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729B1 - 소리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소리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729B1
KR101547729B1 KR1020130093173A KR20130093173A KR101547729B1 KR 101547729 B1 KR101547729 B1 KR 101547729B1 KR 1020130093173 A KR1020130093173 A KR 1020130093173A KR 20130093173 A KR20130093173 A KR 20130093173A KR 101547729 B1 KR101547729 B1 KR 10154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
user
sound collecting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190A (ko
Inventor
김충현
Original Assignee
김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현 filed Critical 김충현
Priority to KR102013009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7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소리수집장치가 개시된다. 소리수집장치는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리 수집부; 및 착용부를 포함하고, 소리 수집부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제1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고 신축 가능한 착용고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착용고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손바닥에 고정하고, 손바닥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소정의 곡률로 구부린 후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상기 소리 수집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리수집장치{SOUND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소리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간단히 착용하여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주변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소리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리는 공기를 매질로 하여 전달되는 음파이다. 이러한 소리는 공기중에서 퍼져서 사람들의 귀에 도달하여 고막을 진동시킴에 따라 사람들의 귀를 통해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소리는 예를 들면, 차량 및 사람들이 밀집되어 있는 도로변, 또는 스포츠 경기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서로 다른 진폭의 소리들이 공기중에 혼재되어 있으므로 듣고자 하는 특정 소리, 예를 들면, 옆 사람의 음성, 또는 스포츠 중계음과 같은 소리를 크게 듣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 발생된 소리는 공기를 매질로 하여 전파되면서 진폭이 감소하게 됨에 따라 소리의 볼륨이 낮아진다.
따라서 소리를 잘 듣기 위하여 소리를 수집하여 소리의 볼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소리수집장치(집음기)의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종이 등을 원통 또는 원추 형태로 말은 형태의 것이 실생활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고, 이보다 더욱 진화된 형태로서 파라볼릭(Parabolic) 형태의 집음부 및 집음부를 통해 수집된 소리를 전자적으로 들을 수 있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전자식 소리수집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리수집장치의 형태들 중에서 종이 등을 원통 또는 원추 형태로 말은 형태의 것은 반복적인 사용이 어렵고, 전자식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고 휴대가 간편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인식하여, 연구 끝에,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간편히 착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고, 길이를 가변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는 소리수집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리 수집부; 및 착용부를 포함하고, 소리 수집부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제1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고 신축 가능한 착용고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착용고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손바닥에 고정하고, 손바닥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소정의 곡률로 구부린 후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상기 소리 수집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수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착용고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벨크로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리 수집부는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슬릿이 상기 착용고리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슬릿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상기 슬릿이 위치하여 있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두 변과 평행하는 두 변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착용고리가 위치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의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수집장치는, 소리 수집부; 및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수집부는 소정의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덮는 2개의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2개의 덮개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둘러지는 착용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덮개의 일측 및 상기 착용밴드의 말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착용밴드의 착용시 사용자의 귓바퀴 주변에 위치하는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가 회전되어 상기 덮개가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수집장치는, 소리 수집부; 및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리 수집부는 소정의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덮는 2개의 덮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는 상기 헬멧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귀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덮개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헬멧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덮개는 힌지부를 통해 상기 헬멧과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헬멧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개구의 원주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덮개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리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리수집장치의 창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튜브 형태로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와 같이 구부러진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사용자의 귀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리수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수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리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리수집장치의 창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리수집장치는 소리 수집부(110) 및 착용부(120)를 포함한다.
소리 수집부(110)는 소리가 수집되는 부분이다. 소리 수집부(110)는 제1 플레이트(111)로 이루어진다. 제1 플레이트(111)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111)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화학 수지 계열 플라스틱, 엔지니어드 플라스틱 합성물(engineered plastic composite) 또는 플렉시블한 얇은 박판 형태의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111)의 내면은 음파의 난반사를 피하고 전반사가 될 정도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소리 수집부(110)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고, 구부러진 제1 플레이트(111)는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위치시켜서 주변의 소리를 모아서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가 구부러진 형태는, 예를 들면,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튜브 형태, 또는 원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들로 구부러진 상태의 제1 플레이트(111)의 내면은 곡면(포물면)을 형성한다.
착용부(120)는 제1 플레이트(111)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도록 한다. 착용부(120)는 제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설치된다. 일 예로, 착용부(120)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착용고리(121)일 수 있다. 상기 착용고리(121)는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착용부(120)는 제1 플레이트(111)에 고정된 형태이거나,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착용부(120)가 제1 플레이트(111)에 고정되는 경우, 예를 들면, 착용고리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착용부(120)가 제1 플레이트(111)에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 예를 들면, 벨크로테이프(122a, 122b)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착용고리(121)는 숫형 벨크로테이프(122a)(또는 암형 벨크로테이프)의 부착면의 이면에 접착제 또는 재봉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암형 벨크로테이프(122b)(또는 숫형 벨크로테이프)가 고정되어, 암형 벨크로테이프 및 숫형 벨크로테이프의 탈부착에 의해 착용고리(121)는 탈부착된다.
또한 이와 같이 착용부(120)가 제1 플레이트(111)에 탈부착되기 위하여 벨크로테이프가 이용되는 경우, 착용고리(121)가 고정되어 있는 숫형 벨크로테이프(122a, 122b)는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고, 제1 플레이트(111)에 고정되어 있는 암형 벨크로테이프(122b)는 숫형 벨크로테이프(122a)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착용고리(121)가 고정되어 있는 숫형 벨크로테이프(122a)가 암형 벨크로테이프(122b)에 부착되는 위치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숫형 벨크로테이프(122a)가 암형 벨크로테이프(122b)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부착되거나, 암형 벨크로테이프(122b)의 중앙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숫형 벨크로테이프(122a)의 부착 위치를 달리하면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맞게 착용고리(121)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착용고리(121)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크기를 갖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손바닥 전체를 끼울 수 있는 크기의 하나의 착용고리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소리 수집부(110)는 제2 플레이트(112)를 더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112)는 제1 플레이트(111)에 결합된다. 제2 플레이트(112)가 제1 플레이트(111)에 결합되기 위해, 제1 플레이트(111)는 슬릿(111a)을 포함하고, 제2 플레이트(112)는 상기 슬릿(111a)에 삽입되는 결합부(112a)를 포함한다.
슬릿(111a)은 착용고리(121)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111)의 두 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2a)는 슬릿(111a)이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111)의 두 변에 평행하는 제2 플레이트(112)의 두 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111a) 및 결합부(112a)에 의해 제2 플레이트(112)는 제1 플레이트(11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112)를 제1 플레이트(111)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결합부(112a)를 슬릿(111a) 내로 삽입하면 제2 플레이트(112)는 제1 플레이트(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12)는 제1 플레이트(111)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2 플레이트(112)의 끝단(결합부(112a)가 위치하는 반대편)을 잡고 당기면 결합부(112a)는 슬릿(111a)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2 플레이트(112)가 제1 플레이트(111)에 결합된 상태로 제1 플레이트(111) 상에서 이동되며, 결과적으로 소리 수집부(110)의 길이는 길어진다. 소리 수집부(110)의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플레이트(112)를 제1 플레이트(111)를 향해 밀어주면 소리 수집부(110)의 길이는 짧아진다. 이러한 제2 플레이트(11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소리 수집부(110)의 길이는 가변된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112)의 내면은 음파의 난반사를 피하고 전반사가 될 정도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리수집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튜브 형태로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와 같이 구부러진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사용자의 귀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소리수집장치(100)의 이용을 위하여, 먼저 사용자의 손가락을 착용고리(121)에 삽입하여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사용자의 손 위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및 손바닥을 구부려서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부러지도록 한다. 이때,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구부러지는 곡률은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바닥을 구부리는 정도에 따라 조절된다. 다음으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부러진 제1 플레이트(111)의 맞닿지 않는 단부들의 사이로 사용자의 귀를 삽입한다. 이때,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는 제1 플레이트(111)의 단부측은 사용자의 귓바퀴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귀는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구부러져서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는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리수집장치(100)를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이 감싸진 상태에서 사용자 주변의 소리(소리)은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튜브 형태로 구부러져서 형성된 소리 수집부(110)의 내측 공간으로 수집된다. 이때, 수집되는 소리의 파장들은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구부러져서 형성된 곡면에 부딪힌 후 반사되어 사용자의 귀를 향해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리의 파장들은 사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의 가장 내측의 영역에 집중되고, 이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의 내측으로 인입된 소리의 크기(볼륨)가 증폭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의 소리를 크게 들을 수 있다.
한편,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제2 플레이트(112)를 제1 플레이트(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소리 수집부(110)의 길이를 길게 한 후 주변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소리 수집부(110)가 긴 길이를 가지므로 사용자 주변의 소리는 소리 수집부(110)가 짧은 길이를 갖는 경우보다 소리 수집부(110)의 내측 공간으로 더 빠르게 도달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더 빠르게 수집 및 증폭하여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소리 수집부(110)가 긴 길이를 가지면 소리 수집부(110)가 짧은 길이를 갖는 경우보다 사용자의 위치의 원거리에서 발생되어 전달되는 소리를 잘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소리수집장치(100)는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감싸지만, 고정되어 있는 형태가 아니고, 사용자가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를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부려서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감싸고만 있는 형태이므로 사용자는 수집하고자 하는 소리가 발생되는 방향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소리수집장치(1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소리의 수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은 때와 장소의 구애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주변의 소리를 크게 듣고자 하는 경우에 언제든지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은, 예를 들면, 스포츠 경기장, 공연장과 같은 장소에서 유익할 수 있다.
스포츠 경기장의 경우, 각종 소음의 혼재되어 있고,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어 있으므로 스포츠 경기장 내에서 옆사람과의 대화과정에서 이용하면 옆사람의 음성이 잘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포츠 경기장 내에서 스포츠 중계 소리를 수집하여 크게 듣고자 하는 경우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공연장의 경우, 사용자와 멀리 위치하여 공연하고 있는 공연자의 대사를 수집하여 크게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리수집장치(100)는 사용이 간편하고,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길이를 가변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200)는 소리 수집부(210) 및 착용부(220)를 포함한다.
소리 수집부(210)는 소리가 수집되는 부분이다. 소리 수집부(210)는 소정의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덮는 2개의 덮개(211)로 이루어진다. 2개의 덮개(211)는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면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2개의 덮개(211)는 돔(Dome)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덮개(211)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착용부(220)는 2개의 덮개(211)가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착용부(220)는 2개의 덮개(211)에 연결되는 착용밴드(221)로 이루어진다. 착용밴드(221)의 양측 끝단은 2개의 덮개(211)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착용밴드(221)는 사용자의 머리에 둘러지며, 이때 2개의 덮개(211)는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위치된다.
이러한 소리 수집부(210) 및 착용부(220)는 힌지부(230)로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230)는 2개의 덮개(211) 및 착용밴드(221)의 측면에서 볼 때 각각의 덮개(211)의 중심점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힌지부(230)는 소리수집장치(2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귓바퀴 주변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2개의 덮개(211)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귀가 노출되도록 개방되거나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밀폐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를 이용하여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200)를 이용하여 소리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는 착용밴드(221)를 머리에 착용하고, 각각의 덮개(211)를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의 귀 및 귀 주변을 덮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각각의 덮개(211)는 사용자의 귀를 완전히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각각의 덮개(211)를 손으로 잡고 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각각의 덮개(211)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귀가 노출되고, 각각의 덮개(211)와 사용자의 귀 주변의 피부가 이격됨에 따라 각각의 덮개(211) 내측으로 사용자 주변의 소리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를 통해 사용자 주변의 소리는 각각의 덮개(211)의 내측의 오목한 면을 향해 인입되고, 이때, 소리의 파장들은 상기 오목한 면에 부딪힌 후 반사되어 사용자의 귀를 향해 진행되어 사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영역 내에 집중된다. 이에 의해 소리의 크기가 증폭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리를 크게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211)를 개방하여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덮개(211)의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덮개(211)를 조금만 회전시키면 각각의 덮개(211)의 내측의 오목한 면을 향해 유입된 소리는 각각의 덮개(211)의 외부로 소실되는 정도가 적으므로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소리의 볼륨은 높아진다.
반대로, 각각의 덮개(211)를 더 많이 회전시키면 각각의 덮개(211)의 내측의 오목한 면을 행해 유입된 소리는 각각의 덮개(211)의 외부로 소실되는 정도가 증가하므로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소리의 볼륨은 낮아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200)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소리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두 손이 자유롭고, 소리수집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이 자유로워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자유롭게 귀로 전달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따라 귀로 전달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는 각각의 덮개(211)가 개방되는 정도를 크게 하여 귀로 전달되는 소리의 볼륨을 낮게 할 수 있고, 소음이 적거나 소음이 없는 실외 및 실내에서는 소리의 볼륨을 크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리수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리수집장치(300)는 소리 수집부(310) 및 착용부(320)를 포함한다.
소리 수집부(310)는 소리가 수집되는 부분이다. 소리 수집부(310)는 소정의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덮는 2개의 덮개(311)로 이루어진다. 2개의 덮개(311)는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면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2개의 덮개(311)는 돔(Dome)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덮개(311)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착용부(320)는 2개의 덮개(311)가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착용부(3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으로 이루어진다. 헬멧의 양측, 즉 헬멧을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귀에 대응하는 헬멧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귀를 노출시키는 개구(321a)가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개구(321a)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착용부(32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2개의 덮개(311)가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위치하기 위하여, 2개의 덮개(311)는 헬멧의 개구(321a)를 덮도록 위치한다. 이때, 각각의 덮개(311)가 개구(321a)를 완전히 덮도록 각각의 덮개(311)는 개구(321a)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2개의 덮개(311)는 헬멧에 힌지부(3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330)는 헬멧의 후방을 향하는 개구(321a)의 원주 주변에 위치하며, 이 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덮개(311)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에 의해, 2개의 덮개(311)는 힌지부(3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귀가 노출되도록 개방되거나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밀폐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리수집장치(3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2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리수집장치(200)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리수집장치(300)는 착용부(320)가 헬멧 형태로 구성되고, 이에 소리 수집부(310)를 장착하는 형태로 제작되므로 소리수집장치(300)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운행이 가능하며,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운행 중 및 운행을 멈춘 상태에서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리수집장치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소리를 수집하는 것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귀를 완전히 덮도록 소리수집장치를 사용자의 귀에 위치시키면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져서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을 덮는 소리 수집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고 신축 가능한 착용고리로 이루어진 착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착용고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손바닥에 고정하고, 손바닥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소정의 곡률로 구부린 후 사용자의 귀 및 귀 주변에 상기 소리 수집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고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슬릿이 상기 착용고리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슬릿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상기 슬릿이 위치하여 있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두 변과 평행하는 두 변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착용고리가 위치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의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수집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30093173A 2013-08-06 2013-08-06 소리수집장치 KR10154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73A KR101547729B1 (ko) 2013-08-06 2013-08-06 소리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73A KR101547729B1 (ko) 2013-08-06 2013-08-06 소리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90A KR20150017190A (ko) 2015-02-16
KR101547729B1 true KR101547729B1 (ko) 2015-08-26

Family

ID=5304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173A KR101547729B1 (ko) 2013-08-06 2013-08-06 소리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6920B2 (en) 2017-04-06 2021-11-16 Geum Cheol KIM Apparatus for collecting sounds in wide area without loss of sounds, and use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119B1 (ko) * 2020-03-06 2022-08-03 이성학 다기능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901B2 (ja) 1994-05-30 2001-05-08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の刃
JP2006157754A (ja) 2004-12-01 2006-06-15 Snk Playmore Corp 集音器
KR101132401B1 (ko) * 2011-07-20 2012-04-03 권현옥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901B2 (ja) 1994-05-30 2001-05-08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の刃
JP2006157754A (ja) 2004-12-01 2006-06-15 Snk Playmore Corp 集音器
KR101132401B1 (ko) * 2011-07-20 2012-04-03 권현옥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6920B2 (en) 2017-04-06 2021-11-16 Geum Cheol KIM Apparatus for collecting sounds in wide area without loss of sounds, and use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90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863B2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guiding device
US10231048B2 (en) Ergonomic earpiece with attachment mount
US9843127B2 (en) Connector assembly
US9307313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EP2974359B1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US20130216087A1 (en) Earbud Positioning Device
US20110164778A1 (en) Headphone with earlobe securing arm
US9602917B2 (en)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RU2709433C2 (ru) Головная гарнитура с парой устройств прослушивания и упругий шнур, проходящий за головой
KR101547729B1 (ko) 소리수집장치
EP3214849A1 (en) Acoustic transducer device
US6988910B2 (en) Handle accessory for a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861769B2 (en) Headphone device
KR200208110Y1 (ko) 음향수신기기용 다기능 커버
EP2804396A1 (en) Headphone device
JP3771207B2 (ja) 装着型通信装置
TWI491275B (zh) 頭戴式耳機裝置
KR20050001585A (ko) 집음기
JP2013160824A (ja) 凹型集音補聴具
KR20110006272A (ko) 이어폰 리시버 어댑터 장치
AU7737901A (en) Sound ear pie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