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195B1 -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195B1
KR101548195B1 KR1020140080435A KR20140080435A KR101548195B1 KR 101548195 B1 KR101548195 B1 KR 101548195B1 KR 1020140080435 A KR1020140080435 A KR 1020140080435A KR 20140080435 A KR20140080435 A KR 20140080435A KR 101548195 B1 KR101548195 B1 KR 10154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ngerprint
fingerprint recognition
recognition unit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빈
박서정
장지홍
윤경서
서준수
Original Assignee
송유빈
박서정
서준수
윤경서
장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빈, 박서정, 서준수, 윤경서, 장지홍 filed Critical 송유빈
Priority to KR102014008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는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의 지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부여하고,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등을 상이하게 제공 가능하여 기존에는 가족들의 공동 기기였던 TV를 개인 기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에 복수의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이하 TV)은 19세기 말에 처음 등장한 이후, 화면 표시 방법이나 디자인 등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20세기 후반부터 가장 대중적인 정보 전달 기기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특히 기술의 발달로 인한 스마트 TV(Smart TV)의 등장으로 인해 종래의 TV의 고유 기능인 시청하기를 넘어선 다양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 TV는 프로세서 형태로 스마트 TV에 포함되거나 셋탑박스 형태로 스마트 TV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하거나 각종 앱(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해 웹 서핑 및 VOD 시청을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를 진행하거나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및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스마트 TV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 TV 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더욱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나 영화를 시청하는 경우)에 맞도록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TV는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동사용기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연령, 성별, 시청 시간대 및 방송 취향 등이 모두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없으며, 종래의 스마트 TV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스마트 TV에도 스마트 폰과 같이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가 제공되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동일한 기능들을 지원함에 불구하고, 스마트 TV의 크기가 크고 이동이 불가하다는 점에서 스마트 TV를 개인화하여 스마트폰처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즉, 종래의 스마트 TV는 스마트폰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가족들의 공공 기기에 해당되어 가족 개인별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관심 채널, 시청 가능 채널 등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개인화된 기기로 활용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등을 상이하게 제공 가능하여 기존에는 가족들의 공동 기기였던 TV를 개인 기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에 복수의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는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의 지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부여하고,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온라인 영상 및 위젯(wig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 별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부는, 복수의 지문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 별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부는, 상기 리모컨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지문 인식부; 및 상기 리모컨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지문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2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외부에서 수신된 TV 신호를 출력하는 TV 시청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기 저장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컨의 조작 입력을 받아 게임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분석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지문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리모컨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상기 리모컨의 지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온라인 영상 및 위젯(wig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을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들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에 포함된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컨을 통해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을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들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컨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지문 인식부 또는 상기 리모컨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지문 인식부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2 동작 모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외부에서 수신된 TV 신호를 출력하는 TV 시청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기 저장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컨의 조작 입력을 받아 게임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수집된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지문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등을 상이하게 제공 가능하여 기존에는 가족들의 공동 기기였던 TV를 개인 기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에 복수의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에서 지문 인식에 따른 동작 모드 전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에서 지문 인식에 따른 동작 모드 전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은 리모컨(100), 리모컨(100)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디스플레이(2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스마트 TV에 포함되어 스마트 TV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또는 디스플레이 외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셋톱 박스(setop box)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리모컨(100)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10)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리모컨(100)의 지문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부여하고,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온라인 영상 및 위젯(wig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사용자 별 사용자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등을 제공받게 되어 TV를 개인 기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 별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지문 인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로부터 확인을 받은 경우, 자신이 제공받은 사용자 컨텐츠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꾸미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관심 채널, 시청 가능 채널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에 의해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아이디는 마스터 아이디 및 개인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마스터 아이디만 개인 아이디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아이디를 가진 부모가 개인 아이디를 가진 자녀의 사용자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모는 자녀가 자극적인 내용의 성인 채널을 시청할 수 없도록 시청 가능 채널을 설정하거나, 성인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각 사용자들의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들이 어떠한 사용자 컨텐츠를 선호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지문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에 맞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업체의 입장에서는 효과적으로 자신의 컨텐츠를 홍보하고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리모컨(100) 및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리모컨(100)은 지문 인식부(110) 이외에도 입력부(120) 및 배터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문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에 해당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문 인식 결과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에 송신되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에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모컨(100)의 지문 인식부(110)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예가 도시된다. 도 3에서는 사용자의 엄지 지문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손가락의 지문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로부터 아이디를 부여받을 수 있음에 유의한다.
입력부(120)는 리모컨(100)의 본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키, 즉 버튼이나 휠, 또는 조그(jog) 셔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입력부(120)는 TV 시청 조작을 위한 제1 입력부(120-1) 및 게임 조작을 위한 제2 입력부(120-2) 등과 같이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부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30)는 리모컨(100)이 무선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 전지 혹은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차 전지인 경우 리튬 이온 2차 전지,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배터리(13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SB 포트/커넥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로부터 충전되거나 또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100)의 지문 인식부(110)는 복수의 지문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 모드도 사용자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 별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리모컨(100)의 지문 인식부(110)는 리모컨(1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지문 인식부(110-1) 및 리모컨(10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지문 인식부(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제1 지문 인식부(110-1)에 대응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지문 인식부(120-1)에 대응되는 제2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제1 지문 인식부(110-1)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지문 인식부(120-1)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모컨(100)의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가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예가 도시된다. 도 4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외부에서 수신된 TV 신호를 출력하는 TV 시청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에 기 저장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리모컨(100)의 조작 입력을 받아 게임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모드이다. 도 4에서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의 2개의 동작 모드만 예시로 설명되었으나, 리모컨(100)은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지문 인식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 모드도 3개 이상의 동작 모드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지문 인식부(110-1)에 지문을 인식하게 되면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가 TV 시청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리모컨(100)의 제1 입력부(120-1)가 활성화 되게 되어 TV 시청을 위한 버튼 조작만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도 4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지문 인식부(110-2)에 지문을 인식하게 되면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가 게임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리모컨(100)의 제2 입력부(120-2, 120-3)가 활성화 되게 되어 게임 조작을 위한 버튼 조작만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한 면의 지문 인식부(110)에 지문을 인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의 동작 전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메모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리모컨(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RF, 와이브로, HSDPA, 와이파이, 와이맥스, ZIGBEE, Bluetooth, UWB, IrDA, SWA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아직 개발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통신부(210)는 상술된 기능 외에 리모컨(100)과 기본적인 통신이 가능하고 다양한 입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제어부(220)는 리모컨(100)의 지문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를 부여하고,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그리고 지문 인식부(110)의 지문 인식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상기 도 4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문 인식부(110-1)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1 동작 모드 즉, TV 시청 모드로 전환하고 제2 지문 인식부(120-1)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2 동작 모드 즉, 게임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의 동작 모드는 TV 시청 모드 또는 게임 모드 이외에 기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설정 모드가 추가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메모리부(230)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에 관련된 각종 정보들 및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설정 정보, 사용자의 동작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30)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게임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웹 연결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리모컨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한다(S11).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상기 리모컨의 지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를 부여한다(S12).
그리고 나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한다(S13).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을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들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에 포함된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집된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지문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과 유사하게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과정이 진행되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 내지 도 4에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서도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들은 모든 단계가 필수 단계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단계가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리모컨
110: 지문 인식부
120: 입력부
130: 배터리
200: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5: 디스플레이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메모리부
300: 서버

Claims (18)

  1.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복수의 지문 인식부;를 구비하는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의 복수의 지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부여하고,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온라인 영상 및 위젯(wig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 별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 별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는,
    상기 리모컨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지문 인식부; 및
    상기 리모컨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지문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2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외부에서 수신된 TV 신호를 출력하는 TV 시청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기 저장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컨의 조작 입력을 받아 게임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분석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지문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10. 리모컨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에 포함된 복수의 지문 인식부 중 하나 이상의 지문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상기 리모컨의 지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지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인식된 지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부에 해당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시청 가능 채널, 관심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채널,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했던 온라인 영상 및 위젯(wig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을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들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을 통해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을 상기 아이디를 부여 받은 사용자들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지문 인식부 또는 상기 리모컨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지문 인식부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지문 인식부에 대응되는 제2 동작 모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지문 인식부에 지문이 인식되면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외부에서 수신된 TV 신호를 출력하는 TV 시청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기 저장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컨의 조작 입력을 받아 게임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수집된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별 설정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별 설정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지문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방법.
KR1020140080435A 2014-06-30 2014-06-30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4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35A KR101548195B1 (ko) 2014-06-30 2014-06-30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35A KR101548195B1 (ko) 2014-06-30 2014-06-30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195B1 true KR101548195B1 (ko) 2015-09-03

Family

ID=5424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435A KR101548195B1 (ko) 2014-06-30 2014-06-30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46A1 (en) * 2018-07-25 2020-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aware remote control for shared devices
US10795435B2 (en) 2018-07-19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eye tracker
KR102202712B1 (ko) * 2019-12-05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케이랩스 영상 제공 기기 초기 화면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435B2 (en) 2018-07-19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eye tracker
WO2020022646A1 (en) * 2018-07-25 2020-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aware remote control for shared devices
US11159840B2 (en) 2018-07-25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aware remote control for shared devices
KR102202712B1 (ko) * 2019-12-05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케이랩스 영상 제공 기기 초기 화면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9955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CN105578229A (zh) 电子设备控制方法和装置
EP334217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canning channels in electronic device
EP2927842A2 (en) Automatic image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EP2919478A1 (e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vent
US20110221622A1 (en) Remote control with user identification sensor
US20170300192A1 (en) Method of providing multi-screen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1548195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275779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built information using the same
EP2992939B1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N103037263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50365728A1 (en) Display system and program selection method thereof
KR102194011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13948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5198428A (ja) 視聴情報取得装置
EP3625959B1 (en) Electronic device, audio out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1064448B1 (ko) Tv 프로그램 정보 관리 방법 및 리모컨
US20110283315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providing interactivity independent of service provider equipment and video output device
US2017011843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tv program accompanying sounds
US20140067916A1 (e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US20210306695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delivery system
KR2015012676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제어 시스템
KR102097173B1 (ko)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4297367A1 (en) Messenger connection method in multi-messenger service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KR20160073219A (ko) 스마트 tv의 맞춤형 홈스크린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