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028B1 -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028B1
KR101549028B1 KR1020140047214A KR20140047214A KR101549028B1 KR 101549028 B1 KR101549028 B1 KR 101549028B1 KR 1020140047214 A KR1020140047214 A KR 1020140047214A KR 20140047214 A KR20140047214 A KR 20140047214A KR 101549028 B1 KR101549028 B1 KR 10154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ffusion layer
diffusion
strength reinforc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한규
이상철
조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0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ousing;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ubstrate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a LE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diffusion element arranged in distance at certain intervals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wherein the diffusion element is configured at a diffusion layer, and including a reinforcing layer having the phototransmissivity higher than the diffusion layer.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0001]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투과율 및 내구성이 우수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apparatus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durability.

최근 효율, 색의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light emitting diodes (LED) lighting having many advantages such as efficiency, color diversity, and design autonomy.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지며, 백열 전구 및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A light emitting diode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a voltage is applied in a forward direction. It has a long lifetime, low power consumption, electrical, opt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is rapidly replacing incandescent bulbs and fluorescent lamps.

일반적으로, LED는 배광각도가 작고, 직진성이 강하다. LED 조명장치는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LED의 종류, LED의 배치, LED의 개수, 요구되는 조명의 밝기 등이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Generally, the LED has a small light distribution angle and a strong directivit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used, the type of LED, the arrangement of the LED, the number of LEDs, and the brightness of the required illumination may be differently applied.

특히, 실내 조명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미관상 LED의 방출광이 실내에 균일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when it is used for indoor ligh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emitted light of the cosmetic LED is uniformly provided in the room.

종래 LED 평판조명은 방출광의 균일한 확산을 위해 조명장치의 케이스 전면에 확산부재가 구비된다.Conventional LED flat panel illumination is provided with a diffusing member on the front face of the case of the illumination device for uniform diffusion of the emitted light.

한편, 확산부재는 LED 광원의 핫 스팟(Hot spot)을 제거하고 조명의 균일성을 높일 수는 있으나, 투과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갖는다. 최근, 광투과율이 높은 수지 재질을 통해 확산부재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투과율이 높은 수지 재질의 경우 내구성이 낮아 잘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ffusion member can remove the hot spot of the LED light source and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illumination, but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transmittanc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manufacture a diffusion member through a resin material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However, in the case of a resin material having a high transmittance, a durability is low and a problem of breakage occurs.

본 발명은 방출광의 균일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광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emitted light and improving the light transmittance.

또한, 본 발명은 확산부재의 투과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transmittance of a diffusion member and increasing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확산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n LE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diffusion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여기서, 상기 확산부재는 확산층 및 상기 확산층에 마련되며 상기 확산층보다 높은 광투광율을 갖는 강도 보강층을 포함한다.Here, the diffusion member includes a diffusion layer and an intensity enhancement layer provided on the diffusion layer and having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diffusion layer.

또한, 상기 강도 보강층은, 상기 확산층의 광 입사면 및 광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light incident surface and a light exit surface of the diffusion layer.

또한, 상기 강도 보강층과 상기 확산층은 일체로 압출 형성될 수 있다.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and the diffusion layer may be integrally extruded.

또한, 상기 확산층은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도 보강층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diffusion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may be formed of silic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조명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균일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광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학효율을 종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uniform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apparatus can be increased and the light transmittance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optic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comprehensively.

또한, 확산부재의 투과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확산부재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transmittance of the diffusion member can be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diffusion member can be increased.

또한, 이중 또는 삼중 압출을 통해 제조공정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double or triple extrusion can reduc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lower manufactur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확산부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확산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확산부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ncipal part of a diffusion member constituting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iffusion member constituting a lighting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diffusion member constituting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조명장치(1)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llumination device 1. [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장치(1)는 벌브 타입, PAR 타입, 튜브 타입(형광등), 다운라이트 조명, 평판 조명 및 가로등과 같은 인도어(indoor) 또는 아웃도어(outdoor) 조명장치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the lighting device 1 can be applied to indoor or outdoor lighting devices such as a bulb type, a PAR type, a tube type (fluorescent lamp), a down light lamp, a flat lamp and a street lamp.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1)는 평판 조명에 해당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apparatus 1 shown in Fig. 1 corresponds to flat panel illumination.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1)는 튜브 타입(형광등) 및 다운라이트 조명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ighting apparatus 1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tube type (fluorescent lamp) and a downlight lamp.

또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확산부재(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들을 나타낸다.2 to 4 also show the main 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ffusion member 30 constituting the illumination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조명장치(1)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된 발광유닛(10) 및 확산부재(3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ighting apparatus 1 includes a housing 20 and a light emitting unit 10 and a diffusion member 3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발광유닛(10)은 기판(11) 및 기판(11)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LED(12)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유닛(1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발광유닛(10)은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은 방열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0 includes a substrate 11 and one or more LEDs 12 mounted on the substrate 11. A plurality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 respectively. The substrate 1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조명장치(1)의 외관을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2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lighting device 1. [

상기 하우징(20)은 조명 타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housing 20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illumination type.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조명장치(1)가 다운라이트 조명 또는 평판 조명인 경우, 상기 하우징(20)은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각각 연장된 복수 개의 측벽부(22, 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0 includes a base portion 21 and a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22, 22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21, respectively, when the lighting device 1 is downlight illumination or flat panel illumination. 23).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using 20 may have a box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opened.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부(21)가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측벽부(22, 23)들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면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ase portion 21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0, the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22 and 23 may form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0. In this structur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 may be in an open state.

이와는 다르게, 상기 조명장치(1)가 튜브(형광등) 타입인 경우, 상기 하우징(20)은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lighting device 1 is a tube (fluorescent lamp) type, the housing 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portion.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발광유닛(10)이 배치되는 소정 공간부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부(21)와 복수 개의 측벽부(22, 23)는 상기 발광유닛(10)이 배치되는 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housing 20 provides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10 is disposed. The base portion 21 and the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22 and 23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10 is disposed.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금속 재질 및 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2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metal material and a resin material.

상기 하우징(2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0)의 내구성 및 방열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이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When the housing 2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durability and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20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housing 20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e weight of the housing 20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발광유닛(10)은 상기 베이스부(21)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10)은 상기 베이스부(21)에 기판(11)의 일부영역 또는 기판(11)의 일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provided in the base unit 21.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art of the substrate 11 or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 is in contact with the base 21.

또한, 상기 발광유닛(10)의 기판(11)은 상기 베이스부(21)에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11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seated on the base 21.

또한, 상기 발광유닛(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용이하게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2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unit 2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can be easily radiat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확산부재(30)는 발광유닛(10)의 방출광의 균일한 확산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확산부재(30)는 LED(12)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핫 스팟(Hot spot)을 제거하고 조명의 균일성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ffusion member 30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uniform diffusion of the emitted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In particular, the diffusion member 30 provides the function of removing hot spots of light emitted from the LED 12 and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the illumination.

또한, 상기 확산부재(30)는 상기 발광유닛(10)과 소정의 간격(d)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재(30)은 상기 발광유닛(10)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diffusion member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Also, the diffusion member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발광유닛(10)이 베이스부(20)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확산부재(30)는 복수 개의 측벽부(22, 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10 can be seated in the base portion 20, and the diffusion member 30 can b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22, 23. [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측벽부(22, 23)는 상기 베이스부(20)로부터 각각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For this, the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22, 23 may extend from the base portion 20 to a predetermined height.

또한, 상기 확산부재(30)는 확산층(3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확산층(32)은 광 입사면(32a)과 광 출사면(32b)을 각각 갖는다.In addition, the diffusion member 30 includes a diffusion layer 32. At this time, the diffusion layer 32 has a light incident surface 32a and a light exit surface 32b, respectively.

상기 광 입사면(32a)은 상기 발광유닛(10)과 마주보는 면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광 출사면(32b)은 상기 광 입사면(32a)의 반대방향의 면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확산층(3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light incident surface 32a refers to a surface facing the light emitting unit 10. Further, the light exit surface 32b refers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 incident surface 32a. The diffusion layer 32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여기서 상기 확산층(32)은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통상 확산부재(30)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PC)는 광투과율이 낮다. 이러한 경우, 방출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투과율이 낮아 광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Polycarbonate (PC), which is normally used as the diffusion member 30, has a low light transmittance.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emitted light, but the transmittance is low,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light efficiency.

이와는 다르게,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는 폴리카보네이트(PC) 보다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다. 또한,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는 폴리카보네이트(PC) 보다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Alternatively,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have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polycarbonate (PC). In addition,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can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than polycarbonate (PC).

한편,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는 폴리카보네이트(PC)에 비하여 깨지기 쉬운 재질로서 그 자체만으로 확산부재(30)를 구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On the other hand,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are fragile materials as compared with polycarbonate (PC),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truct the diffusion member 30 by itself.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확산부재(30)는 상기 확산층(32)의 강도를 증가시키 위한 강도 보강층(31, 33)을 포함한다. 상기 강도 보강층(31, 33)은 상기 확산층(32)에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iffusion member 30 includes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diffusion layer 32.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provided in the diffusion layer 32.

또한, 상기 강도 보강층(31, 33)은 상기 확산층(32)의 적어도 한면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재(30)는 복수 개의 강도 보강층(31, 3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iffusion layer 32. In addition, the diffusion member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층(32)은 광 입사면(32a)과 광 출사면(33)을 갖는다. 상기 강도 보강층(31)은 상기 확산층(32)의 광 입사면(32a)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층(33)은 상기 확산층(32)의 광 출사면(32b)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층(31, 33)은 상기 확산층(32)은 광 입사면(32a)과 광 출사면(33)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ffusion layer 32 has a light incident surface 32a and a light exit surface 33. [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may be provid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32a of the diffusion layer 32. [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may be provided on the light exit surface 32b of the diffusion layer 32. [ The diffusion layers 32 may be provid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32a and the light exit surface 33, respectively.

정리하면, 상기 강도 보강층(31, 33)은, 상기 확산층(32)의 광 입사면(32a) 및 광 출사면(32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마련될 수 있다.In summary, the strength-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32a and the light exit surface 32b of the diffusion layer 32. [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확산층(32)의 광 입사면(32a)에 마련되는 강도 보강층을 제1 강도 보강층(31)이라 지칭한다. 또한, 상기 확산층(32)의 광 출사면(32b)에 마련되는 강도 보강층을 제2 강도 보강층(33)이라 지칭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provid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32a of the diffusion layer 32 is referred to as a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provided on the light exit surface 32b of the diffusion layer 3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

한편, 상기 확산층(32) 및 각 강도 보강층(31, 33)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ffusion layer 32 and each of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or may have the same thickness.

상기 각 강도 보강층(31, 33)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강도 보강층(31, 33)은 실리콘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Each of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formed of a silicone resin.

상기 실리콘 레진은, 폴리스틸렌(PS) 및/또는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로 형성된 확산층(3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레진은, 상기 확산층(32) 보다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실리콘 레진으로 형성된 강도 보강층(31, 33)은 플렉서블(flexible)한 특징을 갖게 된다.The silicone resin can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diffusion layer 32 formed of polystyrene (PS) and / or polymethylmethamide (PMMA). Further, the silicone resin has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diffusion layer (32). In addi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formed of the silicone resin have a flexible characteristic.

또한, 상기 강도 보강층(31, 33)은 광투광율을 떨어뜨리지 않음과 동시에 확산층(32)을 포함하는 확산부재(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do not lower the light transmittance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iffusion member 30 including the diffusion layer 32.

또한, 상기 강도 보강층(31, 33)의 굴절률은 상기 확산층(32)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발광유닛(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확산부재(30)의 굴절률이 다른 복수 개의 층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된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nsity-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diffusion layer 32. Furth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of the diffusion member 30, and then is emitt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강도 보강층(31, 33)과 상기 확산층(32)은 일체로 압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and 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integrally extrud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는 확산부재(30)를 둘러싸는 전면커버(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커버(40)는 상기 확산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확산부재(30)의 둘레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40)는 상기 확산부재(30)의 둘레부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40)는 상기 확산부재(3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llumin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ver 40 surrounding the diffusion member 30. The front cover 40 may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diffusion member 30 so that the diffusion member 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front cover 40 supports the periphery of the diffusion member 30. In addition, the front cover 40 may include an opening for exposing the diffusion member 30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전면 커버(40)는 상기 하우징(20)에 장착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40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20.

또한,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발광유닛(1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5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10. The front portion 50 may b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20.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확산부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ncipal part of a diffusion member constituting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부재(30)는 확산층(32)과 상기 확산층(32)의 광 입사면(32a)에 마련된 제1 강도 보강층(31) 및 상기 확산층(32)의 광 출사면(32b)에 마련된 제2 강도 보강층(33)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diffusion member 30 includes a diffusion layer 32, a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provided on a light incident surface 32a of the diffusion layer 32,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provided on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32a.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강도 보강층(31, 33)은 실리콘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층(32)은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formed of a silicone resin. Also, 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또한, 제1 및 제2 강도 보강층(31, 33)은 상기 확산층(32) 보다 높은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강도 보강층(31, 33)의 굴절율은 확산층(32)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have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diffusion layer 32.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may be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diffusion layer 32. [

이때, 제1 및 제2 강도 보강층(31, 33)과 상기 확산층(32)은 일체로 3중 압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s 31 and 33 and 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triple extrusion.

발광유닛(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제1 강도 보강층(31)과 확산층(32) 및 제2 강도 보강층(33)을 차례로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강도 보강층(31)과 확산층(32)의 굴절률은 서로 다른 값을 갖고, 확산층(32)과 제2 강도 보강층(33)의 굴절률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the diffusion layer 32, and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in order.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and the diffusion layer 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diffusion layer 32 and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확산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iffusion member constituting a lighting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확산부재(30)는 확산층(32) 및 상기 확산층(32)의 광 입사면(32a)에 마련된 제1 강도 보강층(31)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ffusion member 30 may include a diffusion layer 32 and a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provided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32a of the diffusion layer 32.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강도 보강층(31)은 실리콘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층(32)은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may be formed of a silicone resin. Also, 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또한, 제1 강도 보강층(31)은 상기 확산층(32) 보다 높은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강도 보강층(31)의 굴절율은 확산층(32)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may have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diffusion layer 32.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diffusing layer 32. [

이때, 제1 강도 보강층(31)과 상기 확산층(32)은 일체로 2중 압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and 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ouble extrusion.

발광유닛(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제1 강도 보강층(31) 및 확산층(32)을 차례로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강도 보강층(31)과 확산층(32)의 굴절률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and the diffusion layer 32 in order. Here,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irst strength reinforcing layer 31 and the diffusion layer 32 have different values.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확산부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diffusion member constituting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부재(30)는 확산층(32) 및 상기 확산층(32)의 광 출사면(32b)에 마련된 제2 강도 보강층(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ffusion member 30 may include a diffusion layer 32 and a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provided on the light exit surface 32b of the diffusion layer 32.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강도 보강층(33)은 실리콘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층(32)은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may be formed of a silicone resin. Also, 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또한, 제2 강도 보강층(33)은 상기 확산층(32) 보다 높은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강도 보강층(33)의 굴절율은 확산층(32)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may have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diffusion layer 32.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diffusion layer 32. [

이때, 제2 강도 보강층(33)과 상기 확산층(32)은 일체로 2중 압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and the diffusion layer 3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ouble extrusion.

발광유닛(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확산층(32) 및 제2 강도 보강층(33)을 차례로 통과한 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확산층(32)과 제2 강도 보강층(33)의 굴절률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af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layer 32 and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Further,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diffusion layer 32 and the second strength reinforcing layer 33 have different value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은 복수 개의 측벽부(22, 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4, the housing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22 and 23.

이때, 각 측벽부(22, 23)의 두께는, 상기 발광유닛(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측벽부(22, 23)의 내주면(22a, 23a)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ide wall portions 22, 23 can be reduced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is increased. To this e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a, 23a of the side wall portions 22, 23 may b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발광유닛(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보다 균일하게 확산부재(30)의 전영역에 걸쳐 입사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can be incident more uniformly over the entire region of the diffusion member 30.

이와 같이, 각 측벽부(22, 23)의 내주면(22a, 22b)은 반사부재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각 측벽부(22, 23)는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a and 22b of the side wall portions 22 and 23 perform the function of the reflecting member. At this time, the side wall portions 22 and 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이와는 다르게, 각 측벽부(22, 23)의 내주면(22a, 22b)에는 반사층이 마련될 수도 있고, 반사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reflect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22a and 22b of the side wall portions 22 and 23, or a reflective film may be attached thereto.

1: 조명장치
10: 발광유닛
20: 하우징
30: 확산부재
40: 커버
50: 전장부
1: Lighting device
10: Light emitting unit
20: Housing
30: diffusion member
40: cover
50: All books

Claims (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확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재는 확산층 및 상기 확산층에 마련되며 상기 확산층보다 높은 광투광율을 갖는 강도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도 보강층의 굴절률은 상기 확산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housing;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n LE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nd a diffusion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diffusion member includes a diffusion layer and an intensity enhancement layer provided in the diffusion layer and having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diffusion layer,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is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diffusion lay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층은, 상기 확산층의 광 입사면 및 광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nsity enhancement laye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light incident surface and a light exit surface of the diffusion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층과 상기 확산층은 일체로 압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and the diffusion layer are integrally extruded.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폴리스틸렌(PS) 및 폴리메틸메타아미드(PMM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도 보강층은 실리콘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diffusion layer is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S) and polymethylmethamide (PMMA)
Wherein the strength reinforcing layer is formed of sili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각 측벽부의 두께는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And the thickness of each side wall portion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ncrea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벽부의 내주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of the side wall portions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벽부의 내주면에는 반사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reflective layer is provid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of the side wall portions.
KR1020140047214A 2014-04-21 2014-04-21 Lighting apparatus KR101549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14A KR101549028B1 (en) 2014-04-21 2014-04-21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14A KR101549028B1 (en) 2014-04-21 2014-04-21 Ligh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028B1 true KR101549028B1 (en) 2015-09-01

Family

ID=5424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214A KR101549028B1 (en) 2014-04-21 2014-04-21 Ligh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0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326A (en) * 2019-01-11 2019-05-10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Plate detects lam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031A (en) 2006-01-12 2007-07-26 Entire Technology Co Ltd Diffuser plate for higher light diffusion and lumin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031A (en) 2006-01-12 2007-07-26 Entire Technology Co Ltd Diffuser plate for higher light diffusion and lumin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326A (en) * 2019-01-11 2019-05-10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Plate detects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570B2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JP2008517431A (en) Flat panel surface lighting system
JP2012514844A (en) Optical element and light source having the optical element
CA2826903C (en) Blade of light luminaire
JP2013016463A (en) Optical device and light-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TW201341720A (en) LED fluorescent illumination device
JP2013182730A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6624550B2 (en) lighting equipment
JP6501173B2 (en) Lighting device
JP2012114081A (en) Glare-reduced lighting system
JP3211553U (en) Lighting device
JP2008300298A (en) Plane lighting light source device and plane lighting device
JP6047488B2 (en) Single chamber lighting device
KR101549028B1 (en) Lighting apparatus
JP6731566B1 (en) Light emitting module
JP2011171236A (en) Luminaire
KR20110000608A (en)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aspherics
JP6571682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JP2020521290A (en) lighting equipment
JP2012129064A (en) Lighting fixture
JP5853128B2 (en) lighting equipment
JP2013089582A (en) Translucent cover member, and lighting fixture using this translucent cover member
JP3201464U (en) Lighting fixture
JP7270150B2 (en) lighting equipment
JP6170405B2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