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451B1 -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 Google Patents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451B1
KR101545451B1 KR1020140109365A KR20140109365A KR101545451B1 KR 101545451 B1 KR101545451 B1 KR 101545451B1 KR 1020140109365 A KR1020140109365 A KR 1020140109365A KR 20140109365 A KR20140109365 A KR 20140109365A KR 101545451 B1 KR101545451 B1 KR 10154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bridge
frame
support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창
Original Assignee
이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창 filed Critical 이한창
Priority to KR102014010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4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ister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banister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which provides a support plate and a body coupling unit to repair and manage an inside of a lower portion of a bridge as well as a side portion of the bridge; thereby more stably repairing and managing the bridge.

Description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본 발명은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을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교량 난간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교량을 관리 및 보수할 수 있도록 만들고, 더 나아가 교량의 하부까지 관리 및 보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support device for a bridge repair, which is installed in a bridge rail so that a bridge can be maintained and repaired, so that an operator can more safely manage and repair the bridge, and furthermo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 support apparatus for a bridge repair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는 교량의 난간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교량의 측면을 보수 및 관리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로 교량의 난간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교량을 보수 및 관리할 수 있게 만든다.In general, a bridge maintenance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is installed on the railing of a bridge to allow the operator to repair and manage the side of the bridge more safely. It is attached to the rail of a bridge or used by a ladder to repair and manage the bridge .

이러한 종래의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는 교량의 측면을 보수 및 관리할 수 있었으나, 교량 하부(저면)에 도달하여 안전하게 교량 저면을 보수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교량 하부의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bridge repairing ladder support apparatus can repair and manage the side of the bridge bu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air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because the bridge bottom (bottom) can not be safely restored.

또한, 종래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교량을 보수 및 관리하는 경우 사다리차가 도달할 수 있는 높이에 한계가 있어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교량(다리)의 보수에 이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도포 포장이 되어 있지 않아 사다리차가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의 경우 이러한 사다리차에 의한 보수 공사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repairing and managing a bridge using a conventional ladder car, there is a limitation in height that a ladder can reach, which is difficult to be used for maintenance of a bridge (bridge) provided at a high position.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bridg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ladder carriage can not approach because of the uncoated wrapp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pair work can not be performed by such ladder carria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2,76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는 다리의 측면을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나 다리 하부를 보수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box construction edge safety net work bench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332,763 provides a technique for repairing the side surface of the bridge bu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air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75,071호에 개시되어 있는 2단 접이식 교대용 이동점검 사다리는 높이가 높은 교량에 이용하기 어렵고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two-stage folding shift check ladd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975,071 is difficult to use for a high-height brid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ufficient space is not available for a worker to carry out a work.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2,763호Korean Patent No. 1,332,76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75,071호Korean Patent No. 975,07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판을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교량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교량 저면(하부)의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for a bridge, So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maintenance of the rail.

또한, 몸체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의 높이를 간소하게 조절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 holding device for a bridge repair which is capable of simply adjusting the height of a rail holding device for a bridge repair by providing a body fastening part and fastening the rail more stab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 상부에 마련되어 난간에 걸쳐지는 난간고정프레임, 및 상기 몸체프레임 저면에 마련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ridge repairing lumbar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x-shaped body frame whose height is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ailing fixing fram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And the support plate is slidably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리 측면뿐만 아니라 교량 저면의 안쪽까지 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rail supporting apparatus for a bridge repair uses a sliding support plate,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rail maintenance apparatus for a bridge repair that makes it possible to safely carry out a maintenance operation not only on the side of the bridge but also on the inside of the bottom of the bridge .

그리고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몸체체결부를 마련함으로써, 교량 측면의 높이에 따라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교량 저면에 보수 작업이 필요 시 높이를 조절하여 교량 저면의 보수 작업를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a body fasten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ail support device for the bridge maintenance, the height of the rail support device for the bridge maintenan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ide of the bridge, It is effective to make maintenance work on the bottom of the bridge.

또한, 와이어를 구비함으로써,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가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지지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안정적으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wir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bridge repairing rail support device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occurs, so that the bridge repair support rail support device can be used more stably.

한편,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가 교량 난간을 따라 이동하게 만들고, 난간뿐만아니라 교량 측면과 맞닿도록 만들어 보다 안정적으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the roller, it is possible to make the rail maintenance support rail move along the rail, and to make the rail support not only the rail but also the side surface of the bridge, making it possible to more stably move the rail support.

또한, 사다리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다리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by providing the ladder fr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ail support device for a bridge repair which prevents the worker from falling out of the rail maintenance device for a bridge repair and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rail as a lad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안전프레임을 구비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의 높이 조절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프레임 하부를 확대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의 교량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에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의 높이 조절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체결부 및 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고정부를 구비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lustrade rail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support for a bridg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repairing lumbar support apparatus having a first safet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a rail support device for a bridg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lower portion of a bod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ridge repairing ladder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bridge.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a bridge railing support apparatus in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 fastening part and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repairing lumbar support apparatus having a support plate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support apparatus 100 for a bridge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 are referred to as separate reference drawings.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시 방향을 정의하기 위하여, 도 3을 참고하면, 제 1 안전프레임(50)이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 제 2 안전프레임(90)이 구비되는 방향을 후방, 이를 기준으로 사다리 프레임(80)이 구비되는 방향을 양측면(좌측, 우측)으로 표현하였다. 이하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도면 및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3,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afety frame 50 is provided is referred to as a front s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afety frame 90 is provided is defined as a rear side, and a ladd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80 is provided is represented by both sides (left and right). Hereinafter,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 direction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는 몸체프레임(10), 몸체체결부(20), 난간고정프레임(30), 지지판(40)으로 구성된다.A bridge repa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rame 10, a body fastening unit 20, a railing fixing frame 30, and a support plate 40.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몸체프레임(10)은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의 기본적인 프레임(골격)으로서 박스형(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프레임(10)은 작업자가 교량(5)을 보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교량(5)을 보수할 수 있게 만든다. 구체적으로 몸체프레임(10)은 상부몸체프레임(110) 및 하부몸체프레임(120)으로 마련되고, 하부몸체프레임(120)은 상부몸체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어 몸체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하부몸체프레임(120)은 후술할 몸체체결부(20)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어 교량(5)의 높이에 따라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는 교량(5)의 측부 또는 하부의 보수 시 이용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rame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a basic frame (skeleton) of the rail support device 100 for a bridge repair. The body frame 10 provides a space for an operator to repair the bridge 5, so that the operator can safely repair the bridge 5. [ Specifically, the body frame 10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frame 110 and a lower body frame 120, and the lower body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frame 1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0 Can be adjusted. 4, the height of the lower body frame 120 can be adjusted by using a body fastening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height of the bridge repairing railing support apparatus 100 So that it can be adjusted and used. The bridge repairing ladder support apparatus 100 can be used for maintenance of the side or lower portion of the bridge 5.

난간고정프레임(30)은 몸체프레임(10) 상부에 마련되어 교량(5)의 난간과 걸쳐지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난간고정프레임(30)은 “ㄱ”자 형태로 마련되어 교량(5)의 난간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난간고정프레임(30)은 일단이 몸체프레임(10)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교량(5)과 체결(걸쳐져서)되어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교량(5)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난간고정프레임(30)은 교량(5)의 난간에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체결할 수 있게 만들어 작업자가 교량(5)의 측부나 교량(5)의 하부를 보수 및 관리할 수 있게 만든다. 도 2를 참고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고정프레임(30)은 난간고정부(310)을 구비하여 교량(5)과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의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즉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고정프레임(30)과 난간고정부(310)를 교량(5)의 난간에 체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The railing fixing frame 3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0 and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railing of the bridge 5. Specifically, the railing fixed frame 30 is provided in a "? &Quot; shape so as to be able to be fastened to the railing of the bridge 5. 1 and 6, one end of the railing fixing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astened (spanned) to the bridge 5 to support the bridge repair railing support apparatus 100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bridge 5 for use. The balustrade fixing frame 30 allows the bridge repairing railing support device 100 to be fastened to the railing of the bridge 5 so that the operator can repair and manage the side of the bridge 5 or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5. [ . Referring to FIG. 2, the rail fixing frame 30 includes a rail fixing part 310,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asten the bridge 5 and the bridge repair supporting rail 100 to each other. Since the rail fixing frame 30 and the rail fixing part 310 are fastened to the rail of the bridge 5 in order to prevent the rail repairing rail support device 100 from falling down, The device 100 may be used.

난간고정부(310)는 손잡이와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나사선을 구비하는 부재 및 상기 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교량(5)과 접촉하는 패드로 마련되어 손잡이를 회전시켜 패드를 교량(5)에 밀착하여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만든다.The parapet fixing part 310 includes a handle and a member having a threa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 pa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ember to contact the bridge 5,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ix the bridge repairing ladder support apparatus 100 in close contact.

지지판(40)은 몸체프레임(10) 저면에 마련된다. 지지판(40)은 작업자가 지지판(40)위에 올라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작업자가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지지판(40)은 몸체프레임(10) 저면에 마련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슬라이딩으로 전후방향 이동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몸체프레임(10) 저면에는 지지판(4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딩프레임을 구비하고 슬라이딩프레임을 통하여 지지판(40)이 이동된다. 지지판(4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만들어 작업자가 교량(5)의 저면 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종래의 교량 보수용 지지장치는 좌우확장이 가능한 구성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교량(5)의 측부만 보수 공사를 실시할 수 있었으나,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판(40)을 이용하면 교량(5) 저면 안쪽으로 지지판(40)을 이동시켜 교량(5)의 하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교량(5)을 보수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4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10). The support plate 40 allows the operator to work on the support plate 40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outside. 3 and 4, the support plate 4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10 and is slidably moved (moved back and forth by sliding). Referring to FIG. 5, a supporting frame 40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10, and the supporting frame 40 is provided with a sliding frame having a groove for sliding movement of the supporting frame 40. So that the support plate (40) can be slidably moved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bottom surface maintenance of the bridge (5). Since the conventional bridge repair supporting device provides only a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left and right, only the side portion of the bridge 5 can be repaired. However, referring to FIG. 7, the supporting plate 40, The support plate 40 can be mov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dge 5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f the bridge 5 to repair the bridge 5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몸체체결부(20)는 상부몸체프레임과(110) 하부몸체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몸체프레임(110)과 하부몸체프레임(120)을 고정한다. 몸체체결부(20)는 상부몸체프레임(110)과 하부몸체프레임(120)을 고정하여 몸체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다. 구체적으로 몸체체결부(20)는 홈과 핀, 볼스크류 또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몸체프레임(10)을 고정할 수 있게 만든다. 홈과 핀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프레임(110)은 하부몸체프레임(120)을 고정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고, 하부몸체프레임(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는 홈을 이용하여 상부몸체프레임(110)의 홈과 하부몸체프레임(120)의 홈을 핀으로 체결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다. 여기에 이용되는 핀은 단순한 부재를 이용할 수 있지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홈과 핀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구성이 간소하여 제조가 쉽고, 보다 안정적으로 몸체프레임(10)을 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볼스크류체결은 볼스크류를 이용하여 하부몸체프레임(120)을 이동시키는 체결로서, 작업자가 간소하게 볼스크류를 회전운동시켜 이를 직선운동으로 변경하여 몸체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든다. 랙과 피니언 또한 작업자가 간소하게 몸체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다.The body fastening portion 20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body frame 110 and the lower body frame 120 to fix the upper body frame 110 and the lower body frame 120. [ The body fastening part 20 fixes the upper body frame 110 and the lower body frame 120 so tha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0 can be adjusted. Specifically, the body fastening part 20 can fix the body frame 10 using a groove, a pin, a ball screw, or fastening means using a rack and a pinion. The upper body frame 110 has grooves for fixing the lower body frame 120 and the lower body frame 120 is formed with groov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110 and the groove of the lower body frame 120 can be fastened with pins to adjust the height. A simple member can be used for the pin used here, but the pin can be used more tightly by using bolts and nuts. In the case of fastening using such a groove and a pi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the body frame 10 can be more stably fastened. The ball screw fastening is a fastening for moving the lower body frame 120 using a ball screw so that an operator can simply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0 by rotating the ball screw and changing it to linear motion. The racks and pinions also allow the operato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0 simply.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5를 참고하면, 고정수단(410)은 지지판(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고정수단(410)은 지지판(40)과 몸체프레임(10)을 고정시켜 작업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수단(410)은 홈과 핀을 구비한 고정수단으로 마련되어 상술한 슬라이딩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의 홈을 구비하고, 지지판(40) 외측면으로 지지판홈을 구비하여 핀을 상기 슬라이딩프레임 및 지지판(40)의 홈과 핀을 체결하여 지지판(40)이 안정적으로 몸체프레임(10)과 체결되도록 만든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means 410 is provided to fix the support plate 40. The fixing means 410 fixes the support plate 40 and the body frame 10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operation more stably.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means 410 is provided as a fixing means having a groove and a pin so that the above-mentioned sliding frame has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nd a supporting plate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40, And the groove and the pin of the support plate 40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plate 40 can be stably fastened to the body frame 10.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제 1 안전프레임(50)은 몸체프레임(10) 일측면에 마련된다. 제 1 안전프레임(50)은 지지판(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판(40) 일단과 연결되어 지지판(40)이 이동됨에 따라 제 1 안전프레임(50)도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제 1 안전프레임(50)은 작업자가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히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량(5) 하부 내측으로 지지판(40)을 이동시켜 보수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하여 제 1 안전프레임(50)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안전프레임(50)은 몸체프레임(10)에 접이식으로 마련되는 보조사다리프레임을 구비하여 지지판(4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3 and 4, a first safety frame 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first safety frame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40 so that the first safety frame 50 can be moved along the support plate 40 and the first safety frame 50 is also slidably moved as the support plate 40 is moved. The first safety frame 50 is for preventing an operator from falling down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support apparatus 100 for repairing bridges.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support plate 40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5 to perform maintenance work A first safety frame 50 is provided so that an operator can perform a work more safely.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afety frame 50 may include an auxiliary ladder frame provided on the body frame 10 so as to be folded to cover the support plate 40 as a whol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8을 참고하면, 와이어체결부(60)는 몸체프레임(10) 상부에 마련되고 와이어체결부(60)는 와이어(65)와 체결되어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의 보다 안전성으로 체결할 수 있게 만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체결부(60)는 몸체프레임(10) 상부 각 모서리에 각각 마련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와이어체결부(60)는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난간고정프레임(30)을 이용하여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1차로 고정하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로 와이어(65)를 이용하여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의 추락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또한, 와이어(65)를 이용하여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간소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을 편리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65)는 크레인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65)가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와이어(65)를 고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8, the wire fastening part 6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frame 10 and the wire fastening part 60 is fastened to the wire 65, (100). More specifically, the wire fastening portions 60 are provided at respective corner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0. However, the number of the wire fastening portions 60 may be four. That is, the bridge repairing ladder support apparatus 100 is first fixed by using the rail fixing frame 30, and the second lane wire 65 is installed to prevent the bridge repair ladder support apparatus 100 from falling down. So that the bridge repairing ladder-supporting apparatus 1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so that it can be used more safely. In addition, since the bridge repairing railing support apparatus 100 can be simply moved by using the wire 65,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ement is made convenient. Generally, the wire 65 can be supported by a cr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y means by which the wire 65 can be fixed can be used by fixing the wire 65.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제 1 롤러(70)는 난간고정프레임(30)에 마련되고, 제 2 롤러(75)는 몸체프레임(10) 일측에 마련된다. 즉 제 1 롤러(70)는 수평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2 롤러(85)는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 1 롤러(70) 및 제 2 롤러(75)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좌우(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든다. 이는 보다 간소하게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교량(5)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롤러(70)는 교량(5)과 접촉되는 난간고정프레임(30)의 일면에 마련되어 교량(5)과 제 1 롤러(70)를 접촉하게 만들어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게 만들고, 제 2 롤러(75)는 교량(5)과 접촉되는 몸체프레임(10) 일측면에 마련되어 교량(5)과 제 2 롤러(75)를 접촉하게 만들어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제 1 롤러(70)만을 이용하여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흔들림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으나, 제 2 롤러(75)를 함께 이용하여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교량(5)과 접촉할 수 있게 만들어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3, the first roller 70 is provided on the railing fixing frame 30, and the second roller 7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first roller 70 is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roller 85 is orie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roller 70 and the second roller 75 make it possible to move the bridge repairing support rail support device 100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asily move the bridge support apparatus 100 for repairing bridges, thereby more effectively performing maintenance work on the bridges 5. The first roller 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il fixing frame 30 in contact with the bridge 5 so that the bridge 5 and the first roller 7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roller 7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ridge 5 so that the bridge 5 and the second roller 75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moved using the roller . This is because, when the bridge repairing railing support apparatus 100 is moved by using only the first roller 70, the operator may be in a dangerous situa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wobbling. However, The supporting device 10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ridge 5, so that the bridging support device 100 for a bridge maintenance can be more stably moved without shak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사다리 프레임(80)은 몸체프레임(10) 측면(좌측, 우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 이상 마련된다. 사다리 프레임(80)은 작업자가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설치된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 내부로 작업자가 위치하거나 내부에서 교량(5)밖으로 빠져나오기 위하여 사다리 프레임(80)을 사다리처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안전프레임(50)의 보조사다리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3, one or more ladder frames 8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left side, right side) of the body frame 10. The ladder frame 80 prevents the worker from falling out of the bridge repairing support railing support 100 and allows the worker to move inside the installed bridge repairing support support 100, So that the ladder frame 80 can be used as a ladder. In addition, a space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auxiliary ladder frame of the first safety frame 50 can be disposed.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 2 안전프레임(90)은 몸체프레임(10) 측면(후방, 도 3 참조)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안전프레임(90)은 상기 제 1 안전프레임(50)과 마주보는 방향의 몸체프레임(10) 측면(후방)에 마련되어 작업자가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afety frame 9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frame 10 (rearward, see Fig. 3).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afety frame 90 is provided on the side (rear) of the body frame 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afety frame 50 so that the worker falls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repairing lumbar support apparatus 100 .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몸체프레임(10)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40)을 지지하는 지지판고정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40)은 2개로 마련되어 지지판고정부(42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제공한다. 지지판고정부(420)는 지지판(40)이 2개로 마련되었을 때 지지판(40)을 지지시킬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10) 하부에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과 같이 홈을 구비하여 지지판(4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9, a supporting plate 40 is provided under the body frame 10 and supports the supporting plate 40. The supporting plate 40 is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plates 40 And is slidably moved using the support plate fixing part (420). The support plate fixing portion 42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0 so as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40 when the support plate 40 is provided with two grooves, Can be slidably moved.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utilize the bridge support railing support device 10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5 : 교량,
10 : 몸체프레임, 20 : 몸체체결부,
30 : 난간고정프레임, 40 : 지지판,
50 : 제 1 안전프레임, 60 : 와이어체결부
65 : 와이어, 70 : 제 1 롤러,
75 : 제 2 롤러, 80 : 사다리 프레임,
90 : 제 2 안전프레임,
100 :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110 : 상부몸체프레임, 120 : 하부몸체프레임.
310 : 난간고정부,
410 : 고정수단, 420 : 지지판고정부.
5: Bridge,
10: body frame, 20: body fastening part,
30: rail fixing frame, 40: support plate,
50: first safety frame, 60: wire fastening part
65: wire, 70: first roller,
75: second roller, 80: ladder frame,
90: second safety frame,
100: Bridge support bracket support device.
110: upper body frame, 120: lower body frame.
310: Railing station,
410: fixing means, 420: supporting plate fixing portion.

Claims (11)

교량(5)의 측부 또는 하부의 보수시 교량(5)의 난간에 설치되는 지지장치로서,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몸체프레임(10);
상기 몸체프레임(10) 상부에 마련되어 난간에 걸쳐지는 난간고정프레임(30);
상기 몸체프레임(10) 저면에 마련되는 지지판(40);
상기 몸체프레임(10) 상부에 마련되는 와이어체결부(60);
상기 와이어체결부(60)와 체결되는 와이어(65);
상기 난간고정프레임(30)에 마련되는 제 1 롤러(70);
상기 몸체프레임(10) 일측에 마련되는 제 2 롤러(75);
상기 난간조정프레임(30)에 구비되는 난간고정부(310);
상기 몸체프레임(10) 일면에 마련되는 제 1 안전프레임(50);
상기 몸체프레임(10) 측면에 마련되는 제 2 안전프레임(90) 및
상기 몸체프레임(10)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판고정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40)은 2개로 마련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지지판고정부(420)는 2개로 마련되는 상기 지지판(40)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안전프레임(50)은 상기 지지판(4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 1 롤러(70) 및 제 2 롤러(75)를 이용하여 난간에 걸친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난간고정부(310)는 상기 교량(5)과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100)를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A supporting device installed on a rail of a bridge (5) at the side or lower part of the bridge (5)
A box-shaped body frame 10 whose height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andrail fixing frame 30 provided on the body frame 10 and extending over the handrail;
A support plate 4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10;
A wire fastening part 60 provided on the body frame 10;
A wire 65 which is fastened to the wire fastening part 60;
A first roller (70) provided on the railing fixing frame (30);
A second roller 7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
A handrail fixing part 310 provided on the handrail adjusting frame 30;
A first safety frame 5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frame 10;
A second safety frame 9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frame 10,
And a support plate fixing part 420 provided under the body frame 10,
The support plate (40) is provided in two, is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support plate fixing part 420 supports the support plate 40,
The first safety frame 50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40,
The first roller 70 and the second roller 75 are used to move horizontally across the railing,
Wherein the railing fixing part (310) fastens the bridge (5) to the rail support railing support device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0)은,
상부몸체프레임(110) 및 하부몸체프레임(120)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몸체프레임(120)은 상기 상부몸체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어 몸체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frame (10)
An upper body frame 110 and a lower body frame 120,
Wherein the lower body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frame (1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프레임(110)과 하부몸체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몸체프레임(110)과 하부몸체프레임(120)을 고정하는 몸체체결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ody coupling part (20)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body frame (110) and the lower body frame (120) to fix the upper body frame (110) and the lower body frame (120) Railing suppor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고정프레임(30)은 “ㄱ”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ustrade fixing frame (30) has an " a " shap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체결부(20)는 홈과 핀, 볼스크류 또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체결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fastening portion (20) is a fastening means using a groove, a pin, a ball screw, or a rack and a pin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을 상기 몸체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xing means (410)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40) to the body frame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0)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는 사다리 프레임(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adder frame (80)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body frame (10).
삭제delete
KR1020140109365A 2014-08-22 2014-08-22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KR101545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65A KR101545451B1 (en) 2014-08-22 2014-08-22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65A KR101545451B1 (en) 2014-08-22 2014-08-22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451B1 true KR101545451B1 (en) 2015-08-21

Family

ID=5406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365A KR101545451B1 (en) 2014-08-22 2014-08-22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45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89A (en) * 1999-04-22 2000-10-31 Mesco Inc Working cage elevator
KR100784429B1 (en) * 2007-02-14 2007-12-11 우신기계(주) Apparatus for removing slab forms
KR101332763B1 (en) * 2011-09-01 2013-11-25 김진곤 Working rack of safety net for box type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89A (en) * 1999-04-22 2000-10-31 Mesco Inc Working cage elevator
KR100784429B1 (en) * 2007-02-14 2007-12-11 우신기계(주) Apparatus for removing slab forms
KR101332763B1 (en) * 2011-09-01 2013-11-25 김진곤 Working rack of safety net for box typ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97783B2 (en) Crash attenuator apparatus
TWM468463U (en) Lying board for car repair
JP5862961B2 (en) Floor joint device
TW201639497A (en) Slide rail assembly
WO2007049236A3 (en) Adjustable telescopic lever apparatus for lifting plane elements, preferably wall and/or cover panels and arrangement for fixing two slidable elements of polygonal cross-section
KR20120018542A (en) Cleaning worktable
KR101545451B1 (en) Support device for bridge repair
KR20140004886U (en) Table with adjusting the height
US20120168250A1 (en) ladder usage
KR200478057Y1 (en) Moving plate apparatus of sliding structure
JP2017536246A (en) Straightening device
RU2695936C2 (en) Device for retaining vehicle bed
JP2013018102A (en) Assembly work conveyor device
JP5943862B2 (en) Floor joint device
KR20140004140U (en) Device for fixing goods of truck
FI125423B (en) Directional bench for vehicles
CN203639117U (en) Three-dimensional adjustable low-thrust horizontal moving device for large-tonnage heavy articles
WO2013115701A4 (en) An adjustable roof rack having lowered supporting elements
JP3198041U (en) Slide rail kit
US1574801A (en) Window jack
KR20150019900A (en) Assist device for stretching of large panel
JP3201332U (en) Portable worktable
KR101980958B1 (en) Independently height-adjustable left and right vertical part of ladder
JP4755962B2 (en) Floor joint device
KR101487649B1 (en) lif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