US6929217B2 (en) * | 1999-06-24 | 2005-08-16 | Gatelink Aircraft Boarding Systems, Inc. | Interstitial regional aircraft boarding pi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
KR101369328B1 (en) * | 2013-06-07 | 2014-03-06 | 에이지이(주) | Height adjustable rotunda type boarding bridg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3461B1 (en) * | 2016-12-28 | 2018-05-31 | 한국공항공사 | Hydraulic low level passenger boarding brid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40548B2 (en) | Multi-mode aerial vehicle | |
JP2020518515A (en) | Integrated ground-air transportation system | |
AU2008343110B2 (en) | Osculat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canopy | |
US20140061362A1 (en) | Vehicle with aerial and ground mobility | |
JPH09302628A (en) | Movable landing facility for small-sized aircraft | |
CN108528562B (en) | Robot climbing chassis device | |
KR20170061259A (en) | Multicopter with propelling roter | |
CN108859640B (en) | Air-ground dual-purpose aircraft | |
KR102485588B1 (en) | Vertiport system for UAM or drone autonomous take-off and landing | |
CN106218877A (en) | The dynamic many rotors plant protection unmanned plane during flying pose adjustment changeable device of oil | |
KR101549335B1 (en) | Mobile passenger boarding bridge | |
RU2633667C2 (en) | Transport system (versions) | |
ES2258587T3 (en) | PROCEDURE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AIRPLANE AS WELL AS MOBILE DEVICE FOR LOADING AN AIRPLANE | |
JP2019014402A (en) | Boarding bridge | |
CN111959742A (en) | Wheel and duct shared air-ground unmanned vehicle | |
JP2010280382A (en) | Rescue cradle of aircraft | |
JP4324605B2 (en) | Boarding bridge | |
EA201100937A1 (en) | CHAIRSHAKER AIRCRAFT | |
JP7353781B2 (en) | boarding bridge | |
JP2020196450A (en) | Boarding bridge adapter | |
CN112046221A (en) | Dual-purpose unmanned aerial vehicle in air and ground | |
BR202012018712U2 (en) |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ground boarding bridge | |
US20240083596A1 (en) | Aircraft boarding vehicle and methods of use | |
US20240336372A1 (en) | Aircraft boarding vehicle and methods of use | |
JP5538962B2 (en) | Boarding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