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352B1 -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 Google Patents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352B1
KR101548352B1 KR1020150021602A KR20150021602A KR101548352B1 KR 101548352 B1 KR101548352 B1 KR 101548352B1 KR 1020150021602 A KR1020150021602 A KR 1020150021602A KR 20150021602 A KR20150021602 A KR 20150021602A KR 101548352 B1 KR101548352 B1 KR 10154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astening
hole
fix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춘
Original Assignee
창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개발(주) filed Critical 창신개발(주)
Priority to KR102015002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30Anchors rigid when in use
    • B63B21/34Anchors rigid when in use with two or more flu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 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앵커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줄여 막체가 흔들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양닻가지형 앵커를 사용하여 오탁방지막의 고정 및 설치 후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이동성과 조립이 편리하도록 막체를 단위체로 형성하여 오탁방지막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이 쉽고 편리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DEVICE FOR ESTABLISHING SILT PROTECTOR}
본 발명은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 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앵커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줄여 막체가 흔들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양닻가지형 앵커를 사용하여 오탁방지막의 고정 및 설치 후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이동성과 조립이 편리하도록 막체를 단위체로 형성하여 오탁방지막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이 쉽고 편리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등과 같은 매립준설공사를 실시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주변의 수중으로 확산됨에 따라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주변의 생태계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사장에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오탁방지장치는 공사장과 주변지역을 격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탁방지장치는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시키는 포지 등으로 제작된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부유체를 부착하고, 오탁방지막의 하단을 수중바닥에 고정시킴으로써 설치된다.
종래에는 오탁방지막을 수중에 고정시키기 위해 오탁방지막과 부유수단을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해 떠밀리지 않도록 와이어로프를 수중바닥에 설치된 고정블록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오탁방지막과 부유수단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고정블록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들 고정블록들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매우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할 때 기중기나 바지선 등과 같은 해상운송 및 중장비가 필요하게 되고,
썰물 때와 같이 해상여건의 변화에 따라 중장비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설치작업을 중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와이어로프를 오탁방지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오탁방지막의 길이방향으로 파도가 치거나 바람이 불 경우에는 오탁방지막의 설치상태가 길이방향으로 변동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에 있어서,
앵커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줄여 막체가 흔들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양닻가지형 앵커를 사용하여 오탁방지막의 고정 및 설치 후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이동성과 조립이 편리하도록 막체를 단위체로 형성하여 오탁방지막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이 쉽고 편리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 하부에는 서브와이어로프와 앵커가 구비되어 메인와이어로프와 함께 오탁방지막을 고정시키고,
아울러 서브와이어로프가 해수의 급격한 변동에 따른 오탁방지막의 스윙 각도를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오탁수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트부에는 플로우트의 이탈방지를 위한 커버, 밴딩부재 및 보호주머니가 구비되어 있어 제품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고,
아울러 오탁방지막에 표시부재가 구비되어 오탁방지막의 설치 위치를 확인 및 인지시킴으로써 오탁방지막의 파손이나 유실을 방지하며,
또한 표시부재의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쉽고 간편하여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는
막체의 가장자리 또는 막면 또는 이들 모두의 위치에 보강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막체 상부에 부유부를 연결하여 형성된 막 단위체;
상기 막 단위체 상부 양측 방향으로 연결된 메인와이어;
상기 막 단위체 하부 양측 방향으로 연결된 서브와이어;
상기 메인와이어와 서브와이어의 단부가 함께 결합되어, 해수 중에 매설되는 앵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는
닻체와, 상기 닻체 일단에 구비되어 닻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끝단에 구비되는 닻날로 이루어지는 닻가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닻가지는 상기 닻체 일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는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 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단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에 앵커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줄여 막체가 흔들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닻가지형 앵커를 사용하여 오탁방지막의 고정 및 설치 후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이동성이 우수한 막 단위체를 연결하여 오탁방지막을 형성하는 작업이 쉬우며, 또한 해수에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는 작업 역시 쉽고 편리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에는 그 하부 서브와이어로프와 앵커가 구비되어 메인와이어로프와 앵커와 같이 오탁방지막을 고정함과 동시에 해수의 급격한 변동에 따른 오탁방지막의 스윙 각도를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오탁수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에 박힌 닻가지를 지지하는 보강파이프를 구비하여 앵커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앵커의 닻가지를 두 개 또는 4개로 구성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보조닻가지를 구비하여 해저면의 상태에 맞게 사용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4의 A1 내지 D1 지점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제4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 시공용 장치(A)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체(10)의 가장자리 또는 막면 또는 이들 모두의 위치에 보강부재(20)를 연결하고, 상기 막체(10) 상부에 부유체(30)를 연결하여 형성된 막 단위체(CU)와, 상기 막 단위체(CU)의 상부 양측 방향으로 연결된 메인와이어(40), 상기 막 단위체(CU)의 하부 양측 방향으로 연결된 서브와이어(41) 및 상기 막 단위체(CU)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막 단위체(CU)의 무게추 역할을 하기 위한 무게중심수단(70)을 포함하며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메인와이어(40) 및 서브와이어(41)의 단부에는 본 말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을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매설되는 앵커(A)가 구비되게 된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A)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앵커(A)는 닻체(100)와, 상기 닻체(100) 일단에 구비되어 닻체(1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끝단에 닻날(250)을 구비하는 닻가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닻가지(200)는 상기 닻체(100) 일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닻체(10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면에는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기둥의 형상도 가능하며, 상기 닻체(100)의 단부(타단)에는 상기 메인와이어 또는 서브와이어 또는 이들 모두와 결합되는 제1 결합고리(110)가 형성되며, 닻체(100)의 단부(일단)에는 닻가지(200)가 결합되게 된다.
먼저 상기 닻체(100)의 단부(타단; 닻가지(200)가 구비되는 반대부분)에는 제1 결합고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고리(110)의 형상은 종래의 다양한 고리 형상으로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고리(110)와 닻체(100)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닻체(100)의 단부(일단; 닻가지(200)가 구비되는 방향)에는 닻가지(2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닻가지(200)는 상기 닻체(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속부(13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닻체(100)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된 지지굴절부(131)와, 결속핀(133A)이 결합될 수 있는 결속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130), 특히 상기 지지굴절부(131)의 양측에는 닻가지(200)가 고정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닻가지(200)는 상기 결속부(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닻가지(200)는 상기 결속부(130)에 결합되는 밀착부(210)와, 상기 밀착부(210)로부터 닻체(1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230) 단부에는 해저면에 매설되는 닻날(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닻가지(200)에 닻체(100)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30)가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절곡부(230)에 형성되는 닻가지(200)가 수중에서 빠져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상기 닻가지(200)는 상기 결속부(130)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데, 이 경우, 상기 닻가지(200)와 결속부(130)는 용접 등의 접합기술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보다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결속핀(133A)을 구비하여, 상기 결속부(130) 양측의 닻가지(200)의 밀착부(210)들과, 상기 밀착부(210)들 사이에 구비되는 결속공(133)을 관통시켜 2차적으로 고정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닻가지(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닻날(250)에는 뾰족부(251)를 형성하여 해저면에 상기 닻날(250)이 보다 용이하게 매설 및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닻날(250)과 닻가지(20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앵커(A)에는 앞서 설명한 닻가지(200) 외의 한 쌍의 보조닻가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앵커(A)에 대한 제2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닻체(100)의 단부(일단; 닻가지(200)가 구비되는 방향)에는 절곡부(230)가 형성되지 않는 닻체(100)와 평행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130)의 양측에 구비되는 닻가지(200)와, 서로 다른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닻가지(270)를 더 구비하여, 닻가지(200)의 평면 형상이 '十'자를 이루도록 4개의 닻가지(200)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닻가지(200)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닻가지(20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130)에 밀착되는 밀착부(210)와, 상기 밀착부(210)로부터 닻체(1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210)와 결속부(130)는 서로 용접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230)의 단부에는 닻날(2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닻날(250)은 상기 절곡부(230)에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별개의 분체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닻날(250)의 면적을 높여 보다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닻날(250)에는 뾰족부(251)가 형성되어 해저면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3은 상기 앵커(A)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닻체(100)의 4개의 닻가지(20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닻가지(200)와 닻날(250)은 일체형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닻가지(200)의 개별 형상은 상기 제1 실시예의 닻가지(200) 형상과 동일하게 절곡부(230)와 닻날(250)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닻가지(20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닻가지(200) 후면에 닻가지(200)의 면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기(25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닻가지(200) 및 닻날(250)이 해저면에 매몰되는 경우 해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마찰력이 증가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한편, 외부 충격 또는 물살에 의해 닻가지(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9 및 도 10은 상기 앵커(A)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닻체(100)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관통부(330)와, 상기 제1 및 제2 관통부(330)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보강파이프(333)를 포함하는 지지수단(3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300)이 결합되는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닻체(100) 중단의 제1 관통부(310)에는 원형의 제1 관통파이프(311)가 부착되고, 상기 제1 관통파이프(311)에 제1 보강파이프(313)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보강파이프(313)를 삽입 설치하는 이유는 앵커(A)를 작업장까지 이동시에는 상기 제1 관통파이프(311)에서 제1 보강파이프(313)를 빼고 이송하는 것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보강파이프(313)를 부착함으로서, 수압에 의해 닻체(100)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보강파이프(313)를 상기 제1 관통파이프(311)에 삽입 설치하되,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수단(400)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제1 보강파이프(313)에 구비되는 제1 고정공(410)과, 상기 제1 관통파이프(311)에 구비되는 제1 관통공(430) 및 상기 제1 고정공(410)과 제1 관통공(430)을 결합하는 고정볼트(450) 및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450)가 상기 제1 고정공(410) 및 제1 관통공(430)을 관통하여 고정하고, 이 고정볼트(450)의 단부에 고정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볼트(4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제1 관통파이프(311)에 제1 보강파이프(313)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해류에 의하여 상기 고정너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볼트(450)의 단부에는 지지공(45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공(451)에 결합되는 지지핀(453)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지지핀(453)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다리부(453A)와 상기 제1 다리부(453A)에서 절곡된 헤드부(453C), 및 상기 헤드부(453C)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다리부(453A) 상부로 연장되는 제2 다리부(453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다리부(453B)에는 복수개의 만곡부(453b)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다리부(453A)와 제2 다리부(453B)를 상기 지지공(451)에 삽입하면, 상기 만곡부(453b) 및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핀(453)이 지지공(451)에 밀착 고정되고, 이 때 헤드부(453C)로 인해 상기 지지공(451)을 관통하지 않고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핀(453)이 상기 고정너트의 일단을 지지함으로서, 고정너트가 고정볼트(4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해저에서 상기 제1 보강파이프(313)가 분리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닻체(100)에는 상기 제1 관통부(310) 하부에 제2 관통부(330)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제2 관통부(330)에는 제2 관통파이프(331) 및 제2 보강파이프(333)가 결합되며, 이는 앞서 설명한 제1 관통부(310)와 동일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제2 관통파이프에는 제1 관통공과 동일한 제2 관통공이, 제2 보강파이프에는 제1 고정공과 동일한 제2 고정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2 관통부(330)는 상기 제1 관통부(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관통부(310)와 직교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보강파이프(313)와 제2 보강파이프(333)가 서로 직교하는 형상을 이루어 결합됨으로서, 다방향으로 흐르는 해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닻체(100)의 단부(타단; 닻가지(200)가 구비되는 방향)에는 한 쌍의 닻가지(20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닻가지(200)에 보조닻가지(270)가 체결수단(500)에 의해 결합됨으로서, 환경 및 상황에 따라 2개의 닻가지(200) 또는 4개의 닻가지(200)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체결수단(500)에 대하여 각각의 구성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닻가지(2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닻체(100)에 결합(또는 용접)되어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닻가지(200)의 중심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부(51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510) 내측으로 안착부(53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530)에는 안착홈(5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닻가지(270)에는 상기 안착부(530)에 내삽되는 대응체결부(550)가 구비되며, 상기 대응체결부(550)는 상기 안착홈(53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551)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닻가지(200)와 보조닻가지(270)는 상기 안착홈(531)에 안착돌기(551)가 결합됨에 따라 닻가지(200)의 평면 형상이 제2 실시예와 동일한 '十'자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510)는 상기 보조닻가지(270)의 대응체결부(550)의 양측을 감싸며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닻가지(200)와 보조닻가지(27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부(510)에는 제1 체결공(51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조닻가지(270)의 안착돌기(551)에는 상기 제1 체결공(511)에 대응할 수 있는 제2 체결공(55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공(511)과 제2 체결공(551A)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체결볼트(551B)를 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체결볼트(551B) 단부에는 체결너트(551C)를 결합하여 체결볼트(551B)와 견고하게 결합하여 닻가지(200)와 보조닻가지(2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볼트(551B)의 단부에는 앞서 설명한 지지핀(453)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체결핀(551D)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핀(551D)이 체결볼트(551B)의 단부에 결합되어 체결너트(551C)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안전한 결합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체결핀(551D)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기 지지핀(453)과 동일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 시공용 장치(A)의 상기 막체(10)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보강부재(20)에는 이음부(22)가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막 단위체(CU)의 각 이음부(22)를 연결하여 형성된 오탁방지막(SP)의 설치 시에 상기 메인와이어(40)와 서브와이어(41)의 각 단부에 연결되어 해수 중에 매설된다.
상기 막 단위체(CU)는 막체(10)의 가장자리 또는 막면에 교차 배열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의 위치에 보강부재(20)를 연결하고, 상기 막체(10) 상부에 부유체(30)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막 단위체(CU)는 오탁수가 공사장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막체(10)와, 상기 막체(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20)와, 상기 막 단위체(CU)를 부유 및/또는 부상하게 하는 부유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막 단위체(CU)에서 상기 막체(10)의 길이는 20m이고, 그 폭은 설계조위(H.W.O.S.T.)를 준수하여 총 소요수심이 10m 이상일 때, 상기 막체(10)의 폭은 총 소요수심의 1/3배로 보고, 총 소요수심이 10m 이하일 때, 총 소요수심의 2/3배 정도로 막체(10)의 폭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막 단위체(CU)에서 상기 보강부재(20)는 막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거나, 상기 막체(10)의 막면에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연결되거나, 상기 막체(10)의 가장자리는 물론, 상기 막면에도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띠 형태의 보강벨트로 상기 막체(10)의 양측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막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보강벨트(21)와, 상기 막체(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상기 막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보강벨트(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막체(10)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수직보강벨트(21)에는 이음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부(22)는 수직보강벨트(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아일릿(22a)으로 구성되고, 상호 인접한 막 단위체(CU)의 이음부(22), 즉 상기 아일릿(22a)에 연결끈(22b) 및/또는 와이어 등을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하여 각 막 단위체(CU)을 연결하여 오탁방지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막 단위체(CU)를 연결하기 위해 이음부(22)가 형성된 상기 수직보강벨트(21) 부분, 즉 인접한 막 단위체(CU)가 연결되는 상기 막체(10)의 양측단부는 바람, 파랑, 조류 등과 같이 해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조건에 따라 취약부가 된다.
따라서 상기 막체(10)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수직보강벨트(21) 부분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덧댄천(25)이 연결되는데, 상기 덧댄천(25)은 상기 수직보강벨트(21)를 연결하기 전에 상기 막체(10)의 양측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덧댄천(25) 위에 수직보강벨트(21)를 연결하는 방식과, 또는 상기 덧댄천(25)을 막체(10)와 수직보강벨트(21) 사이에 위치시킨 후 동시에 연결하는 방식이 있다.
다만 상기 덧댄천(25)과 수직보강벨트(21)를 연결하는 방식의 선택은 생산성,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신속성 등의 다양한 팩트를 고려하여 설계 시 결정될 수 있는 사항이다.
더 나아가 상기 각 막 단위체(CU)의 연결부(35a)에는 각 막 단위체(CU)의 수평보강벨트(23)가 일렬로 배열되는데, 상기 수평보강벨트(23)의 단부 부분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스틸플레이트(27)가 연결되어 있고,상기 각 스틸플레이트(27)에는 끼움공(27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스틸플레이트(27)를 연결하기 위해 'U' 자형 쉐클(shackle)(29)이 구비되고, 상기 'U' 자형 쉐클(29)의 각 단부에는 관통공(29a)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인접한 각 스틸플레이트(27) 중 어느 한 스틸플레이트(27)의 끼움공(27a)에 상기 쉐클(29)을 삽입시킨 후, 나머지 다른 스틸플레이트(27)의 끼움공(27a)과 상기 쉐클(29)의 각 관통공(29a)에 볼트(B)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B)에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인접한 각 스틸플레이트(27)를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막 단위체(CU) 하부에는 무게중심수단(70)이 구비되는데, 상기 무게중심수단(70)은 상기 막 단위체(CU) 하부에 일정한 간격,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직보강벨트(21)가 위치하는 부분에 다수의 체인(71)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게중심수단(70)인 체인(71)은 오탁방지막(SP)을 형성하는 각 막 단위체(CU)가 해수면을 기준으로 90도 서게 하는 역할을 하고, 해수의 급격한 변동이 있거나 태풍이 있는 경우에 해수의 유동 방향으로 스윙 운동을 했다가 그 무게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막체(10)가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게중심수단(70)인 체인(71)은 막 단위체(CU)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벨트(23)에 형성된 삽입공(23a)에는 상기 'U' 자형 쉐클(29)이 볼트(B)와 너트(N)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각 쉐클(29)에는 체인(71)이 연결되어 있어 다수의 체인(71)들이 쉐클(29)에 연결된 체인(71)과 연결되어 막 단위체(CU)의 무게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쉐클(29)은 수평보강벨트(23)에 여러 지점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각 쉐클에 연결된 상기 무게중심수단(70)에 의하여 막 단위체(CU), 더 나아가 오탁방지막의 무게중심이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막 단위체(CU)의 하단부에 구비된 수평보강벨트(23)에서 상기 쉐클(29)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체인(71)에 의한 하중이 집중됨으로 이 지점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스틸플레이트(27)를 각 수평보강벨트(23)에 볼트(B)를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하중 집중으로 인하여 막 단위체(CU)의 특정 지점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 시공용 장치의 부유체(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단위체(CU)를 해수면으로 부유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막 단위체(CU) 상부에 형성된 보호주머니(11)에 내장되고, 전후방 부분에 삽입부(32)가 형성된 한 쌍의 부유분체(31)와, 상기 각 부유분체(31)의 삽입부(32)에 상응하는 대응삽입부(34)를 갖고, 상기 보호주머니(11)를 덮어 상기 각 부유분체(31)를 고정시키는 커버(33)와, 상기 각 커버(33)의 대응삽입부(34)를 감싸고, 체결수단(37)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밴딩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부유체(30)를 하나의 몸체(61)로 형성하지 않고, 단면 형상이 반원 형태로 분리된 한 쌍의 부유분체(31)로 구성하는 것은 막 단위체(CU)의 상단 부분에 부유체(30)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보호주머니(11)가 구비되고, 이때 상기 보호주머니(11) 내부에는 수평보강벨트(23)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하나의 몸체(61)로 구성된 부유분체(31)를 보호주머니(11)에 삽입하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보호주머니(11) 내의 수평보강벨트(23)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부유분체(31)가 보호주머니(11)에 내장되며, 상기 각 부유분체(31)의 삽입부(32)는 반원 형태의 삽입홈(32a)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 부유분체(31)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각 부유분체(31)를 상기 보호주머니(11) 내에 삽입한 후, 각 부유분체(31)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33)가 보호주머니(11)의 양측 방향에서 감싸 각 부유분체(31)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각 부유분체(31)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상기 커버(33)의 대응삽입부(34)는 커버(33)의 내측부로는 반원 형태의 돌기(34a)이고, 커버(33)의 외측부로는 반원 형태의 요홈(34b)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커버(33)가 보호주머니(11)를 감싸는 경우 상기 대응삽입부(34)의 돌기(34a)가 상기 부유분체(31)의 삽입홈(32a)에 끼워져 각 부유분체(31)와 커버(33)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밴딩부재(35)는 상기 대응삽입부(34)의 요홈(34b)에 삽입될 수 있는 반원 형태의 밴드로 상기 각 커버(33)의 요홈(34b)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밴딩부재(35)의 양단부에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밴딩부재(35)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상호 맞닿는 연결부(35a)가 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부(35a)에는 관통홀(35b)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37)인 볼트(B)를 각 관통홀(35b)에 삽입한 후 너트(N)로 체결하여 한 쌍의 밴딩부재(35)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대응삽입부(34)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35a)의 관통홀(35b)에 대응하는 볼트홀(3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밴딩부재(35)를 결합시키는 경우 볼트(B)를 상기 관통홀(35b) 및 볼트홀(33a)에 삽입된 후, 볼트(B)에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커버(33)와 밴딩부재(35)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30)는 보호주머니(11), 커버(33) 및 밴딩부재(35)에 의하여 해수의 급격한 변동에도 부유분체(31)가 유실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와이어(4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막 단위체(CU)의 보강부재(20), 즉 수직보강벨트(21)가 위치하는 양측부와 중앙 상부 부분에 연결고리(52a)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고리(52a)에 메인와이어(40)를 연결한 후, 앞서 설명한 닻가지형 앵커(A)를 상기 메인와이어(40)의 각 단부에 연결하게 되고, 서브와이어에도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오탁방지막을 형성하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오탁방지막 시공용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P : 오탁방지막 CU : 막 단위체
A: 앵커
100 : 닻체 110 : 제1 결합고리
130 : 결속부 131 : 지지굴절부
133 : 결속공 133A : 결속핀
200 ; 닻가지 210 ; 밀착부
230 : 절곡부 250 : 닻날
251 : 뾰족부 253 : 보강돌기
270 : 보조닻가지 300 : 지지수단
310 : 제1 관통부 311 : 제1 관통파이프
313 : 제1 보강파이프 330 : 제2 관통부
331 : 제2 관통파이프 333 : 제2 보강파이프
400 : 고정수단 410 : 제1 고정공
430 : 제1 관통공 450 : 고정볼트
451 : 지지공 453 ; 지지핀
453A : 제1 다리부 453B ; 제2 다리부
453b : 만곡부 453C ; 헤드부
470 : 고정너트 500 : 체결수단
510 : 체결부 511 : 제1 체결공
530 : 안착부 531 : 안착홈
550 : 대응체결부 551 : 안착돌기
551A ; 제2 체결공 551B : 체결볼트
551C ; 체결너트 551D ; 체결핀
B : 볼트 N : 너트
10 : 막체 11 : 보호주머니
20 : 보강부재 21 : 수직보강벨트
22 : 이음부 22a : 아일릿
22b : 연결끈 23 : 수평보강벨트
23a : 삽입공 25 : 덧댄천
27 : 스틸플레이트 27a : 끼움공
29 : 쉐클 29a : 관통공
30 : 부유체 31 : 부유분체
32 : 삽입부 32a : 삽입홈
33 : 커버 33a : 볼트홀
34 : 대응삽입부 34a : 돌기
34b : 요홈 35 : 밴딩부재
35a : 연결부 35b : 관통홀
37 : 체결수단 40 : 메인와이어
41 : 서브와이어

Claims (4)

  1. 상부에 부유체(30)를 연결하여 형성된 막 단위체(CU);
    상기 막 단위체(CU) 양측 방향으로 연결된 메인와이어(40)와 서브와이어(41); 및
    상기 메인와이어(40)와 서브와이어(41)에 고정되어 해수 중에 매설되는 앵커(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A)는
    닻체(100)와, 상기 닻체(100) 일단에 구비되어 닻체(1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끝단에 닻날(250)을 구비하는 닻가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닻가지(200)는 상기 닻체(100) 일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닻체(100) 끝단에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보조닻가지(270) 한 쌍이 더 구비되어 네 개의 닻가지가 '十'자 형상을 이루어지며,

    상기 닻체(100)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관통부(310)(330)와 상기 제1 관통부(310)와 제2 관통부(330)에 각각 구비되는 원형의 제1 및 제2 관통파이프(311)(331), 상기 제1 및 제2 관통파이프(311)(331)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보강파이프(313)(333)를 포함하는 지지수단(30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파이프(311)(331)와, 상기 제1 및 제2 관통파이프(311)(331)에 각각 내삽되어 구비되는 제1 및 제2 보강파이프(313)(33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제1 및 제2 보강파이프(313)(333)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고정공과(410)(미도시), 상기 제1 및 제2 관통파이프(311)(33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관통공(430)(미도시), 상기 제1 고정공(410)과 제1 관통공(430), 제2 고정공과 제2 관통공을 각각 결합하는 고정볼트(450) 및 고정너트(4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볼트(450)의 단부에는 지지공(45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451)에 결합되되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다리부(453A)와 상기 제1 다리부(453A)에서 절곡된 헤드부(453C) 및 상기 헤드부(453C)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다리부(453A)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다리부(453B)로 이루어진 지지핀(453)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닻가지(270)와 닻가지(200)는 체결수단(500)에 의해 탈착 결합되되,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닻가지(200)에 돌출 형성되어 안착부(530)를 형성하는 체결부(510)와, 상기 보조닻가지(270)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510)에 교차되어 상기 안착부(530)에 안착되는 대응체결부(550), 상기 체결부(510)와 대응체결부(550)를 결합하는 체결볼트(551B), 상기 체결볼트(551B)에 결합되는 체결너트(551C) 및 상기 체결볼트(551B)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핀(55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되,
    상기 안착부(530)에는 안착홈(531)이 구비되고, 상기 대응체결부(550)에는 상기 안착홈(53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551)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닻가지(270)가 상기 닻가지(200)에 견고하게 교차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닻가지(270) 또는 보조닻가지(200) 또는 이들 모두에는 보강돌기(25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510)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체결부(510)에는 제1 체결공(51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보조닻가지(200)의 안착돌기(551)에는 상기 제1 체결공(511)에 대응할 수 있는 제2 체결공(551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551B)가 제1 체결공(511)과 제2 체결공(551A)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453)의 제2 다리부(453B)에는 복수개의 만곡부(453b)가 형성되어, 상기 만곡부(453b) 및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핀(453)이 지지공(451)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KR1020150021602A 2015-02-12 2015-02-12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KR10154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602A KR101548352B1 (ko) 2015-02-12 2015-02-12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602A KR101548352B1 (ko) 2015-02-12 2015-02-12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352B1 true KR101548352B1 (ko) 2015-08-31

Family

ID=5406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602A KR101548352B1 (ko) 2015-02-12 2015-02-12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3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684B1 (ko) * 2003-12-03 2004-08-21 전명춘 지지용 앵커
KR100836016B1 (ko) * 2007-08-23 2008-06-09 변재남 오탁방지막 시공용 닻가지형 앵커
KR101030258B1 (ko) * 2010-05-17 2011-04-22 창신개발(주)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684B1 (ko) * 2003-12-03 2004-08-21 전명춘 지지용 앵커
KR100836016B1 (ko) * 2007-08-23 2008-06-09 변재남 오탁방지막 시공용 닻가지형 앵커
KR101030258B1 (ko) * 2010-05-17 2011-04-22 창신개발(주)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285A (en) Mat installation
AU2006272973A2 (en) An artificial reef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rtificial reef
CN217027226U (zh) 海洋工程底部桩基础用防冲刷装置
US4906130A (en) Anti-scouring device for a dam stilling basin or approach
KR101548352B1 (ko) 오탁 방지막 시공용 장치
US8790039B2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s with anti pollution barrier
KR101030258B1 (ko)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US4342277A (en) Anchoring system for floating moorage
KR101030259B1 (ko)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101066118B1 (ko) 앵커 및 이를 갖는 오탁방지막
KR101251602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오탁방지망 고정장치
KR100615966B1 (ko) 혼성된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KR100690062B1 (ko) 유로용 세굴 방지 블록
CN106592549A (zh) 一种柔性蓝藻围隔装置
US7637693B2 (en) Boom support arm and use thereof
KR100225025B1 (ko) 오탁방지장치
KR20130024657A (ko) 오탁방지장치
KR101012085B1 (ko) 부류식 수력발전장치
CN218933045U (zh) 一种耐化学品围油栏
JP2815682B2 (ja) 汚濁防止膜
JPH0414496Y2 (ko)
KR200221964Y1 (ko) 자력을 이용한 오일펜스
KR100188519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JP3788644B2 (ja) マット部材接続部の補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