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943B1 -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943B1
KR101547943B1 KR1020130154908A KR20130154908A KR101547943B1 KR 101547943 B1 KR101547943 B1 KR 101547943B1 KR 1020130154908 A KR1020130154908 A KR 1020130154908A KR 20130154908 A KR20130154908 A KR 20130154908A KR 101547943 B1 KR101547943 B1 KR 10154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
watershed
boundary
altitude
watershe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809A (ko
Inventor
최윤석
김경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9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EM 수정시 지형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DEM을 이용하여 실제와 일치되는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공인된 자료에서 추출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폴리곤)를 기본 데이터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어그리 버닝 방법을 통해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낮게 변경하는 어그리 버닝 처리부와,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에서 추출된 DEM을 분석하는 DEM 분석부와, 상기 DEM 분석부에서 분석된 DEM을 기반으로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와, 상기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에서 추출된 유역경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유역경계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을 선정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와, 상기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에서 오차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이전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높게 변경하여 DEM 분석부로 전달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shed Extraction using Polygon and Digital Elevation Model}
본 발명은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EM 수정시 지형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DEM을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은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사업을 통해 전국에 걸친 수치지형도, 공통주제도, DEM, 수자원단위지도 등이 구축되어 있으며,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등으로부터 배수구역도 등이 마련되어 있다.
수자원 분야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문학적 공간정보를 생성하고 있으며, DEM을 이용하여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생성하는 기술은 수자원 GIS 분야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DEM을 이용하여 유역경계를 생성할 때는 DEM의 해상도 문제, 고도 관측오차, 자료처리 과정의 오차 등으로 인해서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공인된 유역경계(수자원단위지도, 배수구역도 등)와 일치된 유역경계를 생성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DEM을 이용하여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생성할 때 공인된 유역경계와 일치시키기 위해서, 기존에는 DEM 혹은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의 고도를 수작업으로 수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역경계를 생성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DEM을 이용하여 공인된 유역경계와 일치되는 유역경계를 생성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자동화된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기술('New England Method with Watershed Boundary Dataset(USGS, 2009))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폴리곤)를 기본 데이터로 준비한 후(S10), 준비된 벡터 하천망을 이용한 어그리 버닝(Agree Burning)(S20)과 폴리곤 유역 경계를 이용한 월링(Walling) 방법을 이용해서 DEM을 수정한다(S30).
그리고 상기 수정된 DEM을 분석하여(S40)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함으로써(S50),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하천망 및 유역경계와 동일한 위치의 자료를 DEM으로부터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어그리 버닝 방법(S20)은 DEM에서 하천망을 추출할 때 기존의 벡터 하천망과 동일한 위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인위적으로 낮게 수정한 후, 수정된 DEM을 분석하여 하천망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월링 방법(S30)은 DEM에서 유역경계(Watershed boundary)를 추출할 때 기존의 벡터 유역경계(폴리곤)와 동일한 영역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기존 벡터 유역경계 부분의 EDM 셀의 고도를 인위적으로 10,000m 높게 수정한 후, 수정된 DEM을 분석하여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종래기술에서는 월링 방법 시에 유역 경계부분의 DEM 고도를 과도하게 높게 부여함으로써 수정된 DEM으로부터 생성된 유역경계가 월링시 사용된 폴리곤 유역경계와 일치되게 할 수는 있으나, 수정된 DEM으로부터 계산되는 수문학적 지형인자(유역 평균경사, 유역 평균고도, 유역의 고도분포 등)는 크게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월링 방법 시에 유역 경계부분의 DEM 고도를 과도하게 높게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폴리곤 유역경계만을 적용할 수 있으며, 유역 내부가 소유역으로 분할된 폴리곤은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DEM을 이용하여 유역경계를 추출할 때,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공인된 유역경계(수자원단위지도, 배수구역도 등)와 일치된 유역경계를 얻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239827 : 제외지 및 제내지 지형자료 통합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10-0898618 : 기준점 표석 매설을 통하여 육상부와 수심부가 함께 공존하는 지역의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DEM 수정시 지형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DEM을 이용하여 실제와 일치되는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의 특징은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공인된 자료에서 추출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폴리곤)를 기본 데이터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어그리 버닝 방법을 통해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를 낮게 변경하는 어그리 버닝 처리부와,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에서 추출된 DEM을 분석하는 DEM 분석부와, 상기 DEM 분석부에서 분석된 DEM을 기반으로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와, 상기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에서 추출된 유역경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유역경계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을 선정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와, 상기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에서 오차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이전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높게 변경하여 DEM 분석부로 전달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에서 어그리 버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정보는 기존의 벡터 하천망을 중심으로 좌우의 고도수정 영역의 범위 정보를 나타내는 버퍼 길이(buffer distance)와, 버퍼 길이 내에서의 고도수정 값의 정보를 나타내는 스무스 길이(smooth distance)와, 기존의 벡터 하천망과 동일한 위치에서의 DEM 수정 깊이 정보를 나타내는 샤프 길이(sharp distan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는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수 cm ~ 수십 m로 낮게 변경하여 DEM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에서 전달되는 오차 구간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반복적으로 수 cm ~ 수십 m로 높게 변경하여 DEM을 생성함에 따라, 오차가 검출되는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고도를 수 cm ~ 수십 m씩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방법의 특징은 (A)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폴리곤)를 기본 데이터로 저장부에 저장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저장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어그리 버닝 방법을 통해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낮게 변경하는 단계와, (C) 상기 변경된 DEM을 분석하고, 분석된 DEM을 기반으로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추출된 유역경계를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유역경계 폴리곤(WB)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E) 상기 확인 결과,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이 확인되면, 오차 구간으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높게 수정한 후, 다시 DEM을 분석하여 하천망 및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수 cm ~ 수십 m로 낮게 변경하여 DEM 및 하천망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DEM 셀의 현재 고도를 다시 수 cm ~ 수십 m로 높게 변경하여 DEM을 다시 분석하여, 오차가 검출되는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고도를 변경하면서 반복적으로 하천망 및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시 DEM의 고도 분석을 통해서 유역경계를 추출하기 어려운 구간인 유역 중하류의 평탄지 지역과 토지 개발로 인하여 인위적인 배수구역이 설정된 지역에 대해서 제공되는 유역 폴리곤을 이용하여 DEM을 수정함으로써 DEM으로부터 추출된 추출 유역(배수영역)이 실제 유역(배수영역)과 일치되게 할 수 있다.
둘째, DEM 수정시 지형의 왜곡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정된 DEM으로부터 생성된 수문학적 지형인자가 실제와 가까운 값을 얻을 수 있다.
셋째, 다수의 소유역으로 분할된 유역에 대해서도 각 소유역 경계를 DEM을 이용하여 실제와 일치되게 추출할 수 있다.
넷째, 기존에는 DEM을 이용하여 추출된 유역경계를 수문분석에 그대로 활용하지 못했거나, 정확한 유역경계 추출을 위하여 TIN 혹은 DEM 셀의 고도를 각각 수작업으로 수정하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지형분석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유역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의 어그리 버닝 처리부에서 수정하는 DEM 셀의 고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유역추출 장치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공인된 자료(DEM, 수자원단위지도, 배수구역도 등)에서 추출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폴리곤)를 기본 데이터로 저장하는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어그리 버닝 방법을 통해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수 cm ~ 수십 m로 낮게 변경하여 DEM을 수정하는 어그리 버닝 처리부(20)와,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20)와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60)에서 수정된 DEM을 분석하는 DEM 분석부(30)와, 상기 DEM 분석부(30)에서 분석된 DEM을 기반으로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40)와, 상기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40)에서 추출된 유역경계와 저장부(10)에 저장된 유역경계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을 선정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50)와, 상기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50)에서 오차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수정하여 상기 DEM 분석부(30)로 전달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20)에서 어그리 버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정보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존의 벡터 하천망을 중심으로 좌우의 고도수정 영역의 범위 정보를 나타내는 버퍼 길이(buffer distance)와, 버퍼 길이 내에서의 고도수정 값의 정보를 나타내는 스무스 길이(smooth distance)와, 기존의 벡터 하천망과 동일한 위치에서의 DEM 수정 깊이 정보를 나타내는 샤프 길이(sharp distance)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60)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50)에서 전달되는 오차 구간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수 cm ~ 수십 m로 반복적으로 높게 변경하여 DEM을 생성함에 따라, 오차가 검출되는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고도를 수 cm ~ 수십 m씩 증가 시키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유역경계와 동일한 위치에서 유역경계를 추출하고, 지형의 왜곡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DEM 셀의 고도를 변경하는 수 cm ~ 수십 m의 값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기존 자료(DEM, 수자원단위지도, 배수구역도 등)를 활용하여 구축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폴리곤)를 기본 데이터로 저장부에 저장하여 준비한다(S100).
그리고 어그리 버닝 처리부(20)를 통해 저장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어그리 버닝 방법을 통해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수 cm ~ 수십 m로 낮게 변경한다(S200). 이때, 상기 어그리 버닝 방법은 기존의 벡터 하천망을 중심으로 좌우의 고도수정 영역의 범위 정보를 나타내는 버퍼 길이(buffer distance)와, 버퍼 길이 내에서의 고도수정 값의 정보를 나타내는 스무스 길이(smooth distance)와, 기존의 벡터 하천망과 동일한 위치에서의 DEM 수정 깊이 정보를 나타내는 샤프 길이(sharp distance)를 설정정보로 이용하여 DEM 셀의 고도를 변경한다.
그러면 DEM 분석부(30)를 통해 상기 변경된 DEM을 분석하고(S300), 이어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40)를 통해 상기 분석된 DEM을 기반으로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한다(S400).
그리고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50)를 통해 상기 추출된 유역경계를 저장부(10)에 저장된 유역경계 폴리곤(WB)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이 있는지 확인한다(S500).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이 확인되면(S500), 유역경계 오차 구간 수정부(60)를 통해 오차 구간으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다시 수 cm ~ 수십 m로 높게 수정한 후(S600), 이를 DEM 분석부(30)로 전달하여 다시 DEM을 분석하고(S300), 하천망 및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400).
이처럼, 유역경계 오차 구간이 존재하면, 오차 구간으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순차적으로 조금씩 높게 수정해가면서 반복적으로 DEM을 분석하여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DEM으로부터 추출된 추출 영역(배수영역)이 실제 유역(배수영역)과 일치되게 추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공인된 자료에서 추출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를 기본 데이터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어그리 버닝 방법을 통해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낮게 변경하는 어그리 버닝 처리부와,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에서 추출된 DEM을 분석하는 DEM 분석부와,
    상기 DEM 분석부에서 분석된 DEM을 기반으로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와,
    상기 하천망 및 유역경계 추출부에서 추출된 유역경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유역경계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을 선정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와,
    상기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에서 오차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이전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높게 변경하여 DEM 분석부로 전달하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유역경계 오차 구간 DEM 수정부는 유역경계 오차 구간 검출부에서 전달되는 오차 구간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반복적으로 수 cm ~ 수십 m로 높게 변경하여 DEM을 생성함에 따라, 오차가 검출되는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고도를 수 cm ~ 수십 m씩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에서 어그리 버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정보는 기존의 벡터 하천망을 중심으로 좌우의 고도수정 영역의 범위 정보를 나타내는 버퍼 길이(buffer distance)와, 버퍼 길이 내에서의 고도수정 값의 정보를 나타내는 스무스 길이(smooth distance)와, 기존의 벡터 하천망과 동일한 위치에서의 DEM 수정 깊이 정보를 나타내는 샤프 길이(sharp distan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리 버닝 처리부는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수 cm ~ 수십 m로 낮게 변경하여 DEM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4. 삭제
  5. (A)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된 DEM, 벡터 하천망 및 벡터 유역경계를 기본 데이터로 저장부에 저장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저장된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어그리 버닝 방법을 통해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낮게 변경하는 단계와,
    (C) 상기 변경된 DEM을 분석하고, 분석된 DEM을 기반으로 하천망과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추출된 유역경계를 저장부에 저장된 기존 유역경계 폴리곤(WB)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E) 상기 확인 결과, 차이가 있는 유역경계 구간이 확인되면, 오차 구간으로 검출된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현재 고도를 높게 수정한 후, 다시 DEM을 분석하여 하천망 및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E) 단계는
    DEM 셀의 현재 고도를 다시 수 cm ~ 수십 m로 높게 변경하여 DEM을 다시 분석하여, 오차가 검출되는 유역경계 위치에서의 DEM 셀의 고도를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반복적으로 하천망 및 유역경계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기존 벡터 하천망과 일치되는 DEM 셀의 고도를 앞에 설정된 DEM 셀의 고도 보다 수 cm ~ 수십 m로 낮게 변경하여 DEM 및 하천망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방법.
  7. 삭제
KR1020130154908A 2013-12-12 2013-12-12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54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08A KR101547943B1 (ko) 2013-12-12 2013-12-12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08A KR101547943B1 (ko) 2013-12-12 2013-12-12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09A KR20150068809A (ko) 2015-06-22
KR101547943B1 true KR101547943B1 (ko) 2015-08-27

Family

ID=5351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08A KR101547943B1 (ko) 2013-12-12 2013-12-12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440A (ko) 2022-01-28 2023-08-04 (주)헤르메시스 유역 분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111B (zh) * 2017-11-16 2019-11-29 河海大学 基于改进图论和水文模拟的河网水系连通度计算方法
KR102140795B1 (ko) * 2018-12-07 2020-08-04 (주)헤르메시스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6126983A (zh) * 2022-12-10 2023-05-16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基于dem确定多级流域出口位置的方法
CN116385684B (zh) * 2023-04-10 2023-11-03 长江水利委员会水文局 一种基于库岸点云的河道断面自动提取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경탁 외 1인, 'DEM에서의 Sink와 Flat Area 처리 알고리즘에 대한 비교 검토',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권 4호, 2005.12. pp.91-101
이자영, '하천유역구분을 위한 DEM 구축기법에 관한 연구 : 대전시 건천(乾川)유역을 사례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08
장현국, '항공사진과 DEM을 이용한 임야의 경계선 추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08
정인균, '유역경계 및 하천망 추출을 위한 DEM 전처리 기법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4.0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440A (ko) 2022-01-28 2023-08-04 (주)헤르메시스 유역 분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09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943B1 (ko) 폴리곤과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장치 및 방법
Zomlot et al. Trajectory analysis of land use and land cover maps to improve spatial–temporal patterns, and impact assessment on groundwater recharge
Woodrow et al. Evaluating DEM conditioning techniques, elevation source data, and grid resolution for field-scale hydrological parameter extraction
Eisank et al. Assessment of multiresolution segmentation for delimiting drumlins in digital elevation models
Yang et al. What is the effect of LiDAR-derived DEM resolution on large-scale watershed model results?
Verhagen et al. Object-based landform delineation and classification from DEMs for archaeological predictive mapping
CN110298211B (zh) 一种基于深度学习和高分辨率遥感影像的河网提取方法
CN106815850A (zh) 基于激光雷达技术获取甚高郁闭度森林蓄积量的方法
CN106920235B (zh) 基于矢量底图匹配的星载光学遥感影像自动校正方法
Tianqi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ew algorithm for automated pit removal for grid DEMs
Akram et al. Automatic Delineation of Drainage Networks and Catchments using DEM data and GIS Capabilities: A case study
Li et al. Quantifying short-term erosion and deposition in an active gully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A case study from West Tennessee, USA
KR101782559B1 (ko) 수치표고모델 기반 댐 건설 계획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CN108062631B (zh) 城市内涝风险评估方法、装置及终端
JP6146731B2 (ja) 座標補正装置、座標補正プログラム、及び座標補正方法
Li et al. AutoCirque: an automated method to delineate glacial cirque outlines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JP6798683B2 (ja) ポリゴン型地表面地物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ポリゴン型地表面地物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Matkan et al. Spatial analysis for outlier removal from LiDAR data
Zhang et al. Characterization of surface runoff pathways and erosion using hydrological attributes under simulated rainfall
Passalacqua et al. Comment on'Objective extraction of channel heads from high-resolution topographic data'by Fiona J. Clubb et al.
CN106372599A (zh) 一种蓄水拦泥期淤地坝的提取方法和系统
Mandlburger et al. Derivation of a countrywide river network based on Airborne Laser Scanning DEMs-results of a pilot study
CN114089371A (zh) 一种利用激光Lidar技术估算喀斯特地区地下土壤漏失量的方法
CN105740812B (zh) 一种基于数字表面模型的城市汇水区提取方法
CN111178372B (zh) 基于遥感影像和地形数据的大区域尺度黄土塬面提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