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575B1 - Baby mobiles - Google Patents

Baby mobi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575B1
KR101544575B1 KR1020140057367A KR20140057367A KR101544575B1 KR 101544575 B1 KR101544575 B1 KR 101544575B1 KR 1020140057367 A KR1020140057367 A KR 1020140057367A KR 20140057367 A KR20140057367 A KR 20140057367A KR 101544575 B1 KR101544575 B1 KR 10154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head
fixed
mobi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일순
Original Assignee
배일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순 filed Critical 배일순
Priority to KR102014005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5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6Infant exercisers, e.g. for attachment to a cri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mobile (1) of which head is installed in a support part (3) standing on a receiving part (2).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receiving part (2) having the bottom formed into a flat disc shape to be placed on the floor; the support part (3) including an upper supporter (32) to control the height from a lower supporter (31) standing on an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2); and a head part (4) including a diameter part (43), combined with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3), and a rack (41) on which a decoration (42) is hung. A combination unit (5), fixed on an upper part of the upper supporter (32), and a combination protrusion (6), fixed on a rear part of the diameter part (43),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is easily moved to and installed in a place for a baby. The mobile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 by fixing the support part (3) in the receiving part (2) or weighting the receiving part (2). The height is controlled in the support part (3), the angle is controlled in the head part (4), and the rotation of the head part (4) is controlled in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3) by the combination unit (5) and the combination protrusion (6). A variety of baby products are able to be stored in a storage groove (23) of the receiving part (2). Playing music and rotating the decoration (42) and the rack (41) by a controller (44) are able to arouse babies′ interest.

Description

유아용 모빌{Baby mobiles}Baby mobiles

본 발명은 유아용 모빌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에 안치되는 받침부에서 세워진 서포터부에 모빌헤드를 설치하여 유아가 위치하는 장소나 누워있는 상태에 따라서 이동성을 향상시키면서 각도나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모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mobile,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head is installed on a supporter portion provided on a floor, so that an angle or a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improving mobility according to a place where the infant is located or ly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mobile.

일반적으로 유아용 모빌은 소형의 봉제인형이나 봉제완구 또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조각 등의 각종 장식물을 천장의 한 지점에 매달아서 균형을 갖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걸이대 단부에 흔들리도록 달거나 걸어서 보호자가 임의로 흔들어 주거나 바람이 불면 걸이대가 시소처럼 움직이면서 장식물이 흔들리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종래 모빌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24349호(2003년 8월 21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종래 단순히 천장에 매단 걸이대의 각 단부에 각종 장식물을 매달거나 걸어서 구성하거나, 천장에 매단 걸이대의 무게중심에서 유아의 다리까지 연장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연결부재의 하단에 유아가 다리로 움직이도록 공 등의 동작전달부재를 구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종래 천장에 매단 모빌의 경우 천장의 한 지점에 앵커 등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어서 유아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서 설치 위치를 가변시키기 곤란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가 바뀔 때마다 걸이대와 장식물을 유아의 시선에 맞추어 조절할 수가 없는 단점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Generally, infant mobiles are hung on a wide variety of hanger ends that are balanced by attaching various ornaments such as small stuffed dolls, stuffed toys, or various shaped pieces to a ceiling, In this conventional mobile,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4349 (published on Aug. 21, 2003), conventionally, simply, the ceiling is attached to each end of the hanger in the ceiling, And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anging hook to the leg of the infan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constitute an operation transmitting member such as a ball so that the infant moves with the leg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n such a conventional ceiling, in the case of a mobil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infant is located. In addition,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the hanger and the ornament can not be adjusted to the infant's eyes, will be.

이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1년 제10717호(2011년 11월 17일자 공개)에서와 같이 모빌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벌어져서 바닥에 안치되며 전체가 ㄷ자 형태를 취하는 지지대를 개발하여 모빌을 유아가 위치하는 장소로 쉽게 이동시켜서 이동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모빌을 단순히 매달아 놓은 것으로 보호자가 흔들어 주거나 바람이 불지 않으면 모빌이 고정되어 있어서 유아의 흥미가 급격하게 떨어지며,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에 따라 모빌을 유아의 시선에 맞추어 조절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As a result, it was developed as a U-shaped supporter that is worn at a predetermined angle to be able to move the mobile easily,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111717 (published on Nov. 17, 2011) The mobile has been developed to easily move to a place where it is located. However, this is also a simple hanging of the mobile. When the car is shaken or the wind is not blowing, the mobile is fixed and the interest of the infant drops drastically. According to the state of lying, the mobile could not be adjusted to the infant's eyes.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년 제95623호(2011년 8월 25일자 공개)의 경우 지지블럭과 수직블럭 및 연결블럭으로 결합 구성하여 전체가 하향 개방된 ㄷ자 형태를 가지면서 상부 가운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판에 장식물이 달린 걸이대를 설치하여 모빌이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블록 일측에 녹음부와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을 설치하여 부모의 음성을 유아에게 들려주도록 하는 등 부가되어 있어서 유아의 흥미를 유발토록 하면서, 유아의 위치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며, 모빌의 높이를 조절할 수는 있었지만, 이 역시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에 따라서 높이 정도만 조절할 뿐 유아의 시선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는 등의 세부적이면서 정확한 조절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I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95623 (published on Aug. 25, 2011), a supporting block, a vertical block and a connecting block are combined to form a U- A microphone and a microphone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lock so that the voice of the parents can be heard to the infant so as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infant, And the height of the mobile could be adjusted.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precisely and precisely adjust the height of the infant according to the infant's lying condition, but to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the infant's gaze .

KR 20-0324349 Y1 2003. 8. 21.KR 20-0324349 Y1 Aug. 21, 2003. KR 20-2011-0010717 U 2011. 11. 17.KR 20-2011-0010717U Nov 17, 2011 KR 10-2011-0095623 A 2011. 8. 25.KR 10-2011-0095623A Aug 25, 201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인 원반형태의 받침부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서포터부를 고정 설치하고, 헤드부의 상단에 장식물이 매달린 걸이대로 이루어진 헤드부를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하되, 헤드부의 걸이대와 서포터부의 사이에 휨이 자유롭거나 고정된 형태의 경부(頸部)를 구비하여 헤드부의 각도 조절과 고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중량체를 내입하거나 서포터부를 받침부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고정 설치하여 모빌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헤드부에는 걸이대를 회전시키도록 모터가 내입되면서 내장된 음악이 나오도록 스피커가 설치된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걸이대의 회전과 음악의 재생이 가능토록 하여 유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이동성과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로우면서 구조가 단순한 유아용 모빌을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a head, A head portion of a hanger with hanging ornaments hanging therebetwee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g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 neck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hang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the supporter portion so as to be freely bendable or fixed, , The weigh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or the supporter part can be eccentrically fixed to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art to prevent the mobile from falling down, and the motor can be inserted into the head part to rotate the hook, Install a controller with speakers to rotate the hook and play music Ever possible, and can double the interest of children, it is entirely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on the mobility and provide a simple structure of the infant while the mobile changes jayurowoo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아용 모빌을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유아용 모빌은 바닥에 놓이도록 하부가 평평한 원반형태의 받침부와, 받침부의 상부로 세워지도록 고정 설치된 서포터부와, 서포터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선단에 장식물이 매달린 걸이대가 설치된 헤드부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mobile, wherein the baby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edestal having a bottom in a flat shape so as to be placed on the floor, And a head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ook hanging on the tip of the ornament.

상기 받침부는 상부로 만곡지게 배가 부르면서 유아용품을 수납토록 하향되게 수납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이때 커버가 철판 등의 중량물로 구성되거나, 케이스와 커버 내측에 고정된 환형의 중량체가 구비된다.The case includes a case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so as to be folded down to an upper portion to be folded upward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so as to receive the baby goods therein and a cov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The cover may be made of a heavy material such as an iron plate, And an annular weight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상기 서포터부는 받침부의 상부 케이스에 상향 기립(起立)되게 고정 설치된 하부서포터와, 하부서포터의 상부로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 설치된 상부서포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서포터를 받침부의 케이스에 고정 시 중심에서 헤드부의 걸이대 및 장식물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서포터의 내측 하부에 탄력스프링이 내입되어 탄력스프링에 의해서 상부서포터를 상향으로 탄력 지지토록 구성되며, 하부서포터의 상단 후방에 스톱스프링에 의해서 항상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부서포터의 후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이격되어 스토퍼와 대응되는 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스토퍼의 후방에 눌렀을 시 내향 돌출된 스토퍼가 외측으로 빠지도록 시소처럼 스토퍼와 연결 구성된 조작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서포터의 상단에 내부로 결합공이 구비된 결합구가 고정 설치된다.Wherein the supporter comprises a lower supporter fixed to an upper case of an upper part of the base and an upper supporter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er, The upper supporter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an elastic spring, and a stop spring is provided on the upper rear of the lower supporter,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upper supporter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topper protruding inward when the locking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rear of the stopper, Operation buttons are connected to the stopper like a seesaw Value is, the coupler having a coupling hole inside the top of the upper supporter is securely fixed.

상기 헤드부는 선단에 장식물이 매달린 걸이대가 설치되며 후단에 서포터부의 상부서포터 상단에 고정 설치된 결합구의 결합공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가운데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설치된 경부가 구비되며, 상기 경부는 휨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거나 고정되게 사출 성형되어 후단의 결합돌기를 서포터부의 결합구에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되며, 헤드부의 경부 선단에 걸이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가 구비되면서 각종 음악이 재생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걸이대의 회전 및 음악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The head portion is provided with a neck portion provided with an engagement protrusion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having a center cut-out portion forcibly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of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tip end of the upper supporter of the supporter, A speaker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with a motor for rotating the hanger at the tip of the neck portion of the head portion while reproducing a variety of music,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hanger and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유아용 모빌은 받침부의 상부로 서포터부를 세워지게 설치한 서포터부의 상단에 결합구와 결합돌기를 이용하여 헤드부를 강제 끼움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종래 천장에 매다는 모빌에 비하여 유아가 위치하는 장소로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므로 휴대가 쉽고 이동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baby m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portion is forcibly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portion provided with the supporter portion upr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to a place where the infant is located compared to the mobile which hangs on the mobile phone, and the mo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본 발명에서 받침부의 하부 커버를 중량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커버 내측으로 중량체를 내입 구성하며, 서포터부를 헤드부의 걸이대와 장식물의 반대로 받침부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고정 설치하여 모빌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므로 넘어져서 유아가 다치는 것을 방지함으로 해서 안전성을 제고(提高)시킬 수 있으며, 받침부의 수납홈에 우유병, 기저귀, 물티슈 등의 다양한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ver of the receiving part is made of a heavy material or the weight is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cover. The supporter part is fix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art in opposition to the hook of the head p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by preventing the infant from being hurt by falling down, and it is possible to store various infant goods such as milk bottle, diaper, wet tissue, etc.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ceiving part, .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서포터부를 하부서포터와 상부서포터로 분할 구성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헤드부의 경부를 휨이 자유롭도록 하여 유아의 누운 상태에 따라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서포터부의 상단에 헤드부를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와 결합돌기에 의해서 결합 구성되도록 하므로 헤드부의 회전도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높이 조절, 각도 조절, 회전 조절이 임의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시선에 맞추어 세부적인 조절이 가능하여 유아의 흥미 유발과 함께 모빌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section is divided into a lower supporter and an upper support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 part. The neck part of the head part is free to bend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ying condition of the infa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gle and rotation of the head as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head part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height, angle, and rotation of the head 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the gaze of the infant, Together we can improve the utilization of mobi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에 컨트롤러를 장착하여 장식물이 매달린 걸이대의 회전과 각종 음악의 재생이 가능토록 하여 유아의 흥미를 보다 향상시켜서 유아의 성장발달에 일조할 수 있으며, 바닥이나 침대 등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디자인의 다변화도 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head portion, rotation of a hook hanging ornaments can be performed, and various music can be reproduced, thereby improving the interest of infants an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It can be installed in a position, and the design can be diversifi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받침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받침부의 다른 실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서포터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헤드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헤드부의 다른 실례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서포터부와 헤드부의 결합 구조를 보인 예시도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er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ead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er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종래 천장에 매달던 모빌을 바닥에 안치되도록 한 유아용 모빌에 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아용 모빌을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mobile which is mounted on a floor in a conventional ceiling, and the infant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본 발명의 유아용 모빌(1)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부터 바닥에 놓이도록 구성된 받침부(2)와, 받침부(2)의 상부에 상향 기립되도록 고정 설치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서포터부(3)와, 서포터부(3)의 상단에 결합 구성된 헤드부(4)로 대분되게 이루어진다.1A to 1B, the baby mobi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eiving unit 2 configured to be placed on the floor from the bottom as shown in FIGS. 1A and 1B, And a head unit 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unit 3. The head unit 4 includes a head unit 4,

상기 본 발명 중 받침부(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놓이도록 하부가 평평한 원반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로 배가 부르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케이스(21)와, 케이스(21)의 하부에 고정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커버(22)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receiving part 2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21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bottom so as to be placed on the floor, And a cover 22 which is coupled with a fixing bolt or the like.

상기 상부 케이스(21)에는 우유병이나 기저귀 및 물티슈 등의 각종 유아용품이 수납되도록 하향되는 수납홈(23)이 형성되어 편의성을 제고토록 한다.In the upper case 21, a receiving groove 23 is formed to receive various kinds of baby goods such as a milk bottle, diaper, and wet tissue,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이때 상기 커버(22)는 철판 등의 중량물로 구성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스(21)와 커버(22) 내측에 케이스(21) 또는 커버(22)에 고정되는 다양한 형태의 중량체(24)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성형하여 상부의 케이스(21)에 결합토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모빌(1)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The cover 22 may be made of a heavy material such as an iron plate or may be fixed to the case 21 or the cover 22 inside the case 21 and the cover 22 as shown in FIG. And may be formed into an annula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case 21,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1 from easily falling down.

상기 본 발명 중 서포터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의 상부 케이스(21)에 상향 기립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면서 상부가 개방된 중공(中空)형태의 하부서포터(31)와, 상기 하부서포터(31)의 상부로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결합 설치된 상부서포터(32)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서포터(31)에서 상부서포터(32)를 상향으로 탄력 지지되게 하부서포터(31)의 내측 하부에 내입 구성된 탄력스프링(33)이 더 구비되며, 하부서포터(31)의 상단 후방에 스톱스프링(34a)에 의해서 항상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스토퍼(34)와 스토퍼(34)의 후방 외측에서 눌렀을 시 내향 돌출되어 있던 스토퍼(34)가 외측으로 빠지도록 시소형태로 연결 설치된 조작버튼(35)이 더 구비되며, 이때 상부서포터(32)의 후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이격되어 스토퍼(34)와 대응되는 수개의 걸림홈(3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supporter portion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upper case 21 of the receiving portion 2 in such a manner as to be erected upward, and has a hollow- And an upper supporter 32 slid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er 31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er 31. The upper supporter 31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er 31 upward A stopper 34 configured to be always protruded inwardly by a stop spring 34a at the upper rear of the lower supporter 31. The stopper 3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er 31, And an operation button 35 connected in a seesaw form so that the stopper 34 protruding inward when the stopper 34 is pushed outwardly from the rear outside of the stopper 34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pporter 32. At this time, Vertically Several locking groove 36 that corresponds to the case and the stopper 34 is configured to be formed.

상기 본 발명 중 헤드부(4)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부(3) 상단에 결합되어 선단에는 무게중심을 갖는 걸이대(41) 및 걸이대(41)의 단부에 매달린 각종 장식물(42)이 설치되며, 후단에는 서포터부(3)와 결합된 경부(43)가 구비되며, 상기 경부(43)는 도 5에서와 같이 휨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거나, 도 6에서와 같이 고정되게 사출 성형되도록 한 후 서포터부(3)에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되며, 휨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거나 고정되게 사출 성형된 경부(43)의 외측에는 충격을 완화와 따뜻한 질감을 제공토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커버(43a)가 씌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완충커버(43a)은 발포실리콘을 사용하여 완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5 to 6, the head part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part 3 and includes a hook 41 having a center of gravity at the tip thereof, And a neck portion 43 coupled to the supporter portion 3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43. The neck portion 43 may be bent as shown in Figure 5, And a cushion cover 43a made of a silicone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jection-molded neck portion 43 which is freely bent or fixed to be fixed to the supporter portion 3, , And the buffer cover 43a may be made of foamed silicone to improve the buffering force.

상기 헤드부(4)의 경부(43) 선단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걸이대(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가 구비되면서 각종 음악이 재생되도록 스피커가 설치된 컨트롤러(44)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44)는 걸이대(41)의 회전을 구동 및 멈추도록 한 회전버튼 및 음악의 재생을 구동하거나 수개의 음악이 내장될 시 다음 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및 선택버튼과 음악의 소리를 조절하고 끄는 볼륨 및 정지버튼 등이 다양하게 설치되는 것이다.5, a controller 44 provided with a motor for rotating the hanger 41 and a speaker for reproducing various music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neck portion 43 of the head portion 4, 44 are provided with a rotary button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hanger 41 and a driving and selecting button for driving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or moving the music to the next music when several music are built in, Stop button, and the like.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터부(3)와 헤드부(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부(3)의 상부서포터(32) 상단에 고정 설치된 결합구(5)와, 헤드부(4)의 경부(43) 후단에 결합구(5)로 강제로 끼워지도록 설치된 결합돌기(6)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5)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결합돌기(6)가 강제 끼움되는 결합공(5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6)는 가운데에 절개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한 절개부(61)가 형성되어 결합돌기(6)가 결합공(51)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결합구(5)의 결합공(51)에 결합돌기(6)가 끼워진 후 임의로 쉽게 빠지지는 않으나, 사용자가 조금만 강한 힘을 가하면 강제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회전도 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7, the supporter unit 3 and the head unit 4 include a coupling unit 5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er 32 of the supporter unit 3, A coupling protrusion 6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43 of the main body 4 so as to be forcibly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5. The coupling hole 5 is hollow and has an open top, And the engaging projection 6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gaging hole 51 so as to have elasticity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6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51 The coupling protrusion 6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1 of the coupling hole 5 and is not easily disengaged. However, when the user applies a strong force only slightly, the coupling protrusion 6 can be forcibly separated,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아용 모빌(1)은 받침부(2)에 결합된 서포터부(3)의 상단에 헤드부(4)를 탈착 가능토록 결합한 것으로서, 종래 천장에 매달던 천장 고정용 모빌에 비하여 설치 및 이동이 쉬우면서 휴대가 용이한 것이며, 유아가 어디에 위치하던 쉽게 모빌(1)을 유아가 위치하는 곳에 둘 수 있는 등 휴대성과 이동성이 월등한 것이다.The baby mob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portion 3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2 and the ceiling fixing mobile The mobile 1 is easy to install and move, and is easy to carry, and the mobile 1 can be placed at a place where the infant is located.

이때 유아가 눕혀져 있는 높이에 따라서 서포터부(3)의 하부서포터(31)에서 조작버튼(35)을 누른 후 탄력스프링(33)에 의해서 상부로 탄력 지지되는 상부서포터(32)를 상하로 슬라이딩시켜서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조작버튼(35)을 놓으면 상부서포터(32) 후방의 걸림홈(36)에 스토퍼(34)가 스톱스프링(34a)에 의해서 내향되어 걸려서 높이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높이 조절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supporter 32, which is resiliently supported upward by the elasticity spring 33, is slid up and down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35 on the lower supporter 31 of the supporter 3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fant Since the stopper 34 is hooked inward by the stop spring 34a to the stopper groove 36 at the rear of the upper supporter 32 when the operation button 35 is released after the height is adjusted to the desired height, This is extremely easy.

그리고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가 비스듬할 시 헤드부(4)의 경부(43)를 휨이 자유로운 것을 선택하여 서포터부(3) 상단에 결합한 후 유아의 비스듬한 상태에 따라서 각도를 조절하여 유아의 시선에 맞추어 헤드부(4)의 걸이대(41) 및 장식물(42)을 배치할 수 있으며,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가 반듯할 시 헤드부(4)의 휨이 자유로운 경부(43)를 조절하여 유아의 시선에 맞추어 걸이대(41) 및 장식물(42)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거나, 휨이 자유로운 경부(43)를 갖는 헤드부(4)를 서포터부(3)에서 분리시킨 후 고정된 경부(43)를 갖는 헤드부(4)를 서포터부(3)의 상단에 결합시켜서 헤드부(4)의 걸이대(41) 및 장식물(42)이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각도 조절도 지극히 용이하면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the neck portion 43 of the head portion 4 is selected to be freely bendabl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portion 3, and then the angl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blique state of the infan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hook 41 and the ornament 42 of the head part 4 so as to adjust the flexible part 43 of the head part 4 when the infant is lying flat, Which has a fixed neck portion 43 after separating the head portion 4 having the neck portion 43 which is freely warped or the head portion 4 having the hanger 41 and the ornament 42 in a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hook 4 of the head part 4 and the ornament 42 of the head part 4 can be made to be horizontal by engaging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er part 3 with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er part 3,

또한 상기 서포터부(3)와 헤드부(4)가 상부서포터(32) 상단에 고정된 결합구(5)와 경부(43) 후단에 고정된 결합돌기(6)의 강제 끼움 및 이탈시키는 작용에 의해서 탈착이 이루어지므로 유아를 바닥이나 바닥에 깔린 이불 등에 눕혔을 시에는 상기와 같이 바닥에 놓인 받침부(2)의 상부에 기립되게 고정 설치된 서포터부(3)의 상부에 헤드부(4)를 결합시켜서 사용하도록 하며, 유아를 바닥이 아닌 침대 등에 눕혔을 시에는 서포터부(3)에서 헤드부(4)를 분리시킨 후 종래 침대의 펜스(fence)나 핸드레일(handrail)에 고정되는 펜스고정구(공지된 기술로 도시치 아니함)의 상단에 서포터부(3)의 상부서포터(32) 상단에 고정된 결합구(5)를 고정 설치하여 헤드부(4)의 경부(43) 후단에 고정된 결합돌기(6)를 결합시켜서 사용하도록 하는 등 모빌(1)이 설치되는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supporter portion 3 and the head portion 4 are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er 32 with a fitting hole 5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er 32 and an engaging projection 6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43 The head part 4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er 3 which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part 2 placed on the flo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fant is laid on a floor or the like, When the infant is laid on a bed or the like other than the floor, the head part 4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er part 3, and then the fence of the conventional bed or the fence fixing part (Not shown in the drawing)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er 32 of the supporter unit 3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43 of the head unit 4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mobile device 1 is installed, Kill it ca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s well as equivalents thereof.

1:(유아용) 모빌 2:받침부 21:케이스
22:커버 23:수납홈 24:중량체
3:서포터부 31:하부서포터 32:상부서포터
33:탄력스프링 34:스토퍼 34a:스톱스프링
35:조작버튼 36:걸림홈 4:헤드부
41:걸이대 42:장식물 43:경부
43a:완충커버 44:컨트롤러 5:결합구
51:결합공 6:결합돌기 61:절개부
1: (infant) mobile 2: pedestal 21: case
22: cover 23: storage groove 24:
3: supporter part 31: lower supporter 32: upper supporter
33: elastic spring 34: stopper 34a: stop spring
35: operation button 36: latching groove 4: head portion
41: Hanger 42: Ornament 43:
43a: Buffer cover 44: Controller 5: Coupling port
51: engaging hole 6: engaging projection 61: incision portion

Claims (7)

바닥에 놓이도록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원반형태의 받침부(2)와,
받침부(2)의 상부로 상향 기립되게 고정 설치된 하부서포터(31)와 하부서포터(31)의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 설치된 상부서포터(32)로 구성된 서포터부(3)와,
장식물(42)이 매달린 걸이대(41)가 선단에 설치되며 서포터부(3)의 상단에 결합되는 경부(43)가 후단에 설치된 헤드부(4)로 이루어지며,
상부서포터(32)의 상단에 내부로 결합공(51)이 구비된 결합구(5)가 고정 설치되며,
경부(43)의 후단에 결합구(5)의 결합공(51)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가운데에 절개되게 형성된 절개부(61)가 구비된 결합돌기(6)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빌.
(2) in the form of a disk, the bottom of which is flat so as to be placed on the floor,
A supporter 3 composed of a lower supporter 31 fixed upright to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2 and an upper supporter 32 slid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er 31 to be adjustable in height,
A head portion 4 provided at a rear end of a neck portion 43 which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hanger 41 on which the ornament 42 is suspended and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portion 3,
A coupling hole 5 having a coupling hole 51 therein is fixed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er 32,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rojection (6) having a cut-out portion (61) formed to be cut at the center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43) so as to be forcibly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51)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는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된 케이스(21)와, 케이스(21)의 하부에 결합된 커버(22)로 이루어지며,
케이스(21)의 상부 일측에 유아용품을 수납토록 하향되게 수납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빌.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unit 2 includes a case 21 bent upward and a cover 2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21,
Characterized in that a storage groove (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case (21) so as to store the baby goods therein.
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스(21)와 커버(22) 내측에 케이스(21) 또는 커버(22)에 고정되는 중량체(24)가 내입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빌.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21) and the weight (24) fixed to the case (21) or the cover (22) are housed inside the cover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포터부(3)의 하부서포터(31)는 받침부(2)의 중심에서 헤드부(4)의 걸이대(41) 및 장식물(42)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빌.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supporter (31) of the supporter part (3) is fixed eccentrically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ook (41) of the head part (4) and the ornament (42) from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art (2).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부(4)의 경부(43)는 휨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고정되게 사출 성형되도록 이루어져서 후단의 결합돌기(6)를 상부서포터(32)의 결합구(5)에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빌.
The method of claim 1,
The neck portion 43 of the head portion 4 is formed to be free to bend or to be injection molded so as to be fixed so that the rear engaging projection 6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5 of the upper supporter 32 Infant mobile.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부(4)의 경부(43) 외측에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커버(43a)가 씌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빌.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ushion cover (43a) made of a silicone material is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neck (43) of the head part (4).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부(4)의 경부(43) 선단에 걸이대(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가 구비되면서 각종 음악이 재생되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걸이대(41) 회전과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러(4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빌.
The method of claim 1,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hanger 41 and the music reproduction is provided with a motor for rotating the hanger 41 at the tip of the neck portion 43 of the head portion 4, 44). ≪ / RTI >
KR1020140057367A 2014-05-13 2014-05-13 Baby mobiles KR101544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367A KR101544575B1 (en) 2014-05-13 2014-05-13 Baby 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367A KR101544575B1 (en) 2014-05-13 2014-05-13 Baby mob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575B1 true KR101544575B1 (en) 2015-08-19

Family

ID=5406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367A KR101544575B1 (en) 2014-05-13 2014-05-13 Baby mobi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5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114B1 (en) * 2017-11-23 2018-05-15 박원석 Ventilator for Advertisement Air-top
GB2574612A (en) * 2018-06-12 2019-12-18 Jones Britt A hanging mob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87Y1 (en) 1997-07-25 2000-06-01 김경철 An available household stand on the ground or the wall
KR200269231Y1 (en) 2001-12-29 2002-03-20 주식회사 초록배미디어 Mobile for inf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87Y1 (en) 1997-07-25 2000-06-01 김경철 An available household stand on the ground or the wall
KR200269231Y1 (en) 2001-12-29 2002-03-20 주식회사 초록배미디어 Mobile for inf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114B1 (en) * 2017-11-23 2018-05-15 박원석 Ventilator for Advertisement Air-top
GB2574612A (en) * 2018-06-12 2019-12-18 Jones Britt A hanging 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80124U (en) Child game room and child entertainment device for the same
KR101516537B1 (en) Air freshener case
USRE41121E1 (en) Infant support with entertainment device
EP3459609B1 (en) Activity jumper
CA2664332C (en) Infant accommodation apparatus
CN105411272A (en) Repositionable Infant Support Structures
KR101544575B1 (en) Baby mobiles
KR102182140B1 (en) A Multi Swing bed
EP1329249B1 (en) Toy mobile
US9549621B2 (en) Crib mountable noise suppressor
US9750350B2 (en) Bouncing and swiveling infant support structure
US3699712A (en) Doll posing stand
CN202052326U (en) Musical bed bell
US20110165953A1 (en) Infant twin swing set
CN204743404U (en) Virgin dining chair of multi -functional baby
US20130295817A1 (en) Infant's Entertainment Apparatus and Interactive Device
US6938291B1 (en) Structure of a music box of a play bed
CN208740456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children jump jump chair
US20130292975A1 (en) Infant's Entertainment Apparatus and Interactive Device
GB2503453A (en) Baby rocking and multifunctional device
CN203244166U (en) Child rocking chair capable of adjusting postures
EP1396283A1 (en) Playing implement
JP7251818B2 (en) rocking crib
AU2002343379A1 (en) Toy doll bed having jumping doll
CN216494531U (en) Multifunctional rock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