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581B1 -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581B1
KR101544581B1 KR1020140074792A KR20140074792A KR101544581B1 KR 101544581 B1 KR101544581 B1 KR 101544581B1 KR 1020140074792 A KR1020140074792 A KR 1020140074792A KR 20140074792 A KR20140074792 A KR 20140074792A KR 101544581 B1 KR101544581 B1 KR 101544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laser pointer
writing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다솜
Original Assignee
김다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솜 filed Critical 김다솜
Priority to KR102014007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5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writing instrument, which has a basic handwriting function and includes a laser pointer, a visual display part or a flash part systemically configured to one another inside cases, thereby enabling a user to more conveniently utilize the same for various uses. The writ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formed in a cylinder shape in order to be attached or detached by being screwed to each other, which has a writing part and a laser pointer part installed in the first case and has a visual display part and a flash part installed in the second case, wherein a first and a second fixed cap is mounted on a connector of the first case and maintained by finishing caps so as to seal the writing part and the laser pointer part respectively and a fixed cap is screwed to a connector of the second case, wherein the writing part and the laser pointer part are configured to be divided by a partition wall, a cover through which to examine each component of the visual display part and the flash part is inclu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ase and a finishing cover is mounted on one end part of the second case.

Description

다기능 필기도구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본 발명은 다기능 필기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필기 기능을 포함하여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나 시각 표시부, 후레쉬부를 탈,부착 가능한 케이스 내에 상호 유기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필기도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andwri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that includes a basic handwriting function, a laser pointer, a time display unit, and a flash unit. And a multifunctional handwriting tool which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일반적으로, 연필이나 볼펜, 만년필 또는 필기용 붓과 같은 통상의 필기도구는 필기부와 파지부로 이루어진 직선적인 디자인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Typically, conventional writing tools such as pencils, ballpoint pens, fountain pens, or writing brushes are designed in a linear design of writing and gripping portions.

예컨대, 볼펜의 경우에 필기하는 쪽의 반대 끝단부에 푸시버튼(Push button)이 배치되고, 이 푸시버튼은 하우징(Housing)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지지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필기 부분에는 잉크심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allpoint pen, a push button is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to be handwritten. The push button is supported so as not to rotate in the housing and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portion, the ink shim is reta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이에 따라, 손으로 푸시버튼을 누름으로써 잉크심은 하우징 선단의 필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푸시버튼은 걸림기구(Latching device)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우징에 걸려 후퇴하지 않게 되므로 필기도구로서의 기능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by pressing the push button by hand, the ink paddle can be moved to the writing position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In this position, the push button is automatically hooked to the housing by the latching device, It becomes possible.

최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하나의 필기도구만으로 제한하지 않고 시계나 후레쉬, 심지어 가스라이터 등과 같이 개별적인 기능을 갖춘 제품을 내장함으로써 하나의 기구물을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developed a number of products capable of utilizing a single apparatus for a variety of purposes by incorporating a product having individual functions such as a clock, a flash, or even a gas lighter without limiting the above-described one writing instrument .

이러한 공지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88199호 공보에는 메모지나 각종 용지 등의 필기 대상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필기구 자체에 문자정보를 인식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표시창으로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2013-0021538호 공보에는 필기도구의 길이방향으로 측정자와 같은 기능을 형성하여 수요자들로 하여금 간편하게 길이를 확인하고 자 대신에 일정한 길이의 직선을 그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In connection with this known technolog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88199 discloses a technique of recognizing character information in the writing implement itself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window without requiring a writing object such as a memo or various sheets of paper Open No. 2013-0021538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a measur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writing instrument so that a customer can easily grasp a length and draw a straight line of a predetermined length .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1994-0009693호 공보에는 일상 생활용품인 일회용 가스라이터에 필기구를 결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0020378호 공보에는 필기도구의 동체에 피리구조에 맞도록 다수의 바람구멍을 천공하여 관악기 겸용 필기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public utility model 1994-0009693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writing instrument is combined with a disposable gas lighter as an everyday household articl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020378, A technique is disclosed in which a plurality of wind holes are drill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so as to be utilized as a writing instrument for wind instrument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성들은 통상의 필기도구와 단편적인 개별 제품을 단순 주합한 것에 불과할 뿐이므로 실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편의성이 거의 없고 상호간 유기적인 결합에 따른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rrangements are merely a simple combination of a conventional writing tool and a fragmentary individual product, so there is little convenience to be felt by actual users, and a synergistic effect due to mutual organic combination can not be expect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8199호(2002.11.27. 공개) 발명의 명칭: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0088199 (Nov. 27, 2002) Title of inventio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writing paper fun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21538호(2013.03.06. 공개) 발명의 명칭: 자 기능을 겸비한 필기도구.Korean Patent Laid-Open No. 2013-0021538 (Published on Mar. 03, 2013) Title of invention: Handwriting tool having a self-function.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4-0009693호(1994.05.21. 공개) 고안의 명칭: 필기 겸용 일회용 가스라이터.Korean Utility Model No. 1994-0009693 (Published on May 21, 1994) Title of Design: Disposable disposable gas lighter for handwriting.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020378호(1981.11.23. 등록) 고안의 명칭: 관악기 겸용 필기도구.Registered Utility Model No. 0020378 (Registered on November 23, 1981) Name of Design: Combination tool for wind instrument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부 및 레이저 포인터부나 시각 표시부, 후레쉬부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구성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필기도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more conveniently by constituting a writing unit, a laser pointer unit, a time display unit, and a flash unit in a single case. .

또한, 본 발명은 필기 기능이나 레이저빔의 발사, 시각 표시, 후레쉬 등의 기능을 각각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양분된 케이스를 통해 분산시켜 구성함에 따라 어느 한쪽의 케이스가 고장나더라고 개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 필기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such as writing function, laser beam emission, time display, and flash can be used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dispersed through a case divided into two so that one case is broken, And a writing too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나사맞춤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통형상으로 제작된 제1 및 제2케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제1케이스 내에는 필기부와 레이저 포인터부가 배설되고 상기 제2케이스 내에는 시각 표시부와 후레쉬부가 배설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연결부에는 필기부와 레이저 포인터부를 각각 밀폐하는 제1 및 제2고정캡이 장착되어 마감캡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케이스의 연결부에는 고정마개가 나사맞춤되고, 상기 필기부는 스프링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탄력있게 이동하여 제1케이스의 선단부로 출몰하도록 걸림턱을 갖는 잉크심 및 이 잉크심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는 원통몸체와,이 원통몸체 내의 일측에 장착된 회로기판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발광다이오드와, 이 발광다이오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링과, 이 탄성링을 밀착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촛점을 모으기 위한 렌즈와, 이 렌즈를 수용하여 촛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통과, 이 경통의 선단에 장착되어 투시창을 수용하는 커버와, 상기 원통몸체의 후단부를 폐색하기 위한 고정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각 표시부는 회로기판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모드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시간 및 스톱워치, 알람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제어유닛과, 이 제어유닛에 의한 출력신호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액정과, 상기 제2케이스의 외부로 진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와, 소리음을 발산시키기 위한 메모리칩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레쉬부는 고정편과, 마감커버에 장착된 투시창 내에 유지됨과 동시에 고정편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램프 및 이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모드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by screwing, wherein a writing unit and a laser pointer are disposed in the first case, The first and second fixed caps are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ase to seal the writing portion and the laser pointer portion respectively and are held by the finishing cap, And the writing portion is composed of an ink shim having an engaging jaw that elastically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spring so as to protrude and retreat in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ase and an operating piece for moving the ink shim, The laser pointer unit includes a cylindrical body, a circuit board mounted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 elastic ring for holding the light emitting diode, a lens for supporting the elastic r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collecting a focus of a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fixing cap for closing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wherein the time display unit includes a circuit board, a circuit board, and a power source A battery,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 and performing a time, a stopwatch, and an alarm function, a liquid crystal for externally outputt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motor for imparting a vibration power, a memory chip for emitting sound, and a speaker, wherein the flash unit is fixed And a mode switch which is held in a sight window mounted on the finishing cover and is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piece, and a mode switch for applying power to the lamp.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필기도구에 의하면, 탈,부착이 가능한 케이스 내에 필기부 및 레이저 포인터부, 시각 표시부 및 후레쉬부를 각각 분할하여 내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hand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ting function, the laser pointer, the time display and the flash are divided and incorporated in a removable case so that the functions required by the user can be immediately used.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를 분리하더라도 각각의 배터리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고장나더라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 이에 따른 활용도를 종전에 비해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rate individually by each battery even if the case is detached, it can be used continuously even if one of the batteries fails, and the efficiency of utilization thereof can be greatly increased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필기도구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2a, 도 2b는 레이저 포인터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레이저 포인터부의 구동관계 블럭도,
도 4a, 도 4b는 시각 표시부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및 회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스톱워치의 기능 설명을 위한 회로 구성도이다.
1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a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ser pointer,
3 is a drive-related block diagram of the laser pointer portion,
4A and 4B are a schematic plan view and a circuit configuratio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ime display section,
5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stopwatch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필기도구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2a, 도 2b는 레이저 포인터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레이저 포인터부의 구동관계 블럭도, 도 4는 시각표시부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스톱워치의 기능 설명을 위한 회로 구성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ser pointer unit,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relationship of the laser pointer unit, and FIG. 4 is an example of a time display unit. Fig. 5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stopwatch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of Fig. 4;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암나사(a)와 숫나사(b)에 의해 상호 나사맞춤되는 제1 및 제2케이스(100A,100B)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100A) 내에는 필기부(10)와 레이저 포인터부(20)가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제2케이스(100B) 내에는 시각 표시부(30)와 후레쉬부(40)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cases 100A and 100B which are mutually screwed by a female screw (a) and a male screw (b), and the first case 100A, The writing unit 10 and the laser pointer unit 20 are disposed in the second case 100B and the time display unit 30 and the flash unit 40 are disposed in the second case 100B.

상기 제1케이스(100A)의 연결부에는 필기부(10)와 레이저 포인터부(20)를 각각 밀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고정캡(101,102)이 장착된 상태에서 마감캡(103)이 나사맞춤되어 유지되고, 상기 제2케이스(100B)의 연결부에는 고정마개(104)가 나사맞춤되어 있으며, 상기 필기부(10)와 레이저 포인터부(20)는 격벽(105)에 의해 상호 분할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caps 101 and 102 for sealing the writing unit 10 and the laser pointer unit 20 are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A and the finishing cap 103 is screwed And a fixing stopper 104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case 100B and the writing portion 10 and the laser pointer portion 20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05. [

또한, 상기 제2케이스(100B)의 일측에는 시각 표시부(30) 및 후레쉬부(4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품들을 점검하기 위한 덮개(106)를 포함하여 제2케이스(100B)의 끝단부에 마감커버(107)가 장착된다.One side of the second case 100B includes a cover 106 for inspect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ime display unit 30 and the flash unit 40 and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case 100B A finish cover 107 is mounted.

상기 필기부(10)는 스프링(1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탄력있게 이동하여 제1케이스(100A)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1통공(108a)으로 출몰하도록 걸림턱(12)을 갖는 잉크심(13)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잉크심(13)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편(1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종래의 볼펜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writing part 10 is elastical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spring 11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08a forme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A so that the ink padding 13 And an operating piece 14 for moving the ink padding 13,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ball-point pe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2a, 도 2b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20)는 원통몸체(21)와,이 원통몸체(21) 내의 일측에 장착된 회로기판(22)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3)와, 버튼(B)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발광다이오드(24)와, 이 발광다이오드(24)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링(25)과, 이 탄성링(25)을 밀착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24)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촛점을 모으기 위한 렌즈(26)와, 이 렌즈(26)를 수용하여 촛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통(27)과, 이 경통(27)의 선단에 장착되어 투시창(W)을 수용하는 커버(28)와, 상기 원통몸체(21)의 후단부를 폐색하기 위한 고정캡(29)으로 이루어져 있다.2A, 2B and 3, the laser pointer unit 2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21, a circuit board 22 mounted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An elastic ring 25 for holding the light emitting diode 24 and an elastic ring 25 for pressing the elastic ring 25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lens barrel 27 for accommodating the lens 26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barrel 26 and a lens barrel 27 for supporting the lens barrel 27, And a fixing cap 29 for closing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 The cover 28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rical body 21,

상기 원통몸체(21)에 결속된 경통(27)의 경우에는 나사맞춤에 의해 길이에 대한 가변이 가능하므로 발광다이오드(2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촛점을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barrel 27 bound to the cylindrical body 21, since the length can be varied by screwing, the focal point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4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또, 상기 제1케이스(100A)와 레이저 포인터부(20)를 구성하는 커버(28) 사이에는 레이저빔의 조사시에 빔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유도패킹(109)이 설치되어 있다.Between the first case 100A and the cover 28 constituting the laser pointer unit 20, there is provided an induction packing 109 for preventing the beam from being disturbed 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20)의 경우, 제1케이스(100A)의 일측에 장착된 버튼(B)의 조작에 따라 레이저빔을 제1케이스(100A)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2통공(108b)으로 조사(照射)함으로써, 회의나 세미나, 강의 등을 진행하기 위한 통상의 지시봉으로 활용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the laser pointer unit 20, the laser beam is guid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ase 100A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utton B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se 100A It can be used as a normal indicator for proceeding with meetings, seminars, lectures and the like.

도 1 및 도 4a,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시각 표시부(30)는 회로기판(31)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2)와, 모드스위치(S)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시간 및 스톱워치, 알람기능 등을 각각 수행하는 제어유닛(33)과, 이 제어유닛(33)에 의한 출력신호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액정(34)과, 상기 제2케이스(100B)의 외부로 진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35) 및 소리음을 발산시키기 위한 메모리칩(36) 및 스피커(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4A and 4B, the time display unit 30 detect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oard 31, the battery 32 for power supply, and the mode switch S, A liquid crystal 34 for externally outputt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3 and a control unit 3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ase 100B A motor 35 for imparting power, a memory chip 36 for dissipating sound, and a speaker 37.

상기 모터(35)의 경우에는 회전축의 선단부에 편심캠(38)을 장착하여 알람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진동을 생성시키거나 혹은 상기 회로기판(31) 상의 메모리칩 (36)에 저장된 여러 형태의 소리음을 스피커(37)를 통해 발산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otor 35, the eccentric cam 38 may be mounted on the tip of the rotary shaft to generate vibration for performing an alarm function, or various types of sounds stored in the memory chip 36 on the circuit board 31 Can be emitted through the speaker (37).

이에 따라, 상기 모드스위치(S)의 조작에 의해 통상적인 시간 설정이나 스톱워치, 알람시간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진동이나 소리음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a normal time setting, a stopwatch, an alarm time, and the like can be arbitrarily set by operating the mode switch S, and vibration and sound can be selected and set.

또, 상기 후레쉬부(40)는 고정편(41)과, 마감커버(106)에 장착된 투시창(42) 내에 유지됨과 동시에 고정편(41)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램프(43)와, 이 램프(43)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상기 모드스위치(S)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의 후레쉬 구조와 거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flash unit 40 includes a fixing piece 41 and a lamp 43 held in the viewing window 42 mounted on the finishing cover 106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piece 41, And the mode switch S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43, which is substantially similar to a conventional flash structur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시각 표시부(30)에 있어서의 스톱워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구성은, 통상적인 스톱워치로서는 물론 작동 중에 임의의 간격으로 발음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시간 경과를 보다 명확하게 사용자에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circuit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he stopwatch function in the time display section 30 is not limited to a typical stopwatch, To be more clearly recognized by the user.

즉, 발진분주회로(201)에서 얻어진 1초 신호는 통상 시각회로(202)와 스톱워치로서의 시간회로(203)에 각각 인가되고, 이들 각 회로(202,203)의 출력신호는 선택회로(204)를 거쳐서 디코우더 회로(205) 및 드라이버(206)로 보내진 후에 표시부(207)로 인가된다.That is to say, the 1-second signal obtained by the oscillation frequency divider circuit 201 is applied to the time circuit 203 as a normal time circuit 202 and the stopwatch, respectively, and the output signals of these circuits 202, Is sent to the decoder circuit 205 and the driver 206, and then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207. [

또한, 상기 발진분주회로(201)에서 얻어진 1초 신호는 제1∼제3스위치(208, 209,210)로 이루어진 스위치군(211)을 거쳐서 제1, 제2, 제3카운터(212,213,214)에 선택적으로 인가되고, 각 카운터(212,213,214)의 출력신호는 발진회로(215)로 인가되며, 이 발진회로(215)에서의 신호는 증폭회로(216)를 거쳐서 발음체(217)로 전달된다. The 1 second signal obtained by the oscillation frequency divider circuit 201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unters 212, 213 and 214 via the switch group 211 composed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208, 209 and 210 And the output signal of each of the counters 212, 213 and 214 is applied to the oscillating circuit 215 and the signal from the oscillating circuit 215 is transmitted to the sound emitting body 217 via the amplifying circuit 216.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각 표시부(30)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스톱워치를 작동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선택회로(204)를 통상 시각표시와 상태로 유지하여 놓는 경우 통상 시각회로(202)의 내용은 선택회로(204), 디코우더(205), 드라이버(206)를 거쳐서 표시부(207)에 의해 표시된다.An example of operating the stopwatch by the user in the time display unit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When the selection circuit 204 is held in the normal time display state, The content of which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207 via the selection circuit 204, the decoder 205, and the driver 206. [

또한, 상기 선택회로(204)를 시간 표시의 상태로 절환하여 놓게 되면 시간회로(203)의 내용은 선택회로(204), 디코우더(205), 드라이버(206)를 거쳐서 표시부 (207)에 의해 표시되고, 스위치군(211)에 설치된 임의의 스위치, 예컨대 제1스위치(208)를 ON의 상태로 하면, 발진분주회로(201)에서의 1초 신호가 제1카운터(212)인 5초 카운터에 보내진다.When the selection circuit 204 is switched to the time display state, the contents of the time circuit 203 are supplied to the display section 207 via the selection circuit 204, the decoder 205, and the driver 206 1 second signal in the oscillation frequency divider circuit 201 is applied to the first counter 212 as the first counter 208 in 5 seconds It is sent to the counter.

이 때, 5초가 경과하면 출력신호에 의해서 발진회로(215)가 ON으로 되고, 이 발진회로(215)의 출력신호는 증폭회로(216)를 거쳐서 발음체(217)를 구동시켜 5초 마다 소리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5 seconds have elapsed, the oscillation circuit 215 is turned on by the out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oscillation circuit 215 drives the sound emitting body 217 through the amplifying circuit 216, .

또, 상기 제1∼제3카운터(212,213,214)의 경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5초, 10초, 15초로 각각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리음은 5초마다, 10초 마다, 15초마다의 어느 것이던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되는 구성이지만, 이들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초, 2초, 3초등 임의의 간격 설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o third counters 212, 213, and 214 are configured to have 5 seconds, 10 seconds, and 15 seconds, respectively. Therefore, the tone can be output every 5 seconds, 10 second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nfigurations,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et an arbitrary interval such as 1 second, 2 seconds, and 3 seconds.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각 표시부(30)를 구성하는 스톱워치는 일정 시간마다 소리음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눈과 소리음에 의한 시간 경과를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since the stopwatch of the time display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sound at every predetermined time, the time lapse due to the eyes and the sound can be read, so that the stopwatch can be used more reliably and conveniently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케이스 내에 필기부 및 레이저 포인터부, 시각 표시부 및 후레쉬부를 각각 분할하여 내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를 분리하더라도 각각의 배터리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고장나더라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 이에 따른 활용도를 종전에 비해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ntly use the functions required by the user by dividing the writing unit, the laser pointer unit, the time display unit, and the flash unit in the case where the case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he battery can be operated separately by each battery. Therefore, even if one of the batteries fails, the battery can be continuously used, and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can be grea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attery.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필기부 11: 스프링
12: 걸림턱 13: 잉크심
14: 조작편 20: 레이저 포인터부
21: 원통몸체 22: 회로기판
23: 배터리 24: 발광다이오드
25: 탄성링 26: 렌즈
27: 경통 28: 커버
29: 고정캡 30: 시각 표시부
31: 회로기판 32: 배터리
33: 제어유닛 34: 액정
35: 모터 36: 메모리칩
37: 스피커 38: 편심캠
40: 후레쉬부 41: 고정편
42: 투시창 43: 램프
100A: 제1케이스 100B: 제2케이스
101: 제1고정캡 102: 제2고정캡
103: 마감캡 104: 고정마개
105: 격벽 106: 덮개
107: 마감커버 108a,108b: 통공
109: 유도패킹 201: 발진분주회로
202: 시각회로 203: 시간회로
204: 선택회로 205: 디코우더
206: 드라이버 207: 표시부
208∼210: 스위치 211: 스위치군
212∼214: 카운터 215: 발진회로
216: 증폭회로 217: 발음체
10: writing part 11: spring
12: hanging jaw 13: ink core
14: Operation section 20: Laser pointer section
21: Cylindrical body 22: Circuit board
23: battery 24: light emitting diode
25: elastic ring 26: lens
27: barrel 28: cover
29: fixed cap 30: time indicator
31: circuit board 32: battery
33: control unit 34: liquid crystal
35: motor 36: memory chip
37: speaker 38: eccentric cam
40: flash unit 41:
42: view window 43: lamp
100A: first case 100B: second case
101: first fixed cap 102: second fixed cap
103: Finishing cap 104: Fixing cap
105: partition wall 106: cover
107: Finishing cover 108a, 108b:
109: Induction packing 201: Oscillation frequency divider circuit
202: Time circuit 203: Time circuit
204: selection circuit 205:
206: Driver 207: Display
208 to 210: switch 211: switch group
212 to 214: Counter 215: Oscillation circuit
216: Amplification circuit 217:

Claims (1)

상호 나사맞춤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통형상으로 제작된 제1 및 제2케이스(100A,100B)를 포함하여 상기 제1케이스 내에는 필기부(10)와 레이저 포인터부(20)가 배설되고 상기 제2케이스 내에는 시각 표시부(30)와 후레쉬부(40)가 배설되며, 상기 제1케이스(100A)의 연결부에는 필기부(10)와 레이저 포인터부(20)를 각각 밀폐하는 제1 및 제2고정캡(101,102)이 장착되어 마감캡(103)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케이스(100B)의 연결부에는 고정마개(104)가 나사맞춤되고,
상기 필기부(10)는 스프링(1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탄력있게 이동하여 제1케이스(100A)의 선단부로 출몰하도록 걸림턱(102)을 갖는 잉크심(103) 및 이 잉크심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편(10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20)는 원통몸체(21)와,이 원통몸체 내의 일측에 장착된 회로기판(22)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3)와, 버튼(B)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발광다이오드(24)와, 이 발광다이오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링(25)과, 이 탄성링을 밀착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촛점을 모으기 위한 렌즈(26)와, 이 렌즈를 수용하여 촛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통 (27)과, 이 경통의 선단에 장착되어 투시창(W)을 수용하는 커버(28)와, 상기 원통몸체의 후단부를 폐색하기 위한 고정캡(29)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각 표시부(30)는 회로기판(31)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2)와, 모드 스위치(S)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시간 및 스톱워치, 알람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제어유닛(33)과, 이 제어유닛(33)에 의한 출력신호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액정(34)과, 상기 제2케이스의 외부로 진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35)와, 소리음을 발산시키기 위한 메모리칩(36) 및 스피커(3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레쉬부(40)는 고정편(41)과, 마감커버(106)에 장착된 투시창(42) 내에 유지됨과 동시에 고정편(41)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램프(43) 및 이 램프(43)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모드스위치(S)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필기도구.
(10) and a laser pointer part (20) are disposed in the first case, the first and second cases (100A, 100B) being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as to be detachable by mutual screwing And the first case 100A is provided with a time display unit 30 and a flash unit 40. The first case 100A is connected to the first case 100A and the first case 100A is provided with a writing unit 10 and a laser pointer unit 20, And the second fixing caps 101 and 102 are mounted and held by the finishing cap 103. At the same time, the fixing stopper 104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ase 100B,
The writing unit 10 includes an ink padding 103 having an engaging protrusion 102 for resiliently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spring 11 and protruding and retracting in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A, And an operation piece 104,
The laser pointer unit 2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21, a circuit board 22 mounted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a battery 23 for power supply, An elastic ring 25 for holding the light emitting diode, a lens 26 for supporting the elastic ring in close contact with it and collecting the focal point of the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A cover 28 which is mounted on the tip of the lens barrel and accommodates the see-through window W; a fixed cap 29 for closing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Lt; / RTI >
The time display unit 30 includes a circuit board 31, a battery 32 for supplying power,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sens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 S and performing a time, a stopwatch, A liquid crystal 34 for externally outputt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3; a motor 35 for applying a vibration powe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se; A memory chip 36 and a speaker 37,
The flash unit 40 includes a fixing piece 41 and a lamp 43 held in the viewing window 42 mounted on the finishing cover 106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piece 41, And a mode switch (S) for applying power to the multifunctional handwriting device.
KR1020140074792A 2014-06-19 2014-06-19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KR1015445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792A KR101544581B1 (en) 2014-06-19 2014-06-19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792A KR101544581B1 (en) 2014-06-19 2014-06-19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581B1 true KR101544581B1 (en) 2015-08-19

Family

ID=5406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792A KR101544581B1 (en) 2014-06-19 2014-06-19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5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87U (en) 1996-02-08 1997-05-16 顯▲亭▼ 黄 Pen with alarm function and recording / emission function
KR200260828Y1 (en) 2001-10-17 2002-01-17 김성림 Laser pointer with multiple functions
KR100840549B1 (en) 2006-12-28 2008-06-23 김주근 Multi functional usb p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87U (en) 1996-02-08 1997-05-16 顯▲亭▼ 黄 Pen with alarm function and recording / emission function
KR200260828Y1 (en) 2001-10-17 2002-01-17 김성림 Laser pointer with multiple functions
KR100840549B1 (en) 2006-12-28 2008-06-23 김주근 Multi functional usb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9219A1 (en) Pen/Pencil Grip
TW200640710A (en) Travel multiplier mechanisms for writing instruments
JP2013508829A (en) Mouse pen and its photoelectric control switch
KR200452277Y1 (en) A ball-point pen eguiped with a lighting
KR101544581B1 (en) Multifunctional Writing Tools
US20160089927A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en structure
ATE287799T1 (en) HAND WRITING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PEN ELEMENT AND LASER POINTER
US6955445B2 (en) Illuminated writing implement
CN102393799A (en) Bluetooth virtual computer keyboard projection pen
US20030128193A1 (en) Touch control pen for PDA
KR100840549B1 (en) Multi functional usb pen
CN103722949A (en) Pen equipped with LED lamp
KR20190102335A (en) Laser Pen
KR101604765B1 (en) Pencils with a fingerprint reader
KR200395249Y1 (en) Writing instrument with the lightening and sound effect function
KR200356755Y1 (en) Holder for chalk
CN105904882A (en) Multipurpose intelligent fingerprint pen
CN203077981U (en) Triangular fountain pen
CN209756548U (en) Multifunctional writing pen clip
CN205185647U (en) Multifunctional pen
JP3000617U (en) A simple fatigue measuring instrument that doubles as a writing instrument
KR20070060889A (en) Adjustment-pen and light equipment combination pen
KR200460335Y1 (en) Writing materials have video display unit
KR20220138304A (en) ledmuddlightpencilcase
KR19990011972U (en) Automatic pen that tells you whether you're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r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