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09B1 -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watch - Google Patents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wa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109B1 KR101549109B1 KR1020150026464A KR20150026464A KR101549109B1 KR 101549109 B1 KR101549109 B1 KR 101549109B1 KR 1020150026464 A KR1020150026464 A KR 1020150026464A KR 20150026464 A KR20150026464 A KR 20150026464A KR 101549109 B1 KR101549109 B1 KR 1015491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se
- unit
- data
- measuring
- wa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532 heart rat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7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08000014617 hemorrhoid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32843 H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767 Hypophy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08 hemorrha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39 hem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5482 malai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95 paranasal sin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0 patholo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35 pituitary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38 somato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85 thyroid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371 tooth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하여 신체의 맥박이나 맥파를 측정하고, 측정된 맥박이나 맥파를 근거로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system using a SmartWatch that measures a pulse or a pulse wave of a body using a SmartWatch carried by a user and can check health based on the measured pulse or pulse wave.
일반적으로, 맥박의 진료는 한의학에서 사상 또는 팔상체질 분석에 이용되며 환자의 현재의 건강상태와 과거 병력에 관해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In general, the medical treatment of pulses is used in the analysis of somatosensory or paranasal sinuses in Oriental medicine and is used to diagnose the patient's current health status and past medical history.
또한, 산업화 사회의 피폐화된 환경 속에서 각종 사회생활에서 발생하게 되는 스트레스가 많아지면서 건강을 해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고 의료기관에 가지 않고도 손쉽게 자신의 초보적인 건강체크를 할 수 있게 하는 건강진단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In addition, many people are injuring their health due to the increasing stress caused by various social activities in an industrialized society.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health diagnostic device that allows an introductory health check to be carried out easily without increasing the interest in health and without going to a medical institution.
따라서, 건강진단기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직접 체크함과 동시에 수지침이나 안마기구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 자리를 직접 자극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health of the user through the health checkup device, and directly stimulate his / her hemorrhoids by using a syringe or a massage device.
그러나, 침술은 그 원리가 복잡하고 다양하여 개인들이 익히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되고 있어서 혈 자리를 정확하게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nciple of acupuncture is complicated and diverse,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individuals to lear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ind the hemisphere correctly.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특1998-052487호(1998.09.25.)가 게재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998-052487 (September 25, 1998) fil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하여 신체의 맥박이나 맥파를 측정하고, 측정된 맥박이나 맥파를 근거로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care system using a SmartWatch that can measure a pulse or pulse wave of a body using a SmartWatch carried by a user and check health based on the measured pulse or pulse wave .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스마트와치의 배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신체의 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집음하여 맥박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care system using a smart watch that can form a concave rear surface of a SmartWatch so as to collect vibrations generated from an organ of a body to confirm pul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시간 및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를 구비하는 스마트와치(10)에 있어서, 스마트와치(10)는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재(30)와,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맥박관리부재(40)를 포함하고, 맥박측정부재(30)는 맥박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모으는 맥박측정부(31)를 포함하고, 맥박측정부(31)는 스마트와치(10)의 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신체의 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각각 모으는 집음부(32)와, 집음부(32)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하면서 집음부(32)에서 모여지는 진동을 증폭시켜 맥박데이터를 확인하고 맥박관리부재(40)에 전송하는 센서부(33)와, 맥박측정부(31)의 집음부(32)에서 모여지는 소리를 증폭시켜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음파관리부재(400)에 전송하는 마이크(34)를 포함하고, 맥박측정부재(30)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음파관리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와치를 이용하여 신체의 맥박이나 맥파를 측정하고, 측정된 맥박이나 맥파를 근거로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easuring the pulse or pulse wave of the body using a watch carried by the user and checking the health based on the measured pulse or pulse wave.
또한, 스마트와치의 배면을 오목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신체의 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포집하여 정확하게 맥박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 watch is formed concavely,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ody of the body is captured and the pulse can be accurately confi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저면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맥박관리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파관리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맥파측정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맥파측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파관리부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치료관리부재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12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에 혈 자리가 표시된 손에 대한 신체이미지가 출력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에 혈 자리가 표시된 발에 대한 신체이미지가 출력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에 병명과 함께 그에 대응되는 혈 자리가 표시된 신체이미지가 출력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에 다른 병명과 함께 그에 대응되는 혈 자리가 표시된 신체이미지가 출력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에 신체이미지와 함께 진단표가 출력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거치대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스마트와치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lthcare system using a smart 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ide view of the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ulse management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und wave management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ulse wave measur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ulse wave measur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ulse wave managemen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eatment management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dy image is displayed on a hand displaying a hemisphere on a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dy image for a foo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dy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a name of a lesion and a blood spot corresponding thereto. FIG.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dy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a different name and a blood spot corresponding thereto;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agnosis image is output together with a body image on a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cra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watch is mounted on a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a healthcare system using the smart w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와치(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시간 및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를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본 발명의 스마트와치(10)는 스마트와치(10)에 구비되어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재(30)와,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맥박관리부재(40)를 포함한다. The
맥박측정부재(30)는 맥박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모으는 맥박측정부(31)와, 맥박측정부(31)의 주변에 위치되어 음향을 모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브맥박측정부(35)를 포함한다. The
맥박측정부(31)는 스마트와치(10)의 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신체의 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각각 모으는 집음부(32)와, 집음부(32)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하면서 집음부(32)에서 모여지는 진동을 증폭시켜 맥박데이터를 확인하고 맥박관리부재(40)에 전송하는 센서부(33)를 포함한다.The
한편, 서브맥박측정부(35)는 집음부(32)의 주변에 위치하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진동을 모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브집음부(36)와, 서브집음부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하면서 서브집음부(36)에서 모여지는 진동을 증폭시켜 맥박데이터를 확인하고 맥박관리부재(40)에 전송하는 서브센서부(37)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맥박측정부재(30)는 사용자가 스마트와치(10)의 배면을 신체에 밀착시키면 집음부(32) 및 서브집음부(36)에서 각각 집음되는 맥박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맥박측정부(31)의 집음부가 신체의 진동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0)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The
또한, 도 4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맥박측정부(31)는 집음부(32)를 밀폐하도록 집음부(32)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신체의 피부의 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판(38)을 더 포함한다. 4, the
진동판(38)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필름으로 구성되면서 집음부(32)의 테두리에 접착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판(38)은 신체의 피부의 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되므로 집음부(32)에 밀폐된 공기의 진동이 극대화될 수 있다. 즉, 집음부(32)에서 공기에 의한 진동이 극대화되므로 센서부(33)가 더욱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다. The
덧붙여, 맥박측정부(31)는 센서부(33)와 진동판(38)에 양단이 연결되어 진동판(38)의 진동을 센서부(33)에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39)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진동전달부재(39)는 진동을 전달하도록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핀은 진동판(38)의 떨림에 대응되도록 일부분이 지그재그로 절곡될 수 있어서 신축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은, 진동판(38) 및 진동전달부재(39)는 서브맥박측정부(35)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박관리부재(40)는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것으로,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수신받는 맥박데이터수신부(41)와, 기준맥박데이터와 기준맥박데이터에 해당하는 맥박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맥박진단정보관리부(42)와, 맥박데이터수신부(41)에서 수신되는 맥박데이터와 기준맥박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기준맥박데이터를 확인하는 맥박판단부(43)와, 맥박판단부(43)에서 확인된 일치되는 기준맥박데이터의 맥박진단정보를 디스플레이(20)로 출력하는 맥박진단정보출력부(44)를 포함한다. 여기서 맥박진단정보는 맥박데이터의 범위가 정상맥박데이터보다 높았을 때나 낮았을 때 각각에 해당하는 병명이나, 병세를 개선할 수 있는 행동요령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5 and 6, the
따라서,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가 맥박관리부재(40)에서 관리되면서 기준맥박데이터와 비교되어서 사용자는 측정된 자신의 맥박데이터에 해당하는 진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ulse data measured by the
또한, 맥박관리부재(40)는 맥박측정부(31)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와 서브맥박측정부(35)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비교하여 맥박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서브맥박측정부(35)의 맥박크기가 높으면 맥박측정부의 위치를 서브맥박측정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이동표시부(45)를 더 포함한다.The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에서 서브맥박측정부(35)의 맥박크기가 맥박측정부(31)의 맥박크기보다 높으면 맥박이 잡히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맥박측정부의 위치로 스마트와치(10)를 이동시키면 맥박측정부(31)에서 정확한 맥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ulse size of the
또한, 맥박관리부재(40)는 맥박측정부(31)에서 수신되는 맥박데이터를 사용자가 등록한 의료기관의 의료서버(200)로 전송하는 맥박데이터전송부(46)를 더 포함한다.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평상시에 이용하는 의료기관의 의료서버(200)로 전송된 맥박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으로부터 맥박데이터에 대응하는 의료서비스를 안내받을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provide the pulse data transmitted to the
한편, 도 4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맥박측정부재(30)는 맥박측정부(31)의 집음부(32)에서 모여지는 소리를 증폭시켜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음파관리부재(400)에 전송하는 마이크(34)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34)는 서브맥박측정부(35)에도 적용될 수 있다. 4, the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파관리부재(400)는 맥박측정부재(30)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것으로, 맥박측정부재(30)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를 수신받는 음파데이터수신부(410)와, 기준음파데이터와 기준음파데이터에 해당하는 음파진단정보를 관리하는 음파진단정보관리부(420)와, 음파데이터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음파데이터와 기준음파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기준음파데이터를 확인하는 음파판단부(430)와, 음파판단부(430)에서 확인된 일치되는 기준음파데이터의 음파진단정보를 디스플레이(20)로 출력하는 음파진단정보출력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파진단정보는 음파데이터의 범위가 정상음파데이터보다 높았을 때나 낮았을 때 각각에 해당하는 병명이나, 병세를 개선할 수 있는 행동요령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4 and 7, the sound
따라서, 맥박측정부재(30)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가 음파관리부재(400)에서 관리되면서 기준음파데이터와 비교되어서 사용자는 측정된 자신의 음파데이터에 해당하는 진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ound wave measured by the
또한, 음파관리부재(400)는 맥박측정부(31)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와 서브맥박측정부(35)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를 비교하여 음파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서브맥박측정부(35)의 음파크기가 높으면 맥박측정부의 위치를 서브맥박측정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음파이동표시부(450)를 더 포함한다.The sound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에서 서브맥박측정부(35)의 음파크기가 맥박측정부(31)의 음파크기보다 높으면 음파가 잡히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맥박측정부의 위치로 스마트와치(10)를 이동시키면 맥박측정부(31)에서 정확한 음파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size of the sound wave of the sub
또한, 맥박관리부재(40)는 맥박측정부(31)에서 수신되는 음파데이터를 사용자가 등록한 의료기관의 의료서버(200)로 전송하는 음파데이터전송부(460)를 더 포함한다.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평상시에 이용하는 의료기관의 의료서버(200)로 전송된 음파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으로부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의료서비스를 안내받을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provide the sound wave data transmitted to the
이와 같이, 음파관리부재(400)는 맥박관리부재(40)와 함께 작동되므로 맥팍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어도 나머지 하나가 작동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sound
이에 더하여,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와치(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착용밴드(11)와, 착용밴드(11)에 구비되어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12)와, 맥박측정센서(12)에 근접되면서 착용밴드(11)에 구비되어 맥박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13)와, 압력측정센서(13)에서 측정되는 압력과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을 비교하여, 측정된 압력이 기준압력과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하지 않음을 경고하고, 측정된 압력이 기준압력과 일치하면 맥박측정센서(12)에서 측정된 맥박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맥박출력부(14)를 더 포함한다. 1 to 5, the
착용밴드(11)는 스마트와치(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용밴드(11)를 이용하여 자신의 손목에 스마트와치(10)를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The
맥박측정센서(12) 및 압력측정센서(13)는 서로 근접된 상태로 착용밴드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밴드를 가압함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박측정센서(12) 및 압력측정센서(13)는 스마트와치(10)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The
맥박출력부(14)는 측정된 압력이 기준압력과 일치하지 않으면 스마트와치(10)에 구비된 알람이나 램프를 통해 소리나 빛으로 경고하거나,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안내문구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정된 압력이 기준압력과 일치하면 맥박측정센서(12)에서 측정된 맥박을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출력되는 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pulse output unit 14 may warn the user through sound or light through an alarm or lamp provided in the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와치(1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0)를 주시하면서 다른 손으로 착용밴드를 가압하여 맥박측정센서(12) 및 압력측정센서(13)가 손목에 밀착되게 하면서 자신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while the
한편,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와치(10)는 인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측정부재(50)와, 맥파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맥파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맥파관리부재(60)를 더 포함한다. 8 and 10, the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파측정부재(50)는 스마트와치(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4)에 구비되고 맥파관리부재(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51)과, 스마트와치(10)의 장착공간(14)에 이동가능하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장착된 상태로 일단이 스마트와치(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탐지핀(52)과, 탐지핀(52)의 일단에 구비되어 인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측정부(53)와, 맥파측정부(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탐지핀(52)의 타단에 구비되어 탐지핀(52)의 이동에 의해 소켓(51)에 접속되어, 맥파측정부(53)를 맥파관리부재(6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54)와, 스마트와치(10)의 장착공간(14)에 내장되어 탐지핀(5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탐지핀(52)의 접속단자(54)가 소켓(51)에 이격되게 하는 탄성체(55)를 포함한다. 8 (a), the pulse
소켓(51)은 도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 탐지핀(52)은 핀형태의 부도체로 구성되면서 일단에 설치된 맥파측정부(53)와 타단에 설치된 접속단자(5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심선이 내장된다. The
여기서, 탐지핀(52)은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스마트와치(10)의 장착공간(14)에는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탐지핀(52)은 스마트와치(10)의 장착공간(14)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 Here, the detecting
맥파측정부(53)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54)는 도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55)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ulse-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와치(10)를 파지한 상태로 스마트와치(10)에서 돌출된 탐지핀(52)의 맥파측정부(53)를 신체의 혈 자리에 접촉시키면서 가압한다. 이때, 신체에 접촉된 탐지핀(52)이 탄성체(55)를 가압하면서 스마트와치(10)의 장착공간(14)으로 삽입되면서 탐지핀(52)의 접속단자(54)가 소켓(51)에 접속된다. 8 (b), the pulse
이에 의해, 맥파측정부(53)에서 측정된 맥파를 맥파관리부재(60)로 제공할 수 있다. Thus, the pulse wave measured by the pulse
물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지핀(52)의 가압을 중지하면 탄성체(55)의 탄성에 의해 탐지핀(52)이 스마트와치(10)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접속단자(54)가 소켓(51)에 이격되어 맥파전송이 중단된다. 8 (a), when the pressing of the
여기서, 사용자는 탐지핀(52)을 이용하여 혈 자리를 가압하여서 자극할 수도 있다. Here, the user may press the blood spot using th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파측정부재(5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골무(56)와, 골무(56)의 일단에 구비되어 인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측정센서(57)와, 맥파측정센서(57)에서 측정되는 맥파를 맥파관리부재(60)에 전송하는 맥파전송부(58)를 포함한다. 9, the pulse
골무(56)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튜브형태로 형성되면서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맥파측정센서(57)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는 끝단이 뾰족하거나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뾰족한 끝단으로 피부를 가압하여서 자극할 수 있다. The pulse
맥파전송부(58)는 스마트와치(10)의 맥파관리부재(60)에 맥파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장치로 구성되거나 스마트와치(10)에 연결된 통신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잭이나 소켓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uls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맥파측정부재(50)는 사용자가 골무(56)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로 맥파를 측정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Thus, the pulse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파관리부재(60)는 맥파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맥파데이터를 수신받는 맥파데이터수신부(61)와, 기준맥파데이터와 기준맥파데이터에 해당하는 맥파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맥파진단정보관리부(62)와, 맥파데이터수신부(61)에서 수신된 맥파데이터를 기준맥파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기준맥파데이터를 확인하는 맥파판단부(63)와, 맥파판단부(63)에서 확인된 일치되는 기준맥파데이터의 맥파진단정보를 디스플레이(20)로 출력하는 맥파진단정보출력부(64)를 포함한다. 여기서 맥파진단정보는 맥파데이터의 범위가 정상맥파데이터보다 높았을 때나 낮았을 때 각각에 해당하는 병명이나, 병세를 개선할 수 있는 행동요령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8 and 10, the pulse
따라서, 맥파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맥파데이터가 맥파관리부재(60)에서 관리되면서 기준맥파데이터와 비교되어서 사용자는 측정된 자신의 맥파데이터에 해당하는 진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ulse wave data measured by the puls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파관리부재(60)는 맥파데이터수신부(61)에서 수신되는 맥박데이터를 사용자가 등록한 의료기관의 의료서버(200)로 전송하는 맥파데이터전송부(65)를 더 포함한다. 5, the pulse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맥파데이터도 전술한 바와 같은 맥박데이터와 같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200)로 전송되어서 관리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s pulse wave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한편, 본 발명의 맥파관리부재(60)는 혈 자리가 표시된 다양한 형태의 신체에 대한 부위별 신체이미지(1)들과 해당 신체이미지(1)들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명칭이 매칭되어서 저장되는 신체이미지저장부(66)와, 신체이미지저장부(66)에 저장된 신체이미지(1)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명칭을 입력받는 신체이미지명칭입력부(67)와, 신체이미지명칭입력부(67)에서 입력된 신체이미지명칭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1)를 신체이미지저장부(66)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20)로 출력시키는 신체이미지출력부(68)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ulse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이미지저장부(66)에 저장되는 신체이미지(1)는 손모양이나 발모양 등을 이미지화하면서 혈 자리가 점이나 폐곡선의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신체이미지명칭입력부(67)를 통해 손이나 발을 입력하면 신체이미지출력부(68)에 의해 출력되는 신체이미지(1)를 확인하여서 자신의 손이나 발에 대한 혈 자리를 확인할 수 있다. 10 and 12, the
도 12에 도시된 신체이미지(1)가 손에 대한 신체이미지인 경우에 ①심혈, ②대장, ③신혈, 명문, 견점, 귀, 목, 치통점, 혈행활성, 안점, 불임, 위 비 대장구, 수심, 생식부위, 대한점, 감모점, 어제, 소지구, 건리삼침구, 위장점, 방광부위, 태연, 대릉, 신문 등의 혈 자리가 순서를 표시하는 숫자나 기호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신체이미지(1)가 발에 대한 신체이미지인 경우에 ①비강, ②뇌하수체 ③눈, 갑상선, 어깨, 폐, 명치 간, 부시선, 신장, 소장, 무릅, 좌골신경계 등의 혈 자리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따라서, 사용자는 신체이미지명칭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신체이미지(1)가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손모양이나 발모양에 대한 신체이미지(1)에 혈 자리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혈 자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자신의 손이나 발에서 혈 자리를 찾아서 탐지핀(52)으로 자극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the name of the body image, the corresponding
더욱이, 사용자가 두통에 시달리거나 급체한 경우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신체이미지명칭입력부(67)를 통해 두통이나 급체 등의 병명에 대한 명칭을 입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두통이나 급체에 해당하는 혈 자리만 표시된 신체이미지(1)가 출력된다. 즉, 사용자는 신체이미지(1)에 표시된 혈 자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해당하는 혈 자리를 직접 자극하여 두통이나 급체를 스스로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suffering from a headache or sudden body disorder, the user can input a name of a disease name such as a headache or a sudden body through the body image
도 10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맥파관리부재(60)는 신체이미지(1)에 표시된 혈 자리들마다 번호를 표시하는 번호표시부(69)와, 번호표시부(69)에 의해 표시되는 번호들과 동일한 숫자가 표시되고, 각 숫자에 대응되는 맥파데이터 및 정상맥파데이터가 표시되는 진단표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70)를 더 포함한다. 10 and 16, the pulse
번호표시부(69)에 의해 진단표의 상부열에는 혈 자리의 숫자 ①, 숫자 ②, 숫자 ③ 등에 대응되는 1, 2, 3 등의 숫자가 순서대로 칸칸이 표시된다. 그리고, 데이터출력부(70)에 의해 진단표의 하부열에 번호에 대응되는 탐지데이터에 대한 수치가 칸칸이 표시된다. 또한, 그 다음 하부열에 탐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에 대한 수치가 칸칸이 표시된다. In the upper column of the diagnosis table by the
따라서, 사용자는 신체이미지(1)의 숫자 ①을 확인하여서 탐지핀(52)을 이용하여 확인된 숫자 ①에 대응되는 혈 자리에 접촉시킨다. 이때, 탐지핀(52)의 맥파측정부(53)가 혈 자리의 맥파를 측정하여서 맥파관리부재(60)로 전송하면, 전송된 맥파값에 해당하는 수치가 진단표의 중간에서 첫 번째 칸에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맥파값 '10'이 그 하부에 표시된 정상데이터의 수치 '10'과 비교하여 볼 때 동일하므로 정상맥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숫자 ①의 혈 자리에 해당하는 내장기관이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onfirms the
그리고, 사용자는 신체이미지(1)의 숫자 ②를 확인하여서 탐지핀(52)을 이용하여 확인된 숫자 ②에 대응되는 혈 자리를 가압한다. 이때, 탐지핀(52)의 맥파측정부(53)를 통해 측정된 맥파값에 해당하는 수치가 진단표의 중간에서 두 번째 칸에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맥파값 '7'이 그 하부에 표시된 정상데이터의 수치 '10'과 비교하여 볼 때 약간 미달되므로 비정상맥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숫자 ②의 혈 자리에 해당하는 내장기관의 기능이 약간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n, the user confirms the number (2) of the body image (1) and presses the blood spo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2) confirmed by using the detection pin (52). At this time,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ulse wave value measured through the pulse
또한, 사용자는 신체이미지(1)의 숫자 ③를 확인하여서 탐지핀(52)을 이용하여 확인된 숫자 ③에 대응되는 혈 자리를 가압한다. 이때, 탐지핀(52)의 맥파측정부(53)를 통해 측정된 맥파값에 해당하는 수치가 진단표의 중간에서 세 번째 칸에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맥파값 '4'가 그 하부에 표시된 정상데이터의 수치 '11'과 비교하여 볼 때 많이 미달되므로 비정상맥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숫자 ③의 혈 자리에 해당하는 내장기관의 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lso, the user confirms the
이와 같이, 사용자는 화면으로 출력되는 진단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diagnosis table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grasp his / her health condition.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를 자극하여 치료하기 위한 치료관리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치료관리부재(80)는 피부에 접촉된 상태로 피부를 자극하여서 치료하는 치료패드(90)에 연결되는 연결잭(81)과, 연결잭(81)을 통해 치료패드(90)에 작동시키는 작동부(82)와, 작동부(82)를 조작하는 조작부(83)를 포함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4 and 10,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패드(90)는 피부에 밀착되도록 플랙시블한 고무패드 또는 실리콘패드에 바이브레이터나 저주파발생기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치료패드(90)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바이브레이터가 작동되어서 진동으로 피부를 자극하거나 저주파발생기가 작동되어서 저주파로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연결잭(81)은 치료패드(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전원을 치료패드(9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82)는 스마트와치(10)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의 충전전원을 치료패드(90)에 공급할 수 있다. 2 and 10, the
조작부(83)는 작동부(82)를 조작하도록 스마트와치(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83)를 조작하여 작동부(82)를 통해 치료패드(90)에 전원이 공급되면 치료패드(90)가 작동되어서 피부를 자극하여서 치료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또한, 치료관리부재(80)는 혈 자리가 표시된 신체이미지(1)들과 해당 신체이미지(1)들에 대응되는 병명이 매칭되어서 저장되는 병명이미지저장부(84)와, 병명이미지저장부(84)에 저장된 신체이미지(1)에 대응되는 병명을 입력받는 병명입력부(85)와, 병명입력부(85)에서 입력된 병명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1)를 신체이미지저장부(84)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20)로 출력시키는 이미지출력부(86)를 더 포함한다. The
따라서, 사용자가 병명입력부(85)를 통해 '두통' 또는 '급체'라고 입력하면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해당하는 신체이미지(1)가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신체이미지(1)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에, 치료패드(90)를 이용하여 혈 자리를 자극하여서 두통이나 급체를 완화시켜서 치료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headache' or 'urgent body' through the pathology name input unit 85, the corresponding
한편, 본 발명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와치(10)가 거치되는 거치대(1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거치대(100)는 기립되는 거치판(110)과, 거치판(110)에 형성되어 스마트와치(10)가 고정되는 고정대(120)와, 고정대(120)에 고정된 스마트와치(10)와 통신하기 위한 거치대통신부(130)와, 거치대통신부(130)를 통해 통신하는 스마트와치(10)에 의해 제어되어 피부에 접촉된 상태로 피부를 자극하도록 고정대(120)에 구비되는 자극패드(140)와, 자극패드(140)의 작동상태나 스마트와치(10)의 조작상태가 표시되는 거치대화면(150)을 포함한다. 17 and 18,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거치판(110)은 하단에 받침대가 형성되어 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자극패드(140) 및 거치대화면(150)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마련되거나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mounting
고정대(120)는 스마트와치(1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서 거치판(110)에 고정시키는 탄성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xing table 120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plate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거치대통신부(130)는 블루투스를 수행하여 스마트와치(1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거치대통신부(130)는 스마트와치(10)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잭이나 소켓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ocking
자극패드(140)는 피부에 밀착되도록 플랙시블한 고무패드 또는 실리콘패드에 바이브레이터나 저주파발생기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자극패드(1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바이브레이터가 작동되어서 진동으로 피부를 자극하거나 저주파발생기가 작동되어서 저주파로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The
거치대화면(150)은 액정이나 엘이디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와치(10)를 거치대(100)에 거치시키면서 자극패드(140)를 피부에 부착시킨 상태로 스마트와치(10)를 조작하여 자극패드(140)에 의해 피부가 자극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manipulate the
이와 같이, 휴대하는 스마트와치(10)를 거치대(100)에 거치한 상태로 거치대화면(150)을 주시하면서 스마트와치(10)를 조작하여 거치대(100)에 구비된 자극패드(140)를 사용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In this manner, whil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와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맥박을 측정하고 자신의 혈 자리를 맥진하여서 자신의 내장기능을 확인하여 한의원에 내원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케어할 수 있어서, 헬스 케어 장치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easure his or her own pulse using the smart watch and check his / her internal function by checking his or her hemorrhoids, And can be widely used as a very useful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와치 11 : 착용밴드
12 : 맥박측정센서 13 : 압력측정센서
14 : 맥박출력부 20 : 디스플레이
30 : 맥박측정부재 31 : 맥박측정부
32 : 집음부 33 : 센서부
35 : 서브맥박측정부 36 : 서브집음부
37 : 서브센서부 38 : 진동판
39 : 진동전달부재 40 : 맥박관리부재
41 : 맥박데이터수신부 42 : 맥박진단정보관리부
43 : 맥박판단부 44 : 맥박진단정보출력부
45 : 이동표시부 46 : 맥박데이터전송부
50 : 맥파측정부재 51 : 소켓
52 : 탐지핀 53 : 맥파측정부
54 : 접속단자 55 : 탄성체
56 : 골무 57 : 맥파측정센서
58 : 맥파전송부 60 : 맥파관리부재
61 : 맥파데이터수신부 62 : 맥파진단정보관리부
63 : 맥파판단부 64 : 맥파진단정보출력부
65 : 맥파데이터전송부 66 : 신체이미지저장부
67 : 신체이미지명칭입력부 68 : 신체이미지출력부
69 : 번호표시부 70 : 데이터출력부
80 : 치료관리부재 81 : 연결잭
82 : 작동부 83 : 조작부
84 : 병명이미지저장부 85 : 병명입력부
86 : 이미지출력부 90 : 치료패드
100 : 거치대 110 : 거치판
120 : 고정대 130 : 거치대통신부
140 : 자극패드 150 : 거치대화면
200 : 의료서버 400 : 음파관리부재
410 : 음파데이터수신부 420 : 음파진단정보관리부
430 : 음파판단부 440 : 음파판단부10: Smart Watch 11: Wear Band
12: pulse measuring sensor 13: pressure measuring sensor
14: Pulse output section 20: Display
30: pulse measuring member 31: pulse measuring unit
32: collector part 33: sensor part
35: Sub pulse measurement unit 36: Sub-
37: sub sensor part 38: diaphragm
39: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40: Pulse management member
41: pulse data receiving unit 42: pulse diagno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 Pulse determination unit 44: Pulse diagnosis information output unit
45: movement display section 46: pulse data transmission section
50: pulse wave measuring member 51: socket
52: detection pin 53: pulse wave measuring part
54: connection terminal 55: elastic body
56: thimble 57: pulse wave measuring sensor
58: a pulse wave transmitter 60: a pulse wave management member
61: a pulse wave data receiving unit 62: a pulse wave diagnostic information managing unit
63: a pulse wave judgment unit 64: a pulse wave diagnosis information output unit
65: a pulse wave data transmission unit 66: a body image storage unit
67: body image name input unit 68: body image output unit
69: number display section 70: data output section
80: treatment management member 81: connection jack
82: Operation part 83: Operation part
84: Pathologic name image storage part 85: Pathologic name input part
86: Image output unit 90: Therapy pad
100: cradle 110: mounting plate
120: fixed base 130:
140: Stimulation pad 150: Cradle screen
200: medical server 400: sound wave management member
410: sound wave data reception unit 420: sound wave diagno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sound wave determination unit 440: sound wave determination unit
Claims (20)
스마트와치(10)는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재(30)와,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맥박관리부재(40)를 포함하고,
맥박측정부재(30)는 맥박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모으는 맥박측정부(31)를 포함하고,
맥박측정부(31)는 스마트와치(10)의 배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신체의 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각각 모으는 집음부(32)와, 집음부(32)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하면서 집음부(32)에서 모여지는 진동을 증폭시켜 맥박데이터를 확인하고 맥박관리부재(40)에 전송하는 센서부(33)와, 맥박측정부(31)의 집음부(32)에서 모여지는 소리를 증폭시켜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음파관리부재(400)에 전송하는 마이크(34)를 포함하고,
맥박측정부재(30)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음파관리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 A smart watch (10) having a display (20) worn on a user ' s body and outputting a time and an image to a screen,
The SmartWatch (10)
A pulse measuring member 30 for measuring a pulse of a human body,
And a pulse management member (40) for outputting the pulse data to the display (20) while managing the pulse data measured by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includes a pulse measuring unit 31 for collecting sound generated by a pulse,
The pulse measuring unit 31 includes a collector 32 formed to be concave on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 watch 10 and collecting 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organ of the body, A sensor unit 33 for amplifying the vibration collected at the pulse measuring unit 31 to confirm the pulse data and transmitting the pulse data to the pulse management member 40 and the sound collected at the sound collecting unit 32 of the pulse measuring unit 31, And a microphone 34 for identifying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sound wave management member 400,
And a sound wave management member (400) for outputting the sound wave data to the display (20) while managing the sound wave data measured by the microphone (34) of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서브맥박측정부(35)는 집음부(32)의 주변에 위치하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진동을 모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브집음부(36)와, 서브집음부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하면서 서브집음부(36)에서 모여지는 진동을 증폭시켜 맥박데이터를 확인하고 맥박관리부재(40)에 전송하는 서브센서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The puls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includes at least one sub pulse measuring unit (35) positioned around the pulse measuring unit (31)
The sub pulse measurement part 35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ub collecting part 36 which is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collecting part 32 and is concave and collects the vibrations and a sub power collecting part 36 located at the concave center of the sub collecting part And a sub sensor unit (37) for amplifying the vibrations collected in the heart monitor (36) to confirm pulse data and transmit it to the pulse management member (40).
맥박측정부재(30)의 마이크(34)에서 측정된 음파데이터를 수신받는 음파데이터수신부(410)와,
기준음파데이터와 기준음파데이터에 해당하는 음파진단정보를 관리하는 음파진단정보관리부(420)와,
음파데이터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음파데이터와 기준음파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기준음파데이터를 확인하는 음파판단부(430)와,
음파판단부(430)에서 확인된 일치되는 기준음파데이터의 음파진단정보를 디스플레이(20)로 출력하는 음파진단정보출력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The sound wav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sound wave data receiving unit 410 receiving the sound wave data measured by the microphone 34 of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A sound wave diagnost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for managing sound wave diagno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ound wave data and the reference sound wave data,
A sound wave determiner 430 for comparing the sound wave data received by the sound wave data receiver 410 with reference sound wave data and comparing the reference sound wave data with the reference sound wave data,
And a sound wave diagnostic information output unit (440) for outputting the sound wave diagnost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sound wave data confirmed by the sound wave determination unit (430) to the display (20).
스마트와치(10)는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재(30)와,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맥박관리부재(40)를 포함하고,
맥박관리부재(40)는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수신받는 맥박데이터수신부(41)와,
기준맥박데이터와 기준맥박데이터에 해당하는 맥박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맥박진단정보관리부(42)와,
맥박데이터수신부(41)에서 수신되는 맥박데이터와 기준맥박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기준맥박데이터를 확인하는 맥박판단부(43)와,
맥박판단부(43)에서 확인된 일치되는 기준맥박데이터의 맥박진단정보를 디스플레이(20)로 출력하는 맥박진단정보출력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 A smart watch (10) having a display (20) worn on a user ' s body and outputting a time and an image to a screen,
The SmartWatch (10)
A pulse measuring member 30 for measuring a pulse of a human body,
And a pulse management member (40) for outputting the pulse data to the display (20) while managing the pulse data measured by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The pulse management member 40
A pulse data receiving unit 41 receiving the pulse data measured by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A pulse diagnosis information managing unit 42 for managing pulse diagno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ulse data and the reference pulse data,
A pulse judgment unit 43 for checking the reference pulse data to be compared with the pulse data received by the pulse data receiving unit 41 and the reference pulse data,
And a pulse diagnosis information output unit (44) for outputting pulsation diagnosis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ulse data conformed to by the pulse determination unit (43) to the display (20).
스마트와치(10)는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재(30)와,
맥박측정부재(30)에서 측정된 맥박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맥박관리부재(40)와,
인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측정부재(50)와,
맥파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맥파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20)로 출력되게 하는 맥파관리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 A smart watch (10) having a display (20) worn on a user ' s body and outputting a time and an image to a screen,
The SmartWatch (10)
A pulse measuring member 30 for measuring a pulse of a human body,
A pulse management member (40) for outputting the pulse data measured by the pulse measuring member (30) to the display (20) while managing the pulse data;
A pulse wave measuring member 50 for measuring a pulse wave of a human body,
And a pulse wave management member (60) for outputting the pulse wave data to the display (20) while managing the pulse wave data measured by the pulse wave measuring member (50).
스마트와치(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4)에 구비되고 맥파관리부재(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51)과,
스마트와치(10)의 장착공간(14)에 이동가능하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장착된 상태로 일단이 스마트와치(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탐지핀(52)과,
탐지핀(52)의 일단에 구비되어 인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측정부(53)와,
맥파측정부(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탐지핀(52)의 타단에 구비되어 탐지핀(52)의 이동에 의해 소켓(51)에 접속되어, 맥파측정부(53)를 맥파관리부재(6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54)와,
스마트와치(10)의 장착공간(14)에 내장되어 탐지핀(5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탐지핀(52)의 접속단자(54)가 소켓(51)에 이격되게 하는 탄성체(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Claim 10] The blood pressure monitor according to claim 10,
A socket 51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14 formed in the smart watch 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ulse wave management member 60,
A detection pin 52 which is movab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4 of the smart watch 10 and which is mounted so as not to be detached to the outside and whose one e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mart watch 10,
A pulse wave measuring unit 53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tection pin 52 for measuring a pulse wave of a huma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51 by the movement of the detection pin 52 so that the pulse wave measuring part 53 is connected to the pulse wave management part 60 A connection terminal 54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50 to the terminal 50,
And an elastic body 55 built in the mounting space 14 of the smart watch 10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detection pin 52 to separate the connection terminal 54 of the detection pin 52 from the socket 51 Wherein the system is a smart-watch-based healthcare system.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골무(56)와,
골무(56)의 일단에 구비되어 인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측정센서(57)와,
맥파측정센서(57)에서 측정되는 맥파를 맥파관리부재(60)에 전송하는 맥파전송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Claim 10] The blood pressure monitor according to claim 10,
A thimble 56 fitted and fixed to the user's finger,
A pulse wave measuring sensor 57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mble 56 for measuring the pulse wave of the human body,
And a pulse wave transmitting unit (58) for transmitting the pulse wave measured by the pulse wave measuring sensor (57) to the pulse wave managing member (60).
맥파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맥파데이터를 수신받는 맥파데이터수신부(61)와,
기준맥파데이터와 기준맥파데이터에 해당하는 맥파진단정보를 관리하는 맥파진단정보관리부(62)와,
맥파데이터수신부(61)에서 수신된 맥파데이터를 기준맥파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기준맥파데이터를 확인하는 맥파판단부(63)와,
맥파판단부(63)에서 확인된 일치되는 기준맥파데이터의 맥파진단정보를 디스플레이(20)로 출력하는 맥파진단정보출력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The blood pressure monito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ulse wave management member (60)
A pulse wave data receiving unit 61 that receives the pulse wave data measured by the pulse wave measuring member 50,
A pulse wave diagnost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2 for managing pulse wave diagno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ulse wave data and the reference pulse wave data,
A pulse wave judging unit 63 for comparing the pulse wave data received by the pulse wave data receiving unit 61 with the reference pulse wave data to confirm the reference pulse wave data to be matched,
And a pulse wave diagnostic information output unit (64) for outputting pulse wave diagnostic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ulse wave data that is confirmed by the pulse wave determination unit (63) to the display (20).
혈 자리가 표시된 다양한 형태의 신체에 대한 부위별 신체이미지(1)들과 해당 신체이미지(1)들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명칭이 매칭되어서 저장되는 신체이미지저장부(66)와,
신체이미지저장부(66)에 저장된 신체이미지(1)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명칭을 입력받는 신체이미지명칭입력부(67)와,
신체이미지명칭입력부(67)에서 입력된 신체이미지명칭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1)를 신체이미지저장부(66)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20)로 출력시키는 신체이미지출력부(6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4. The blood pressure monitor according to claim 13,
A body image storage unit 66 for storing body image images 1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types of body displayed with hemograms and body image names corresponding to the body images 1,
A body image name input unit 67 for inputting a body image name corresponding to the body image 1 stored in the body image storage unit 66,
And a body image output unit (68) for searching the body image storage unit (66) for the body image (1) corresponding to the body image name input from the body image name input unit (67) A health care system using a smart watch.
신체이미지(1)에 표시된 혈 자리들마다 번호를 표시하는 번호표시부(69)와,
번호표시부(69)에 의해 표시되는 번호들과 동일한 숫자가 표시되고, 각 숫자에 대응되는 맥파데이터 및 기준맥파데이터가 표시되는 진단표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A number display unit 69 for displaying a number for each blood spot displayed in the body image 1,
Further comprising a data output unit (70) for displaying a number identical to the numbers displayed by the number display unit (69), and outputting a diagnosis table in which pulse wave data and reference pulse wave data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re displayed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watch.
치료관리부재(80)는
피부에 접촉된 상태로 피부를 자극하여서 치료하는 치료패드(90)에 연결되는 연결잭(81)과,
연결잭(81)을 통해 치료패드(90)에 작동시키는 작동부(82)와,
작동부(82)를 조작하는 조작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The smartwatch (1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0, further comprising a treatment management member (80) for stimulating and treating the skin,
The treatment management member 80
A connection jack 81 connected to the treatment pad 90 for stimulating and treating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skin,
An operation portion 82 for operating the treatment pad 90 via the connection jack 81,
And an operation unit (83) for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82).
혈 자리가 표시된 신체이미지(1)들과 해당 신체이미지(1)들에 대응되는 병명이 매칭되어서 저장되는 병명이미지저장부(84)와,
병명이미지저장부(84)에 저장된 신체이미지(1)에 대응되는 병명을 입력받는 병명입력부(85)와,
병명입력부(85)에서 입력된 병명에 대응되는 신체이미지(1)를 신체이미지저장부(84)에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20)로 출력시키는 이미지출력부(8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reatment management member (80)
A disease name image storage 84 in which body images 1 marked with hemispheres are matched with disease names corresponding to the body images 1,
A disease name input unit 85 that receives a disease name corresponding to the body image 1 stored in the disease name image storage unit 84,
Further comprising an image output unit (86) for searching the body image storage unit (84) for the body image (1)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name input from the disease name input unit (85) Healthcare system using watch.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착용밴드(11)와,
착용밴드(11)에 구비되어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12)와,
맥박측정센서(12)에 근접되면서 착용밴드(11)에 구비되어 맥박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13)와,
압력측정센서(13)에서 측정되는 압력과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을 비교하여, 측정된 압력이 기준압력과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하지 않음을 경고하고, 측정된 압력이 기준압력과 일치하면 맥박측정센서(12)에서 측정된 맥박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맥박출력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The smartwatch (1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0, wherein the smartwatch
A wear band 11 to be worn on the user's body,
A pulse measuring sensor 12 provided on the wearing band 11 for measuring a pulse,
A pressure measurement sensor 13 provided in the wear band 11 in proximity to the pulse measurement sensor 12 to measure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pulse,
If the measured pressure does not match the reference pressure, it is warned that the measured pressure does not coincide with the reference pressure. If the measured pressure matches the reference pressure, the pulse measuring sensor 12 And a pulse output unit (14) for outputting the pulse measured on the screen to a screen.
거치대(100)는
기립되는 거치판(110)과,
거치판(110)에 형성되어 스마트와치(10)가 고정되는 고정대(120)와,
고정대(120)에 고정된 스마트와치(10)와 통신하기 위한 거치대통신부(130)와,
거치대통신부(130)를 통해 통신하는 스마트와치(10)에 의해 제어되어 피부에 접촉된 상태로 피부를 자극하도록 고정대(120)에 구비되는 자극패드(140)와,
자극패드(140)의 작동상태나 스마트와치(10)의 조작상태가 표시되는 거치대화면(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0, further comprising a cradle (100) on which the smartwatch (10)
The holder (100)
A standing plate 110 standing up,
A fixture 120 formed on the fixture plate 110 and fixed to the smartwatch 10,
A docking station communication unit 1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watch 10 fixed to the fixed base 120,
A stimulation pad 140 provided on the fixing table 120 to stimulate the skin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skin, which is controlled by the smartwatch 10 communicating via the holder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cradle screen (150) on which an operation state of the stimulation pad (140)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smart watch (10) are display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464A KR101549109B1 (en) | 2015-02-25 | 2015-02-25 |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wa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464A KR101549109B1 (en) | 2015-02-25 | 2015-02-25 |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watc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9109B1 true KR101549109B1 (en) | 2015-09-01 |
Family
ID=5424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6464A KR101549109B1 (en) | 2015-02-25 | 2015-02-25 |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wa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10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8673B1 (en) | 2015-11-30 | 2017-05-22 | 한국건설 주식회사 | Smart care wrist device and healthcare system by smart care wrist device |
WO2017094962A1 (en) * | 2015-11-30 | 2017-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42163A (en) * | 2004-06-02 | 2005-12-15 | Casio Comput Co Ltd | Wrist-worn instrument |
-
2015
- 2015-02-25 KR KR1020150026464A patent/KR10154910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42163A (en) * | 2004-06-02 | 2005-12-15 | Casio Comput Co Ltd | Wrist-worn instrume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8673B1 (en) | 2015-11-30 | 2017-05-22 | 한국건설 주식회사 | Smart care wrist device and healthcare system by smart care wrist device |
WO2017094962A1 (en) * | 2015-11-30 | 2017-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0761417B2 (en) | 2015-11-30 | 2020-09-01 | Lg Electronics Inc. |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01354B1 (en) |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US10635782B2 (en) | Physical ex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7668588B2 (en) | Dual-mode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US8200320B2 (en) | Integrated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2309022B1 (en)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io-signal remote monitoring system | |
US20170319082A1 (en) | Phono-Electro-Cardiogram Monitoring Unit | |
US20160029905A1 (en) |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
EP155039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hysiologic signs and implementing emergency disposals | |
US20120089054A1 (en) | Wearable cpr assist training and testing device | |
JP2018516702A (en) | System and method for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for treating tremor with removable therapeutic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 |
WO2014138414A1 (en) | Form factors for the multi-modal physiological assessment of brain health | |
JP2018510752A (en) | Neurological state detection unit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20140060164A (en) | Wireless chargable shoes which enables to transmit bio-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d therein | |
US20230200649A1 (en) | Gateway device facilitating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data from a body area network to a study coordinating system | |
JP2019509151A (en) | Self-supporting EEG recording system | |
KR20220115024A (en) |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vital signals | |
KR101549109B1 (en) |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watch | |
CN212730713U (en) | Wearable device providing electronic pulses | |
KR102471204B1 (en) | Head set appartus for detecting human signal | |
KR101849857B1 (en) | Wearable living body diagnosis device | |
JP2023509522A (en) | Wearable nystagmus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 |
EA007308B1 (en) | Device of monitoring physiological functioning and conditions of a person | |
KR101337822B1 (en) | Medical data managing apparatus for checking patient's anxiety during the dental procedure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medical data | |
US20200107748A1 (en) | Probe having multiple tips and an indicator for obtaining bioelectrical signals | |
TWI656866B (en) | Ultrasonic sen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