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860B1 -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860B1
KR101542860B1 KR1020130162114A KR20130162114A KR101542860B1 KR 101542860 B1 KR101542860 B1 KR 101542860B1 KR 1020130162114 A KR1020130162114 A KR 1020130162114A KR 20130162114 A KR20130162114 A KR 20130162114A KR 101542860 B1 KR101542860 B1 KR 10154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unit
emergency
emerg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4385A (en
Inventor
권오성
백경희
Original Assignee
(주)에리트베이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리트베이직 filed Critical (주)에리트베이직
Priority to KR102013016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860B1/en
Publication of KR2015007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별도의 구조통화를 시도할 필요 없이, 무선 태크를 구비한 긴급신호 구동유닛에 접촉을 하는 것만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여 효율적인 구조 조취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in which a dangerous user does not have to make a separate rescue call and sends an emergency signal only by making contact with an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having a wireless tag, Provide a system that can be taken.

Description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SYSTEM FOR PROVIDING RESPONSE SIGNAL SENDING SERVICE [0001]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 risk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대화를 즐기거나 전화 통화는 물론 영상 통화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상대방은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개인정보열람을 허용한 경우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Recently, as the spread of smart pads, tablet PCs and smart phones has increased, it has become possible to enjoy a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ywhere, or even to make a phone call as well as a video call.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transmit its location to the other party using various functions of the smart terminal, and the other party can search the location of the smart terminal when the user of the smart terminal per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browsing. As is well known,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viding technology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various fields via a long distanc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a plurality of subscribers through at least one host server is actively underway.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특히, 자본주의가 고도화되면서 사유재산에 대한 부의 축적이 매우 큰 개인적 과제가 되어 있는 현 시점에는 개인과 가족의 일신에 대한 보호 서비스의 필요성을 당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게 되었다.Recently, information sorting technology and compression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which can more conveniently access the surrounding technology and subscribers' tastes and preferences, such as cache memory extension technology for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more quickly to subscribers. In particular, as capitalism becomes more sophisticated and wealth of private property accumulat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tection services for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 at the present time. It has come to accept it.

따라서, 최근에는 자신에게 강도, 납치사건이 발생될 경우, 직접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는 휴대용 고전압장치들이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고전압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상대방을 제압하기에는 상당한 용기와 순발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고전압 장치는 주로 손가방 등에 넣은 상태에서 휴대하기 때문에 칼등의 흉기로 위협받는 상황에서 손가방 내에 넣어놓은 물건을 외부로 인출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portable high voltage devices capable of directly suppressing the opponent in the event of a robbery or kidnapping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such a portable high-voltage device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courage and power to depress the opponent directly by the user. Such a high-voltage device is mainly carried in a bag or the like,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take out the battery pack to the outside.

또한, 이러한 강도 상해, 납치사건의 경우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유아, 여성들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힘이 약한 사용자가 상대방을 직접 제압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더불어, 이러한 강도 상해, 납치사건의 경우 상대방 제압에 실패한 경우에는 오히려 상대방의 감정을 더욱 자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robbery or kidnapping, it is often difficult for an elderly person, an infant, and a woman who are relatively weak in pow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weak user has difficulty in directly depressing the other person. In the event of such robbery or kidnapping, if the opponent fails to take over,

극하여 역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GPS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버튼을 직접 조작하여 자신의 위치 및 자신이 처한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의 서버 등의 원격 서버로 자동으로 알려주는 보안폰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보안폰의 경우에도 직접 핸드폰을 조작하여야 되나, 마찬가지로 칼 등의 흉기로 위협받는 상황에서 핸드폰의 핫키(Hot Key)를 조작하여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용이하지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폰은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측으로 전송한다고는 하지만, 위급상황을 경찰청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causing adverse effects is extremely high. Therefore, recently, a GPS function has been built in, and a security phone which automatically informs a remote server of a police server or a security company server of the position and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by directly operating the button has appeared. However, even in such a security phon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mobile phone directl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transmit specific information by operating a hot key of the mobile phone in a situation where the mobile phone is threatened with a weapon such as a knife. 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security phone transmits an emergency situation to a police server or a security company,

서버 또는 보안업체측 어느 한 서버나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게 되므로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이거나,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 예컨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보안폰의 핫키 조작에 의해, 경찰청 전화기 또는 보안 업체측의 전화기와 호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착신자인 경찰청 담당자 또는 보안업체 담당자의 음성이 그대로 보안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되므로, 강도나 납치범도 역시 해당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이슈가 된 다수의 살해사건과 폭력사건을 보면 피해자는 피의자의 감시하에 있어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치매 환자와 같이 정신적 인지 능력이 전혀 없거나, 유아나 긴급 환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많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when a call is impossible or data transmission is impossible, 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a call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In addition, when a hot-key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ecurity phone is used to make a call connection with a telephon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or a telephone of the security company, the voice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olice station o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ecurity company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security phone as it is. And the kidnapper could also listen to the voice. However, when the user of the smart terminal is in an emergency, the user may not be able to make a call using the smart terminal. In the case of many recent murders and acts of violence, the victim may be unable to file a report under the surveillance of the suspect.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there is no mental cognitive ability like dementia patients, or in case of infants or emergency patients, it is not possible to call them directly.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823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823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별도의 구조통화를 시도할 필요 없이, 무선태크를 구비한 긴급신호 구동유닛에 접촉을 하는 것만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여 효율적인 구조 조취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rgent signal driving unit having a wireless tag, without requiring a dangerous user to make a separate rescue call, And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n effective signal to the system.

특히, 간단한 구조신호의 발신의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긴급구조신호를 위한 접촉동작 외에 간략한 패턴 송출만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그 기술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of the transmission of a simple structure signal, it is technically significant to construct a more efficient structure system by allowing the authentication to be performed only by sending a simple pattern in addition to the contact operation for the emergency structure signal .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설정된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긴급신호를 구동하는 긴급신호구동유닛(100); 상기 긴급신호 구동유닛의 구동 신호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구조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긴급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제1단말(200);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의 구동신호의 발신 후 긴급신호의 설정여부를 인가하는 긴급신호인증유닛(300); 및 상기 제1단말에서 송출되는 구조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말(400);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for driving an emergency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redetermined terminal as shown in FIG. 1; A first terminal (200) including an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for sending out a predetermined structured signal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An urgent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for applying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gnal is set after transmitting the driving signal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And a second terminal (400) for receiving a rescu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200).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별도의 구조통화를 시도할 필요 없이, 무선태크를 구비한 긴급신호 구동유닛에 접촉을 하는 것만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여 효율적인 구조 조취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capable of sending an emergency signal only by making contact with an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having a wireless tag, without requiring a dangerous user to make a separate rescue call, thereby providing an efficient structure I have to.

특히, 간단한 구조신호의 발신의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긴급구조신호를 위한 접촉동작 외에 간략한 패턴 송출만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of the transmission of a simple structure signal,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sending a simple pattern in addition to the contact operation for the emergency structure signal, thereby providing a more efficient structure system.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긴급신호구동유닛의 구성을 근거리무선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유닛과 같은 태깅장치로 구현하는 경우, 학생들의 교복이나 가방 등에 매우 손쉽게 장착이 가능하여 범죄상황에서도 안전하게 구조신호를 요청할 수 있으며, 활동이 많은 상황에서 무의식적인 접촉 등에 의한 오작동 신호 송출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도록 인증장치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 tagging device such a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nit, it can be mounted very easily on students' uniforms or bags, A signal can be requested, and an authentication device can be provided so as to remove a malfunctioning signal transmission due to unconscious contact or the like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lot of activity, thereby realizing a stable system.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 개략도 및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긴급신호인증유닛의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개인이 휴대하는 제2단말 및 제3단말 등 에서 본 시스템에서의 긴급신호구동유닛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정하는 예시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FIG. 1 and FIG. 2 are a schematic block diagram and a detailed diagram of a configuration block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llustrate an example screen for downloading and setting an application linked to an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in the present system by a second terminal and a third terminal carried by an individual such as a smart phone basically.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 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 (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formed "on" or "under" a substrate, each layer The terms " on "and " under " encompass both being 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 한다.)의 구성 블록 개략도 및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and FIG. 2 are block diagrams and detailed diagrams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기설정된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긴급신호를 구동하는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상기 긴급신호 구동유닛의 구동 신호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구조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긴급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제1단말(200), 그리고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의 구동신호의 발신 후 긴급신호의 설정여부를 인가하는 긴급신호인증유닛(300) 및 상기 제1단말에서 송출되는 구조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ystem includes an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for driving an emergency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redetermined terminal, And an urgent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for determining whether to set an emergency signal after transmitting the driving signal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and an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And a second terminal 400 for receiving a structure signal to be transmitted.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제1단말(200)과의 접촉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이러한 무선통신을 구동신호로 하여 긴급 구조 호출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유닛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을 본 발명에서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일 예로서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는 네트위킹 기반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장치로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것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NFC 태깅 장치와 같이 NFC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 UWB, HOME RF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mp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200 provided by a user and transmits an emergency rescue message using the wireless signal as a driving signal d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various communication units capable of performing suc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Internet, a LAN (Local Area Network), a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WAN In addition to being physically contac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networking based communication including an area network (P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3G, 4G, LTE and Wi-Fi,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Such an apparatus can be implemented by NFC communication like an NFC tagging apparatus, but can also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 UWB, and HOME RF.

상기 제2단말(200)은 상술한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의 근거리 통신에 따른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긴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긴급 구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개인용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를 테면, 상술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제2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단말 내지 제4단말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0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signal is an emergency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described above. The second terminal 2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for exampl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The same device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to fourth terminals described later.

즉, 본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의 접촉을 통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조로, 단순한 접촉을 통해 별도의 제2단말(200)과 같은 스마트폰을 통해 음성통화나 문자 입력을 하지 않아도 기 설정된 번호나 외부의 단말로 구조 문자 메시지 및 현재 위치정보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을 학생이나 유소년, 노약자 등의 교복, 의복, 가방 등의 휴대용 의복, 장신품 등에 사전에 장착하여 두는 구조로 배치하며, 추후 위험 상황일 경우 상기 제2단말을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 근처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없는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system,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simple contact,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tructure text messag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an external terminal without voice call or text input. To this e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s arranged in a structure such that it is mounted in advance in a student uniform, portable clothes such as school uniforms such as juveniles, elderly people, It is possible to send a rescue signal only by contacting the second terminal in the vicinity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n a dangerous situation so that a rescue signal can be efficiently sent even in a situation where a rescue signal can not be sent smoothly.

다만, 본 시스템에서 이러한 구조신호 시스템의 취약점은 학생이나 유소년 등의 교복이나 의복 등에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을 장착하는 경우, 수시로 움직이고 활동성이 많은 사용자가 무심코 호주머니나 가방에 제2단말을 가져가는 경우, 무작위로 구조신호가 송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단순한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스마트폰 등의 제2단말(200)과의 접촉으로 구조신호를 보내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구조신호가 실수로 보내지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이 발생하게 되는바, 신뢰성 있는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은 실제로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However, the vulnerability of such a rescue signal system in the present system is that, whe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s attached to a uniform or clothes of a student, a young person, etc., the user frequently moves and the active user unintentionally brings a second terminal into a pouch or bag A problem arises in that a rescue signal is sent at random. In other words, sending a rescue signal by a simpl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a second terminal 200 such as a smart phone may result in a much more erroneous erroneous rescue signal, It is actually difficult to be implemented as a system.

이에 본 시스템에서는,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을 통해 긴급신호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것이 제대로 된 구조신호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증할 수 있는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system, when an urgent signal is driven through contact betwee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he urgent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 IMAGE >

상기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은 상술한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바로 구조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인증 패턴 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만 구조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의의가 있다. Even i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does not transmit the structure signal directly, So that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escue signal only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이러한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은 실수로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일정 신간 인증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구조메시지가 송출되지 않는바, 시스템 부하나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When the urgent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is inadvertently contacted with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 structure message is not transmitted unless a predetermined new authentication signal is generated, There is no possibility of malfunction.

다만, 긴급상황에서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을 하는 것도 매우 어려운 상황일 수 있는바,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은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인증패턴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However, it can be very difficult to make contact betwee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n an emergency, so that the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pattern signal with a very simple operation It is preferable to be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예를 들어, 핸드폰 고리나 손목시계, 벨트에 장착가능한 작은 악세사리 등의 구조로 하나 두개의 무선 주파수를 송출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한 후, 일정한 설정시간 이내, 이를테면 1분~3분 이내에 해당 스위치를 길게 3번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긴급상황임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switch for transmitting one radio frequency with a structure such as a cell phone hook, a wrist watch, ), It is possible to certify the emergency situation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switch 3 times continuously within a predetermined set time, for example, within 1 minute to 3 minutes.

매우 위급한 상황에도 이러한 동작은 스마트폰을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 이후 빼앗기는 경우에도 소지한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이 벨트나 호주머니, 가방 고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지긋이 누르는 것만으로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조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범죄상황에서도 비밀리에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Even in a very critical situation, even if the smartphone is taken out after the contact betwee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s attached to the belt, the pocke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uthentication by simply pressing the finger of the user,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은 간단한 스위치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 3과 같이 일정한 패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rgent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with a simple switch,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a certain pattern signal as shown in FIG.

이를 테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를 4개 구비하여 각 상황에 따른 인증신호를 분리하여 송출할 수도 있다. 범죄상황이나, 엘리베이터에 갖힌 상황, 등산을 하다가 낙상하여 부상을 당한 경우로 말을 하지 못하는 상황 등에서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한 후,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구조신호를 송출을 인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four switches may be provided to separately transmit authentication signals according to each situation. After contacting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in a situation where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s in a situation where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s in a state of being held in an elevator, 300) can be simply operated to apply the structure signal transmission.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은 다양한 입력신호를 구현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복수 개를 포함하여 일정한 인증신호를 패터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신호패터닝부(310)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signal patterning unit 310 for patterning a certain authentication signal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so as to implement various input signals .

이를테면, 범죄 등의 긴급상황인 경우에 긴급 비상신호와 관련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제1스위치(311)나, 길을 잃어서 현재 위치를 찾지 못하는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와 관련된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312), 나아가 갑작스런 병이나 응급의료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제3신호를 발생하는 제3스위치(313) 등 특정 상황에 따라 주파수의 선택을 달리하여 다양한 긴급상황에 따른 신호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switch 311 for generating a frequency related to an emergency emergency signal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crime, a second switch 311 for generating a specific frequency related to a case in which an emergency occurs in which a current position is not found due to a losing path, A third switch 313 for generating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a sudden illness or an emergency medical condition, and a third switch 313 for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Can be implemented.

또한, 실수로 본 시스템의 무선단말의 긴급상황에 따른 스위치를 누르게 되는 경우, 일정한 패턴에 따른 해제신호를 발생(이를테면, 스위치를 연속하여 5번을 누르는 경우 해제신호로 인식)시키는 제4스위치(314)를 포함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fourth switch (e.g., a switch) for generating a releas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when the switch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system is mistakenly pressed in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314).

상술한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에 따른 스위칭 신호는 송출이 가능한 무선신호로 가공되도록 하는 입력신호형성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신호형성부(320)의 경우, 무선단말(100)을 소유하는 소유자의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저장부(340)과 연동하여 특정한 주체의 긴급신호로 인식하도록 하는 무선신호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signal forming unit 320 that processes the switching signal into a radio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In the case of the input signal forming unit 320, the input signal forming unit 320 is processed into a radio signal to be recognized as an urgent signal of a specific subject in cooperation with a unique code storage unit 340 that stores a unique code of an owner possess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It is also possible.

이러한 입력신호형성부(320)는 상술한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에서 스위칭 신호를 받아 각기 다른 비상신호의 펄스로 무선주파수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는 제1내지 제4신호형성부(321~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signal forming unit 320 includes first to fourth signal forming units 321 to 324 that can receive switching signals from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and emit radio frequencies with pulses of different emergency signals, ). ≪ / RTI >

아울러, 예시로 설명한 것과 같이 잘못 누른 경우에 일정한 시간 내에 해제신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해제신호의 패턴을 인지하여 비상신호 스위칭이 이루어진 후 기준 시간을 판단하는 시간비교기(351) 및 일정한 정해진 패턴이 입력되는 지의 요건을 판단하는 입력펄스비교기(352)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possible to form a release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ase of erroneous depression as described in the example, a time comparator 351 for recognizing a certain pattern of the release signal and determining the reference time after the emergency signal switching is performed, And an input pulse comparator 352 for determining the requirement of whether a predetermined pattern is input.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시스템에서의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2단말(200)과의 접촉을 통해 구동신호를 형성하고, 이후 긴급신호인증유닛(300)에서 인증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상기 제2단말에서는 긴급신호감지부(210)에서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인증유닛(300)에서의 긴급신호를 감지하고, 긴급신호인지 여부를 긴급신호판단부(220)에서 판단한 후, 인증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단말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말식별정보추출부(230)과 제2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추출부(240)이 연동하여 위치정보가 결합된 문자메시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위치정보가 결합된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설정 메시지송신부(250)에서 해당 상황에 맞는 문자메시지가 기설정된 휴대폰 번호로 송출되게 된다.Referring again to FIG. 2, a driving signal is formed through contact betwee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e present system, and then the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signal The urgent signal detector 210 detects an urgent signal i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authentication unit 300 in the second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urgent signal is an urgent signal or no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30 for extrac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40 for extract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cooper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formation can form a combined text message. Then, the setting message transmitter 250 for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combined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tex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ituation to the predetermined mobile phone number.

즉, 본 시스템에서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하는 호스트 서버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외부의 기 등록된 단말로 정보(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 제3단말(4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3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 외에도, 온라인 마켓, 앱스토어(App Store) 등에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That is, in this system, when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a host server providing a risk notification service transmits information (text message) to an external pre-registere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400 transmits the information Such as an application, a program, a web p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risk status notification service program may be activated in the third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the web browser. In addition to the risk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t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or opened in an online market, an app store, or the like.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a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is a program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hypertext described in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for example, Netscape (Netscape) An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Further,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an app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An app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mobile app marketplace, a virtual marketplace where mobile content can be bought and sold freely.

도 4 및 도 5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개인이 휴대하는 제2단말(200) 및 제3단말(300) 등 에서 본 시스템에서의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정하는 예시화면을 도시한 것이다.4 and 5 illustrate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for download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n the present system from a second terminal 200 and a third terminal 300 carried by individuals such as a smart phone, As shown in FIG.

도 4에서와 같이, 본 시스템에서 긴급 구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각 단말에 연동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호스트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최초 설치시에는 제2단말 및 제3단말에 공히 사용자 정보(이름, 긴급연락처 등록(X)) 등을 수행하며, 해당 기기의 인증을 위한 시리얼넘버(Y)를 입력하고, 긴급신호로 사용될 기설정 메시지를 따로 등록(Z)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register an emergency rescue signal in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a program linked to each terminal must be installed in common. This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host server, as shown in FIG. (Name, emergency contact registration (X))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inputs the serial number (Y) for authentic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he setting message can be separately registered (Z).

아울러, 본 시스템에 따르면, 상술한 인증신호의 송출로 구조신호를 송출하는 사상과 독립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시스템 자체적으로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구조신호를 송출하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2의 전체 시스템 구성 블록도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의 근거리 접촉에 기초하는 긴급신호 발생 이후에, 긴급신호의 자동인증 설정기준에 부합하는 음성패턴, 행동패턴, 충격패턴을 분석하여 긴급신호로 판단하는 제2인증유닛(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ystem,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system to perform authentication for transmitting a rescue signal independently of or in parallel with the event of transmitting the rescue signal of the authentication signal,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system itself . This is because, as shown in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FIG. 2, after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based on the close contact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 voice pattern, a behavior pattern And a second authentication unit 260 for analyzing the impact pattern and judging it as an urgent signal.

즉, 상기 제2인증유닛은,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의 근거리 접촉에 기초하는 긴급신호 발생 이후에 별도의 인증신호를 사용자가 송출하지 않는 경우라도,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후 발생하는 음성패턴을 분석하는 음성패턴분석부(261)나,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후 발생하는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행동패턴분석부(262),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후 발생하는 충격패턴을 분석하는 충격패턴 분석부(263)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인증신호가 없더라도, 음송패턴 또는 행동패턴, 충격패턴 중 어느 하나가 위험상황의 기준에 부합하는 결과일 경우 기 등록된 제2단말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기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완전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even if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does not transmit a separate authentication signal after the emergency signal based on the close contact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 behavior pattern analyzing unit 262 for analyzing a behavior pattern occurring after a predetermined set time, an impact pattern analyzing unit 263 for analyzing an impact pattern occurring after a predetermined set tim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if any one of the sound pattern, the behavior pattern, and the impact pattern matches the criteria of the dangerous situation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authentication signal,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second terminal is performed, So that it can be more fully protected.

상기 음성패턴분석부(261)의 경우, 음성인식 기능을 갖춘 사용자의 제2단말과 같은 스마트폰에 사용자가 특정 음성을 미리 등록하고, 위급상황 발생시 등록된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위급 상황임을 모바일폰이 판단함과 더불어, 해당 음성을 녹취하여 기등록된 다수의 착신처의 모바일폰(제3단말)로 전송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호접속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으로 특정 모바일폰으로 위급 상황정보 및 해당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 등록한 음성 단어를 스마트폰에 발음하게 되는 경우, 이를 인증신호로 인식하고, 긴급구조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해당 상황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voice pattern analyzer 261, a user registers a specific voice in advance in a smartphone such as a second terminal of a user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recognizes a voice registered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And records the voice and automatically performs call connection until it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third terminals) of registered call destinations, there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ccordingly, when the user pronounces a voice word previously registered to the smartphone, it is recognized as an authentication signal, and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corresponding situation can be recorded.

이를 위해서는, 기설정된 특정 음성데이터에 대한 음성인식을 통해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음성인식 S/W를 탑재하고, 위급 상황 판단시 위급 상황알림신 호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모바일폰으로 음성통화망을 통해 호접속 여부를 판단하면서 순차적으로 호접속을 시도하고,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조합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order to do this, a voice recognition S / W that can judge whether an emergency is present can be installed through voice recognition of predetermined specific voice data,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obile phone sequentially tries to make a call connection while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all connection is made through a voic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combined signal when a call connection is made.

또한, 상술한 행동패턴분석부(262)를 장착하여 인증신호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저장한다. 즉, 제2단말의 메모리에 출발지 위치, 목적지 위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소요 시간 등을 이동 패턴으로 정의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지도 데이터 및 각종 참조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모리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제3단말과 같이 보호자의 연락처나, 제4단말과 같은 경찰서나 소방서 등의 관공서의 연락처가 저장되어 연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behavior pattern analyzing unit 262 can be replaced with an authentication signal by the following operation. First, the movement pattern of at least one user is stored. That is, the start position, the destination position, the time required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destination are defined an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second terminal as a movement pattern. Also, map data and various reference data for exec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Furthermore, as mentioned above, the memory of the third terminal can be stored in the memory, and contacts of a guardian such as a police station or a fire station can be stored and interlocked.

더불어, 이러한 메모리는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이 가볍고, 기능이 제한적이지 않으며, SQL 문법을 지원하며, 스마트폰에 주로 이용되는 Sqlite의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2단말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GPS 센서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현재 이동 패턴이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이동 패턴과 다를 경우 인증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가속도가 중력 가속도의 대략 2배일 경우 인증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 memory may be a flash memory which is basically installed in a smart ph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emory may store data in the form of a database of Sqlite, which is lightweight, does not have a limited function, supports SQL grammar, and is mainly used in a smart phone. However, no.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second terminal outputs an authentication signal when the current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obtained from the GPS sensor is different from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And output an authentication signal when the acceleration is approximately twice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GPS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이동이 전혀 감지되지 않거나, GPS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위치가 목적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고 있거나, 타이머를 통한 목적지 위치까지 미리 설정된 소요 시간 내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에도 인증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s movement through the GPS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not detected at all, the user's position through the GPS sensor is moving away from the destination position, or the destination via the timer does not arrive within a preset time It can be implemented so as to output an authentication sig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대한 오차 범위, 상기 중력 가속도에 대한 가속도의 비율 범위, 사용자의 이동 감지 오차 범위, 사용자의 목적지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의 오차 범위 및 소요 시간의 오차 범위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스마트폰의 OS(operating system)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앱(app)일 수 있다.
Here, the error range of the user's movement pattern, the ratio range of the acceleration to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the movement detection error range of the user, the error range of the position away from the user's destination, and the error range of the required tim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a program), for example, an app installed in an OS (operating system) of a smart phone and operated.

또한, 본 시스템에서 별도의 대체 인증수단으로서, 충격패턴 분석부(263)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테면,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의 근거리 접촉에 기초하는 긴급신호 발생 이후에 별도의 인증신호를 사용자가 송출하지 않는 경우라도, 기설정된 충격의 강도를 넘어서는 경우의 충격이 일정 시간 내에 감지되는 경우, 이에 따라 바로 인증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충격량을 감지하며 감지된 충격량을 바탕으로 충격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충격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impact pattern analysis unit 263 as an alternative authentication means in the present system.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does not transmit a separate authentication signal after th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close contact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if the impact in the case of exceeding the predetermined impact strength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ethod of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immediately.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n impact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amount and generating an impact event based on the detected impact amou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2인증유닛(260)은, 상기 제2단말이 위치한 장소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설정 반경 이내의 무선통신단말인 제3단말에 기설정된 구조 설정메시지를 송출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기 설정된 번호에 구조 설정메시지를 송출하는 방식 외에, 일정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스마트폰에 무작위로 구조신호를 송출하는 랜덤방식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260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figuration message to a third terminal,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setting radius, based on a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it. That is, in addition to a method of transmitting a configuration message to a preset number, a random method of randomly transmitting a rescue signal to a smartphone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즉, 가족, 친구, 선생님, 연락처에 등록된 모든 사람 등으로 그룹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근접 거리의 불특정다수의 스마트폰으로 알림 대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not only a group can be set up as a family member, a friend, a teacher, all persons registered in a contact, and the like, but also a notification target can be set by an unspecified number of smartphones of a proximity distance.

만일 상기 제2단말의 소유자가 위급상황의 피해자일 경우, 미리 설정한 알림대상 중 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다수의 불특정 수신스마트폰단말기(이하, 제3단말;500)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이는, 위급상황의 목격자일 경우, 근접거리의 불특정 다수의 스마트폰에 알림으로써, 위급상황에 따라 알림 대상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알림 기능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기기 간에 가능하며, 나아가 동일한 기종이나 동일한 사양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하여도 구현할 수도 있다.
If the owner of the second terminal is a victim of an emergency, the terminal can request assistance from a plurality of unspecified smartphone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terminal) 500 located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preset notification target. In the case of a witness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an unspecified number of smart phones of a proximity distan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hange the notification target accor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Of course, such a notification function can be realized between devices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 and further, it can be implemented for terminals using the same model or the same specific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구성에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term 'portion' us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FPGA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0: 긴급신호구동유닛
200: 제1단말
210: 긴급신호감지부
220: 긴급신호판단부
230: 단말식별정보추출부
240: 위치정보추출부
250: 설정메시지송신부
260: 긴급신호 제2인증유닛
261: 음성패턴분석부
262: 행동패턴분석부
263: 충격패턴분석부
300: 긴급신호인증유닛
400: 제2단말
500: 제3단말
600: 제4단말
100: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200:
210: Emergency signal detection unit
220: emergency signal judgment unit
230: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40: Posi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50: Setup message transmitter
260: emergency signal second authentication unit
261: Voice pattern analysis unit
262: behavior pattern analysis section
263: Impact pattern analysis section
300: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400:
500: Third terminal
600: fourth terminal

Claims (10)

기설정된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긴급신호를 구동하는 긴급신호구동유닛(100);
상기 긴급신호 구동유닛의 구동 신호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구조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긴급신호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제1단말(200);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의 구동신호의 발신 후 긴급신호의 설정 여부를 인가하는 긴급신호인증유닛(300); 및
상기 제1단말에서 송출되는 구조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말(4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은,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의 근거리 접촉에 기초하는 긴급신호 발생이후에, 긴급신호의 자동인증 설정기준에 부합하는 음성패턴, 행동패턴, 충격패턴을 분석하여 긴급신호로 판단하는 제2인증유닛(260)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An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for driving an emergency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redetermined terminal;
A first terminal (200) including an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for sending out a predetermined structured signal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An urgent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for applying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gnal is set after transmitting the driving signal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And
And a second terminal (400) for receiving the rescu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A second authentication unit for analyzing a voice pattern, a behavior pattern, and an impact pattern that meet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setting criteria of the emergency signal and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based on the close contact of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26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은,
근거리무선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유닛 또는 RFID 통신유닛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includes: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nit or an RFID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200)의 긴급신호처리유닛(200)은,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의 근거리 접촉에 기초하는 긴급신호를 센싱하는 긴급신호감지부(210);
상기 긴급신호감지부(210)에서 감지한 긴급신호에 대한 긴급신호의 진정성 여부의 인증신호를 수신하는 긴급신호판단부(220);
긴급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추출부(240);
긴급신호로 판단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설정메시지를 결합하여 기설정된 외부의 단말로 송신하는 설정메시지송신부(250);
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200) of the first terminal (200)
An emergency signal sensing unit 210 for sensing an emergency signal based on close contact with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 emergency signal determination unit 220 for receiving an authentication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emergency signal detected by the emergency signal detection unit 210 is an authenticity of an emergency signal;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40)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signal;
A setup message transmission unit 250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etup message to a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when an emergency signal is determined;
And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은,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과 제1단말(200)의 근거리 접촉에 기초하는 긴급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기 설정된 특정 패턴의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인증신호패터닝부(310);
상기 인증신호를 상기 긴급신호판단부(220)로 송출하는 인증신호송출부(320);
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When an emergency signal based on close contact between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and the first terminal 200 is generated,
An authentication signal patterning unit 310 for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An authentic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320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ignal determination unit 220;
And an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인증유닛은,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후 발생하는 음성패턴을 분석하는 음성패턴분석부(261);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후 발생하는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행동패턴분석부(262);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후 발생하는 충격패턴을 분석하는 충격패턴 분석부(263);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음송패턴 또는 행동패턴, 충격패턴 중 어느 하나가 위험상황의 기준에 부합하는 결과일 경우 기 등록된 제2단말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기작을 수행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comprises:
A voice pattern analyzer 261 for analyzing a voice pattern occurring after a predetermined set time;
A behavior pattern analysis unit (262) for analyzing a behavior pattern occurring after a predetermined set time;
And an impact pattern analyzing unit 263 for analyzing an impact pattern occurring after a predetermined set time,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a second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when any one of a sound pattern, a sound pattern, a behavior pattern, and an impact pattern meets a criterion of a dangerous situ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인증유닛은,
상기 제2단말이 위치한 장소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설정 반경 이내의 무선통신단말인 제3단말에 기설정된 구조 설정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comprises: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figuration setup message to a third terminal,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setting radius, based on a location where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구동유닛(100)은,
사용자의 의복, 휴대용 악세사리, 가방 중 어느 하나에 독립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signal driving unit (100)
Wherein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independently installed in any one of a user's clothes, a portable accessory, and a ba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인증유닛(300)은,
상기 제2단말과 분리되어 장착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emergency signal authentication unit (300)
And the second terminal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terminal.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긴급 상황알림처리 시스템의 긴급신호처리유닛을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제2단말;과
상기 제2단말을 이용해 외부의 단말에 긴급 구조 설정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econd terminal having an application for driving an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provides an emergency configuration setup message to an external terminal using the second terminal.
KR1020130162114A 2013-12-24 2013-12-24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KR101542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14A KR101542860B1 (en) 2013-12-24 2013-12-24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14A KR101542860B1 (en) 2013-12-24 2013-12-24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85A KR20150074385A (en) 2015-07-02
KR101542860B1 true KR101542860B1 (en) 2015-08-10

Family

ID=5378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114A KR101542860B1 (en) 2013-12-24 2013-12-24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86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17B1 (en) 2013-06-04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Emergency path navig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17B1 (en) 2013-06-04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Emergency path navig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85A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555B1 (en) Method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EP30337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audio and event dispatch using positioning system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20120282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without requiring focused visual attention from a user
US201401181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the aid of security volunteers using a security network
US20190057189A1 (en) Alert and Response Integration System, Device, and Process
KR101284119B1 (en) Method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CN106778591B (en) Alarm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9706380B1 (en)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and tracking data from a mobile device
CN107464406A (en) Alarm method, system and corresponding wearable device based on wearable device
US20160323727A1 (en) User protection method using smart phone case
US20130271277A1 (en) Personal security device
CN105577213B (en) The emergency processing strategy of Intelligent bracelet or wrist-watch starts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82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stand-by signal and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US201401208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customized security responses
US201401208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a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make ready signal
US20150213700A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9215578B2 (e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WO2015143077A1 (en) Wireless alert device and mobile application for wireless alert communication
KR20150003430A (en) Secondary terminals located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s via communication methods
US201300232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islead information to intruders when intrusion occur
US20140055241A1 (en) Alert system
KR101542860B1 (en)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Kaur et al. IOT Based Women Security: A Contemplation
Leema et al. Women Safety Android Application with Hardwa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