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668B1 -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668B1
KR101546668B1 KR1020130136155A KR20130136155A KR101546668B1 KR 101546668 B1 KR101546668 B1 KR 101546668B1 KR 1020130136155 A KR1020130136155 A KR 1020130136155A KR 20130136155 A KR20130136155 A KR 20130136155A KR 101546668 B1 KR101546668 B1 KR 10154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wer
coil
convert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146A (ko
Inventor
채수용
송유진
오세승
박석인
정학근
한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3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6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라인에 연결되는 분산전원, 제1라인에 연결되는 제1부하, 제2라인에 연결되고 펄스 전력을 소비하는 제2부하 및 제어대역이 제2부하가 소비하는 펄스 전력의 주파수보다 낮고 제1라인의 전력을 변환하여 제2라인으로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POW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펄스성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를 포함하는 전력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한국공개특허 2011-0128394를 참조하면, 기존의 화포는 탄을 발사시키기 위해, 뇌관을 사용하여 일종의 화약인 기폭약을 기폭시키고 이 기폭열로부터 점화제를 발화시켜 발생된 화염으로 추진제를 점화시켰는데, 추진제 점화시간이 지연되고 일정하지 않은 점화 타이밍 등으로 정밀하고 정확한 점화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화학추진제만으로 탄을 가속시켜 발사시키는 기존의 화포와 달리, 화학추진제 연소시 발생하는 화학에너지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을 가속시키는 전열화학포가 차세대 포로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열화학포는 전기에너지로 플라즈마를 만들고 이 플라즈마를 사용해서 추진제의 연소를 조절하기 위해 추진제가 삽입된 약실 뒤편에 플라즈마 인젝터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인젝터는 단위시간에 많은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펄스성 전력소비 행태를 보인다.
한국공개특허 2011-0128394를 참조하여 펄스성 전력소비 행태를 가지는 플라즈마 인젝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군용전력시스템에서는 이러한 플라즈마 인젝터 이외에도 펄스성 전력소비를 보이는 다양한 장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장비의 경우 에너지를 응축한 후 짧은 시간에 응축된 에너지를 발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레이저장비 또한 펄스성 전력소비 행태를 보인다.
이러한 펄스성 전력소비는 전력라인에 교란을 주입하여 같은 전력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장비들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야전과 같이 동일한 전력원(분산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펄스성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장비들로부터 다른 전자장비들을 보호하는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스성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로부터 다른 부하를 보호하는 전력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라인에 연결되는 분산전원; 상기 제1라인에 연결되는 제1부하; 제2라인에 연결되고 펄스 전력을 소비하는 제2부하 및 제어대역이 상기 제2부하가 소비하는 펄스 전력의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1라인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2라인으로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라인의 전력을 변환하여 제2라인으로 공급하고-상기 제1라인에는 분산전원 및 제1부하가 연결되고 상기 제2라인에는 펄스 전력을 소비하는 제2부하가 연결됨-, 하나 이상의 전력용반도체 및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포함하고 있는 파워모듈 및 상기 전력용반도체에 대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버터 중 한 컨버터는 제어대역이 상기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라인에 연결되는 제1분산전원; 제2라인에 연결되는 제2분산전원; 상기 제2라인에 연결되고 펄스 전력을 소비하는 제2부하; 및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로서 1차측 제1입력은 상기 제1라인과 연결되고 1차측 제2입력은 상기 제2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2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의 변환에 대한 제어대역은 상기 제2부하가 소비하는 펄스 전력의 주파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러한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에서,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는 1차측과 2차측이 절연되어 있고, 상기 제1입력과 상기 제2입력은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시스템에서 펄스성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로부터 다른 부하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의 제어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1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2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3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4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5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제1라인과 제2라인 사이에 크리티컬 부하가 추가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시스템(100)은 제1라인(110) 및 제2라인(130)을 포함한다.
제1라인(110)에는 분산전원(120, 참조번호 120은 도 1에서 참조번호 120a 혹은 120b에 해당됨)이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1라인(110)에 두 개의 분산전원(120a, 120b)이 연결된다. 분산전원(120)은 전력을 생산하는 소스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소스로는 태양광발전기 혹은 풍력발전기와 같은 재생에너지발전기가 사용될 수 있고,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저장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소스로는 연료전지 발전기 혹은 디젤발전기와 같은 연료주입형 발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분산전원(120)은 AC 혹은 DC의 출력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출력은 제1라인(110)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라인(110)이 AC라인인 경우, 분산전원(120)은 AC 출력을 가지고, 제1라인(110)이 DC라인인 경우, 분산전원(120)은 DC 출력을 가진다. 제1라인(110)이 AC라인인데, 분산전원(120)이 DC소스(예를들어, 태양광발전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분산전원(120)은 DC/AC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라인(110)이 DC라인인데, 분산전원(120)이 AC소스(예를들어, 디젤발전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분산전원(120)은 AC/DC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분산전원(120a)는 태양광발전기를 소스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2분산전원(120b)는 디젤발전기를 소스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태양광발전기는 DC전력을 출력하는데, 제1라인(110)이 AC라인인 경우, 제1분산전원(120a)는 DC/AC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라인(110)에는 크리티컬(critical)부하(150, 참조번호 150은 도 1에서 참조번호 150a 혹은 150b에 해당됨)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서버부하(150a)와 레이다(Radar)부하(150b)가 연결되어 있다.
제1라인(110)에는 분산전원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라인(110)에 연결되는 부하들은 다른 라인에 연결되는 부하들보다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크리티컬부하(150)는 항상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는 부하로서 중요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서버부하(150a) 혹은 군에서 적의 동태를 파악할 수 있는 레이다부하(150b) 등이 이러한 크리티컬부하(150)에 해당될 수 있다.
제2라인(130)에는 펄스 전력을 소비하는 펄스성부하(140, 참조번호 140은 도 1에서 참조번호 140a 혹은 140b에 해당됨)가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펄스성부하로서 플라즈마인젝터를 포함하는 미사일부하(140a)와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부하(140b)가 제2라인(130)에 연결되어 있다.
플라즈마인젝터는 전기에너지로 플라즈마를 만들고 이 플라즈마를 사용해서 추진제의 연소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단위시간에 많은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펄스성 전력소비 행태를 보인다. 또한, 레이저부하(140b)는 에너지를 응축한 후 짧은 시간에 응축된 에너지를 발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레이저장비 또한 펄스성 전력소비 행태를 보인다.
제2라인(130)에는 이러한 펄스성부하(140)의 빠른 다이나믹을 대응하기 위해 수퍼캡(170)이 더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라인(110)으로 공급되는 분산전원(120)의 전력을 제2라인(130)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1라인(110)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제2라인(130)으로 타단이 연결되는 전력변환장치(160)가 전력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다. 전력변환장치(160)는 펄스성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은 제어대역으로 제어된다.
제2라인(130)의 어느 한 펄스성 부하, 예를 들어, 미사일부하(140a)가 펄스성으로 전력을 소비할 때, 이러한 펄스성 전력 소비에 의해 제2라인(130)에 교란이 발생한다. 교란은 펄스 전력 주파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주파수 성분들을 가진다. 이러한 교란은 제2라인(130)에 연결된 다른 부하들, 예를 들어, 레이저부하(140b)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력변환장치(160)는 이러한 제2라인(130)의 교란이 제1라인(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라인(110)에는 크리티컬부하(150)를 연결하는데, 이러한 교란이 제1라인(110)으로 전달되는 경우, 크리티컬부하(150)에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크리티컬부하(150)가 펄스 전력의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의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이러한 크리티컬부하(150)에 교란이 미치는 영향은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란이 신호로 처리되어 데이터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전력변환장치(160)는 교란 주파수보다 낮은 제어대역에서 제어됨으로써 제2라인(130)의 교란이 제1라인(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의 제어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160)의 제어대역을 결정하는 컷오프 주파수(fc)는 펄스성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fp)보다 낮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라인(130)에 발생하는 교란의 주파수는 펄스 전력 주파수(fp)이상이기 때문에 전력변환장치(160)가 펄스 전력 주파수(fp)보다 낮은 제어대역에서 제어된다면 제2라인(130)의 교란은 제1라인(11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전력변환장치(160)의 제어대역을 결정하는 컷오프 주파수(fc)가 펄스 전력 주파수(fp)보다 낮으면 제2라인(110)의 교란이 제1라인(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데, 제어마진 등을 고려하여 컷오프 주파수(fc)는 펄스 전력 주파수(fp)의 1/5 혹은 1/10로 설정될 수 있다.
교란 주파수 혹은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은 제어대역에서 제1라인(110)의 전력을 제2라인(130)으로 전달하는 전력변환장치(160)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1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160)는 하나의 AC/DC컨버터(360)를 포함한다. 이때, 제1라인(110)은 AC라인(AC버스)이고, 제2라인(130)은 DC라인(DC버스)일 수 있다. AC/DC컨버터(360)는 하나 이상의 전력용반도체(예를 들어,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파워모듈, 그리고 전력용반도체에 대해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용반도체를 이용하여 전력을 챠핑(chopping)함으로써 전력을 변환하는 기술은 전력전자기술이라고 하는데, 전술한 AC/DC컨버터(360)를 포함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컨버터는 이러한 전력전자기술을 적용하는 컨버터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컨버터는 전술한 AC/DC컨버터(360)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력용반도체 및 하나 이상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파워모듈 및 전력용반도체에 대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AC/DC컨버터(360)는 제어기를 통해 파워모듈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대역이 제2라인(130)에 연결되는 펄스성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2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160)는 일단이 제1라인(110)과 연결되는 제1컨버터(462) 및 일단이 제2라인(130)과 연결되는 제2컨버터(4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컨버터(462)와 제2컨버터(464)는 직렬로 연결된다.
도 4의 예시에서 제1컨버터(462)는 AC/DC컨버터이고, 제2컨버터(464)는 DC/DC컨버터이다. 또한, 도4의 예시에서, 제1라인(110)은 AC라인이고, 제2라인(130)은 DC라인이며, 제1컨버터(462)와 제2컨버터(464)를 연결하는 연결라인(466)은 DC라인이다.
연결라인(466)에는 배터리장치(480)가 더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장치(480)를 이용하여 전력시스템(100)은 제1라인(110)에 연결되어 있는 분산전원(120)이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부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장치(480)가 제1라인(11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1컨버터(462)는 양방향으로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도 4의 전력변환장치(160) 예시에서 제1컨버터(462)와 제2컨버터(464)를 포함하는 전력변환부분(460)은 제1라인(110)의 전력을 변환하여 제2라인(13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변환부분(460)의 전체 시스템 제어대역은 제2라인(130)에 연결된 펄스성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다. 두 개 이상의 시스템이 직렬로 연결될 때, 전체 시스템의 제어대역은 낮은 제어대역을 가지는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 도 4의 전력변환부분(460)에서는 제2컨버터(464)의 제어대역이 제1컨버터(462)의 제어대역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고 또한, 제2컨버터(464)의 제어대역이 제2라인(130)에 연결된 펄스성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다. 물론,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컨버터(462)의 제어대역이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3예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160)는 제1컨버터(462) 및 제2컨버터(464)를 포함하고, 제1컨버터(462)와 제2컨버터(464)를 연결하는 연결라인(466)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컨버터(4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컨버터(468)의 타단은 제3라인(576)에 연결되는데, 제3라인(576)에는 펄스성부하(14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전력변환부분은 제1컨버터(462), 제2컨버터(464) 및 제3컨버터(468)을 포함하는 부분(560)이다.
제2라인(130)에 연결되는 펄스성부하(140)를 제1펄스성부하라고 하고, 제3라인(576)에 연결되는 펄스성부하(140)를 제2펄스성부하라고 할 때, 제1펄스성부하의 펄스 전력 주파수와 제2펄스성부하의 펄스 전력 주파수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력시스템(100) 내에서 펄스 전력 주파수가 다른 펄스성부하(140)를 서로 다른 전력라인으로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제2펄스성부하의 펄스 전력 주파수가 제1펄스성부하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높은 경우, 제3컨버터(468)의 제어대역의 컷오프 주파수는 제2컨버터(464)의 제어대역의 컷오프 주파수보다 높고 제2펄스성부하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대역의 주파수(컷오프 주파수)가 높을수록 제어 다이나믹이 빨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컨버터(468)의 제어대역 주파수를 최대한 높게 설정하면서 또한 펄스성부하(140)에 의해 발생하는 교란이 제1라인(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4예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컨버터(462)는 절연성컨버터이다. 절연성컨버터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서로 절연되어 있는 것이다. 제1컨버터(462)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 1차코일과 2차코일이 서로 절연된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라인(130) 혹은 제3라인(576)에서 발생한 교란은 전도성 노이즈(conducted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형태로 전파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도성 노이즈는 절연된 타측 전선으로는 잘 전달되지 않는 성질이 있다.
제1컨버터(462)가 절연성컨버터로 제1라인(110)과 제2라인(130)을 분리시키는 경우, 제1라인(110)으로 전파되는 교란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제5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16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와 같이 제1컨버터(462) 및 제2컨버터(464)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력변환부분(460) 중 제2컨버터(464)가 제2라인(130)의 교란이 제1라인(110)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제어대역을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더 추가된 구성은 제2컨버터(464)가 제2라인(130)에 연결된 펄스성부하(1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이다.
제2컨버터(464)는 펄스성부하(1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는 제2컨버터(464)가 미사일부하(140a)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이때, 미사일부하(140a)의 펄스 전력 주파수는 레이저부하(140b)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컨버터(464)는 제어대역을 미사일부하(140a)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하면 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제2컨버터(464)는 미사일부하(140a)로부터 펄스 전력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정보에 바탕하여 제어대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2라인(130)으로 접속하는 펄스성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는 부하의 구체적인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제2컨버터(464)가 가능성이 있는 가장 낮은 주파수로 제어대역을 설정하는 경우, 제어 성능이 안 좋을 수 있다. 도 7의 예시와 같이 제2컨버터(464)가 펄스성부하(140)로부터 펄스 전력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면 제2컨버터(464)는 제2라인(130)에서 발생하는 교란을 차단하면서 최대한의 제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어대역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라인(130)에 분산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시스템(100)은 제1라인(110)과 제2라인(1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크리티컬부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제1라인과 제2라인 사이에 크리티컬 부하가 추가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라인(110)에는 제1분산전원(120a) 및 제2분산전원(120b)이 연결되어 있고, 제2라인(130)에는 제3분산전원(120c)이 연결되어 있다.
제2라인(130)은 전력변환장치(160)를 통해 제1라인(1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또한 제2라인(130)에 연결되어 있는 제3분산전원(120c)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전력변환장치(160)가 양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경우(예를 들어, 전력변환장치(160)가 양방향 컨버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1라인(110)은 전력변환장치(160)를 통해 제2라인(1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라인(110)과 제2라인(130) 사이에는 제1라인(110) 및 제2라인(130)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크리티컬 부하(150c)로 공급하는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810)가 위치할 수 있다.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810)는 1차측으로 제1코일(813) 및 제2코일(814)을 포함하고, 2차측으로 제3코일(8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코일(813)은 제1라인(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코일(814)은 제2라인(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3코일(815)은 크리티컬 부하(15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코일(813), 제2코일(814) 및 제3코일(815)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810)는 제1라인(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챠핑하는 제1라인파워모듈(811)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1라인파워모듈(811)로 챠핑된 전력을 제1코일(813)을 거쳐 제3코일(815)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1코일(813) 및 제3코일(815)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810)는 또한 제2라인(1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챠핑하는 제2라인파워모듈(812)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2라인파워모듈(812)로 챠핑된 전력을 제2코일(814)을 거쳐 제3코일(815)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2코일(814) 및 제3코일(815)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3코일(815)로 공급되는 제1라인(110) 혹은 제2라인(130)의 전력은 아웃풋 필터(816)를 거쳐 크리티컬부하(150c)로 전달된다.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810)는 제2라인파워모듈(812)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대역을 제2라인(130)에 연결되어 있는 펄스성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제2라인(130)에서 유발되는 교란이 크리티컬 부하(150c)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810)는 제1라인파워모듈(811)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대역을 제2라인(130)에 연결되어 있는 펄스성 부하(140)의 펄스 전력 주파수와 무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라인에 연결되는 제1분산전원;
    제2라인에 연결되는 제2분산전원;
    상기 제2라인에 연결되고 펄스 전력을 소비하는 제2부하;
    제어대역이 상기 제2부하가 소비하는 펄스 전력의 주파수보다 낮고 상기 제1라인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2라인으로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제1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코일 및 상기 제2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크리티컬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된 제3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챠핑하여 상기 제1코일을 거쳐 상기 제3코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라인파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챠핑하여 상기 제2코일을 거쳐 상기 제3코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2라인파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라인파워모듈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대역을 상기 제2부하가 소비하는 펄스 전력의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하는 다중입력단일출력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3코일과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시스템.
KR1020130136155A 2013-11-11 2013-11-11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4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55A KR101546668B1 (ko) 2013-11-11 2013-11-11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55A KR101546668B1 (ko) 2013-11-11 2013-11-11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146A KR20150055146A (ko) 2015-05-21
KR101546668B1 true KR101546668B1 (ko) 2015-08-25

Family

ID=5339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155A KR101546668B1 (ko) 2013-11-11 2013-11-11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6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10B1 (ko) * 2008-05-02 2011-06-08 한국수자원공사 복합형 능동 전력 필터
JP2013162671A (ja) 2012-02-07 2013-08-19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322449B1 (ko) * 2012-04-23 2013-10-28 주식회사 맥스컴 신재생 에너지 연계형 전력 안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10B1 (ko) * 2008-05-02 2011-06-08 한국수자원공사 복합형 능동 전력 필터
JP2013162671A (ja) 2012-02-07 2013-08-19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322449B1 (ko) * 2012-04-23 2013-10-28 주식회사 맥스컴 신재생 에너지 연계형 전력 안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146A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7507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EP2330678B1 (en) Secondary battery power control method
US10291156B2 (en) Combined hybrid thermionic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RU245974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см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US8513829B1 (en) Electrical accumulator unit for providing auxiliary power to an electrical network
KR101526697B1 (ko) 친환경 차량용 내부 장착 충전기
CN109639112B (zh) 一种将副边电压反馈给原边的反馈电路及系统
KR101546668B1 (ko) 전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352722A (zh) 用于照明设备的应急电源
CN104038049B (zh) 非隔离型三端口串并联集成变流器
US8890413B2 (en) Ignition circuit for igniting a plasma fed with alternating power
US20150155714A1 (en) Power Management In an Energy Distribution System
Iwanski et al. Power management in a DC microgrid supported by energy storage
CN101463762B (zh) 连续等离子流点火激励器
US20160161120A1 (en) Inductive start and capacitive sustain ignition exciter system
US7688556B2 (en) Arc-discharge detection device
JP6903591B2 (ja) 内燃機関用電子点火システムおよび該電子点火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2556573B1 (en) Arc preventing switch
Bodele et al. Multi‐input battery‐integrated single‐stage DC‐DC converter for reliable operation of solar photovoltaic‐based systems
KR101614951B1 (ko) 태양 광 발전 시스템
US11356024B2 (en) Ignition exciter assembly and method for charging a tank capacitor for an ignition exciter
RU2399138C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Mitsukuri et al. Study on Voltage Regulation in Distribution System Using Electric Vehicles—Control Method Considering Dynamic Behavior
US10396649B2 (en)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2758715B (zh) 变压器原线圈输入振荡电流式发动机点火装置及实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