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690B1 - 방진 플러그 - Google Patents

방진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690B1
KR101547690B1 KR1020150075954A KR20150075954A KR101547690B1 KR 101547690 B1 KR101547690 B1 KR 101547690B1 KR 1020150075954 A KR1020150075954 A KR 1020150075954A KR 20150075954 A KR20150075954 A KR 20150075954A KR 101547690 B1 KR101547690 B1 KR 101547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nose
plug
main body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돈
Original Assignee
이형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돈 filed Critical 이형돈
Priority to KR102015007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방진용 플러그가 개시된다. 방진용 플러그는, 사용자의 코의 내부에 완전히 보이지 않게 삽입되며 내부에는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유로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플러그 본체와, 플러그 본체의 흡입 유로의 내벽 면 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흡입 공기가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1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돌기와, 플러그 본체의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서 제1 가이드 돌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흡입 공기를 2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진 플러그{DUSTPROOF PLUG}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 부분에 삽입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코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과 더불어 대기오염이 심해지며, 특히, 중국에서 발생되는 강한 황사가 매년 우리나라로 유입되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외출 시에 마스크 착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런데 마스크는 입과 코를 모두 커버하기 때문에 호흡이 불편하고 착용감이 떨어진다.
특히,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도 못한다. 뿐만 아니라 안경을 착용한 경우에 마스크를 착용하면, 입김과 콧김에 의해 안경이 뿌옇게 흐려지는 불편함도 발생 된다.
이와 같은 마스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 안에 보이지 않게 착용할 수 있는 코 마스크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코 마스크들은 각종 재질의 필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좁은 코 안에서 통기성과 포집력의 조화를 구현하는데 실패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1595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용 상태가 우수하며 분진 등의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방진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사용자의 코의 내부에 완전히 보이지 않게 삽입되며 내부에는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유로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플러그 본체와, 플러그 본체의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흡입 공기가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1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돌기와, 플러그 본체의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서 제1 가이드 돌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흡입 공기가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2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돌기는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 3개가 등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서 제1 가이드 돌기와 엇갈리도록 3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 공기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는 흡입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점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 또는 제2 가이드 돌기의 표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 돌출될 수 있다.
플러그 본체는 코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에 삽입 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방진용 플러그는 사용자의 코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 공기가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와류가 발생된 상태로 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플러그 내벽에 도포된 점성 크림과의 융합 작용으로 이물질이 적절하게 포집된 상태로 용이하게 코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흡입 유로의 내부에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에 순차적으로 가이드 되는 바, 흡입 공기가 직진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 점성 물질이 도포되어 오염 물질의 포집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코의 내부 좁은 비강 안에서 서로 상충하는 통기성과 이물질의 포집력의 기능을 조화시키면서 흡입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방진용 플러그를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바, 세척이 용이하여 곧바로 재사용이 가능하며 반영구적 수명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진 플러그는 종래 필터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인체 호흡기관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효과적인 포집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진 플러그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진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진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진 플러그가 코에 삽입된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진 플러그를 뒤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진용 플러그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제1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 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100)는, 사용자의 코의 내부에 완전히 보이지 않게 삽입되며 내부에는 흡입 공기(10a)가 유입되는 흡입 유로(11)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플러그 본체(10)와, 플러그 본체(10)의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흡입 공기(10a)가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1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돌기(20)와, 플러그 본체(10)의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서 제1 가이드 돌기(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흡입 공기(10a)가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2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돌기(30)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1의 방진용 플러그가 코에 삽입되는 과정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는 플러그 본체(10)가 코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방진용 플러그가 코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실제 사용시는 플러그 본체(10)는 사용자의 코의 내부로 완전히 보이지 않게 삽입된다.
플러그 본체(10)는 코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10)는 사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된 상태로 코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플러그 본체(10)는 코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형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본체(10)는 코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 돌부(12)가 돌출될 수 있다. 삽입 돌부(12)는 플러그 본체(1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플러그 본체(10)의 측면에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10)는 삽입 돌부(12)가 코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원활한 삽입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 공기(10a)의 선회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20, 30)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20, 30)는, 제1 가이드 돌기(20) 및 제2 가이드 돌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20)는 플러그 본체(10)의 내부에 복수 개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돌기(20)는 적어도 3개 이상이 등 간격을 이루면서 흡입 유로(11)의 내부에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돌기(20)는 3개가 120도의 등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20)는 플러그 본체(10)의 재질과 동일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플러그 본체(10)가 코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플러그 본체(10)와 함께 탄성 변형되어 불량한 밀착으로 인한 틈새가 생기지 않게 한다.
제1 가이드 돌기(20)들 중의 어느 하나의 돌출된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2개의 제1 가이드 돌기(20)의 단부는 평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돌기(20)의 어느 하나의 돌출된 단부에는, 인접한 제1 가이드 돌기(20)들의 돌출된 단부들이 면접촉하면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돌기(20)들은 흡입 유로(11)의 중심 부분에서 서로 간에 맞닿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20)는 플러그 본체(10)가 코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 유로(11)의 흡입구(11a)에 근접한 위치에서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돌기(20)가 3개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바, 플러그 본체(10)가 코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 공기(10a)는 와류를 발생하면서 코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10)의 흡입 유로(11)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는 흐름의 와류 현상과 벽면에 도포된 점성 크림과의 융합 기능에 의해 미세 먼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흡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돌기(20)의 하부에는 제2 가이드 돌기(30)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30)는 제1 가이드 돌기(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러그 본체(10) 흡입 유로(11)의 하부에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돌기(30)는 제1 가이드 돌기(20)와 동일 크기의 동일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30)들 중의 어느 하나의 돌출된 단부는 삼각형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2개의 제2 가이드 돌기(30)의 단부는 평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돌기(30)의 어느 하나의 돌출된 단부에, 인접한 제2 가이드 돌기(30)들의 돌출된 단부들이 면접촉하면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돌기(30)들은 흡입 유로(11)의 중심 부분에서 서로 간에 맞닿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 돌기(30)는 3개로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 돌출되는 것으로서, 제1 가이드 돌기(20)의 돌출된 위치에 대해 엇갈리는 위치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가이드 돌기(20)와 제2 가이드 돌기(30)의 돌출된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 가이드 돌기(20)와 3개의 제2 가이드 돌기(30)들이 60도 간격을 이루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돌기(20)와 제2 가이드 돌기(30)가 서로 간에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은, 흡입 유로(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10a)가 흡입 과정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공기(10a)는 흡입 유로(11)를 통해 직접적으로 코의 내부로 호흡되지 않고, 제1 선회 유도 가이드 돌기(20)의 와류 가이드 작용과 제2 가이드 돌기(30)의 선회 유도 가이드 작용을 거치면서 흡입되는 바, 흡입 공기(10a)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공기(10a)는 제1 가이드 돌기(20) 및 제2 가이드 돌기(30)에 순차적으로 선회 유도 가이드 된 상태에서 흡입 유로(11)를 통과하는 바, 흡입 유로(11)를 통과한 공기(10a)가 플러그 벽면에 도포되는 점성 크림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코의 내부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본체(10)와 제1 가이드 돌기(20) 및 제2 가이드 돌기(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바, 코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 변형이 일부 가능하다. 따라서, 흡입 공기(10a)는 플러그 본체(10)를 통과하면서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플러그 본체(10)와 제1 가이드 돌기(20) 및 제2 가이드 돌기(30)의 형상 변형에 의해 와류 발생이 더욱 증대된 상태로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는 흡입 공기(10a)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바셀린 등의 점성 크림을 도포하여 먼지 또는 세균 등의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진용 플러그(100)는 사용자의 코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 공기가 제1 가이드 돌기(20)와 제2 가이드 돌기(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와류가 발생된 상태로 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그 과정에 플러그 내벽에 도포된 점성 크림의 작용으로 이물질이 적절하게 여과된 상태로 용이하게 코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아울러, 흡입 유로(11)의 내부에 제1 가이드 돌기(20)와 제2 가이드 돌기(30)에 순차적으로 가이드 되는 바, 흡입 공기(10a)가 직진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 점성 물질이 도포되어 오염 물질의 포집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코의 내부 좁은 비강 안에서 서로 상충하는 통기성과 이물질의 포집력의 기능을 조화시키면서 흡입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방진용 플러그(100)를 실리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며 반영구적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진용 플러그(100)는 기존 제품들과 같이 필터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호흡기관의 원리를 최초로 이용하는 것으로, 효과적인 포집과 통기성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뒤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100)는, 제1 가이드 돌기(20) 및 제2 가이드 돌기(30)가 노출되도록 플러그 본체(10)를 뒤집은 상태에서만 금형 사출 작업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돌기(20) 및 제2 가이드 돌기(30)를 한 번의 사출 금형 작업에 의해 원활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200)는, 제1 가이드 돌기(120)와 제2 가이드 돌기(130)는 흡입 유로(11)의 비틀린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공기(10a)는 흡입 유로(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 돌기(120)와 제2 가이드 돌기(130)의 비틀린 경사각에 의해 더욱 와류가 효율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300)는,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 와류 가이드 홈(210)을 형성할 수 있다.
와류 가이드 (210)은 흡입 유로(11)의 길이 방향의 내벽 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공기(10a)는 흡입 유로(11)를 통해 흡입되는 과정에서 와류 가이드 홈(210)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와류 발생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방진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방진용 플러그(400)는, 제1 가이드 돌기(20) 또는 제2 가이드 돌기(30)의 표면에는 돌기부(310)가 형성된 상태로 흡입 유로(11)의 내벽 면에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공기(10a)는 제1 가이드 돌기(20) 또는 제2 가이드 돌기(30)의 돌기부(310)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코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흡입 공기(10a)의 와류 발생 증대에 따라 흡입 공기(10a)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플러그 본체 10a,,흡입 공기
11...흡입 유로 12...삽입 돌부
20, 120...제1 가이드 돌기 30, 130...제2 가이드 돌기
210..와류 가이드 홈 310..돌기부

Claims (5)

  1. 사용자의 코의 내부에 완전히 보이지 않게 삽입되며, 내부에는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유로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플러그 본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기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 공기가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1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기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 공기가 코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2차 선회 유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는 방진용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 3개가 등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와 엇갈리도록 3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는 방진용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는 상기 흡입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점성 물질이 도포되는 방진용 플러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표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로의 내벽 면에 돌출되는 방진용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코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면에 삽입 돌부가 돌출되는 방진 플러그.
KR1020150075954A 2015-05-29 2015-05-29 방진 플러그 KR101547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54A KR101547690B1 (ko) 2015-05-29 2015-05-29 방진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54A KR101547690B1 (ko) 2015-05-29 2015-05-29 방진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690B1 true KR101547690B1 (ko) 2015-08-26

Family

ID=5406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954A KR101547690B1 (ko) 2015-05-29 2015-05-29 방진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6244A1 (en) 2011-11-28 2014-11-06 Best Breathe Company, S.L. Device for Relieving the Symptoms of Nasal Allergies
KR200477058Y1 (ko) 2015-01-07 2015-05-04 이형돈 방진 플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6244A1 (en) 2011-11-28 2014-11-06 Best Breathe Company, S.L. Device for Relieving the Symptoms of Nasal Allergies
KR200477058Y1 (ko) 2015-01-07 2015-05-04 이형돈 방진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467B2 (en) Filtering assembly in nasal cavities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KR101782696B1 (ko) 자석필터 구비 마스크
KR20160035467A (ko) 마스크
KR101865203B1 (ko) 방진마스크
PH12018550024A1 (en) Disposable mask
MX2020002137A (es) Cartuchos filtrantes, conjuntos de purificador de aire, carcasas, caracteristicas, componentes y metodos.
KR200474564Y1 (ko) 방진용 코플러그
US20170367417A1 (en) Fastener And Article Equipped With The Fastener
CN101583401A (zh) 鼻内使用的空气过滤器
CN208959331U (zh) 用于可佩戴保护装置的呼气阀组件及呼吸用呼吸罩
KR102326954B1 (ko) 마스크
KR101547690B1 (ko) 방진 플러그
KR101861319B1 (ko) 물필터 마스크
KR200477058Y1 (ko) 방진 플러그
KR101944969B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20190126674A (ko) 웨어러블 넥밴드 마스크
KR102502204B1 (ko) 마스크
CN111084437A (zh) 口罩
KR102348156B1 (ko) 마스크
KR101929787B1 (ko) 영아용 정화 마스크
KR200491072Y1 (ko) 마스크용 코마개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KR20170060464A (ko) 콧속내장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1816637B1 (ko) 마스크
KR20170000318U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